KR100740283B1 -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283B1
KR100740283B1 KR1020050069002A KR20050069002A KR100740283B1 KR 100740283 B1 KR100740283 B1 KR 100740283B1 KR 1020050069002 A KR1020050069002 A KR 1020050069002A KR 20050069002 A KR20050069002 A KR 20050069002A KR 100740283 B1 KR100740283 B1 KR 10074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transmission tower
unit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396A (ko
Inventor
오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
Priority to KR102005006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2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에 설치되어 있는 송전탑에 산불을 감시할 수 있는 산불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산정상, 산 중턱 산밑의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센서에 의한 기상정보데이터를 통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 또는 발생하고 있는 지역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감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므로 산불이 발화되었을 시에 발화지점과 그 지점의 기상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산불이 발화된 지역의 초등 진압이 이루어져 산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인재 또는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산불, 조난,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사고를 미리 파악하므로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산불, 자연재해, 조난, 산사태, 송전철탑, 카메라, 산불감시,

Description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Electric power apparatus and disaten guard apparatus using a transmission tow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망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실, 운영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감시부 100a: 함체
110: 카메라부 111: 카메라
112: 카메라리시버 113: 영상써지
120: 데이터부 121: 데이터처리부
122: 제1데이터컨버터 123: 데이터써지
124: 기상정보수집반 125: 센서부
125a: 풍향/풍속계 125b: 온습도계
125c: 우량계 125d: 적설계
125e: 감지계 126: 현장전원제어기
127: 전원부 127a: 태양전지
127b: 축전지제어기 127c: 축전지
127d: 인버터 127e: 전원써지
128: 문감지기 200: 통신실
210: 중앙데이터처리부 220: 영상분배기
230: 비디오서버 240: 허브
250: 영상표시기 260: 제2데이터컨버터
270: 통합관리서버 300: 운영실
310: 운영PC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철탑에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산불감시, 조난, 산사태, 홍수 등)을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를 원격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리시버를 설치하며, 카메라를 통해 인입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원격에서 감시하여 사전에 산불을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촌 모든 나라가 산림 자원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그 중 우리나라는 산림 자원이 매우 귀한 나라이다. 이러한 우리의 산림자원을 잘 관리하자면 많은 인원과 재원이 필요하며, 또한 산악이 매우 험한 지형일수록 상시 관리 체제란 매우 불가능한 일이다.
종래의 산불 감시 관리 체제를 살펴보면, 인적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 산불 감시인을 감시코자 하는 산의 요소 요소에 배치하여 산불을 감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모든 산에 감시인을 배치할 수 없으므로 산불 감시에 정확성을 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형이 매우 험한 산일수록 감시인에 의한 산불 감시가 더욱 어려워 산불 감시에 만전을 기할 수 없다.
다음으로, 인적 요소의 감시인과 물적 요소인 카메라 및 모니터를 통한 산불 감시 관리체제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CCTV를 산 정상부에 설치하고, 통제소에서 상시 모니터로 이를 감시 및 확인하는 방법으로 산불 감시를 관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전 및 물적 자원을 이용한 산불 감시 관리 체제에도, 사람이 항상 모니터를 주시해야 하므로 인적 재원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사람에 의한 산불 감시이므로 관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없고, 또한 산불 발생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초기 대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산불 감시 방법은 초기에 산불 발생을 감지한 상태에서 정확히 산불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실제로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산불 발생 지역으로 접근한 상태는 이미 산불이 산림을 거의 훼손한 상태가 되므로 최적의 산불 관리라고 볼 수 없다.
또한, CCTV를 통한 산불 감시를 하는 경우에는 CCTV를 통해 주변의 지형까지 파악해야 하므로 인해 CCTV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감시탑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산 정상에서 감시탑을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나르기가 매우 힘이 들고, 산정상에서는 기상의 이변이 많기 때문에 산 중턱에서 발생하는 산불을 제대로 감시하기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에 설치되어 있는 송전탑에 산불을 감시할 수 있는 산불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산정상, 산 중턱 산밑의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센서에 의한 기상정보데이터를 통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 또는 발생하고 있는 지역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실시간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관리자가 산정상, 산중턱 및 산밑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산불이 발생하거나 또는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감시탑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정상 까지 자재를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자재를 이동하기 위한 인부와 감시탑을 설치하기 위한 자재 구입비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통상의 감시장치에 비해 저렴하고, 유지보수 가 용이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불감시, 기상 정보를 수집, 조난, 산사태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시부와; 감시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 판단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실과; 통신실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어느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지, 발생한 지역이 어디 인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운영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망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실, 운영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전력설비, 천재지변을 감시하는 감시부(100)와, 감시부(1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 판단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실(200)과, 통신실(2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어느 지역에서 송전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 이 발생할 수 있는지, 또는 발생한 지역이 어디 인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실(300)로 구성된다.
통신실(200)은 감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광링크를 통해 인가받아 영상데이터, 기상데이터 및 각종 신호를 분리하는 영상분배기(220)와, 영상분배기(220)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운영실(300)에서 볼 수 있도록 인가함과 동시에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 및 각종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데이터처리부(210)와, 중앙데이터처리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는 비디오서버(230)와, 비디오서버(2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운영실(300), 중앙데이터처리부(210)에 나누어 인가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분배하여 주는 허브(240)와, 허브(240)를 통해 인가된 영상을 운영실(3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출력을 제어하는 영상표시기(250)와, 중앙데이터처리부(21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운영실(3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제2데이터컨버터(260)와, 통신실(200)로 인가되는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에 대하여 과거자료와 현재의 자료를 모두 관리, 비교, 판단하는 통합관리서버(270)로 구성된다.
운영실(300)은 운영자가 감시부(100)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통신실(20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운영PC(310)가 구성된다.
감시부(100)는 카메라부(110)와, 데이터부(120)로 구성되고, 지상에서 관리자가 각각의 기기에 따른 점검 및 교환 등이 가능하도록 송전철탑의 하단부에 함체(100a)를 설치한다.
카메라부(110)는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산불감시, 조난, 산사태, 홍수 등)이 발화되었는지를 송전탑 주변 및 근거리를 촬영하는 카메라(111)와, 송전탑 주변 및 근거리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방향을 바꾸는 카메라리시버(112)와, 카메라(111), 카메라리시버(112) 및 카메라(111)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데이터를 낙뢰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자기 복구가 가능 한 영상써지부(113)로 구성된다.
데이터부(120)는 카메라(111)에 의해 인입되는 영상과 통신실(200)을 통해 운영실(300)로 인가하거나 운영실(3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카메라(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121)와, 제1데이터처리부(12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제1데이터컨버터(122)와, 제1데이터컨버터(12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의 보호와 함체(100a)에 설치되는 기기의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데이터써지부(123)와, 함체(100a)에 설치되는 기기의 교환, 수리 및 전압조정 등을 행할 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현장전원제어기(127)와, 센서부(125)에 의해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강우량, 적설량, 지진의 발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상정보수집반(124)과, 함체(100a)의 문을 타인이 개방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문감지기(128)로 구성된다.
센서부(125)는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등을 체크하는 풍향/풍속계(127a)와, 송전철탑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체크하는 온습도계(125b)와, 내리는 비의 양을 측정하는 우량계(125c)와, 내리는 눈의 양을 측정하는 적설계(125d)와, 지반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계(125e)를 송전철탑에 설치된 다.
그리고 카메라부(110)의 영상써지(113)와, 데이터부(120), 기상정보수집반(124) 및 센서부(125)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7)를 함체(100a) 내에 설치한다.
전원부(127)는 전원제어부(127)는 상용전원, 태양열, 태양광, 풍력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7a)와, 전원공급부(127a)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원활한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축전기제어기(127b)와, 축전기제어기(127b)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필요 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127c)와, 축전기제어기(127b)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127d)와; 인버터(127d)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 및 전원부의 각각의 기기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전원써지(127e)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부(127)는 주변에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지역에서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나 상용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태양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기상정보수집반(124)과, 센서부(125)는 도 3 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메인 감시장치가 설치하고, 보조 감시장치와의 유기적인 연결에 따른 데이터를 습득하여 산 전체의 상황을 판단한다.
그리고 함체(100a)를 통해 인가되는 각종 데이터를 통신실(200)과 운영실(300)로 인가할 수 있도록 광링크를 통해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송전철탑에 본 발명의 감시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보면, 산 정상, 산중턱, 산밑에 설치되어 있는 송전철탑의 소정 위치(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동의 높이)에 카메라(111)와 카메라리시버(112)를 설치한다.
그리고 감시장치 주변의 풍향/퐁속계(125a)와, 온습도계(125b)를 통해 바람의 세기와 온도, 습도를 검사할 수 있도록 송전철탑에 설치한다.
송전철탑의 하부쪽에는 카메라부(110)의 영상써지(113)와, 데이터부(120)를 함체에 설치한 후 카메라부(110)의 카메라(111), 센서부(125)에서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케이블로 연결한다.
또한, 함체(100a)로 전해지는 데이터를 통신실(200)과 운영실(300)로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광링크를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주변에 상용전원(220V)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이라면, 상용전원을 함체(100a)로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용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라면 태양열, 태양광, 풍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태양열 셀 또는 풍차(풍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함체(100a)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감시장치를 산 전체 지형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산 주변에 설치된 다른 송전철탑에는 보조 감시장치(기상정보수 집반과 센서부가 제외된 구성)로 이루어진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를 설치한다.
메인 감시장치(도 2 기준)가 송전철탑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하게 보조 감시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보조 감시장치(도 3, 4에 도시된 구성)는 산 지형을 고려하여 기상정보수집반(124)과 센서부(125)의 구성을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을 감 시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산 정상과 산밑의 기상에 대한 변화가 상당히 많은 지형의 경우, 산정상과 산밑에 각각 센서부(125)와 기상정보수집반(124)을 설치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메인 감시장치와 보조 감시장치를 송전철탑에 설치한 상태에서 센서부(125)의 풍향/풍속계(125a)를 통해 현재 산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에 대한 것을 체크 하고, 온습도계(125b)를 통해 송전철탑 주위가 건조하여 낙엽 등의 마찰에 발화가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며, 현재 습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체크 한다.
또한, 송전철탑 주변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계(125e)를 통해 감지하여 기상정보수집반(124)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현재 비가 오고 있다면 강수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체크 하고, 동시에 어느 지역에서 비가 오는지 파악하여 산사태, 홍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 등을 우량계(125c)를 통해 체크 한다.
강수량이 많은 경우 입산을 통제, 하천의 범람 등에 의해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눈이 오는 경우 적설계(125d)를 통해 적설량을 체크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한다.
이는 겨울철에는 전력설비의 전력선에서 눈 또는 비가 얼었다 녹았다 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드름 등에 의해 전력선에 하중이 더하여 짐에 따라 전력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송전철탑이 무너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서도 영상써지(113)를 통해 데이터처리부(121)로 인가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정 신호로 변환한다.
특정 신호로 변환된 영상데이터와, 센서부(125)에 의해 인가되는 기상정보를 데이터처리부(121)로 인가하고, 데이터처리부(121)에서는 광링크를 통해 통신실(200)로 인가할 수 있도록 데이터(영상, 기상 데이터)를 결합한다.
통신실(200)로 결합된 데이터가 광링크를 통해 영상분배기(220)로 인가되고, 영상분배기(220)에서는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분할하여 중앙데이터처리부(210)로 인가한다.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가 인가된 중앙데이터처리부(210)에서는 먼저 데이터에 대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운영실(300)에서 모니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2데이터컨버터(260)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분배기(220)에서는 영상데이터를 분할하여 중앙데이터처리부(210)로 인가할 시에 영상데이터를 비디오서버(230)에 인가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제2데이터컨버터(260)를 통해 특정 신호로 변화되어 인가되는 데이터를 운영실(300)로 인가하고, 운영실(300)에서는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출력하여 관할 지역, 광역 지역 재해지역으로 선포되었던 곳의 상황을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통신실(200)로 인가되는 모든 데이터(영상데이터+기상데이터 및 현재, 과거데이터)는 통합관리서버(27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운영실(300)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영실(300)에서 과거의 영상데이터 또는 현재 영상데이터를 보기 위해서 중앙데이터처리부(210)로 신호를 인가하고, 중앙데이터처리부(210)에서는 허브(240)를 통해 비디오서버(230)로 신호를 인가한다.
비디오서버(230)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현재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허브(240)를 통해 영상표시기(250)에서 영상출력에 대한 제어를 행한 후 운영실(300)로 인가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과거의 기상데이터에 대하여 운영실(300)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데이터처리부(210)로 신호를 인가하면, 중앙데이터처리부(210)에서는 다시 통합관리서버(270)로 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운영실(300)로 인가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기간 또는 시간, 월, 년, 동절기, 하절기, 계절별 다양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운영실(300)은 관할 운영실, 광역 운영실, 통신센터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며,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한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과거에 발생하였던 전력설비, 천재지변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운영실(300)에서는 매년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좀더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실(300)에서 통신실(200)로 카메라(111) 조정신호를 인가하면, 광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특정 지역의 데이터처리부(121)에 신호가 인가된다.
데이터처리부(121)로 인가된 신호는 제1데이터컨버터(122)에 의해 특정 신호로 변화되고, 변화된 신호는 데이터써지(123)에 의해 보호되면서 카메라리시버(112)에 인가되어 카메라(111)의 방향을 조정하여 산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므로 산불, 산사태, 홍수, 낙석에 의한 사고를 미연(未然)에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111)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데이터와 기상정보수집반(124)을 통해 인가되는 기상 데이터를 통해 종합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불, 지진, 산사태, 홍수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데이터와 현재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천재지변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천재지변(산불, 홍수, 산사태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에서는 기상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남에 따라 기상악화로 발생할 수 있는 카메라부(110), 데이터부(120), 전원부(127)를 영상써지(113), 데이터써지(123), 전원써지(127e)를 통해 낙뢰로부터 보호한다.
낙뢰가 발생하였을 시에 영상써지(113), 데이터써지(123), 전원써지(127e)는 낙뢰가 땅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로를 변화하고, 변화된 회로에 의해 낙뢰가 땅으로 흐른 후에는 초기 상태로 세팅되어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계속하여 통신실(20)로 인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의 효과는 영상데이터,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하여 과거 산불이 발생한 때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전력설비, 천재지변이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대하여 집중 관리하므로 산불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으므로 산불이 발화되었을 시에 발화지점과 그 지점의 기상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하므로 산불이 발화된 지역의 초등 진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산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재 또는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산불, 조난,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사고를 미리 파악하므로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산불을 감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 감시탑이며, 이러한 감시탑을 설치하기 위한 인력과 경비의 지출이 매우 많으나, 본 발명은 설치되어 있는 송전철탑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감시탑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감시장치의 설비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산, 들 마을 근처 등에 설치된 송전철탑에 감시장치를 설치할 시에 메인 감시장치와 보조감시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그에 따라 인가되는 데이터 혼용하여 사용하므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감시장치와 보조 감시장치에서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더욱 면밀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카메라에 의한 영상만을 보고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에 대하여 예측하는 문제점을 데이터에 의해 더욱 세밀하게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천재지변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송전철탑에 설치된 기상정보수집반에 의한 기상정보와 카메라를 통한 천재지변(산불감시, 조난, 산사태, 홍수 등)을 감지하는 감시부와, 감시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 판단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실과, 통신실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불 발생 예상지역, 산불 발생 지역을 확인하는 운영실로 이루어지는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운영실(300)로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121)와;
    데이터처리부(12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제1데이터컨버터(122)와;
    신호 흐름의 보호와 카메라부(110), 데이터부(120)의 기기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데이터써지부(123)와;
    기기의 교체, 수리, 전압레벨 조정시 현장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기(126)와;
    상용전원 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127)와;
    함체(100a)의 문이 오픈 되었는지 감지하는 문감지기(1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원제어부(127)는 상용전원 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7a)와,
    전원공급부(127a)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원활한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축전기제어기(127b)와;
    축전기제어기(127b)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필요 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127c)와;
    축전기제어기(127b)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127d)
    인버터(127d)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 및 전원부의 각각의 기기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전원써지(127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KR1020050069002A 2005-07-28 2005-07-28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KR10074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002A KR100740283B1 (ko) 2005-07-28 2005-07-28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002A KR100740283B1 (ko) 2005-07-28 2005-07-28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396A KR20070014396A (ko) 2007-02-01
KR100740283B1 true KR100740283B1 (ko) 2007-07-18

Family

ID=3808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002A KR100740283B1 (ko) 2005-07-28 2005-07-28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000A (ko) 2022-07-24 2024-01-31 김택용 송전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송전탑과 연결 구성되어 송전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송전선로 및 이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7460B2 (ja) * 2008-03-04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保護制御装置
KR101018418B1 (ko) * 2008-10-21 2011-02-28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1856B1 (ko) * 2014-08-26 2016-01-11 (주)테크맥스텔레콤 산불 감시 카메라
KR101884268B1 (ko) * 2017-02-17 2018-08-01 타이아(주)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송전철탑 지진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466A (ja) 1999-12-27 2001-07-06 Railway Technical Res Inst 自然災害発生検出装置及び自然災害発生検出方法
KR100383899B1 (ko) 2000-05-22 2003-05-16 주식회사 에스알테크 산불 예방장치
KR100390600B1 (ko) 2000-09-26 2003-07-16 동영정보통신 주식회사 산불 감시 및 위치추적 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0326297Y1 (ko) 2003-05-16 2003-09-17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송전설비의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466A (ja) 1999-12-27 2001-07-06 Railway Technical Res Inst 自然災害発生検出装置及び自然災害発生検出方法
KR100383899B1 (ko) 2000-05-22 2003-05-16 주식회사 에스알테크 산불 예방장치
KR100390600B1 (ko) 2000-09-26 2003-07-16 동영정보통신 주식회사 산불 감시 및 위치추적 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0326297Y1 (ko) 2003-05-16 2003-09-17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송전설비의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000A (ko) 2022-07-24 2024-01-31 김택용 송전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송전탑과 연결 구성되어 송전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송전선로 및 이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396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7675B (zh) 基于泛在电力物联网的电缆通道边缘物联终端及方法
KR102008472B1 (ko)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CN107749142A (zh) 一种输电线路防山火预警系统及其预警方法
CN114724337B (zh) 基于光伏电池供电的远程智能监测预警系统及方法
KR100740283B1 (ko)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CN106022610A (zh) 一种电力系统防台抗台监控应急方法
KR102257375B1 (ko) 지능형 안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접속반
CN108205862A (zh) 输电线路山火防护系统
CN203323790U (zh) 传感器采集控制系统
CN116151802B (zh) 一种水利电力工程施工与设备运维的综合管控系统
CN207409918U (zh) 一种输电线路的智能巡检装置
CN115542074A (zh) 一种高压输电线路故障预警方法
KR20100021319A (ko) 태양광 발전 트랙커 시스템
CN104346888A (zh) 一种物联网技术反恐综合安保云服务平台及其安装方法
KR20210115432A (ko)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397051U (zh) 一种智能配电网综合辅助系统
KR101248936B1 (ko) 열화정도를 고려한 교량 재난관리시스템
CN104902223A (zh) 电力线路的故障监控系统
CN110211339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慧型防灾预警监控系统和方法
KR100719505B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101000553B1 (ko) 지역적 강우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강우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급경사지 재해예보방법
CN210324484U (zh) 一种窨井盖监控系统
KR200411295Y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CN115766776A (zh) 一种实现电力通道实时状态监测的方法及边缘物联终端
KR102368737B1 (ko)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