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042B1 -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042B1
KR100740042B1 KR1020057025238A KR20057025238A KR100740042B1 KR 100740042 B1 KR100740042 B1 KR 100740042B1 KR 1020057025238 A KR1020057025238 A KR 1020057025238A KR 20057025238 A KR20057025238 A KR 20057025238A KR 100740042 B1 KR100740042 B1 KR 10074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accelerator
gas
self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062A (ko
Inventor
마이클 이 켈리
앤소니 제이 커티스
마이클 에프 멀빌
데니스 에이 트레빌리안
케빈 피츠제럴드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3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4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for producing gas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Industrial Gases (AREA)

Abstract

2단계 인플레이터(10)는 저온 가스 발생제가 용융되기 전에 자기점화 재료를 자기점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저온 가스 발생제는 산화제로서 질산 암모늄을 갖는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 연료를 구비한다. 2단계 인플레이터는 별도의 점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제 1 가스 발생제(42) 및 제 2 가스 발생제(49)를 구비한다. 불꽃 테스트 중에 하우징(11)으로부터 제 1 가스 발생제(42) 및 제 2 가스 발생제(49)로의 열전달을 지연시키기 위해 제 1 가스 발생제(42) 및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으로부터 절연된다. 2단계 인플레이터(10)는 또한 제 1 가스 발생제(42)가 소정 시간 동안 연소한 후 제 1 가스 발생제(42)에 의해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처리하기 위한 자기점화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플레이터{INFLATOR WITH LOW MELTING TEMPERATURE GAS GENERANTS}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사이즈 및/또는 위치뿐 아니라 충돌 정도에 기초하여 팽창 가스 출력을 조정할 수 있는 2단계 에어백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시에 차량 탑승자가 부상당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차에는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차량 탑승자의 감속을 제어 감소시켜 차량의 딱딱한 표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탑승자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인플레이터는 화약 재료의 연소(화약 인플레이터)를 통해서, 저장된 가스의 방출(저온 가스 인플레이터)을 통해서, 또는 그 조합(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을 통해서 에어백에 팽창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화약 인플레이터(pyrotechnic inflator)는 점화기, (추진제로도 알려진) 촉진제(enhancer), 및 가스 발생제를 포함한다. 충돌 중에 점화기가 발화되고, 이는 촉진제를 점화시키며, 이는 이어서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킨다. 가스 발생제의 연소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기체상 연소물을 생성한다. 2단계 화약 인플레이터는 두 개의 연소실을 구비한다. 2단계 인플레이터는 통상 두 연소실의 각 각에서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두 개의 점화기를 구비한다. 2단계 인플레이터의 장점은 그 고객맞춤 능력이다. 2단계 인플레이터에 대한 발화 시나리오에는 1단계만의 발화, 1단계 발화후 지연된 2단계 발화, 및 1단계와 2단계의 동시 발화와 같은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화약 인플레이터에 사용되는 가스 발생제는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물이다.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는 기체상 연소물을 생성한다.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공융물(eutectics) 또는 연료/산화제 혼합물의 용융 온도가 낮다는 것이다.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의 저온 특성은 인플레이터를 선적하기 위한 조절 권한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 내의 자기점화 재료가 외부 가열(즉, 불꽃 테스트)에 의해 유도될 때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거나, 다시 말하면 파괴되지 않아야 한다. 자기점화 재료는, 가스 발생제가 분해, 자기점화 또는 용융과 같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겪기 전의 온도에서 자발적으로 연소 또는 자기점화하는 화약 혼합물이다. 자기점화 재료가 적절히 기능하려면, 자기점화 재료는 가스 발생제에 있어서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를 초래할 온도 아래에서 자발적으로 점화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자기점화 재료는 13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자발적으로 점화될 필요가 있다. 가스 발생제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겪은 후 자기점화 재료가 점화되면, 가스 발생제의 탄도 특성은 예측할 수 없어지고 인플레이터의 구조적 강성이 손상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질산 암모늄은 가스 발생제에 대해 매우 바람직한 산화제인 데, 그 이유는 이 산화제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기체상 연소물로 전환되는 속도가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질산 암모늄은 대략 169℃에서 용융하며, 산화제에 연료를 첨가하면 융점이 낮은 공융물이 될 수 있다. 연료가 니트로구아니딘 또는 질산 구아니딘이면, 결과적인 공융물(연료 및 산화제)은 대략 135℃의 융점을 갖는다. 연료가 5-아미노 테트라졸이면, 공융물은 115℃ 정도로 낮은 융점을 갖는다. 따라서, 질산 암모늄 및 니트로구아니딘 또는 질산 구아니딘을 갖는 가스 발생제는 자기점화 재료에 대해 낮은 자기점화 온도 한계, 130℃에 극히 근접한 융점을 갖는다. 자기점화 재료가 가스 발생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자기점화 재료는 가스 발생제가 용융되기 전에 점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기점화 재료가 점화하기 전에 질산암모늄 가스 발생제의 잠재적 용융을 극복하는 인플레이터를 설계하려는 요망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2단계 인플레이터는 저온 가스 발생제가 용융되기 전에 자기점화 재료를 점화시킨다. 2단계 인플레이터는 차량 충돌 중에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제 1 가스 발생제 및 제 2 가스 발생제를 함유한다. 제 1 가스 발생제와 제 2 가스 발생제의 연소는 에어백을 팽창하기 위해 인플레이터로부터 접힌 에어백으로 유동하는 기체상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제 1 가스 발생제와 제 2 가스 발생제는 하우징,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 1 단부 캡은 일 단부에서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 2 단부 캡은 타 단부에서 하우징에 고정된다. 제 1 가스 발생제는 제 1 단부 캡, 제 2 단부 캡, 또는 하우징과 직접 접촉되지 않 는다. 또한 제 2 가스 발생제는 제 1 단부 캡, 제 2 단부 캡, 또는 하우징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제 1 자기점화 재료는 제 1 점화기와 밀착하여 접촉하며, 제 1 점화기의 발화는 제 1 자기점화 재료를 점화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자기점화 재료는 제 2 점화기와 밀착하여 접촉하며, 제 2 점화기의 발화는 제 2 자기점화 재료를 점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계 인플레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플레이터의 2-2를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계 인플레이터의 분해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차량 에어백에 대해 복수의 팽창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2단계 인플레이터(10)이다. 상기 인플레이터(10)는 세장형 하우징(11)을 갖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1)의 일 단부에는 제 1 단부 캡(12)이 연결되고 하우징(11)의 타 단부에는 제 2 단부 캡(13)이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1)과 단부 캡(12, 13)은 스틸, 저탄소강, 알루미늄, 금속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단부 캡은 용접에 의해 하우징(11)과 연결된다. 하우징(11)은 그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구 포트(14)를 갖는다.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 가스는 출구 포트(14)를 통해서 인플레이터(10)를 빠져나가서 접힌 에어백(도시되지 않음)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 포트(14)는, 팽창 가스가 인플레이터(10)를 빠져나갈 때 인플레이터(10)가 드러스트 중립에 있도록 배치된다. 출구 포트(14)의 개수 및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출구 포트(14)는 파열 포일(burst foil) 테이프(70)에 의해 커버된다. 제 1 가스 발생제 및 제 2 가스 발생제의 연소는 팽창 가스를 생성하며, 이는 2단계 인플레이터(1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압력이 소정 레벨에 도달한 후, 파열 포일 테이프(70)가 파열됨으로써 팽창 가스가 2단계 인플레이터를 빠져나가기 위한 통로를 생성한다. 각각의 출구 포트에 대한 파열 포일 테이프(70)는 상이한 내부 압력에서 파열되도록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2단계 인플레이터(10)의 대향 단부에는 제 1 점화기(20) 및 제 2 점화기(24)가 장착된다. 제 1 점화기(20)와 제 2 점화기(24)는 동일한 물리적 성분을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제 1 점화기(20)는 그 내부에 장전되는 점화 재료의 양에 있어서 제 2 점화기(24)와 상이할 수 있다. 제 1 점화기는 전선의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전도 전극(23)을 갖는다. 상기 전선은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위한 도관이다. 전자 제어 유닛은 충돌 센서 및/또는 승객 위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점화기의 전극(23)들은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전극으로 전기 신호가 직접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격리되어 있다. 통상, 전기 점화기에서, 전극(23)들은 높은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와이어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브릿지 와이어는 점화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 층에 매립된다. 전기 점화기에 사용되는 점화 재료의 공지된 예로는 과염소산 지르코늄 칼륨이다. 브릿지 와이어와 연관된 높은 저항값으로 인해, 전류가 브릿지 와이어를 따라서 통과할 때, 열이 발생되어 점화 재료를 점화시킨다. 전술했듯이, 제 1 점화기(20)는 점화 재료 장전량을 제외하고는 제 2 점화기(24)와 동일하다. 제 1 점화기(20)는 제 1 연소실(50)내의 제 1 가스 발생제(42)를 점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제 2 점화기(24)는 제 2 연소실(65)내의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점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연소실(50)내의 제 1 가스 발생제(42) 양은 제 2 연소실(65)내의 제 2 가스 발생제(49)의 양보다 많으며, 따라서 제 1 점화기(20)의 점화 재료 장전량은 제 2 점화기(24)보다 많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1 점화기(20) 및 제 2 점화기(24)에서의 점화 재료 장전량이 동일할 수도 있다.
제 1 점화기(20)의 발화는 제 1 자기점화 재료(25)를 점화시킨다. 대안적으로, 제 1 자기점화 재료(25)는 또한 그 자기점화 온도 이상의 온도에 도달할 때 점화된다. 제 1 자기점화 재료(25)는 연소시에 고온 연소 기체상 생성물을 생성하는 화약 혼합물이다. 제 1 자기점화 재료(25)의 연소는 제 1 파열 포일(37)을 파열하며, 제 1 촉진제(35)의 연소를 개시한다. 에어백 인플레이터 내에서 자기점화 재료는,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고온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사용된다. 가스 발생제의 용융 또는 변형은 고온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스 발생제의 표면적이 섭동(攝動:perturbation)된다. 가스 발생제의 표면적의 섭동은 비제어식 또는 비한정식 연소를 초래할 수 있다. 가스 발생제의 비제어식 연소는 인플레이터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내부 압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에서 자기점화 재료는 높은 온도가 가스 발생제의 탄도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자기점화 재료(25)는 제 1 실린더(28) 내에 수용되며, 제 1 점화기(20)와 밀착하여 접촉한다. 제 1 실린더(28)는 감압성 접착제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 1 점화기(20)에 부착된다. 제 1 실린더(28)는 두 개의 개방 단부를 갖는다. 제 1 실린더(28)의 일 단부는 제 1 점화기(20)를 향하고 다른 개방 단부는 제 1 촉진제를 향한다. 제 1 촉진제(35)를 향하는 제 1 실린더(28)의 개방 단부는 제 1 자기점화 재료(25)가 제 1 실린더(28)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립(lip)을 갖는다. 제 1 점화기 홀더(21)는 제 1 점화기(20)와 제 1 실린더(28)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제 1 점화기 홀더(21)는 용접에 의해 제 1 단부 캡(12)에 고정되지만, 나사결합과 같은 다른 고정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자기점화 재료의 연소는 제 1 촉진제(35)를 점화시킨다. 촉진제는 제 1 자기점화 재료(25)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점화시에 고온에서 신속하게 연소되는 연료 및 산화제의 혼합물로 제조된 화약 재료이다. 제 1 촉진제(35)는 제 1 가스 발생제(42)의 점화를 책임진다.
제 1 촉진제(35)는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의 리세스(38) 내에 저장된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의 바닥부(41)와 원형 벽(51)이 리세스(38)를 형성한다. 바닥부(41)와 원형 벽(51)은 일체의 개구나 구멍을 갖지 않는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는 인플레이터(10)에 고정되기 위한 환형 장착부(39)를 갖는다. 환형 장착부(39)는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의 원형 벽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11)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는 원형 벽(51)을 환형 장착부(39)에 연결하는 연결부(40)를 갖는다. 바닥부(41)의 길이는 연결부(40)의 길이의 두 배의 크기이다. 연결부(40)에는 복수의 제 1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48)이 관통하여 제공되며, 제 1 촉진제(35)의 연소에 의한 연소 가스는 제 1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48)을 통해서 제 1 연소실에 도달하여 제 1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킨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의 리세스(38)를 커버하고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 1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을 포함하는 제 1 촉진제(20)를 향하는 측도 커버하는 방식으로 제 1 파열 포일(37)이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에 부착된다. 제 1 촉진제(35)는 제 1 파열 포일(37)에 의해 커버되는 제 1 촉진제 리테이너의 리세스(38)에 유지된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에 대해 압입되는 포커서(focuser)(45)에 대해 압입된다. 포커서(45)는 제 2 단부 캡(13)을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진다. 포커서(45)는 제 1 가스 발생제(42)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한한다. 제 1 가스 발생제(42)는 제 1 연소실(50) 내에 존재한다. 제 1 연소실(50)은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 포커서(45), 필터(46)의 일부, 및 스프링(47)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47)은 제 1 가스 발생제(42)의 마모-방지 및 덜컥거림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스프링(47)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제 1 가스 발생제(42)를 제 1 단부 캡(12)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스프링(47)은 제 2 단부 캡(13)을 향한 단부에서는 나선형으로 감겨있으며, 제 1 단부 캡(12)을 향하는 단부에서는 원형으로 감겨있다. 제 1 단부 캡(12)을 향한 단부에서 스프링(47)이 원형이기 때문에, 제 1 가스 발생제(42)는 스프링(47)의 나선형 단부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가스 발생제(42)는, 점화시에 에어백 팽창용 가스를 생성하는 연료 및 산화제로 이루어진 화약 재료이다.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제 2 점화기(24)의 작동에 의해 점화된다. 제 2 점화기(24)는 제 2 점화기 홀더(22) 내에 삽입되며, 제 2 점화기 홀더(22)는 제 2 단부 캡(13)에 용접된다. 제 2 자기점화 재료(26)는 제 2 실린더(29) 내에 수용되며, 제 2 점화기(24)와 밀착하여 접촉한다. 제 2 자기점화 재료(26)는 제 2 점화기(24)의 작동에 의해 또는 상승된 외부 온도(즉, 불꽃 테스트)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제 2 자기점화 재료(26)의 연소는 제 2 촉진제(57)를 점화시킨다. 제 2 촉진제(57)는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의 관형부(tubular portion)(54)에 보유된다.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환형 고정부(56), 및 상기 관형부(54)를 상기 고정부(56)에 결합시키는 중간부(55)를 갖는다. 상기 중간부(55)에는 복수의 제 2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61)이 관통하여 제공된다. 제 2 촉진제(57)의 연소로 인한 연소 가스는 제 2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61)을 통해서 제 2 연소실(65)에 도달하여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점화시킨다.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에는 제 2 파열 포일(66)이 감압성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며, 따라서 제 2 점화기(24)에 가장 근접한 관형부(54)의 단부 및 제 2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61)이 커버된다. 제 2 촉진제 리테이너는 깔때기(funnel)(52)에 대해 압입된다. 상기 깔때기(52)는 제 1 단부 캡(12) 방향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진다. 깔때기(52)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에 대해 압입된다. 깔때기(52)의 최대 반경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과 접촉하며,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의 고정부(56)는 깔때기(52)와 접촉한다. 깔때기(52)는 곡선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깔때기(52)에 있어서 제 1 가스 발생제(42)에 보다 근접한 부분은 깔때기(52)에 있어서 하우징(11)에 대해 압입되는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에서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 또는 제 2 단부 캡(13)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 사이에는 원형 분할기(59) 및 확산기 캡(68)이 배치된다. 상기 분할기(59)에는 복수의 분할기 구멍(58)이 관통 제공되며, 확산기 캡(68)의 전체 개방 단부는 제 3 파열 포일(67)에 의해 커버된다. 제 3 파열 포일(67)은 분할기(59)에 있어서 제 1 가스 발생제(42)를 향하는 측에 부착된다. 확산기 캡(68)의 원주 주위에는 복수의 확산기 캡 개구(69)가 배치된다. 확산기 캡(68)은 그 전체에 걸쳐서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확산기 캡(68)의 개방 단부는 깔때기(52)에 부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대된다. 분할기(59)와 확산기 캡(68)은 압착(crimping)에 의해 깔때기(52)에 고정 부착된다. 스프링(47)의 나선형 부분은 확산기 캡(68) 주위에 감긴다.
인플레이터(10)는 자기점화 카트리지(27)를 구비한다. 자기점화 카트리지(27)는 제 1 가스 발생제(42)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열에 의해 점화되도록 설계된다. 열은 분할기(59)로 전달되며, 이는 열을 자기점화 카트리지(27)로 전달한다. 자기점화 카트리지(27)는 제 2 가스 발생제(49)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겪기 전에 연소되는 화약 재료를 구비한다. 자기점화 카트리지(27)의 화약 재료의 연소는 제 2 촉진제(57)를 점화하며, 이는 다시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점화한다. 따라서, 제 2 가스 발생제(49)는 다중 기구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첫째로,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자기점화 카트리지(27)의 점화에 의해 점화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 가스 발생제(42)의 연소에 의해 촉발된다. 둘째로,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전기 신호에 의해 제 2 점화기(24)의 작동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셋째로,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인플레이터(10)의 외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함에 의해 촉발되는 제 2 자기점화 재료(26)의 점화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자기점화 카트리지(27)는 인플레이터(70) 내에서 제 2 가스 발생제(49)의 적절한 처리를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안전 특징이다. 자기점화 카트리지(27)는 제 2 가스 발생제(49)가 용융되기 전에 제 2 촉진제(57)를 점화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그 탄도 특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 2 연소실(65)은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 깔때기(52), 및 분할기(59)에 의해 둘러싸이는 인플레이터(10)의 구역이다.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제 2 연소실(65) 내의 공간을 차지한다. 제 2 가스 발생제(49)의 마모-방지 및 덜컥거림 방지를 위해 제 2 연소실(65) 내에는 세라믹 피스(60)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10)에서, 인플레이터(10) 내에는,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의 연소로 인해 발생된 고온 가스를 여과 및 냉각시키기 위해 필터(46)가 구비된다. 필터(46)는 도 2에 도시하듯이 포커서(45)의 곡선부로부터 깔때기(52)의 곡선부로 연장된다. 필터(46)는 제 1 연소실(50)의 형성에 기여하며, 따라서 제 1 가스 발생제(42)의 일부가 필터(46)와 접촉한다. 필터(46)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필터(46)가 출구 포트(14)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팽창 가스에 의한 필터(46)의 제한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1)의 내표면과 필터(46) 사이에는 플레넘(plenum: 공간) 또는 에어갭이 존재한다. 에어갭을 제공함으로써,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의 연소로 인해 생성된 연소 가스는 필터(46)를 통해서 에어갭 내로 이어서 출구 포트(14)를 통과한다. 플레넘은, 팽창 가스가 인플레이터(10)를 이탈하는 동안 출구 포트(14)가 필터(46)로부터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와준다. 필터(46)는 고온 연소 기체상 생성물을 냉각하기 위한 열 싱크(heat sink)로서 작용하고, 슬래그 또는 고체 입자를 캐치한다.
2단계 인플레이터(10)는 제 1 자기점화 재료(25), 제 2 자기점화 재료(26), 및 자기점화 카트리지(27)를 사용한다. 제 1 자기점화 재료(25) 및 제 2 자기점화 재료(26)는 자기점화 카트리지(27)에서 발견되는 자기점화 조성물과 동일한 자기점화 조성물일 수 있다. 산업상 공지된 자기점화 조성물은 니트로셀룰로스이며, 이는 대략 185℃의 온도에서 자기점화된다. 이 자기점화 재료는 여러가지 상이한 가스 발생제용으로 적합하지만, 니트로셀룰로스는 일반적으로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는 산화제로서 질산 암모늄과 연료를 함유하는 가스 발생제를 지칭한다. 연료로서 니트로구아니딘 또는 질산 구아니딘을 갖는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는 대략 135℃에서 공융물(연료 및 산화제) 융점을 갖는다.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가 용융되기 전에 자기점화를 점화시키기 위해서, 니트로셀룰로스보다 낮은 자기점화 온도를 갖는 자기점화 조성물은 가스 선택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기점화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 6,645,326 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인용된 특허원에서의 바람직한 자기점화 조성물은 니트로구아니딘, 황화안티몬 Ⅲ, 및 질산은 I를 포함한다.
제 1 촉진제(35)와 제 2 촉진제(57)는 동일한 화약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촉진제(35) 및 제 2 촉진제(57)용 연료는 테트라졸, 트리아졸, 니트로구아니딘, 질산 구아니딘 등과 같은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 화합물이다. 제 1 촉진제(35) 및 제 2 촉진제(57)용 산화제는 이하의 것들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산화 금속, 질산 금속, 염소산 금속, 과염소산 금속, 질산 암모늄 등. 제 1 촉진제(35)와 제 2 촉진제(57)의 목적은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57) 각각을 신속하게 점화시키는 것이다. 제 1 촉진제(35)와 제 2 촉진제(57)는 통상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보다 높은 온도에서 연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이다.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용 연료는 테트라졸, 아미노 테트라졸, 트리아졸, 니트로구아니딘 등과 같은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산화제는 질산 암모늄이다. 본 발명은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와 유사한 용융 특성을 갖는 다른 가스 발생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제 2 가스 발생제(49)는 제 1 단부 캡(12), 제 2 단부 캡(13), 및 하우징(11)과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 포커서(45), 깔때기(52), 및 필터(46)는 제 1 단부 캡(12), 제 2 단부 캡(13), 및 하우징(11)에 의해 제 1 가스 발생제(42) 및 제 2 가스 발생제(49)로부터 최소 간격을 유지한다. 최소 간격의 이유는 불꽃 테스트 중에 하우징(11) 및 단부 캡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가스 발생제(42, 49)로의 열 전달을 지연시키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산업상 자기점화 재료는 130℃ 이상의 온도에서 자발적으로 점화될 필요가 있다. 니트로구아니딘 또는 질산 구아니딘을 갖는 질산 암모늄 가스 발생제는 제 1 및 제 2 자기점화 재료의 자기점화 온도와 매우 유사한 대략 135℃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가스 발생제(42, 49)는 제 1 및 제 2 자기점화 재료의 자기점화 이전에 용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절연 또는 격리될 필요가 있다. 최소 간격으로 인해, 불꽃 테스트 중에 인플레이터(10)의 외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자기점화 재료는 제 1 가스 발생제(42) 및 제 2 가스 발생제(49)가 용융되기 전에 점화된다.

Claims (9)

  1.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
    일 단부에서 제 1 단부 캡(12)에 의해 연결되고 대향 단부에서 제 2 단부 캡(13)에 의해 연결되는 하우징(11)과,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될 때 연소되는 점화 재료를 갖는 제 1 점화기(20)와,
    상기 제 1 점화기(20)와 밀착하여 접촉됨으로써 제 1 점화기(20)의 점화 재료의 연소로부터 점화되는 제 1 자기점화 재료(25)와,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가스 발생제(42)와,
    상기 제 1 가스 발생제(42)를 점화시키기 위한 제 1 촉진제(3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기점화 재료(25)의 연소는 제 1 촉진제(35)를 점화시키고 제 1 가스 발생제(42)를 연소시키며,
    상기 제 1 촉진제(35) 및 상기 제 1 가스 발생제(42)는 제 1 단부 캡(12), 제 2 단부 캡(13), 및 하우징(11)과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촉진제(35)를 보유하기 위한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촉진제 리테이너(36)는 제 1 단부 캡(12)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형 장착부(39)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39)에는 원형 벽(51)이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40)는 고온 가스를 제 1 촉진제(35)로부터 제 1 가스 발생제(42)로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 1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점화기(24) 및 제 2 자기점화 재료(26)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점화기(24)의 연소는 상기 제 2 자기점화 재료(26)를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촉진제(57) 및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자기점화 재료(26)의 연소는 상기 제 2 촉진제(57)를 점화시키고, 상기 제 2 촉진제(57)의 연소는 상기 제 2 가스 발생제(49)를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촉진제(57)를 수용하기 위한 관형부(54)를 포함하는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는 제 2 단부 캡(13)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형 고정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촉진제 리테이너(53)는 환형 고정부(56)를 관형부(54)와 연결시키는 중간부(55)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55)는 고온 가스를 제 2 촉진제(57)로부터 제 2 가스 발생제(49)에 도달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촉진제 리테이너 구멍(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의 내표면과 접촉하는 제 1 가스 발생제(42)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포커서(4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KR1020057025238A 2003-06-30 2004-03-05 인플레이터 KR100740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08,979 US6851374B1 (en) 2003-06-30 2003-06-30 Dual stage inflator for low melting gas generants
US10/608,979 2003-06-30
PCT/US2004/006590 WO2005009793A2 (en) 2003-06-30 2004-03-05 Inflator with low melting temperature gas gener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062A KR20060030062A (ko) 2006-04-07
KR100740042B1 true KR100740042B1 (ko) 2007-07-16

Family

ID=3406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238A KR100740042B1 (ko) 2003-06-30 2004-03-05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1374B1 (ko)
EP (1) EP1638907B1 (ko)
KR (1) KR100740042B1 (ko)
CN (1) CN100354238C (ko)
AT (1) ATE430118T1 (ko)
DE (1) DE602004020891D1 (ko)
WO (1) WO20050097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19898U1 (de) * 2002-12-23 2003-04-30 Trw Airbag Sys Gmbh Gasgenerator
US20060011495A1 (en) * 2004-06-28 2006-01-19 Brian Hood Pyrotechnic safety device and method of use
US7520530B2 (en) * 2004-12-20 2009-04-2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20060220363A1 (en) * 2005-03-31 2006-10-05 Blackburn Jeffery S Gas generating system with autoignition device
US7712778B2 (en) * 2007-10-29 2010-05-11 Autoliv Asp, Inc. Dual stage cylindrical inflator with outside to inside axial flow
US7980590B2 (en) * 2008-03-19 2011-07-19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having web-mounted infl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7665761B1 (en) 2008-03-27 2010-02-23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FR2933350B1 (fr) * 2008-07-04 2010-08-13 Livbag Generateur de gaz, a gaz reactifs
DE102009052565A1 (de) * 2009-11-10 2011-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roit Airbagmodul für ein Fahrzeug
US9321426B1 (en) * 2010-04-28 2016-04-26 Tk Holdings, Inc. Container for gas generant
DE102011012773B4 (de) 2011-03-01 2024-03-07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mit Frühzündmittel
US8469397B2 (en) 2011-04-13 2013-06-25 Amsafe, Inc. Stitch patterns for restraint-mounted airba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439398B2 (en) 2011-07-29 2013-05-14 Amsafe, Inc. Inflator connector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11866B2 (en) 2012-03-19 2016-12-06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352839B2 (en) 2014-10-02 2016-05-31 Amsafe, Inc.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428308A (zh) 2015-04-11 2017-12-01 Am-安全公司 主动气囊排气系统
CN105272791B (zh) * 2015-10-16 2018-04-13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过氧化氢催化分解的便携式高压气源装置
CN105218286B (zh) * 2015-10-16 2018-04-13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过氧化氢催化分解的便携式压缩气体生成装置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953842B2 (en) * 2016-04-18 2021-03-23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Gas generator
DE112017006655T5 (de) * 2016-12-28 2019-11-28 Key Safety Systems, Inc. Aufblasvorrichtung
CN112121341B (zh) * 2020-09-24 2022-08-30 哲弗智能系统(上海)有限公司 灭火系统的参数的计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973A (en) 1996-12-04 1998-08-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674A (en) * 1990-04-05 1991-06-11 Bendix Atlantic Inflator Company Dual pyrotechnic hybrid inflator
US5351988A (en) * 1990-11-27 1994-10-04 Alliedsignal Inc. Hybrid inflator with staged inflation capability
ES2158149T3 (es) * 1994-12-12 2001-09-01 Atlantic Res Corp Inflador hibrido.
US5462307A (en) * 1994-12-27 1995-10-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pplemental inflation restraint inflator
US5851027A (en) * 1996-09-09 1998-12-22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Variable output driver side hybrid inflator
DE19726296A1 (de) * 1997-06-20 1998-12-24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mit Kühlvorrichtung
DE29821232U1 (de) * 1998-11-26 1999-04-01 Trw Airbag Sys Gmbh & Co Kg Gasgenerator für ein Sicherheitssystem
DE29906173U1 (de) * 1999-04-06 1999-08-12 Trw Airbag Sys Gmbh & Co Kg Gasgenerator
DE20107130U1 (de) * 2001-04-25 2001-06-21 Trw Airbag Sys Gmbh & Co Kg Gassackmodul
US6601872B2 (en) * 2001-08-16 2003-08-05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Compact multi-level inflator
US6645326B2 (en) 2002-03-25 2003-11-1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ow temperature autoignition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973A (en) 1996-12-04 1998-08-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4238C (zh) 2007-12-12
KR20060030062A (ko) 2006-04-07
EP1638907A4 (en) 2006-11-22
EP1638907B1 (en) 2009-04-29
US20050011393A1 (en) 2005-01-20
DE602004020891D1 (de) 2009-06-10
EP1638907A2 (en) 2006-03-29
US6851374B1 (en) 2005-02-08
WO2005009793A3 (en) 2005-11-10
WO2005009793A2 (en) 2005-02-03
ATE430118T1 (de) 2009-05-15
CN1795152A (zh)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042B1 (ko) 인플레이터
US4858951A (en) Igniter for gas generating material
US6983956B2 (en)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JP3968367B2 (ja) 二段式火工品技術エアバックインフレータ
EP1658204B1 (en) Pyrotechnique side impact inflator
US6805377B2 (en) Inflator
JP3992924B2 (ja) エアバッグ膨張器用の点火強化剤組成物
US6886856B2 (en) Dual stage inflator
US7192055B2 (en)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097203B2 (en) Inflator
WO2010126056A1 (ja) ガス発生器
US20070001437A1 (en) Single stage inflator
US6176950B1 (en) Ammonium nitrate and paraffinic material based gas generating propellants
US7537241B2 (en) Inflator with an auto-ignition cradle
JP2002172998A (ja) ガス発生材料点火装置
US20060220363A1 (en) Gas generating system with autoignition device
JP4633918B2 (ja) ガス発生器
JPH07195999A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JPH08133001A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JPH079935A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