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000B1 -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000B1
KR100740000B1 KR20050085851A KR20050085851A KR100740000B1 KR 100740000 B1 KR100740000 B1 KR 100740000B1 KR 20050085851 A KR20050085851 A KR 20050085851A KR 20050085851 A KR20050085851 A KR 20050085851A KR 100740000 B1 KR100740000 B1 KR 10074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terminal
serv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137A (ko
Inventor
정기중
김종식
엄봉수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8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0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0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a) 지역 정보 서버가 지역 정보를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지역 정보 생성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인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지역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에 위치 기반 지역 정보를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고,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에 새로운 지역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위치 기반, 지역 정보

Description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LOCAL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 1 단말기 200; 제 2 단말기
300; 위치 서버 400; 지역 정보 서버
410; 위치 정보 관리부 420; 폴더 관리부
430; 알림부 440; 지역 정보 제공부
442; 편집부 444; 지도 생성부
446; POI 생성부 450; 제어부
530;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 560; 메시지 서비스 서버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지역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 정보와 함께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즉, 음성통화 서비스에 부가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서비스는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보편화되면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사진 촬영을 통해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는 이미지 정보 형태로 사진을 촬영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진 정보는 직접 또는 클럽, 블로그, 미니홈피, 게시판 등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On-line Community Solution)(이하, '커뮤니티 솔루션'이라 한다)을 통해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촬영한 사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도 간편해지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솔루션이 이동 단말기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유선 인터넷을 통해서만 콘텐츠를 등록하거나 정보를 검색(retrieve)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유선 인터넷을 통해 커뮤니티 솔루션에 콘텐츠를 등록하는 방법은, 사용자 스스로 컴퓨터 등과 같은 유선 단말기에 콘텐츠를 저장한 후 상기 커뮤니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유선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불러와 커뮤니티 솔루션에 등록하는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커뮤니티 솔루션에 소정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가입자가 상기 커뮤니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커뮤니티 솔루션을 구현하기 전까지는 커뮤니티 솔루션에 새로운 정보를 등록한 사실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뮤니티 솔루션을 통해 제공된 정보, 예컨대, 사진 정보 등과 같은 경우, 상기 사진 정보를 통해 사진의 배경이 되는 지역이 어디인지, 상기 지역 내에 있는 유명 음식점은 어떤 곳이 있는지 등, 상기 사진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사진 정보를 제공받은 가입자는 지도 정보 또는 POI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알고자 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는 있으나, 이는 사진의 배경을 통한 주관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일일이 정보를 검색해야하므로 검색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획득한 정보에 대한 정확도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뮤니티 솔루션에 소정의 지역 정보를 간편하게 등록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정보와 함께 지역 정보가 생성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정보를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지역별로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커뮤니티 솔루션을 통해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편리하게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있을 경우 또는 상기 지역에 진입할 경우, 커뮤니티 솔루션에 새로운 지역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a) 지역 정보 서버가 지역 정보를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지역 정보 생성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지역 정보를 제공할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조회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터 서비스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인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 또는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상기 지역 정보가 제공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은, 지역 정보 서버를 포함하여 위치 기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역 정보 서버는 위치 서버 또는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단말기의 지역 정보 생성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인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인 제 2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는 폴더 관리부; 상기 지역 정보를 제공할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조회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조회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터 서비스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지역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 또는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되었음을 상기 제 2 단말기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위치 서버(300) 및 지역 정보 서버(400)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530) 및 메시지 서비스 서버(560) 등을 더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지역 정보 서버(400)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로써 지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지역 정보를 지역 정보 서버(400)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커뮤니티 솔루션에 상기 지역 정보를 등록한다.
한편, 상기 지역 정보는 텍스트 정보,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의 형태로써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예로는 카메라, 녹음 장치 및 텍스트 입력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뮤니티 솔루션은 클럽, 블로그, 미니홈피, 게시판 및 채팅 등의 상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1 단말기(100)는 지피에스(이하, 'GPS' 라 한다)를 구비하고 있어 위치 서버 및 GPS와 상호 연동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 대한 정보이며, 따라서 제 1 단말기(100)가 상기 지역 정보를 생성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지역 정보를 생성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위치 서버(300)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정보로 활용된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커뮤니티 솔루션과 동일한 커뮤니티 솔루션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의 단말기이며, 바람직하게는 그 중에서도 상기 제 1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이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미니홈피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제 2 단말기(200)는 상기 미니홈피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다른 가입자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지정 설정한(예컨대, 1촌 가입자) 가입자의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GPS를 구비하여 제 2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2 단말기(200)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등, 위치 서버가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기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제 2 단말기(200)는 제 2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지역에 진입하는지 등,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단말기(200)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위치 서버(3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위치 정보 생성 방법은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기술, 네트워크 기반(Network-based) 기술 및 하이브리드(Hybrid) 기술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치 서버(300)는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위치 서버(300)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응용한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제 1 단말기(100)에는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에 지역 정보를 등록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 2 단말기(200)에는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에 새로운 지역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리고, 등록된 지역 정보와 함께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지역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지역 정보 서버(4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역 정보 서버(400)는 위치 정보 관리부(410), 폴더 관리부(420), 알림부(430), 지역 정보 제공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정보 관리부(410)는 위치 서버(300) 또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서버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제 2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위치 정보 관리부(410)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폴더 관리부(420) 및 알림부(430) 등,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수단에 제공한다.
이때, 위치 정보 관리부(410)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와 함께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치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지역 정보를 수신한 후 위치 서버(300)에 제 1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더 관리부(420)는 상기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한다.
또한, 폴더 관리부(420)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먼저, 상기 지역 폴더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지역은 경기도, 충정도, 경상도 및 전라도 등, 도별로 분류하여 설정될 수 있고, 서울의 강남구, 마포구 및 서대문구 등, 일정 구별로 분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폴더 관리부의 설정에 따라 구획된 특정 구역이나 그 경계를 말한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가 명동의 특정 지점에서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 정보를 지역 정보 서버(400)로 전송하였을 경우, 지역 정보 서버(400)는 지역 정보로써 상기 사진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위치 정보로써 상기 명동의 특정 지점을 나타내는 주소 정보 등을 수신하며, 상기 명동 지역에 할당되어 있는 명동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지역 정보 서버(400)는 상기 지역 정보에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제 2 단말기(200)의 지역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지역 정보와 함께 상기 제 1 위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동일한 위치에 대하여 상기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역 폴더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을 경우에는 가장 소단위로 구획된 지역에 상응 하는 지역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림부(430)는 제 2 단말기(200)가 새로운 지역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가 저장된 지역 폴더에 상응하는 지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지역에 진입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또는 상기 지역에 진입할 경우, 상기 지역 정보가 상기 지역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알림부(430)가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위치 정보 관리부(410)서 관리하는 제 2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알림부(430)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530) 또는 메시지 서비스(Message Service) 서버(560) 등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알림 정보를 자동 응답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 등을 통해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530) 및 메시지 서비스 서버(56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역 정보 제공부(440)는 상기 제 2 단말기(200)의 지역 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상기 지역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하며, 편집부(442), 지도 생성부(444) 및 POI 생성부(446) 등을 더 포함한다.
즉, 지역 정보 제공부(440)는 온라인 게시판, 미니홈피 및 블로그 등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을 관리하며, 제 1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가입자 어떤 커뮤니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가 가입되어 있는 커뮤니티 솔루션에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편집부(442)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200)의 사양 정보에 따라 편집한다.
즉, 편집부(442)는 제 2 단말기(200)의 사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제 2 단말기(200)의 화면 크기 및 해상도 등과 같은 사양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단말기(200)에서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확인된 정보에 따라 이를 편집한다.
지도 생성부(444)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지역 폴더에 상응하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POI 생성부(446)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지도 생성부(444)에서 생성된 지도 정보를 토대로 POI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POI(Position of Interest) 정보는 상기 영역에 대한 공공기관, 학교, 백화점, 성당, 공원, 패스트푸드점, 시장, 음식점 등에 대한 시설 명칭, 주소, 대표 전화번호, 특징, 주차대수, 시설물의 특성에 다른 특징, 시설물의 사진 등의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지역 정보 제공부(440)는 POI 생성부(446)에서 생성된 POI 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530)는 알림부(430)와 연동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할 것을 알림부(430)로부터 요청받는다. 그리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알림 정보를 자동 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메시지 서비스 서버(560) 또한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530)와 마찬가지로 알림부(430)와 연동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할 알림부(430)로부터 요청받는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알림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는 유알엘(URL; U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의 지역 정보 서버 접속 정보를 제 2 단말기(200)에 더 전송함으로써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접속 정보를 통해 지역 정보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 서버(56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 메시지 전송 방식에 따른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 모두를 수용한다.
제어부(450)는 위치 정보 관리부(410), 폴더 관리부(420), 알림부(430) 및 지역 정보 제공부(440) 등 지역 정보 서버(400)에 구비된 각 수단의 기능, 수신된 정보의 흐름 및 정보의 출력 등을 제어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역 정보 서버(400)가 지역 정보를 제 1 단말 기(100)로부터 수신하고(S 310), 제 1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 또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다(S 320).
한편, 상기 지역 정보는 텍스트 정보,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의 형태로써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제 1 단말기(100)에서 생성된다.
또한, 지역 정보 서버(400)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법을 포함한다.
첫째, 상기 지역 정보 서버(400)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시간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에 상기 제 1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 대한 상기 제 1 위치 정보의 제공을 상기 위치 서버(300)에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지역 정보 서버(400)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둘째, 제 1 단말기(100)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서버(400)로 전송할 것을 위치 서버(300)에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위치 서버(3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300)로 전송한다.
셋째, 제 1 단말기(100)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치 서버(300)에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위치 서버(3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100)는 지역 정보 전송시에 이를 상기 지역 정보 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위치 서버(300)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핸드셋 기반 기술, 네트워크 기반 기술 및 하이브리드 기반 기술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한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 대응시켜 지역 폴더에 저장한다(S 330).
한편, 상기 지역 폴더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되어 있는 폴더를 말하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 폴더 관리부(4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역 정보 서버(400)에 상기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먼저, 상기 지역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역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역 정보 서버(400)가 제 2 단말기(200) 또는 상기 위치 서버(300)로부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 340). 한편, 상기 제 2 위치 정보는 제 2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이다.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한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2 위치 정보를 통해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S 350),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지역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 360).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지역에 진입하는지 계속 모니터링 한다(S 365).
또한, 바람직하게, 제 2 단말기(200)는 제 2 단말기(200)의 위치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제 2 단말기(200)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하는지 등을 판단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지역 정보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지역 정보 서버(400)가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역 정보 서버(400)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를 확인한 제 2 단말기(200)는, 새로 등록된 상기 지역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 정보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지역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요청을 수행하는지 판단하고(S 370). 제 2 단말기(200)가 상기 요청을 수행할 경우, 지역 정보 서버(400)는 제 2 단말기(200)의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지역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제 2 단말기(200)에 제공한다(S 370).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단순한 주소 정보, 상기 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POI 정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에 소정의 지역 정보를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정보와 함께 지역 정보가 생성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정보를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지역별로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을 통해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있을 경우 또는 상기 지역에 진입할 경우, 온라인 커뮤니티 솔루션에 새로운 지역 정보가 등록 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a) 지역 정보 서버가 지역 정보를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지역 정보 생성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지역 정보를 제공할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조회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터 서비스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인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 또는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상기 지역 정보가 제공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지역 정보 서버에 상기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지역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역 폴더에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텍스트 정보, 지도 정보 및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상기 제 1 단말기로 촬영한 사진 정보, 상기 제 1 단말기로 촬영한 동영상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녹음된 소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자동 응답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a-1-1)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시간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에 상기 제 1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상기 제 1 위치 정보의 제공을 상기 위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a-1-2) 상기 지역 정보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a-2-1)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서버로 전송할 것을 위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a-2-2)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서버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a-3-1)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지역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a-3-2)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서버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a-3-3)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지역 정보 전송시에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0. 삭제
  11. 지역 정보 서버를 포함하여 위치 기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역 정보 서버는
    위치 서버 또는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단말기의 지역 정보 생성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설정한 가입자의 단말기인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인 제 2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에 저장하는 폴더 관리부;
    상기 지역 정보를 제공할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가 조회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조회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터 서비스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가입자가 상기 지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지역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커뮤니티 서버 또는 상기 추출된 커뮤니티 서버에 제공되었음을 상기 제 2 단말기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관리부는
    상기 지역에 할당된 지역 폴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지역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 제공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POI 정보를 생성하는 POI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상기 제 1 단말기로 촬영한 사진 정보, 상기 제 1 단말기로 촬영한 동영상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녹음된 소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 또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자동 응답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50085851A 2005-09-14 2005-09-14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5851A KR100740000B1 (ko) 2005-09-14 2005-09-14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5851A KR100740000B1 (ko) 2005-09-14 2005-09-14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37A KR20070031137A (ko) 2007-03-19
KR100740000B1 true KR100740000B1 (ko) 2007-07-16

Family

ID=4163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5851A KR100740000B1 (ko) 2005-09-14 2005-09-14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759B1 (ko) * 2008-07-03 2012-04-13 팅크웨어(주) 일기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30133620A (ko) * 2012-05-29 2013-12-09 (주)드리밍텍 개인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475789B1 (ko) * 2010-09-19 2014-12-2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블로그 클라이언트, 마이크로블로그 메시지들을 집적하기 위한 방법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41B1 (ko) * 2007-09-07 2010-03-05 이봉호 인터넷을 통한 지리정보의 멀티미디어자료 등록, 변경 및재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660030B1 (ko) * 2013-07-12 2016-09-27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98113B1 (ko) * 2014-08-28 2021-01-04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57A (ko) * 2000-07-12 2002-01-19 유영욱 구역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5716A (ko) * 2003-11-12 2005-05-17 이중섭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57A (ko) * 2000-07-12 2002-01-19 유영욱 구역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5716A (ko) * 2003-11-12 2005-05-17 이중섭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759B1 (ko) * 2008-07-03 2012-04-13 팅크웨어(주) 일기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1475789B1 (ko) * 2010-09-19 2014-12-2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블로그 클라이언트, 마이크로블로그 메시지들을 집적하기 위한 방법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US9143469B2 (en) 2010-09-19 2015-09-2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icroblog client, method for aggregating microblog messages, and instant messaging client
KR20130133620A (ko) * 2012-05-29 2013-12-09 (주)드리밍텍 개인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989174B1 (ko) 2012-05-29 2019-06-14 드리밍텍 주식회사 개인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37A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533B2 (en) Network manager system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W408273B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inding information
JP5800958B2 (ja) 個人ウェブページでの地理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198149B (zh) 位置信息的确定方法、上传资源的管理方法及应用服务器
US20070214180A1 (en) Social network application for processing image or video data from wireless devices of us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20050064852A1 (en) Content publishing over mobile networks
US20020167522A1 (en) Image communication server and image communication method
US20080172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114171A1 (en) Position data notification system and position data notification method
KR100740000B1 (ko)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022675A1 (fr) Dispositif d’adresse de réseau de message court, système et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ervice de message court à valeur ajoutée
KR100738040B1 (ko)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의 api 제공 방법
CN101635738B (zh) 获取服务信息的方法、系统、客户端和服务器
KR100839537B1 (ko) 위치이력관리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200236655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ツール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32248A1 (en) Combined map and positioning service for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ser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090000597A (ko) 다이렉트 팬레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JP2009253504A (ja) 閲覧履歴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
JP3773705B2 (ja) 地図情報システム及び地図配信方法
KR20060030631A (ko) 공유앨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25127B1 (ko)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612684B1 (ko) Tv 방송 연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3409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1004238A (ja) 情報検索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
KR101128098B1 (ko)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