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13B1 -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13B1
KR102198113B1 KR1020140113504A KR20140113504A KR102198113B1 KR 102198113 B1 KR102198113 B1 KR 102198113B1 KR 1020140113504 A KR1020140113504 A KR 1020140113504A KR 20140113504 A KR20140113504 A KR 20140113504A KR 102198113 B1 KR102198113 B1 KR 10219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providing
local community
information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962A (ko
Inventor
이성욱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1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EPC로부터 제1 단말에 대한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고, 제1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제2 단말이 있으면,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에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는 사회적 관계 정보 내지 장소적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인맥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구축된 온라인 관계 내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특정 장소에 진입하거나, 특정 장소로부터 진출한다 하더라도 해당 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EPC로부터 제1 단말에 대한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초과해도 상기 제1 단말과의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EPC로부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미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미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위치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두 개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제1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제1 단말의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식별 정보를 토대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며,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 중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서비스 영역 이탈을 확인하는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서비스 영역 이탈을 알리는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 상기 EPC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특정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특정 메시지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초과해도 상기 EPC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 상기 EPC 또는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 상기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 또는 상기 이탈 판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서비스 영역의 이탈을 확인하면,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1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제1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제1 단말이 팔로워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 여부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망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지역 트위터를 제공할 때 팔로워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을 통해 바로 지역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코어망에 별도 부하 영향 없이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지역으로부터 진출하거나 액티비티(activity)가 특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게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어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커뮤니티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가입자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100, 100')은 EPC(Evolved Packet Core)(200),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300) 및 지역 정보를 단말(500)에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와 연결되어 있다.
EPC(200)는 임의의 단말(500)이 기지국(100, 1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때, 단말(50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후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단말의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홈 가입자 서버(300)에 전달하여 위치 등록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단말(5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단말이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절차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EPC(200)는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알린다. 여기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는 팔로워(follower)인 단말(이하, '팔로워 단말'이라 지칭함)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와, 팔로워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followee, 팔로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하, '팔로위 단말'이라 지칭함)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간 관계를 팔로워 단말과 팔로위 단말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팔로워-팔로위 관계를 맺는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관계가 맺어진 모든 단말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형태로 기재할 수도 있다.
EPC(200)는 팔로워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00, 100')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 또는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해당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났음을 알린다. 이를 통해, 홈 가입자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팔로위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여, 팔로위 단말이 팔로워 단말로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하거나, 팔로워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중단되도록 한다.
또한, EPC(200)은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부터 팔로워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단말 정보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각각의 단말(500)에 전송하며, 이 외에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EPC의 역할을 수행한다.
홈 가입자 서버(300)는 EPC(200)를 통해 전달되는 팔로워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저장된 단말 정보에 대한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홈 가입자 서버(300)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부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영역 내에 사용자가 있는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제공한다.
또한, 홈 가입자 서버(300)는 EPC(200)로부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으로부터 팔로위 단말이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홈 가입자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에서 해당 팔로위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홈 가입자 서버(300)는 이 외에도 홈 가입자 서버(300)는 사용자 등록/변경 관리, 인증, 권한 부여, 과금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100, 100')은 팔로위 단말(500)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단말이 영역 내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keep alive(연결 유지) 메시지, 또는 이동 통신 표준 규격에서 정하는 메시지(스케줄링 요청 메시지, 페이징 응답 메시지 등) 등)를 수신하지 못하면, 팔로위 단말(500)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였음을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로 제공한다.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기지국(100, 100'), EPC(200) 및 홈 가입자 서버(300)와 연동한다.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기지국(100, 100')과 연동하여 기지국(100, 100')으로부터 셀 정보와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단말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EPC(200)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EPC(200) 또는 홈 가입자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팔로워 단말의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는 단말(500)이 위치한 기지국(100, 100')으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위치 내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홈 가입자 서버(400, 400')로 요청하여 사용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들에게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기지국(100, 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팔로워 단말의 진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팔로워 단말로 제공되던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을 중단한다. 또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는 홈 가입자 서버(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 중 팔로위 단말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팔로워로 제공되던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중단한다. 그리고 팔로위 단말의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팔로위 단말로부터 지역 서비스를 제공받던 팔로워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기지국(100, 100') 또는 기지국(100, 100')과 단말(500) 사이에 설치되어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비(도면 미도시)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기지국(100, 100') 내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일반적인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중계 장비 내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경우에는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신호 중계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가 기지국(100, 100') 또는 중계 장비와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 400')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라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팔로워 단말 또는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대해서만 설명하나, 팔로워 단말이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여 위치를 등록하는 절차가 먼저 선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커뮤니티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 이탈 판단부(430),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 및 알림 메시지 전송부(450)를 포함한다.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는 홈 가입자 서버(300)로부터 팔로위 단말의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팔로위 단말은 임의의 사용자인 팔로워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특정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팔로워 단말로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는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해당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는 해당 단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위치 정보와 새로 수신한 알림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두 개의 단말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이 서비스 영역 내에 재 등록한 경우이므로 단말 정보를 유지한다.
그러나, 단말 위치 정보가 상이한 경우,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한다.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는 기지국(100, 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팔로위 단말의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는 기지국(100, 100')으로부터 팔로워 단말의 이탈 알림 메시지도 수신한다. 여기서 이탈 알림 메시지는 팔로위 단말 또는 팔로워 단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지국(100, 100')이 자체적으로 팔로위 단말 또는 팔로워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한 후 생성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 전송한 메시지에 해당한다.
이탈 판단부(430)는 EPC(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라 함은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만약 팔로위 단말에 대한 연결 유지 메시지를 EPC(200)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나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는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가 요청한 단말 정보를 EPC(200) 또는 홈 가입자 서버(300) 중 어느 한 곳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단말의 식별 정보,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영역 내에서 팔로워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팔로워 단말인 경우에는 연결되어 있는 팔로위 단말에 대한 정보, 팔로위 단말인 경우에는 연결되어 있는 팔로워 단말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 또는 이탈 판단부(430)가 각각 판단하여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가 팔로워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팔로위 단말 또는 팔로워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삭제한다.
그리고 팔로워 단말이 이탈한 경우에는, 해당 팔로워 단말과 관련된 팔로위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는 팔로위 단말과 팔로워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팔로위 단말과 팔로워 단말의 관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는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 또는 이탈 판단부(430)가 임의의 단말에 대한 이탈을 확인하면, 해당 단말이 팔로워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 여부도 확인한다.
알림 메시지 전송부(450)는 팔로위 단말이 이탈한 경우에는 해당 팔로위 단말로부터 지역 서비스를 제공받던 팔로워 단말들로 팔로위 단말의 이탈을 알린다. 또한, 팔로워 단말이 이탈한 경우에는 파로워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팔로위 단말로 팔로워 단말의 이탈을 알린다.
그리고, 다른 홈 가입자 서버(300)로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 정보의 삭제를 요청한다. 이는 다른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던 팔로위 단말이 또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여 위치 등록한 경우에 발생한다.
다음은 홈 가입자 서버(30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홈 가입자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가입자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가입자 서버(300)는 사용자 위치 등록부(310), 사용자 위치 알림부(320) 및 단말 정보 송신부(3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위치 등록부(310)는 코어망(200)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500)에 대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등록한다. 이때 등록되는 사용자는 팔로위가 될 수도 있고 팔로워가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위치 알림부(320)는 사용자 위치 등록부(310)가 단말(5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등록함과 동시에,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이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진입한 경우라면, 새로 진입한 서비스 영역 내의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뿐만 아니라, 사용자 위치 등록부(310)에 등록되어 있던 이전 서비스 영역 내의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도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는, 이전 서비스 영역의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해당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말 정보 송신부(330)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부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팔로위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위치 등록부(310)에 저장된 팔로위 단말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4와 도 5의 경우에는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6의 경우에는 팔로워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단말이 팔로위 단말인지 팔로워 단말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설명하나,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를 토대로 팔로위 단말인지 팔로워 단말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 이탈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팔로워 단말들에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S100).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EPC(200)를 통해 팔로위 단말에 대한 연결 유지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연결 유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단말들로부터 연결 유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며, 연결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팔로우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팔로위 단말에 대한 연결 유지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있다면, S100 단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팔로워 단말들에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연결 유지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있지 않다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팔로위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한다(S120).
그러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팔로위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삭제하고(S130),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는 S130 단계에서 삭제된 팔로위 단말과 연관 관계가 있는 팔로워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S140). 만약 팔로워 단말이 없다면 절차를 종료하나, 연관 관계가 있는 팔로워 단말이 있는 경우 알림 메시지 전송부(450)는 팔로워 단말들에 팔로위 단말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50).
도 4에서는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팔로위 단말의 진출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지국(100, 100')이 S110 단계와 같이 연결 유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팔로위 단말의 진출 여부를 확인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 알린 후 S13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 기지국(100, 100')은 이동통신 표준 규격에서 정한 모든 메시지(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 페이징 응답 메시지 등)가 일정 시간이 초과해도 팔로위 단말로부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팔로위 단말이 진출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팔로위 단말이 새로운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팔로위 단말의 서비스 영역 이탈을 판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EPC(200)로부터 단말의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S200),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한다(S210). 그리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해당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저장되어 있다면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
위치 정보가 동일할 경우에는 단말이 재실행 되는 등과 같이 기지국(100. 100')에 재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단말 진출에 의한 알림 메시지 제공 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나, 위치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다른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S220). 따라서,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410)는 해당 단말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로 전달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한다(S230).
그리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는 해당 팔로위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팔로워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30). 만약 팔로워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로 팔로위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240). 그러나 팔로워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진출에 의한 알림 메시지 제공 절차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기 위하여, EPC(200)는 단말이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해당 단말이 기존에 위치하였던 서비스 영역 내의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로 함께 전달한다.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단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팔로워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가 EPC(200), 홈 가입자 서버(300) 또는 기지국(100, 100')중 어느 한 곳으로부터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진출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200). 메시지 내에는 진출한 단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지역 커뮤니티 서버(400)의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42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진출한 단말이 팔로워 단말임을 확인한다(S210). 그리고 해당 팔로워 단말로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던 팔로위 단말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20). 이를 위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는 단말의 식별 정보, 해당 단말이 팔로워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팔로워 단말인 경우 연계한 팔로위 단말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관리한다.
만약 팔로위 단말이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팔로워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팔로위 단말로 팔로워 단말의 서비스 영역 진출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그러나, 팔로위 단말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팔로워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 후 절차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EPC로부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 위치한 제1 단말에 대한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은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초과해도 상기 제1 단말과의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EPC로부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 위치하여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미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 중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미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위치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두 개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받는 제2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상기 제2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인 팔로위(followee)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받는 팔로워(follower) 단말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기지국, EPC(Evolved Packet Core) 및 홈 가입자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제1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토대로 기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들 중 상기 제1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 단말이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확인하는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
    상기 EPC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특정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특정 메시지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초과해도 상기 EPC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
    상기 EPC 또는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등록 알림 수신부, 상기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부 또는 상기 이탈 판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확인하면,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단말이 팔로워 단말인지 팔로위 단말인지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제1 단말에 매핑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1 단말이 팔로워 단말이면 상기 제1 단말에 매핑된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제공 불가를 알리고,
    상기 제1 단말이 팔로워 단말이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지역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1 단말의 이탈을 알리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위치한 중계기 장비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40113504A 2014-08-28 2014-08-28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9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04A KR102198113B1 (ko) 2014-08-28 2014-08-28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04A KR102198113B1 (ko) 2014-08-28 2014-08-28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62A KR20160025962A (ko) 2016-03-09
KR102198113B1 true KR102198113B1 (ko) 2021-01-04

Family

ID=5553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504A KR102198113B1 (ko) 2014-08-28 2014-08-28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589A1 (ko) * 2020-04-02 2021-10-07 (주)픽뱅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306A (ko) * 2003-07-19 2005-01-27 텔코웨어 주식회사 위치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KR100740000B1 (ko) * 2005-09-14 2007-07-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62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515B2 (en) Method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of remote ProSe UE in network
KR102462400B1 (ko) non-3gpp를 통해 5G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registration 관리 방안
KR102215406B1 (ko) 통신망에서 디스커버리 기법
US9549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roximity-based servic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96051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EP29834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US1123381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d device discovering another end device
AU2015374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local services and applications to multi-agency responders
US9955334B2 (en) Method of performing proximity discovery for network entity and user equipment
KR101996580B1 (ko) 스몰 셀 및 스몰 셀 가입자 관리 방법
US99365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ximity discovery among UEs
JP5661518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サービス推薦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98113B1 (ko)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08067B1 (ko) 영역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4078894A (ja)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基地局、通信機器、及び通信路制御方法
US20170251345A1 (en) Warning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mme, cbc and base station
KR101825738B1 (ko) 신호 측정 장치,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US1025070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notifying authorization update
KR101990584B1 (ko) Ptt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실시간 업데이트 방법
KR102182421B1 (ko) 단말간 상호 근접을 통한 직접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660030B1 (ko)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84215B1 (ko)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5207A (ko) 기업 전용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푸시 기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