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70B1 -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70B1
KR100739470B1 KR1020060053468A KR20060053468A KR100739470B1 KR 100739470 B1 KR100739470 B1 KR 100739470B1 KR 1020060053468 A KR1020060053468 A KR 1020060053468A KR 20060053468 A KR20060053468 A KR 20060053468A KR 100739470 B1 KR100739470 B1 KR 10073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oe
outsole
midsole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순
Original Assignee
임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순 filed Critical 임희순
Priority to KR102006005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신발의 겉창과 열가소성 스폰지로 만든 중창을 구비하며 신발의 겉창과 중창을 접합하는 접착제는 용해성접착제를 사용하되 중창의 일부에 전도성실을 신발의 겉창과 연결시켜 신발창의 접지면과 열융해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창을 조밀하게 접착하는 방전구조를 갖춘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실타래, 신발, 정전기, 방전

Description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SHOES PROTECTING STATIC 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은 정전기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신발의 겉창과 열가소성 스폰지로 만든 중창을 구비하며 신발의 겉창과 중창을 접합하는 접착제는 용해성접착제를 사용하되 중창의 일부에 전도성실을 신발의 겉창과 연결시켜 신발창의 접지면과 열융해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창을 조밀하게 접착하는 방전구조를 갖춘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의 고도화에 따라 보다 많은 전자기기들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생활주변의 많은 전자기기들은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방출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에 순간적인 물체의 마찰로 인하여 강한 정전기 및 전하의 충전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자동차, 공기 청정기, 복사기, 컴퓨터 등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전하가 충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상기 장치들의 전자회로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전기 및 전자파는 폭발, 화재, 전기충격, 제품의 손상과 파괴 또는 각종 정밀기기의 오작동 등을 유발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정전기 및 전자파의 제거 또는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전기 방지용 장치나 전자파 차폐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신발에 이러한 장치를 도입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신발의 바닥에 금속편을 삽입하고 이를 지면에 접지시키는 방식의 신발이 제안되었으나 금속편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신발바닥을 딱딱하게 하여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및 보행시에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금속편을 신발바닥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작이 복잡해지거나, 신발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신발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제조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은(Ag)으로 제조된 은사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신발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가격이 고가가 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어진 다른 방식으로 신발의 밑창을 형성하는 고무에 전도성이 좋은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전도성을 띄게 하는 방법과 액상의 전도성 약품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나, 이 또한 제전화 신발창은 전도성 카본이 함유된 고무 또는 PVC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신발창의
색깔이 검은 관계로 바닥판과 신발창의 마찰로 인하여 바닥판에는 검은 색깔이 묻어나면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신발창에 배합되는 전도성 카본을 줄이는 경우는 목적하는 제전화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접착제가 전도성 접착제가 아닌 경우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전도성 접착제 역시 카본블랙을 다량 함유해야 하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전화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작업이 가급적 활동량이 적은 분야에서만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신발의 겉창과 열가소성 스폰지로 만든 중창을 구비하며 신발의 겉창과 중창을 접합하는 접착제는 용해성접착제를 사용하되 중창의 일부에 전도성실을 신발의 겉창과 연결시켜 신발창의 접지면과 열융해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창을 조밀하게 접착하는 방전구조를 갖춘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카본블랙)이 함유되어 있는 신발 겉창과, 착용자의 몸에 접하며 착용자의 몸에 흐르는 전자들을 취합하여 상기 신발 겉창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창, 및 일정치의 쿠션을 가지며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간의 전기를 도통시키는 중창을 구비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일정량의 쿠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며 열가소성 비전도성 재질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 상면에 분포하며 열가소성 전도성 재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 단자; 및 상기 스펀지를 관통하며 일단은 상기 스펀지 단자에 접하고 다른 일단은 소정의 길이만큼 노출되어 상기 신발 겉창에 방사형으로 분산되어 접하며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성 실타래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신발 겉창과 중창간의 접합은 열 용해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카본블랙)이 함유되어 있는 신발 겉창과, 착용자의 몸에 접하며 착용자의 몸에 흐르는 전자들을 취합하여 상기 신발 겉창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창, 및 일정치의 쿠션을 가지며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간의 전기를 도통시키는 중창을 구비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에서 상기 신발 겉창과 중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재질의 겉창의 상측 접착면에 열 용해성 접착제를 전면에 처리하는 제 1과정과; 중창을 구성하는 스펀지에 전도성 실타래를 관통 삽입시키는 제 2과정과; 상기 제1 과정과 제 2과정을 통해 형성된 구성물을 밀결합시키되 접합면에 노출되어진 전도성 실타래가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제 3과정과; 상지 제 3과정 후 상기 전도성 실타래가 관통한 상기 중 창의 상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열 용해성 접착제가 처리된 전도성 스폰지를 안착시키되 안착면에 노출되어진 전도성 실타래가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형성된 구성물을 금형을 통해 일정 열 환경 속에서 프레스 공정을 수행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이 완료된 구성물을 포함하는 해당 금형을 냉각시켜 성형을 완성시키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5과정은 150℃ 내외의 열환경속에서 7분 내지 10분정도의 가압시간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제 6과정은 8℃ 내지 10℃의 열환경속에서 12분 내지 15분정도의 냉각시간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여부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보호용 신발은 첨부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카본블랙)이 함유되어 있는 신발 겉창(40)과, 착용자의 몸에 접하며 착용자의 몸에 흐르는 전자들을 취합하여 상기 신발 겉창(40)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창(10), 및 일정치의 쿠션을 가지며 상기 안창(10) 과 상기 신발 겉창(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창(10)과 상기 신발 겉창(40)간의 전기를 도통시키는 중창(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창(20)은 일정량의 쿠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며 열가소성 비전도성 재질의 스펀지(21)와, 상기 스펀지(21) 상면에 분포하며 열가소성 전도성 재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 단자(22), 및 상기 스펀지(21)를 관통하며 일단은 상기 스펀지 단자(22)에 접하고 다른 일단은 소정의 길이만큼 노출되어져 있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성 실타래(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구성 중 안창(10)은 탈착이 가능한 것이며, 실제적으로는 안창(10)의 구성요소가 없이도 본 발명의 목적이 이루어짐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중창(20)과 겉창(40)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전도성 재질의 겉창(40)의 접착면에 열 용해성 접착제를 전면에 처리를 한다.
또한, 중창(20)은 스펀지(21)에 전도성 실타래(23)를 앞뒤 접지가 용이한 위치에 관통 삽입을 한 다음 상기 전도성 실타래(23)가 관통한 상기 스펀지(21)의 상면에 참조번호 22로 지칭되는 스펀지단자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중창(20)의 스펀지단자(22)가 안착되지 않은 상기 중창(20)의 하면과 상기 겉창(40)의 상을 밀접 결합시키고 금형을 통해 일정 열 환경 속에서 프레스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환경은 통상 150℃이며 가압시간은 7분 내지 10분정도이고 가압력은 2기압이상이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5기압 이상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스펀지단자(22)의 크기는 지름 40㎜이고 두께는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접착제의 용해와 열가소성 재질의 중창이 충분히 성형되어지면 해당 금형을 냉각용 프레스 공정으로 이동하여 성형을 완성시킨다. 이때 냉각용 프레스 공정의 작업조건은 열환경 8℃~10℃이며 냉각시간은 12~15분정도가 적당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면 중창과 겉창이 하나의 공정으로 완성되어지게 됨에 따라 종래 중창과 겉창을 따로 만든 후 이를 접착하던 방식에 비하여 견고하며 전도성이 매우 종은 전도성 실타래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전효과도 뛰어나며, 더욱이 열 용해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을 하기 때문에 전도성 신발 겉창과 전도성실 사이에 접착으로 인한 비전도 접착필름(막)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카본블랙)이 함유되어 있는 신발 겉창과, 착용자의 몸에 접하며 착용자의 몸에 흐르는 전자들을 취합하여 상기 신발 겉창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창, 및 일정치의 쿠션을 가지며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창과 상기 신발 겉창간의 전기를 도통시키는 중창을 구비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에서 상기 신발 겉창과 중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재질의 겉창의 상측 접착면에 열 용해성 접착제를 전면에 처리하는 제 1과정과;
    중창을 구성하는 스펀지에 전도성 실타래를 관통 삽입시키는 제 2과정과;
    상기 제1 과정과 제 2과정을 통해 형성된 구성물을 밀결합시키되 접합면에 노출되어진 전도성 실타래가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제 3과정과;
    상지 제 3과정 후 상기 전도성 실타래가 관통한 상기 중창의 상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열 용해성 접착제가 처리된 전도성 스폰지를 안착시키되 안착면에 노출되어진 전도성 실타래가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형성된 구성물을 금형을 통해 일정 열 환경 속에서 프레스 공정을 수행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이 완료된 구성물을 포함하는 해당 금형을 냉각시켜 성형을 완성시키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은 150℃ 내외의 열환경속에서 7분 내지 10분정도의 가압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과정은 8℃ 내지 10℃의 열환경속에서 12분 내지 15분정도의 냉각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KR1020060053468A 2006-06-14 2006-06-14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KR10073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68A KR100739470B1 (ko) 2006-06-14 2006-06-14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68A KR100739470B1 (ko) 2006-06-14 2006-06-14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470B1 true KR100739470B1 (ko) 2007-07-13

Family

ID=3850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468A KR100739470B1 (ko) 2006-06-14 2006-06-14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929A (ko) * 1996-09-04 1998-06-25 김덕성 정전기 방지용 구두
KR19990030463A (ko) * 1998-12-29 1999-04-26 다이마루 오사무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 방법
KR20010001103A (ko) * 1999-06-02 2001-01-05 차인호 정전기 해소용 구두
KR200370141Y1 (ko) 2004-09-10 2004-12-13 주식회사영풍제화 착용감이 향상된 정전기 방지용 안전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929A (ko) * 1996-09-04 1998-06-25 김덕성 정전기 방지용 구두
KR19990030463A (ko) * 1998-12-29 1999-04-26 다이마루 오사무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 방법
KR20010001103A (ko) * 1999-06-02 2001-01-05 차인호 정전기 해소용 구두
KR200370141Y1 (ko) 2004-09-10 2004-12-13 주식회사영풍제화 착용감이 향상된 정전기 방지용 안전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005B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162879A1 (en) Electrically-conductive foam emi shield
CN109476965A (zh) 可拉伸导电粘合带
JP2008535257A (ja) Emi遮蔽ガスケット用の難燃性フォーム
CN108886884B (zh) 电磁波屏蔽膜
CN106772833A (zh) 一种光模块
KR20160022443A (ko)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08811A (ko) 정전하 소비 시스템
KR100739470B1 (ko) 정전기 보호용 신발의 제조 방법
US6900388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function
CN105940360B (zh) 含传感器片的外装设备和传感器片单元、以及含传感器片的外装设备的制造方法
JP2017092417A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付きプリント配線板
KR101914627B1 (ko) 정전기 방지 신발
KR20180040129A (ko) Fpc용 도전성 접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fpc
US20040233597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JP5852821B2 (ja) 帯電防止靴
KR100595979B1 (ko) 절연 도전성 미립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성필름
KR101827464B1 (ko) 전극 접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349692B (zh) 鞋导电环和鞋
US6618236B1 (en) Magnetic head handling glove
CN210725878U (zh) 一种复合型导电硅胶片
CN212325600U (zh) 一种防静电导电鞋
CN105867073A (zh) 一种防静电曝光机系统及其制造方法
CN107017234A (zh) 一种电子设备
CN210114092U (zh) 防静电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