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24B1 - 면장갑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면장갑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24B1
KR100739224B1 KR1020060020714A KR20060020714A KR100739224B1 KR 100739224 B1 KR100739224 B1 KR 100739224B1 KR 1020060020714 A KR1020060020714 A KR 1020060020714A KR 20060020714 A KR20060020714 A KR 20060020714A KR 100739224 B1 KR100739224 B1 KR 10073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expansion
cotton
glov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Original Assignee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filed Critical 정달금
Priority to KR102006002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사로 직조된 장갑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이송된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직확장수단과, 수평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평확장수단을 포함하는 확장부; 상기 저장부에 적층된 장갑과 상기 확장부에서 개구부가 확장된 장갑을 각각 확장부와 형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속도도 빠르며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장갑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면장갑, 코팅, 형틀, 자동 삽입, 이송

Description

면장갑 삽입장치{Insertion apparatus for cotton glove}
도 1은 일반적인 면장갑 코팅기 중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 중 확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확장부의 동작과장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장갑을 삽입 및 이송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장부 200 : 확장부
210 : 수직확장수단 230 : 수평확장수단
300 : 이송부
본 발명은 면장갑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코팅 층이 마련된 면장갑 제작 시 면장갑의 입구를 확장시켜 손 형상의 형틀에 자동으로 씌워질 수 있도록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호용구를 의무적으로 착용케 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장갑은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된 보호용구 중 하나이다.
통상의 장갑은 실로 직조되어 제작되는 면장갑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단가가 낮아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장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로 직조되어 내구성이 약하고 접지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물 또는 기름 등을 흡수할 경우, 내구성과 접지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고자 면장갑의 일면에 고무 또는 라텍스와 같은 재질의 코팅층이 마련된 코팅장갑이 개발되었다. 코팅장갑은 기존의 면장갑에 비하여 내구성과 접지력이 매우 우수하고 착용감도 좋아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코팅장갑을 제작하기 위한 면장갑 코팅기의 일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면장갑 코팅기 중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면을 참조하여 면장갑 코팅기의 이송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면장갑 코팅기의 이송장치(20)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체인 기어(22)와, 상기 한 쌍의 체인 기어(22)를 연결하는 체인(24)으로 구성된 이송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5)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지되, 그 사이에는 양단부가 한 쌍의 체인(24)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이송부재(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이송부재 (26)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손 형상의 형틀(28)이 복수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장치(20)에 의해 면장갑이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코팅 처리되지 않은 면장갑(미도시)을 형틀(28)에 씌우고, 한 쌍의 체인 기어(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전동수단(미도시)을 구동시켜 한 쌍의 체인(24) 사이에 결합된 이송부재(26)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틀(28)에 씌워진 장갑은 이송부재(26)와 함께 체인(24)에 의해 이송되며 코팅 및 건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20)를 이용한 작업과정은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형틀(28)에 코팅 처리되지 않은 면장갑을 씌우는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야 했다. 즉, 다수의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형틀(28)에 면장갑을 씌운 후, 코팅 및 건조단계로 이송시켜야만 했다.
따라서, 형틀(28)에 면장갑을 씌우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인력이 필요하게 되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바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형틀(28)에 면장갑을 씌우는 작업은 이송장치(20)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바, 작업자가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다. 그 일예로, 작업자의 옷소매 등이 이송장치(20)의 형틀(28) 등에 걸린 상태에서 이송장치(20)가 작동될 경우, 또는 회전 중인 형틀(28) 등에 옷소매 등이 걸려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이송장치(20)로 빨려 들어갈 경우, 부상을 입게 되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등과 같은 큰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 형상의 형틀에 코팅되지 않은 면장갑을 자동으로 씌울 수 있는 면장갑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장갑 삽입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는, 면사로 직조된 장갑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이송된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직확장수단과, 수평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평확장수단을 포함하는 확장부; 상기 저장부에 적층된 장갑과 상기 확장부에서 개구부가 확장된 장갑을 각각 확장부와 형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10)는 면사를 이용하여 장갑을 직조하는 장갑 직조장치(미도시)와 상기 장갑 직조장치에서 직조된 장갑 코팅장치(장갑의 일면에 고무 또는 라텍스 등을 코팅하는 장치, 미도시)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도 1의 20)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장치(20)에 구비된 손 형상의 형틀(도 1의 28)에 장갑이 용이하게 씌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저장부(100)와, 확장부(200)와, 이송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00)는 장갑 직조장치에서 직조된 복수의 장갑을 적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장부(20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구비된 손 형상의 형틀(28)에 장갑이 용이하게 씌워질 수 있도록 장갑의 개구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이송부(300)는 저장부(100)에 적층된 장갑을 확장부(200)로 이송시키거나 개구부가 확장된 장갑을 확장부(200)에서 손 형상의 형틀(28)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 중 확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분해사시도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면장갑 삽입장치의 구성요소 확장부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장갑 삽입장치(도 3 내지 도 4의 10)의 확장부(200)는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직확장수단(210)과, 상기 개구부를 수평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평확장수단(2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확장수단(21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확장수단(210)은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제작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수직확장수단(210)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그 중심부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214, 216)이 형성되고, 그 전면과 후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218)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관 통공(214, 216) 중 전방에 형성된 관통공(214)에는 상기 제 1 확장부재(222)가 삽입되고, 후방에 형성된 관통공(216)에는 상기 제 2 확장부재(224)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확장부재(222)가 삽입되는 관통공(전방에 형성된 관통공, 214)은 그 중단부에 걸림턱(214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4)에 삽입된 제 1 확장부재(222)가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관통공(214, 216)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는 수평축(222h, 224h)과 수직축(222v, 224v)을 갖도록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중 수평축(222h, 224h)의 단부는 장갑의 개구부 확장 시 그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확장부재(222)는 상기 몸체(212)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확장부재(224)는 몸체(21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의 수평축(222h, 224h)은 상기 제 2 확장부재(224)의 이동에 따라 서로 접촉하기도 하고, 서로 이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됨에 따라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확장부재(222)의 중단부에는 제 1 확장부재(222)가 상기 관통공(214)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관통공(214)에 형성된 걸림턱(214c)과 대응되는 단턱(222c)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나사산(222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14c)과 단턱(222c) 사이에는 스프링(222t)이 마련되고, 제 1 확장부재(222)의 수직축(222v)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산(222s)에 결합 가 능한 너트(222n)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22t)과 상기 너트(222n)는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되, 특히 상기 스프링(222t)의 경우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2)로부터 하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부재(226)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부재(226)의 중심부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6h)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26h)에는 상기 제 2 확장부재(22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26)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가이드 돌기(226g)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226g)는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232)의 가이드 홀(234)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확장수단(210)이 상기 가이드 홀(23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확장수단(2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확장수단(2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장갑의 개구부를 수평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32)와,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6, 2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2)는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부로 갈수록 그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한 쌍의 가이드 홀(234)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234)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확장수단(210)이 각각 결합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26)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6g)가 상기 가이드 홀(234)을 관통함으로써 결 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수직확장수단(21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2)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될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226g)가 상기 가이드 홀(234)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6, 238)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수직확장수단(2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면이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6, 238)에는 상기 몸체(212)의 가이드 돌기(226g) 및 상기 제 2 확장부재(2 24)의 수직축(224v) 하단부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26g) 및 상기 제 2 확장부재(224)의 수직축(224v) 하단부에는 롤러(242)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직확장수단(210)의 수평방향 이동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2)의 하부에는 수평바(244)가 결합되는데, 이는 가이드 플레이트(232)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확장부의 동작과장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확장부의 동작과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는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의 수평축(222h, 224h) 일단부가 장갑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수평축(222h, 224h)의 일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a)의 상태에서 제 1 가이드 레일(236)이 상승하면, 그와 결합된 제 2 확장 부재(224)의 수직축(224v)이 함께 상승하여 도 6의 (b)와 같이 제 2 확장부재(224)의 수평축(224h)이 제 1 확장부재(222)의 수평축(222h)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어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킨다.
그 후, 도 6의 (c)와 같이 수평바(244)가 가이드 플레이트(232)와 함께 하강하면,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의 수평축(222h, 224h), 즉 한 쌍의 수직이동수단(21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2)에 형성된 가이드 홀(23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장갑의 개구부를 수평방향으로도 확장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면장갑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장갑을 삽입 및 이송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a)는 저장부(10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면장갑(장갑 직조장치에서 제작되어 아직 코팅 처리되지 않은 면장갑)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100)에 적재된 다수의 면장갑 중 최하부에 위치된 면장갑은 이송부(300)의 일단부, 즉 상기 저장부(100) 측 일단부에 마련된 바늘(310)에 의해 확장부(2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확장부(200)로의 이송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 1 및 제 2 확장부재(도 3 내지 도 4의 222, 224)의 수평축(도 3 내지 도 4의 222h, 224h) 일단부는 도 7의 (b)와 같이 장갑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부재(222, 224)의 수평축(222h, 224h) 일단부가 장갑 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확장부(200)는 도 6의 (a) ~ (c) 과정을 거쳐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장시키게 된다(도 7의 (c)).
상기 확장부(200)에 의해 장갑의 개구부가 확장되면, 상기 이송부(300)는 저장부(10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부(300)의 타단부에 마련된 고리(320)가 (d)와 같이 장갑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0)가 확장부(200) 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고리(320)에 걸린 장갑은 이송장치(도 1의 20) 측으로 이송되어 형틀(도 1의 28)에 씌워지고 저장부(100)에 적재된 장갑은 바늘(310)에 의해 확장부(200)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저장부(100)에 적재된 면장갑을 자동으로 형틀(28)에 씌울 수 있게 되는 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형틀(28)에 씌워진 면장갑은 이송장치(20)에 의해 이송되어 코팅 및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장갑 삽입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면장갑 삽입장치는, 수직확장수단과 수평확장수단을 잉용하여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확장시켜 면장갑을 손 형상의 형틀에 자동으로 씌울 수 있는 바,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속도도 빨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고,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면장갑 이송장치에 구비된 손 형상의 형틀에 장갑을 씌우기 위한 면장갑 삽입장치에 있어서,
    면사로 직조된 장갑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이송된 장갑의 개구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직확장수단과, 수평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수평확장수단을 포함하는 확장부;
    상기 저장부에 적층된 장갑과 상기 확장부에서 개구부가 확장된 장갑을 각각 확장부와 형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확장수단은, 몸체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확장부재와, 상기 제 1 확장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제 1 확장부재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장부재는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확장수단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확장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확장수단의 가이드 돌기가 관통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한 쌍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 2 확장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확장부재의 하단부에는 각각 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삽입장치.
KR1020060020714A 2006-03-04 2006-03-04 면장갑 삽입장치 KR10073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14A KR100739224B1 (ko) 2006-03-04 2006-03-04 면장갑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14A KR100739224B1 (ko) 2006-03-04 2006-03-04 면장갑 삽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879U Division KR200420097Y1 (ko) 2006-03-04 2006-03-04 면장갑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24B1 true KR100739224B1 (ko) 2007-07-18

Family

ID=3849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714A KR100739224B1 (ko) 2006-03-04 2006-03-04 면장갑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70B1 (ko) * 2014-02-13 2014-12-03 유상일 장갑 손가락단부 코팅 및 장갑 손등과 손바닥 부분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09A (ko) * 2001-11-05 2003-05-16 유창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
KR20030072169A (ko) * 2002-03-04 2003-09-13 백은기 면장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09A (ko) * 2001-11-05 2003-05-16 유창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
KR20030072169A (ko) * 2002-03-04 2003-09-13 백은기 면장갑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70B1 (ko) * 2014-02-13 2014-12-03 유상일 장갑 손가락단부 코팅 및 장갑 손등과 손바닥 부분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24B1 (ko) 면장갑 삽입장치
KR200420097Y1 (ko) 면장갑 삽입장치
WO2016058629A1 (de) Batteriegreifer
CN107838049B (zh) 部件自动筛选设备
EP393094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bauteilen durch selektives verfestigen
US20140018200A1 (en) Belt detachment tool
KR200470580Y1 (ko) 핀 타설 장치
KR20020076897A (ko) 호스체결용 이중클립의 조립장치및 조립방법
ITVE940022A1 (it) Pannello sandwich a grecatura profonda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ITBO20000077A1 (it)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di legno o similari .
CN109079088A (zh) 一种设有防止同时推送定位的链条装配设备
CN210117006U (zh) 输送装置
CN204711415U (zh) 模具夹紧装置、模具更换装置及焊接机
CN211728157U (zh) 上料设备
KR101809938B1 (ko) 인슐레이터 취출장치
KR20120008726U (ko) 안전 작업대
DE102005018087B4 (de) Gießformenpalette und Anlage zum Herstellen von Gießbeton
ITBO940457A1 (it) Superficie di lavoro per macchine utensili
KR101705789B1 (ko) 중량물 집게장치
US265604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laminating presses
DE102016008020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ringen von Isoliermaterialien in Lochziegel
CN218429921U (zh) 一种热片材铺料设备
IT202100020219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di carteggiatura per un impianto industriale
TWM496645U (zh) 安全型活動升降作業台
EP3221135B1 (de) Vorrichtung und transporteinrichtung zur handhabung von reifenrohli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