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190B1 -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190B1
KR100739190B1 KR1020070040134A KR20070040134A KR100739190B1 KR 100739190 B1 KR100739190 B1 KR 100739190B1 KR 1020070040134 A KR1020070040134 A KR 1020070040134A KR 20070040134 A KR20070040134 A KR 20070040134A KR 100739190 B1 KR100739190 B1 KR 10073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device
cart
pow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4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기기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상기 전력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모선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력기기가 장착되어 있는 전력기기 카트(cart); 상기 전력기기에 설치되어 그 전력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매개모선; 및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매개모선을 상기 모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모선과 매개모선 간의 전기접속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매개모선와 상기 모선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배전반 {Incoming and distributing board}
도 1은 종래의 수배전반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 내부도.
도 4는 도 3의 수배전반의 클램핑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수배전반의 차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차폐수단이 설치된 하우징 및 전력기기 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 내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 내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배전반 101 : 하우징
102 : 내부공간 104 : 모선
106 : 매개모선 111 : 계기용 변압기(PT)
112 : 전력퓨즈(PF) 120 : 전력기기 카트
132 : 제1커넥터부 134 : 제2커넥터부
140 : 차폐수단 141 : 덮개판
142 : 지지부재 143 : 힌지부재
144 : 캠부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하개폐기(LBS), 피뢰기(LA),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및 진공차단기(VCB)와 같은 전력기기들이 하우징에 대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 마련된 전기실에는 전력회사가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배전반은 전력계통의 통전 수순 및 전압에 따라 특고압반, 변압기반 및 저압반으로 구분된다. 특고압반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 또는 특별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고, 변압기반은 고압 또는 특별 고압의 전기를 수용가의 부하에 적합하게 감압하고, 저압반은 저압의 전기를 다수의 부하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배전반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수배전반(10)의 일례인 특고압반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고압반은 고압수전반(LBS반, 20)과, 계기용 변압변류기반(MOF반, 30), 계기용 변 압기반(PT반, 40), 특고차단기반(VCB반, 50) 등 네 개의 수배전반(1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압수전반(20)에는 소정 크기의 하우징(21) 내부에 부하개폐기(LBS) (22)와 피뢰기(LA)(23)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연결된 모선(12)(14)을 통해 전력이 전송되며, 상기 계기용 변압변류기반(30)에는 하우징(31) 내부에 계기용 변압변류기(MOF)(32)와 전력퓨즈(PF)(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계기용 변압기반(40)에는 소정 크기의 하우징(41) 내부에 계기용 변압기(PT)(42)와 전력퓨즈(PF)(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특고차단기반(VCB)(50)의 하우징(51)에는 진공차단기(VCB)(52)와 계기용 변류기(CT)(53) 및 서지흡수기(SA)가 각각 설치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고압수전반, 계기용 변압변류기반, 계기용 변압기반, 특고차단기반 등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수배전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종래의 수배전반에서는, 부하개폐기(LBS),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및 진공차단기(VCB)와 같은 전력기기들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부착되므로, 전력기기의 교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몸을 숙여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서 전력기기의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전력기기를 교체하는데 상당한 수고와 시간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배전반에 설치된 전력기기의 교체시, 전력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교체하여야 하는데, 자칫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기기가 장착된 수배전반의 전력기기 카트가 수배전반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력기기 카트가 인출될 때는 전력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넓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전력기기를 교체할 수 있고 작업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기기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상기 전력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모선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력기기가 장착되어 있는 전력기기 카트(cart); 상기 전력기기에 결합되어 그 전력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매개모선; 및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매개모선을 상기 모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모선과 매개모선 간의 전기접속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매개모선와 상기 모선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 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커넥터부와, 상기 매개모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커넥터부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사용자가 상기 제1커넥터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리기 위한 차폐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릴 수 있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을 지지하며 그 덮개판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와, 그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전력기기 카트에 결합되어 있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는, 상기 캠부가 상기 힌지부재를 눌러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제1커넥터부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는, 상기 힌지부재에 대한 상기 캠부의 누름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회동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 내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수배전반의 클램핑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수배전 반의 차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폐수단이 설치된 하우징 및 전력기기 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배전반(100)은, 부하개폐기(LBS), 피뢰기(LA),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및 진공차단기(VCB)와 같은 전력기기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전력기기와, 모선(104)과, 전력기기 카트(120)와, 매개모선(106)과, 클램핑 수단과, 차폐수단(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100)으로 계기용 변압기(111)와 전력퓨즈(112)가 설치된 계기용 변압기반(PT반)을 일례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력기기는 수배전반 하우징(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설치된 계기용 변압기(111)와 전력퓨즈(112)를 포함한다. 상기 계기용 변압기(111)는, 어떤 전압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압값으로 변성하는 것으로 일반 전압계를 사용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선(104)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계기용 변압기(11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기기 등과 접속되는 단자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절연 튜브나 에폭시 분말 코팅 처리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상기 모선(102)을 통해 고압의 전력이 전송되므로, 일정 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 배치되는 경우에는 빛을 내며 방전하는 섬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선(104)과 모선(104) 간의 거리, 모선(104)과 하우징(101) 간에 정해진 거리를 유 지하며 모선(104)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애자(105)가 이용된다.
상기 전력기기 카트(120)는, 계기용 변압기(111)와 전력퓨즈(112)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0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상적인 가동환경에서는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에 인입되어 있으며, 계기용 변압기(111) 또는 전력퓨즈(112)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점검,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력기기 카트(120)가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전력기기 카트(120)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인입시 하우징(101)과 면접촉 슬라이딩되는 바퀴(121)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 내부공간(102)의 양측벽 하부에는 상기 바퀴(12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개모선(106)은, 그 일단은 전력퓨즈(112)에 결합되어 계기용 변압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후술할 클램핑 수단에 의해 모선(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모선(104)과 계기용 변압기(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모선(104)과 연결되는 타단부의 처짐을 방지하고자 매개모선(104)의 중간부위는 전력기기 카트(120)에 설치된 지지애자(10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매개모선(106) 역시 모선(104)과 마찬가지로, 전력퓨즈(112)에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절연 튜브나 에폭시 분말 코팅 처리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매개모선(106)과 모선(104)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커넥터부(132)와 제2커넥터부(134)를 포함한다. 전력기기 카 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 인입될 때는 클램핑 수단에 의해 매개모선(106)과 모선(104)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인출될 때는 클램핑 수단이 해제되어 매개모선(106)과 모선(104) 간의 전기접속이 차단된다.
상기 제1커넥터부(132)는, 상기 하우징(101)에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부(134)가 결합되는 단자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부(132)는 인출애자(108)를 통해 모선(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부(134)는, 상기 매개모선(106)에 결합되어 있으며,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 인입될 때 제1커넥터부의 단자부(133)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한다. 제2커넥터부(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핑거부(135)와 탄성가압부(136)을 구비한다. 상기 핑거부(135)들은 제1커넥터부의 단자부(133)에 체결되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단자부(133)를 탄성 가압력에 의해 클램핑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은 단자부(13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가압부(136)는 핑거부(135)들에 삽입된 단자부(13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핑거부(135)들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차폐수단(140)은,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인출될 때 작업자가 제1커넥터부(132)에 접촉되어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1커넥터부(132)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판(141)과, 지지부재(142)와, 힌지부재(143)와, 캠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141)은, 하우징(101)으로부터 노출된 제1커넥터부의 단자 부(133)를 가리는 것으로, R, S, T상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커넥터부(132) 전부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상기 덮개판(141)은 제1커넥터부(132)들을 가리는 위치와 제1커넥터부(132)들을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42)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덮개판(14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그 덮개판(141)을 지지하며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재(143)는, 지지부재(1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일단(143a)과,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타단(143b)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재의 일단(143a)에는 장홀(145)이 형성되어 그 장홀(145)을 통해 힌지부재(143)와 지지부재(142)가 결합된다. 상기 장홀(145)을 통한 결합으로 인해, 힌지부재(143)와 지지부재(142) 간의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143b)은 하우징(101)에 부착된 힌지 브라켓(107)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143b)과 힌지 브라켓(107)의 결합부위 근처에는 후술할 캠부(144)의 곡선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캠팔로우어부(14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캠부(144)는, 전력기기 카트(12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 인입될 때 상기 힌지부재(143), 즉 캠팔로우어부(146)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캠부(144)는 긴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일단(144a)으로부터 출발하여 일정 거리만큼은 상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유지하며 높이가 점점 상승되다가 그 이후부터 타단(144b)까지는 일정한 높이의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수배전반에 있어서,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전력기기 카트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작동원리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 인입될 때, 힌지부재(143)의 캠팔로우어부(146)는 캠부(144)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캠팔로우어부(146)와 캠부(144)의 구름접촉으로 인해, 힌지부재(143)는 도 5에 도시된 "a1" 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힌지부재의 타단(143a)과 지지부재(142) 간에는 상대적인 회동운동이 발생하고, 힌지부재의 타단(143a)에 결합된 지지부재(142)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지지부재(142)에 의해 지지되는 덮개판(141)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커넥터부(132)는 제2커넥터부(134)와 클램핑될 수 있도록 노출되게 된다. 결국, 제2커넥터부의 핑거부(135)에 제1커넥터부의 단자부(133)가 삽입되고, 탄성 가압부(136)에 의해 단자부(133)가 탄성 가압되어 제1커넥터부(132)와 제2커넥터부(134)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제1커넥터부(132)와 제2커넥터부(134)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1커넥터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선(104)과 제2커넥터부(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계기용 변압기(111)가 통전되어 수배전반(100)은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력기기 카트(120)가 하우징의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2커넥터부의 핑거부(135)와 제1커넥터부의 단자부(133)가 해제되면서 제1커넥터부(132)와 제2커넥터부(134)는 분리된다. 힌지부재의 캠팔로우어부(146)에 대한 캠부(144)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캠팔로우어부(146)가 이동함에 따라, 힌지부재(143)는 도 5에 도시된 "a1" 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힌지부재의 타단(143a)과 지지부재(142) 간에는 상대적인 회동운동이 발생하여 지지부재(142)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42)와 함께 덮개판(14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커넥터부(132)는 덮개판(141)에 의해 다시 가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은, 부하개폐기(LBS), 피뢰기(LA),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계기용 변압기(PT), 전력퓨즈(PF), 계기용 변류기(CT) 및 진공차단기(VCB)와 같은 전력기기들이 전력기기 카트에 장착되어 있고, 그 전력기기 카트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직접 몸을 숙여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서 전력기기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전력기기 카트를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외부의 넓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전력기기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력기기 카트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부가 자동으로 차폐되므로, 전력기기를 교체하는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용 변압기반이 수배전반(1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배전반은 고압수전반(LBS반), 계기용 변압변류기반(MOF반), 특고차단기반(VCB반)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300)이 고압수전반인 경우, 전력기기 카트(320)에는 부하개폐기(LBS)(311)와 같은 전력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하개폐기(311)는 인입구에 설치되어 점검, 수리할 때 회로를 분리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전력퓨즈의 용단 시 결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200)이 계기용 변압변류기반인 경우, 전력기기 카트(220)에는 전력퓨즈(PF)(212), 계기용 변압변류기(MOF)(211) 등과 같은 전력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계기용 변압변류기(211)는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수용가가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배전반이 특고차단기반인 경우, 전력기기 카트에는 진공차단기(VCB) 등과 같은 전력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공차단기는 부하전류를 개폐함과 동시에 이상 상태 발생시에 신속히 회로를 오픈시켜 주는 것으로서 회로에 접속된 전기기기, 전선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변형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배전반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작업자가 직접 몸을 숙여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서 전력기기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전력기기 카트를 하우징의 내부공 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외부의 넓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전력기기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기기 카트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가 자동으로 차폐되므로, 전력기기를 교체하는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기기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상기 전력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모선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력기기가 장착되어 있는 전력기기 카트(cart);
    상기 전력기기에 결합되어 그 전력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매개모선; 및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매개모선을 상기 모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모선과 매개모선 간의 전기접속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매개모선와 상기 모선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커넥터부와, 상기 매개모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커넥터부를 탄성적으로 클램핑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사용자가 상기 제1커넥터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리기 위한 차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릴 수 있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을 지지하며 그 덮개판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와, 그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전력기기 카트에 결합되어 있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때는, 상기 캠부가 상기 힌지부재를 눌러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제1커넥터부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전력기기 카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는, 상기 힌지부재에 대한 상기 캠부의 누름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커넥터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KR1020070040134A 2007-04-25 2007-04-25 수배전반 KR10073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134A KR100739190B1 (ko) 2007-04-25 2007-04-25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134A KR100739190B1 (ko) 2007-04-25 2007-04-25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190B1 true KR100739190B1 (ko) 2007-07-13

Family

ID=3850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134A KR100739190B1 (ko) 2007-04-25 2007-04-25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1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27B1 (ko) * 2011-04-14 2011-08-1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콤팩트형 수배전반
KR101168865B1 (ko) 2012-02-13 2012-07-26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의 차폐판용 개폐장치
KR20190017535A (ko) * 2017-08-11 2019-02-20 세신전기(주) 자동인출 고전압 차단기
CN109390867A (zh) * 2017-08-04 2019-02-26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手车式直流隔离开关柜及其手车
CN109494600A (zh) * 2017-09-12 2019-03-19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支架及包括其的高压开关柜
CN110739609A (zh) * 2019-11-13 2020-01-31 宁波奉化平西配电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箱密封式熔断器熔体自动更换装置
CN114498506A (zh) * 2020-10-26 2022-05-13 周雅娟 一种母线插接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160A (ja) * 1988-06-30 1990-01-17 Sony Corp 呼出信号検出装置
JPH0419829A (ja) * 1990-05-11 199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ォーカス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160A (ja) * 1988-06-30 1990-01-17 Sony Corp 呼出信号検出装置
JPH0419829A (ja) * 1990-05-11 199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ォーカス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316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9829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27B1 (ko) * 2011-04-14 2011-08-1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콤팩트형 수배전반
KR101168865B1 (ko) 2012-02-13 2012-07-26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의 차폐판용 개폐장치
CN109390867A (zh) * 2017-08-04 2019-02-26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手车式直流隔离开关柜及其手车
KR20190017535A (ko) * 2017-08-11 2019-02-20 세신전기(주) 자동인출 고전압 차단기
KR102015310B1 (ko) * 2017-08-11 2019-08-28 세신전기(주) 자동인출 고전압 차단기
CN109494600A (zh) * 2017-09-12 2019-03-19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支架及包括其的高压开关柜
CN110739609A (zh) * 2019-11-13 2020-01-31 宁波奉化平西配电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箱密封式熔断器熔体自动更换装置
CN114498506A (zh) * 2020-10-26 2022-05-13 周雅娟 一种母线插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190B1 (ko) 수배전반
KR101445479B1 (ko) 스위치 기어
RU23824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вного пуска и остановки трехфазных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софтстартер)
CA2147085A1 (en) Metal-enclosed gas-filled switchgear units
JP2009536513A (ja) 電圧下で高電圧開閉装置を保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T1504508E (pt) Instalação de comutação equipada com uma barreira para isolamento eléctrico
CA2145455A1 (en) Metal-encapsulated, gas-insulated, switching installation
HU189964B (en) Metal-clad gas-insulation switching apparatus
JP2008113516A (ja) 主回路開閉装置
US3983460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CN110441554B (zh) 一种防感应电的输电线路工频参数测试辅助装置
KR200483632Y1 (ko) 플러그 스위치
EP0168320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US4388665A (en)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ical fault voltages in electrical conductors
AU2013201083B2 (en)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CN114062874B (zh) 一种用于反应堆开关柜的负载绝缘测试引出装置
CN112751312A (zh) 一种新型箱变及其配电保护系统
US3530418A (en) High voltage drawout fuse arrangement for indoor power center
CN220138190U (zh) 用于组合隔离开关的接地开关
RU2710918C2 (ru) Комплекс адаптаци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кад-10
CN113884715B (zh) 一种gis设备回路电阻测试辅助工具
CN220456321U (zh) 一种电控系统空气开关
CN212111493U (zh) 用于测试气箱的系统
KR100573023B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829

Effective date: 200712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