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69B1 - 캔 본체 및 캔 - Google Patents

캔 본체 및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69B1
KR100737769B1 KR1020067009769A KR20067009769A KR100737769B1 KR 100737769 B1 KR100737769 B1 KR 100737769B1 KR 1020067009769 A KR1020067009769 A KR 1020067009769A KR 20067009769 A KR20067009769 A KR 20067009769A KR 100737769 B1 KR100737769 B1 KR 10073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conveyance
main body
can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979A (ko
Inventor
토시야 코바야시
타쿠로 신규료
테츠야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몸통부(11)에, 캔 축(O)에 대해 5°이상 15°이하 경사진 일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4)는 캔 축(O)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B) 두고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간격(B)은 상기 오목부(14)의 폭(A)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반송하기 쉬운 캔 본체(10) 및 캔을 제공할 수 있다.
캔, 캔 본체, 오목부, 반송, 몸통부, 좌굴강도

Description

캔 본체 및 캔{CAN BODY AND CAN}
본 발명은 음료수 등을 충전하는 캔 본체 및 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4년 1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4-001945호 및 2004년 2월 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4-026005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채용한다.
종래에는, 음료수 등을 판매할 시, 이것을 충전, 밀봉하는 용기로서 금속제의 캔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캔은 일반적으로 캔 본체를 세정하는 공정, 그 캔 본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 그 내용물 충전 후 캔 본체의 개구부에 캔 뚜껑을 돌려 고정하여 캔을 형성하는 공정, 그리고, 이들 캔을 종이상자 케이스에 포장하는 공정인 각종 공정을 거친 후에 출하된다.
그러나, 이들 각 공정간의 캔 본체 및 캔(이하, 간단하게 「캔 등」이라 한다)의 반송(搬送)은, 복수 개의 캔 등을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그 컨베이어 표면을 따라가는 방향에 있어서 모든 방향으로 연립(連立)된 상태로, 이른바 집합적으로 연립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캔 등을 정렬시킬 필요가 있는 공정에서는, 그 공정의 입구에 반송방향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반송 컨베이어의 폭(반송방향을 따라가는 방향에 있어서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크기)이 작아지는 정렬 가이드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반송상태에 있어서, 캔 등은 몸통부(캔 몸통)끼리 서로 당접한 상태로 다음 공정을 향해 반송된다.
특허문헌 1: 특개소 59-186830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반송공정에서는, 몸통부의 외부 표면측에 형성된 오버코트 층의 특성상의 변화, 환경온도의 변동 등에 의한 각종 요인에 따라, 캔 등의 몸통부끼리의 접촉상태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캔 등의 캔 축(몸통부의 중심축)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캔 등의 반송이 저해되고,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캔 등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반송 컨베이어 상에 있어서 상기 정렬가이드가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 몸통부끼리의 접촉면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캔 등의 막힘 발생이 현저하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송성이 양호한 캔 본체 및 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이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캔 본체는, 몸통부(캔 몸통)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캔 축(몸통부의 중심축)에 대해 5°이상 15°이하 경사진 일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캔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오목부의 폭 보다 작다.
이러한 캔 본체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캔 본체는 복수 개가 집합적으로 반송되는 경우에 있어서, 몸통부 중 상기 오목부의 비형성부에서 몸통부끼리 서로 접촉한다. 또한, 캔 본체끼리 서로 접촉할 시, 하나의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비형성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비형성부의 연장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 의해, 상기 오목부 비형성부의 폭이 오목부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캔 본체의 몸통부 중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캔 본체에 양호한 반송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캔 본체끼리 서로 접촉할 시, 하나의 캔 본체에 있어서 오목부 비형성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접촉상태에서 쌍방의 캔 본체가 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호의 오목부 비형성부끼리 치합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오목부는 몸통부에 일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상태에 있어서 몸통부끼리의 접촉부분을 1개소만으로 대략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환경 등 각종요인에 의해, 캔 본체의 몸통부끼리의 접촉상태가 변화하고, 나아가, 반송 컨베이어에 반송 스페이스가 반송방향 앞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정렬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위치에 있어서 캔 본체의 막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캔 본체의 몸통부의 외부 표면을 그 내측을 향해 힘으로 눌렀을 경우의 압력에 대해, 상기 오목부의 비형성부가 리브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인해, 그 몸통부에 함몰부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캔 본체에 내용물을 충전함에 앞서, 그 캔 본체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에 있어서, 세정액이 캔 본체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몸통부의 외부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그 내부 표면에 있어서는, 오목부의 비형성부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홈부가 되기 때문에, 그 홈부에 세정액이 양호하게 유입되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를 캔 축에 대해 5°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시키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캔 본체들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캔 본체에 있어서 오목부 비형성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향이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앞에 설명한 접촉면적의 최소화를 구현하지 못하고, 캔 본체에 양호한 반송성을 제공할 수 없다. 그 각도를 15°보다 크게 하면 캔 몸체의 좌굴강도(座屈强度)가 저하된다.
상기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경은 51mm 이상 67mm 이하, 상기 오목부의 폭은, 3.0mm 이상 10.0mm 이하이며, 상기 오목부는 19개 이상 31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캔 본체에 따르면, 복수 개가 집합적으로 반송되어, 상호 몸통부끼리 서로 당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캔 본체끼리는 확실하게 1 개소에서만 거의 점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캔 본체에 양호한 반송성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 캔 본체가 반송 스페이스에서 막히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캔 본체의 좌굴강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내용물을 충전할 때나, 캔 뚜껑을 돌려 고정할 때에 그 캔 본체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해서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좌굴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를 31개보다 많게 형성하면, 캔 본체의 상기 반송상태에 있어서, 캔 본체끼리 거의 점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는 변화가 없지만, 복수개소에서 접촉하는 경우가 있고, 양호한 반송성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19개소보다 적어지면, 오목부의 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캔 본체의 좌굴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캔은 상기 캔 본체의 개구부에 캔 뚜껑 돌려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에 관한 캔 본체 및 캔에 따르면, 복수 개 집합적으로 반송되어, 대응하는 몸통부끼리 서로 당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접촉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캔 본체 및 캔에 양호한 반송성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고,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의 막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캔 본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캔 본체의 일부 확대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캔 본체
11. 몸통부
14. 오목부
A. 오목부의 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 본체 및 캔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캔 본체(10)는, 알루미늄 혹은 알류미늄 합금 등, 바람직하게는 3000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두께 0.28mm 이상 0.35mm 이하)에 드로잉(drawing) 가공, 아이어닝(ironing) 가공이 처리되어 형성된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캔 축(O)(몸통부(11)의 중심축) 방향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캔 축(O) 방향 상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점차 직경을 줄인 견부(12), 를 구비하고 있다. 견부(12)의 캔 축(O) 방향 상단부는,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캔 본체(10)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플랜지부(13)에 도시되지 않은 캔 뚜껑이 돌려 고정됨으로써 캔이 형성된다. 몸통부(11) 중 가장 두께가 얇은 부 분의 두께는 약 95㎛ 이상 120㎛ 이하로 되어 있다.
몸통부(11)에는, 엠보싱 가공이 처리되어 형성된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4)는, 몸통부(11)의 외주면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캔 축(O)에 대해 5°이상 15°이하(도시된 예에서는 9°) 경사진 일정방향으로, 몸통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캔 축(O)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B)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B)은, 오목부(14)의 폭(A)보다 작다. 이 오목부(14)의 내외표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몸통부(11)의 외경은 51mm 이상 67mm 이하이다. 오목부(14)의 폭(A)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이다. 오목부(14)는 19개 이상 31개 이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부(11)의 외경은 약 66mm, 오목부(14)의 폭(A)은 약 5.0mm, 오목부(14)간의 간격(B)(이하, 이 부분(오목부(14) 사이)을 「오목부 비형성부(15)」라 한다」는 약 2.0mm이며, 오목부(14)는 25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4)의 깊이(C), 즉, 오목부 비형성부(15)의 반경방향 외측 방향 단부와 오목부(14)의 외부 표면과의 거리는 0.04mm 이상 0.40mm 이하이다.
또한, 오목부 비형성부(15)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 단부를 순서대로 캔 축(O)을 중심으로 연결하여 얻어지는 원형의 직경을 몸통부(11)의 외경으로 한다. 이 몸통부(11)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각종 도료는 공지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본체(10) 및 캔에 따르면, 몸통부(11)에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캔 본체(10) 및 캔(이하, 「캔 등」이라고 한다)이 복수 개 집합적으로 반송되어, 상호 몸통부(11)끼리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몸통부(11) 중 오목부 비형성부(13)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캔 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캔 등에 있어서 오목부 비형성부(15)의 연장방향과, 다른 캔 등에 있어서 오목부 비형성부(15)의 연장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 의해, 오목부 비형성부(15)의 폭(B)이 오목부(14)의 폭(A)보다 작은 것과 더불어, 캔 등의 몸통부(15) 중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 캔 등에 양호한 반송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로 접촉하고 있는 캔 등들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캔 등에 있어서 오목부 비형성부(15)의 연장방향과, 다른 캔 등의 상기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접촉상태에서 쌍방의 캔 등이 캔 축(O)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호의 오목부 비형성부(15)끼리 치합하는 일이 없다. 또한, 오목부(14)는 몸통부(11)에 일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상태에 있어서 몸통부(11)끼리의 당접부분을 1개소만으로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환경 등의 각종요인에 따라, 캔 등의 몸통부(11)끼리의 접촉상태가 변화하고, 또한, 반송 컨베이어에, 반송 스페이스가 반송방향 앞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정렬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위치에서의 캔 등의 막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11)에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 몸통부(11) 외부 표면을 그 내측을 향해 힘으로 눌렀을 때의 압력에 대해 오목부 비형성부(15)가 리브로서 작용함으로써, 이 몸통부(11)에 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캔 본체(10)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것에 앞서, 이 캔 본체(10)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에 있어서, 세정액이 캔 본체(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몸통부(11)의 외부 표면에 오목부(14)가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 표면에 있어서는 오목부 비형성부(15)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세정액이 흐르기 쉬운 홈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정액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14) 및 오목부 비형성부(15)가 전술한 수치 범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캔 등이 복수 개 집합적으로 반송되고, 상호 몸통부(11)끼리 서로 당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캔 등을 확실하게 1 개소만에서 대략 점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캔 등의 양호한 반송성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의 캔 등의 막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에 있어서도, 캔 등의 좌굴강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내용물을 충전할 때나, 캔 뚜껑을 돌려 고정할 시에 이러한 캔 본체(10)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좌굴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작용효과에 대해서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캔 등의 막힘 발생 억제에 관한 평가시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평가 시험에 제공되는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캔 본체(10)(오목부(14)의 개수가 25개)에 내용물과 함께, 캔 내압이 실온(약 20°C)에서 약 0.2MPa가 되도록 액체 질소를 충전하고, 이것에 캔 뚜껑을 돌려 고정한 캔을 채용하였다. 비교예로서, 종래의 캔, 즉, 실시예의 오목부(14) 및 볼록부(15)를 가지지 않고, 몸통부(11)가 평활면이며, 실시예와 동일하게 내용물을 충전하고 내압을 가한 캔을 채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캔은 모두 3004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두께 약 0.33mm의 박판에 드로잉 가공 및 아이어닝 가공 등을 처리하여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해서 50개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그 평가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장치는 직립상태에 있는 복수의 캔을 집합적으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그 반송 컨베이어 상의 반송방향 전방 측에 배치되어, 반송방향 앞쪽을 향하는 것에 따라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정렬가이드와, 그 정렬 가이드의 반송방향 전방단에 배치된 반송하중 측정수단, 을 구비하는 개략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렬가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합적으로 반송되고 있는 캔을 반송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송하중 측정수단은, 캔의 반송시 일렬로 정렬된 반송방향 맨 앞측에 위치한 캔을 충돌시켜, 후속하는 모든 캔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정지판과, 이 정지판의 외표면 중 캔이 충돌하는 면과 반대하는 측의 표면에 배치된 하중 측정부(로드 셀), 을 구비하는 개략적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중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하중이 크면, 양호한 반송상태가 실현되고 있는 것을, 즉, 반송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캔이 양호하게 반송되고, 이에 따라, 반송방향 맨 앞측에 위치하는 캔 이 그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큰 힘으로 눌러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측정되는 하중이 작으면, 양호한 반송상태가 실현되지 않는 것을, 즉, 반송방향 후방측에 위치한 캔, 특히 반송 컨베이어 상에 정렬 가이드의 주변부에서의 반송이 저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송방향 전방단에 위치하는 캔이 그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큰 힘으로 눌러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의 결과, 비교예의 경우, 측정하중이 18.0N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의 경우, 19.7N이며, 실시예 쪽이 9% 이상 측정하중이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캔 막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캔의 좌굴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측정에 제공되는 실시예 1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캔 본체(10)(오목부(14)의 개수가 25개)를 채용하였다. 실시예 2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캔 본체(10)에 있어서, 몸통부(11)에 19개의 오목부(14)를 캔 축(O)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비교예로서, 캔 본체(10)에 있어서, 몸통부(11)에 17개의 오목부(14)를 캔 축(O)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캔은 모두 3004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두께 약 0.33mm의 박판에 드로잉 가공 및 아이어닝 가공 등을 처리하여 형성하였다.
이들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있어서 오목부(14) 간의 간격, 즉, 볼록부(15)의 캔 축(O)을 중심으로 한 크기는 모두 대략 동일하게 하였다. 따라서, 볼록부(14)의 개수가 작은 만큼 볼록부(14)의 캔 축(O)을 중심으로 한 크기는 커진 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캔 본체를 각 종류에 대해서 20개 형성하고, 각 캔에 대해서 캔 축(O) 방향으로 압축하중을 부하하고, 좌굴되었을 때의 하중(좌굴강도)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몸통부(11)에 오목부(14) 및 볼록부(15)를 가지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캔에서는, 좌굴강도는 약 1820N이다.
측정 결과, 비교예는 평균적으로 950N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 1에서는 평균 1790N이며, 또한, 실시예 2에서는 평균 1450N이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종래의 캔과 동등한 좌굴강도를 가지는 즉, 캔 뚜껑을 돌려 고정할 때 등 캔에 작용하는 통상의 압축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등,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캔 본체(10)로서, 드로잉 가공, 아이어닝 가공에 의해 직접 바닥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 뚜껑을 돌려 고정하는 것에 의해 캔 바닥부가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반송성이 양호하며,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좌굴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캔 본체 및 캔을 제공한다.

Claims (3)

  1. 몸통부(11)에, 캔 축(O)에 대해 5°이상 15°이하 경사진 일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4)는 캔 축(O)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B)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간격(B)은 상기 오목부(14)의 폭(A)보다 작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본체(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1)의 외경은 51mm 이상 67mm이하이며, 상기 오목부(14)의 폭은 3.0mm이상 10.0mm 이하이며, 상기 오목부(14)는 19개 이상 31개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캔 본체(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캔 본체(10)의 개구부에 캔 뚜껑이 돌려 고정되어 있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KR1020067009769A 2004-01-07 2004-12-28 캔 본체 및 캔 KR10073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769A KR100737769B1 (ko) 2004-01-07 2004-12-28 캔 본체 및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1945 2004-01-07
JPJP-P-2004-00026005 2004-02-02
KR1020067009769A KR100737769B1 (ko) 2004-01-07 2004-12-28 캔 본체 및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79A KR20070017979A (ko) 2007-02-13
KR100737769B1 true KR100737769B1 (ko) 2007-07-11

Family

ID=4163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769A KR100737769B1 (ko) 2004-01-07 2004-12-28 캔 본체 및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40A (ja) * 1991-08-29 1994-04-05 正志 ▲土▼田 潰れる体積縮小缶の構造
JPH06199346A (ja) * 1991-11-05 1994-07-19 正志 ▲土▼田 潰れる体積縮小缶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40A (ja) * 1991-08-29 1994-04-05 正志 ▲土▼田 潰れる体積縮小缶の構造
JPH06199346A (ja) * 1991-11-05 1994-07-19 正志 ▲土▼田 潰れる体積縮小缶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79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073B1 (en) Can bottom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0180282672A1 (en) Detergent product
JP4826379B2 (ja) 合成樹脂製容器
US7621166B2 (en) Die components for making pressure relief devices
KR100737769B1 (ko) 캔 본체 및 캔
JP5085411B2 (ja) レトルト対応小容量ネジ付き缶
EP2581316B1 (en) Seamless can body
JP4463578B2 (ja) 缶本体および缶
JP6987218B2 (ja) 密封装置
US20080029523A1 (en) Metal/plastic containers with reinforcing ribs and drawing and ironing
JP4992329B2 (ja) 合成樹脂製容器
EP0005025B1 (en) Lightweight metal container
JP5644029B2 (ja) 樹脂製ボトル及び飲料入り樹脂製ボトル
US20090272750A1 (en) Container bottom
JP4425659B2 (ja) ボトル缶およ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並びにキャップ付ボトル缶
EP3763630A1 (en) Plastic bottle
EP4071066A1 (en) Can container
JP6575011B2 (ja) 自立性耐圧ボトル
AU619314B2 (en) Improvements in metal containers
CN100509570C (zh) 罐体及罐
JP745508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468278B2 (ja) 缶蓋
JPH0487940A (ja) アルミニウム缶
JP2004244224A (ja) 円柱状容器搬送タレット装置
JP4327981B2 (ja) 搬送物の衝撃吸収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