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582B1 -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582B1
KR100737582B1 KR1020050121935A KR20050121935A KR100737582B1 KR 100737582 B1 KR100737582 B1 KR 100737582B1 KR 1020050121935 A KR1020050121935 A KR 1020050121935A KR 20050121935 A KR20050121935 A KR 20050121935A KR 100737582 B1 KR100737582 B1 KR 10073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ircuit
design
load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174A (ko
Inventor
최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5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9Circuit design at the physical level
    • G06F30/398Design verification or optimisation, e.g. using design rule check [DRC], layout versus schematics [LVS] or finite element methods [F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0Numerical modelling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은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각 전선 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리스트 DB; 상기 배선 회로 판정을 위한 각 전장품 부하의 타입을 자동으로 정의하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 상기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기준 전압 설정부;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는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를 설정하는 설계 목표치 설정부; 상기 각 전선 및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계산하는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 및 상기 단자 전압 및 전류 값과 구속 조건 결과 값을 표시하고, 완료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는 상기 회로리스트 DB로부터 전선길이 데이터를 불러오며, 상기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타입 정의 및 부하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에 상기 계산된 전압 및 전류 값과 설계 목표치를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A circuit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ation}
도 1은 종래의 배선회로 설계 지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5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전장 부하 타입의 일예.
도 6은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7은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에 의해 모델링 되는 구성 소자의 일예.
도 8은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설계 요소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9는 설계 목표치 설정을 나타내는 일예.
도 10은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1은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2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 기준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선회로 설계 제어부 110 : 회로 리스트 DB
120 :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 130 : 기준전압 설정부
140 : 부하 간이 모델링부 150 : 설계 목표치 설정부
160 : 배선회로 전류/전압 계산부
170 :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
본 발명은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배선회로의 설계 적합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자동차 배선 설계에 있어서 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전장품 부하 및 각 부하에 체결되는 컨넥터, 전장품들의 논리적,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선 등이 있는데, 전장품의 수량과 종류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러한 요소 간의 결선도 복잡해지고 설계 단계에서 이에 대한 검증 및 검증 결과에 대한 설계 반영이 요구된다. 특히, 설계 단계에서 주요 전장품에 결선되는 부하와 전선의 특성에 따라 배선 회로의 성능이 좌우되는데, 이러한 요소에 대한 최적 설계치를 설계자에게 제공하고 즉시 이를 설계 데이터 상에 반영하는 최적 설계 방법론이 요구된다.
그러나 설계 단계에서 전장품 부하 및 배선 회로 요소에 대한 정보가 시점 별로 불충분하고 일부 정보는 설계 담당자의 경험적 예측을 통해 데이터가 완성되므로 최적 설계 보다는 경험적 설계에 의한 시행착오의 과정이 불가피하다. 이로 인해 설계자의 숙련 및 시행착오에 의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의 전압 안정성 평가 방법(2005-0039311)에 대한 공개 특허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 제안된 특허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으로 차량 배선 및 부하에 대한 회로 성능의 사전 평가를 위한 차량 전압 안정성 평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제시된 차량 전압 안정성 평가 시스템은 차량 배선 전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정된 회로에 대한 부하 넷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수치 해석 알고리즘을 통해 판정된 결과를 설계 담당자에게 표시해주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 제안된 차량 전압 안정성 평가 시스템은 배선 회로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판정 결과만을 제시해 줌으로써 설계 요소에 대한 최적 설계안을 결정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차량 전체의 넷리스트 데이터를 입수해야만 판정을 위한 회로 복원이 가능하므로 설계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필요로 하게 되는 일부 부하에 대한 회로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 수치 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판정 기준에 의해 회로 성능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므로 배선 요소의 목표 성능 대비 평가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넷리스트 추출에 의한 회로 복원이나 부하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현 설계 사양에서의 회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평가 기준 대비 회로 성능에 대한 정오 판별이 아니라 설계자가 임의로 설계 목표치를 설정하더라도 이에 대한 자동 검증 및 최적 수치를 제시하고, 제시된 최적 수치를 회로 데이터 상에 자동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 -> 시험 -> 설계 사양 변경의 반복 작업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은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각 전선 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리스트 DB; 상기 배선 회로 판정을 위한 각 전장품 부하의 타입을 자동으로 정의하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 상기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기준 전압 설정부;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는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를 설정하는 설계 목표치 설정부; 상기 각 전선 및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계산하는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 및 상기 단자 전압 및 전류 값과 구속 조건 결과 값을 표시하고, 완료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는 상기 회로리스트 DB로부터 전선길이 데이터를 불러오며, 상기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타입 정의 및 부하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에 상기 계산된 전압 및 전류 값과 설계 목표치를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은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전선 길이 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2 단계; 상기 배선 회로에 따른 전장 부하 타입을 정의하는 제 3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 제 4 단계; 부하의 전기적 특성을 정의 하는 제 5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설계 목표치를 입력하는 제 6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각 전선 및 단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제 7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설계 목표치에 따른 설계 요소 최적 수치를 산출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최적 수치를 상기 배선 회로 구성에 업데이트 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은 상기 각 전선에 대하여 단위 길이당 저항 값과 상기 불러온 길이 값을 바탕으로 저항 소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부하 내부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회로를 검색한 후, 자동적으로 넷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은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100),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각 전선 길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리스트 DB(110), 배선 회로 판정을 위한 각 전장품 부하의 타입을 자동으로 정의하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120),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기준 전압 설정부(130), 부하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는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140),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에 대한 설정을 하는 설계 목표치 설정부(150), 각 전선 및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계산하는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160), 단자 전압 및 전류 값과 구속 조건 결과 값을 표시하고, 완료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설계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은 배선 회로 검증 및 설계 요소에 대한 설계 목표치 대비 최적 설계치 추출, 배선 회로 자동 Update에 이르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방법은 배선 회로 구성, 전선 길이 데이터 Import, 전장 부하 Type 자동 정의, 기준 전압 설정,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 설계 목표치 입력,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 과정 및 회로 자동 Update 단계를 포함한다.
배선 회로 구성은 기본적인 설계 데이터이자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서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전선 및 각 부하, 컨넥터 등의 설계 요소 간 결선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S1)
전선 길이 데이터 Import는 배선 회로 구성 상의 중요 요소 중 하나인 전선에 대한 기본 정보 Import 작업으로서 회로도 상에서 전기적, 논리적 결선 정보가 기술되어 있지만 전선의 길이와 같은 정보는 3D 모델 정보로부터 연계를 통해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3D 모델 생성 시 저장된 각 전선의 길이 데이터를 회로리스트 DB를 통해 Import 한다.(S2)
전장 부하 Type 자동 정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120)가 배선 회로 판정을 위하여 각 전장품 부하에 대한 Type을 정의해야 할 필 요가 있는데, 각 전장품 Naming Rule에 따라 기본적인 부하 Type을 자동으로 정의하고 필요로 한 속성을 자동으로 부여하는 단계이다.(S3) 이때 자동으로 정의되는 부하 Type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기준 전압 설정은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기준 전압을 설정한다. 검증 시 설정되는 기준 전압은 차량의 환경 및 설계 요소의 특성에 따라 자동 혹은 사용자 임의로 설정가능하다.(S4)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회로 모델링부(140)가 배선 회로 검증 시 부하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는 단계이다.(S5)
전장 부하 Type 자동 정의 단계에서 정의된 부하 Type에 따라 전기적인 특성이 달라지는데, 설계 단계에서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부하의 전기적인 특성이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변경에 따른 영향도를 수시로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Unit 내부의 넷리스트나 특성 수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모델링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배선 회로 성능을 검증 할 수 있다. 이때 내부 회로 모델링 시 활용되는 소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설계 목표치 입력은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에 대한 설정이다.(S6)
이는 단순히 배선 회로의 성능에 대해 정오 판정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현 설계 사양에서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를 설정하여 이를 만족하는 최적 수치를 얻어 회로 데이터에 반영 한다. 즉, 전장 부하 Type 정의부(1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된 회로를 가지는 경우 해당 부하(H_LP_HI_LH)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 요소 구성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부하(H_LP_HI_LH)의 성능 보증을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Pin의 단자 전압 값이 13.3V로 인가되도록 설계하며, 이때 상기 부하의 1번 Pin에 결선된 전선(LD3W)의 특성이 상기 부하의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가 되는데, 상기 설계 목표치에서는 LD3W 전선의 길이를 고정시키고 SQ를 변화시켜 상기 설계 목표치를 만족하는 전선의 SQ값을 자동적으로 찾을 수 있다. 한편 LD4W 전선은 SQ를 고정시키고 전선의 길이를 자동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해당 부하(H_LP_HI_RH)의 성능을 만족하는 최적의 길이값을 찾을 수 있다.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160)부가 앞서 수행된 배선 회로 구성 및 전장 부하 모델링을 통해 입력된 회로 요소에 대해 수식적인 계산을 위하여 자동적으로 부하 넷리스트를 생성한다. (S7)
즉, 각 전선에 대하여 단위 길이당 저항 값과 Import한 길이 값을 바탕으로 저항 소자로 변환하고 각 Unit 내부에 대하여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 단계에서 입력된 부하 내부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회로를 검색한 후, 자동적으로 넷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전선 및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을 계산하게 된다.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친 산출부(170)가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 값이 설계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S8) 도달했을 경우, 회로 넷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배선 회로의 각 부하와 전선에 대하여 전압 및 전류 계산 결과를 산출하게 된다.(S9) 이때 설계 목표치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설계 목표치와 설계 목표치를 설정한 부하의 계산 결과를 자동으로 비교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된 목표치와 구속 조건 즉, 전선의 SQ 혹은 길이 고정 여부를 고려하여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게 되는 단자 전압 및 전류 값과 구속 조건 결과 값을 표시하게 된다.
회로 자동 Update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단계에서 얻어진 결과에 대해 설계 담당자가 배선 회로 성능에 대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설계 데이터 상에 자동으로 Update 한다.(S10)
이미 설계 데이터 상에서 각 설계 요소에 대한 속성값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설계 요소의 속성값을 변경시켜줌으로써 배선 회로에 대한 성능 검증과 요구 성능에 대한 결과값 및 최적 설계 수치, 그리고 결과에 대한 자동 Update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계 -> 검증의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배선 설계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 배선에 대하여 배선 회로 성능 평가 시 목표 요구 성능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최적 설계 결과 데이터를 확보하여 배선 회로의 성능 및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결과로 얻어진 최적 설계 결과 데이터를 설계 데이터 상에 자동으로 Update 함으로 써 개발 단계에서 설계 및 검증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개발 단계 단축 및 M/H 소요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각 전선 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리스트 DB;
    상기 배선 회로 판정을 위한 각 전장품 부하의 타입을 자동으로 정의하는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
    상기 배선 회로 성능 검증을 위한 기준 전압 설정부;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는 부하 내부 간이 모델링부;
    설계 요소에 대한 목표 수치를 설정하는 설계 목표치 설정부;
    상기 각 전선 및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계산하는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부;
    상기 단자 전압 및 전류 값과 구속 조건 결과 값을 표시하고, 완료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 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선 회로 설계 제어부는 상기 회로리스트 DB로부터 전선길이 데이터를 불러오며, 상기 전장 부하 타입 정의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선 회로의 부하 타입 정의 및 부하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에 상기 계산된 전압 및 전류 값과 설계 목표치를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설계 목표치 대비 설계요소 최적 수치 산출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전선 길이 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2 단계;
    상기 배선 회로에 따른 전장 부하 타입을 정의하는 제 3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 제 4 단계;
    부하의 전기적 특성을 정의 하는 제 5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설계 목표치를 입력하는 제 6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각 전선 및 단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제 7 단계;
    상기 배선 회로의 설계 목표치에 따른 설계 요소 최적 수치를 산출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최적 수치를 상기 배선 회로 구성에 업데이트 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배선 회로를 구성하는 전선 및 각 부하, 컨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설계 요소 간 결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회로에 사용되는 각 전선의 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부하 타입 정의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차량의 환경 및 설계 요소의 특성에 따라 자동 혹은 사용자 임의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회로 전압/전류 계산은
    상기 각 전선에 대하여 단위 길이당 저항 값과 상기 불러온 길이 값을 바탕으로 저항 소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부하 내부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회로를 검색한 후, 자동적으로 넷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회로 최적 설계 지원 방법.
KR1020050121935A 2005-12-12 2005-12-12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073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5A KR100737582B1 (ko) 2005-12-12 2005-12-12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5A KR100737582B1 (ko) 2005-12-12 2005-12-12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74A KR20070062174A (ko) 2007-06-15
KR100737582B1 true KR100737582B1 (ko) 2007-07-10

Family

ID=3835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935A KR100737582B1 (ko) 2005-12-12 2005-12-12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539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 경로 설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4483B2 (ja) 2014-01-28 2017-11-22 株式会社図研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メモリ媒体
KR101703734B1 (ko) * 2015-12-15 2017-02-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차 제어기 회로 표준 모듈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61A (ja) 1997-04-24 1998-11-13 Hitachi Ltd 回路シミュレータ
JP2000194732A (ja) 1998-12-24 2000-07-14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00285148A (ja) 1999-03-30 2000-10-13 Kawasaki Steel Corp 半導体集積回路設計方法
KR20040013711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라인 커넥터 검증 시스템
JP2005025604A (ja) * 2003-07-04 2005-01-27 Yazaki Corp 負荷電流評価装置、負荷電流評価方法及び負荷電流評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61A (ja) 1997-04-24 1998-11-13 Hitachi Ltd 回路シミュレータ
JP2000194732A (ja) 1998-12-24 2000-07-14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00285148A (ja) 1999-03-30 2000-10-13 Kawasaki Steel Corp 半導体集積回路設計方法
KR20040013711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라인 커넥터 검증 시스템
JP2005025604A (ja) * 2003-07-04 2005-01-27 Yazaki Corp 負荷電流評価装置、負荷電流評価方法及び負荷電流評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539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 경로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2507029B1 (ko) 2021-03-18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 경로 설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74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668B1 (en) Method for cell swapping to improve pre-layout to post-layout timing
US8370808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test case
EP1907956B1 (en) Accelerated analog and/or rf simulation
US6637018B1 (en) Mixed signal synthesis behavioral models and use in circuit design optimization
US20040243373A1 (en) Electromagnetic/circuit co-simulation and co-optimization with parametric layout components
US8196075B1 (en) Generation of input/output models
CN103164585B (zh) 缓冲器的插入方法及装置
US10430529B1 (en) Directed design updates in engineering methods for systems
EP1626359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modelling
KR100737582B1 (ko)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89566A1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system
US6470479B1 (en) Method of verify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eliability and cell library database
US20150169295A1 (en) Design Assistance Device for Control Software
KR19980041010A (ko)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wire hirness) 설계지원장치 및 방법
CN111353265B (zh) 基于Matlab GUI平台的EMI滤波器插损仿真系统及方法
CN111523815A (zh) 一种电网工程评审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868280B (zh) 参数化单元数据更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334806B1 (ko)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하는 입력값의 집합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방법
US20140136155A1 (en) Analyzing hardware designs based on component re-use
KR101291817B1 (ko) 요구사항 모델 기반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5262176B2 (ja) 電源回路の設計支援装置と設計支援方法
CN115146581A (zh) 项目管理方法、缺陷分析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385963B2 (ja) 後に電気システムの電気図をグラフィックス生成するために自動車に関するデータを管理する方法
JP2012154690A (ja) カレントプローブモデル化方法、カレントプローブモデル作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000860A (zh) 施工标准可视化应用方法和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