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195B1 - 수액 장치와 클램프 - Google Patents

수액 장치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195B1
KR100737195B1 KR1020050097902A KR20050097902A KR100737195B1 KR 100737195 B1 KR100737195 B1 KR 100737195B1 KR 1020050097902 A KR1020050097902 A KR 1020050097902A KR 20050097902 A KR20050097902 A KR 20050097902A KR 100737195 B1 KR100737195 B1 KR 10073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locking
infusion
tub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059A (ko
Inventor
마사루 나까니시
다께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30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30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30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4917B2/ja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클램프로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확실히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또한 수액 튜브 폐색 기구의 하류측에 클램프 장전 기구를 배치하고, 또한 클램프를 클램프 장치 수단에 출납할 때에 적절한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홀드감을 부여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수액 장치가 제공된다. 클램프는 수액(4)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주기부와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클램프 장전 수단은 본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의해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수액 튜브 폐색 수단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클램프를 장전할 때에 부기부를 폐색 상태로 이동 압박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아암 부재가 부기부의 측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05058700931-pat00001
클램프, 수액 튜브, 폐색부, 계지부, 탄성 지지부, 도어, 회전 아암 부재

Description

수액 장치와 클램프 {INFUSION APPARATUS AND CLAMP}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점적통(6)의 출구관(7)에 미리 세트한 후에 투명 백 속에 수납하여, 멸균 처리 후에 봉인하여 준비되는 전용 수액 세트(4)와 범용 수액 세트(5)의 정면도.
도2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를 사용 상태로 한 후에, 수액 튜브(2, 3)를 튜브 폐색 부분에서 개방 상태로 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해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b는 상기 수액 튜브(2, 3)를 튜브 폐색 부분에서 폐색 상태로 하는 모습을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3a는 도2a의 전용 클램프(1)의 계지의 구성 부분을 일부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3b는 도2a의 전용 클램프(1)에 의해 수액 튜브(2, 3)를 폐색한 모습을 도시하기 위해 수액 튜브의 길이 방향의 중심면을 따라 파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3c는 수액 튜브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4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를 전방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4b는 전용 클램프(1)를 후방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5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의 정면도, 도5b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범용 클램프(101)의 정면도.
도6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를 대기 위치로 하여 사용 상태로 한 후의 좌측면도, 도6b는 상기 우측면도, 도6c는 상기 상면도.
도7a는 도6a의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에 있어서의 X-X선 화살표 단면도, 도7b는 범용 클램프(101)를 사용 상태로 한 후의 평면도, 도7c는 범용 클램프(101)를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후의 단면도.
도8a는 전용 클램프(1)를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외관 사시도, 도8b는 비교를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8c는 도8a의 X-X선 화살표 단면도.
도9는 수액 튜브(2, 3)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바닥 위에 낙하시킨 모습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도10은 수액 장치(200)에 수액 튜브(2, 3)를 장전하여 도어(204)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1a는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1b는 경사 부재(50)의 외관 사시도.
도12는 수액 장치(200)에 수액 튜브(2, 3)를 장전하여 도어(204)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13a는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하기 전의 모습을 정면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13b는 장전한 후의 클램프 장전 기구를 정면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14는 수액 튜브(2, 3)를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이용하여 폐색 상태로 한 후에, 수액 장치(200)에 장전하는 모습을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15는 수액 장치(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조작 설명도.
도16은 클램프 장전 기구를 하방측에서 본 입체 분해도.
도17a는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장전 전의 클램프 장전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 도17b는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 도17c는 범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
도18a는 도어(204)가 개방되어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하기 전의 상태를 하방에서 보는 동시에 회전 아암 부재(53)를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18b는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9a는 도어(204)가 폐쇄되어 전용 클램프(1)와 회전 아암 부재(53)가 접촉 부재(50)로 압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9b는 도어(204)가 더욱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0a는 도어(204)가 마지막까지 폐쇄되어 로크되어 전용 클램프(1)의 폐색이 해제되어 회전 아암 부재(53)가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0b는 도어(204)의 로크가 해제되어 개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1a는 도어(204)가 더욱 개방되어 회전 아암 부재(53)가 압박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1b는 도어(204)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2a는 전용 클램프가 취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2b는 디스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자동 검출을 위한 동작 설명의 흐름도.
도24는 도어(204)가 개방되어 전용 클램프(1)가 폐색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25는 도24의 동작 설명도.
도26은 도어(204)가 폐쇄되어 전용 클램프(1)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27은 도26의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클램프
2 : 전용 수액 튜브
3 : 범용 수액 튜브
4 : 전용 수액 세트
5 : 범용 수액 세트
7 : 출구관
8 : 병 침
9 : 캡
13 : 커넥터
14 : 캡
15 : 천자침
16 : 캡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27718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3822호 공보
본 발명은 수액(輸液) 튜브의 도중(途中)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사용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한 수액 장치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전용 클램프, 또는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아 점적(点滴)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에 사용되는 범용 클램프 중 어느 하나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 가능하게 한 수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연동식 수액 장치에 따르면,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를 개방하여 수액 튜브를 세트한 후에, 모터 구동되는 복수의 핑거와 압박판 사이에서 수액 튜브를 협지 상태로 유지하고, 모터 구동에 수반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액 장치에 사용되는 수액 세트에는 수액 튜브 선단부의 천자침 옆에 롤러식 크렌메(점적 속도 조절기) 또는 튜브 폐색구가 미리 세트되어 있고, 간호사는 수액의 종료 후에 수액 튜브를 수액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에 롤러식 크렌메 또는 튜브 폐색구 등을 사용하여 폐색하는 것이 의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병원 등에서는 각종 의료 기계가 도입되어 있는 사정 및 숙련 간호사의 부족 등으로부터 상기한 크렌메의 폐색을 잊는 것이 충분히 예측된다. 이로 인해 환자에 대한 안전상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수액 튜브에 대해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 사용되는 클램프를 더욱 세트해 두고, 클램프를 수액 장치측의 클램프 장전 수단에 세트함으로써 수액시에 자동적으로 수액 가능한 해제 상태로 할 수 있고, 수액 종료 후에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에 따라서 클램프를 다시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는 수액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수액 튜브를 자동적으로 폐색하는 수액 튜브 폐색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본원 출원인은 가능하게 수액 튜브를 착탈할 수 있는 클램프와 클램프 장전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27718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382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전자의 제안에 의한 수액 장치에 따르면, 간호사 등이 클램 프를 수액 튜브와 함께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을 바로 이용하여 클램프에 의해 다시 폐색 상태로 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폐색압을 크게 하면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이 커진다. 또한, 클램프는 직경이 큰 구멍부에 연속되는 세로 홈을 갖는 단순한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세로 홈 중에 위치하는 수액 튜브가 간단하게 이동하게 되어 폐색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또한 클램프의 출납시에 적절한 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홀드감이 없으므로 조작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규정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클램프로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또한 수액 튜브 폐색 기구의 하류측에 클램프 장전 기구를 배치하고, 또한 클램프를 클램프 장치 수단에 출납할 때에 적절한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홀드감을 부여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수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규정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로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또한 수액 튜브 폐색 기구의 하류측에 클램프 장전 기구를 배치하고, 또한 클램프를 클램프 장치 수단에 출납할 때에 적절한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한 수액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를 미리 세트한 전용 수액 세트 와,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아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 범용 수액 튜브를 미리 세트한 범용 수액 세트가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각 제안에 의한 수액 장치에 따르면, 상기한 전용 수액 세트에 전용 클램프를 곤포하고, 범용 수액 세트에 범용 클램프를 곤포한 경우에 있어서 전용 클램프와 범용 클램프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청구항 12에 규정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형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사용되는 전용 클램프와,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아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에 사용되는 범용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는 수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2에 규정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 사용되는 전용 클램프와,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아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에 사용되는 범용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는 수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전자의 제안에 의한 수액 장치에 따르면, 간호사 등이 클램프를 수액 튜브와 함께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을 바로 이용하여 클램프에 의해 다시 폐색 상태로 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폐색압을 크게 하면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이 커진다. 또 한, 클램프는 대경 구멍부에 연속되는 세로 홈을 갖는 단순한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세로 홈 중에 위치하는 수액 튜브가 간단하게 이동하여 폐색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제안에 따르면,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되어 다시 폐색 상태로 복귀될 때에 영구 왜곡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수액 튜브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클램프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다른 수액 튜브에 다시 사용되는 결과, 생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청구항 20에 규정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각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수액 튜브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폐색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기구로의 장전 후에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수액이 행해지는 해제 상태가 되고,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되어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아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할 수 있고, 간단하게 클램프를 수액 튜브로부터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수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액 튜브를 복수의 핑거에 의해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구성된 연동식 수액 펌프나, 회전 롤러를 구비한 디스크에 의해 수액 튜브를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는 롤러식 수액 펌프나, 실린지의 피스톤을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는 실린지식 수액 펌프 등의 수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수액 장치 중에서, 수액 튜브를 핑거에 의해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구성된 연동식 수액 펌프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여 착탈 가능하게 이용되는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수액 펌프의 본체측 정위치가 되는 홈부 내에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한 후에, 도어를 폐쇄하여 도어를 본체에 대해 고정한 후, 수액 튜브의 외주면을 펌프 기구로 개별 구동되는 복수의 핑거와, 도어의 받침판 사이에 있어서의 협지 상태로 하여 수액 튜브를 부동 상태로 유지하고, 펌프 기구의 구동에 수반하는 송액을 행한다.
또한, 최근에 와서, 수액 튜브 내의 잔류 약액이 제거시에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안티 프리 플로우식 수액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수액 장치에 사용되는 수액 세트에는 수액 튜브 선단부의 천자침의 옆에 롤러식 크렌메 또는 튜브 폐색구가 미리 세트되어 있고, 간호사는 수액의 종료 후에 수액 튜브를 수액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에 롤러식 크렌메 또는 튜브 폐색구 등을 사용하여 튜브를 폐색하는 것이 의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병원 등에서는 각종 의료 기계가 도입되어 있는 사정 및 숙련 간호사의 부족 등으로부터 상기한 크렌메의 폐색을 잊는 것이 충분히 예측된다. 이로 인해 환자에 대한 안전상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한 안티 프리 플로우식 수액 장치로서 수액 튜브에 대해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 사용되는 클램프를 더욱 세트해 두고, 클램프를 수액 장치측의 클램프 장전 수단에 세트함으로써 수액시에 자동적으로 수액 가능한 해제 상태로 할 수 있고, 수액 종료 후에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에 따라서 클램프를 다시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는 수액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의 제안에 의한 수액 장치에 따르면, 간호사 등이 클램프를 수액 튜브와 함께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을 바로 이용하여, 클램프에 의해 다시 폐색 상태로 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폐색압을 크게 하면 수액 장치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힘이 커진다. 또한, 클램프는 직경이 큰 구멍부에 연속되는 세로 홈을 갖는 단순한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세로 홈 중에 위치하는 수액 튜브가 간단하게 이동하게 되어 폐색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제안에 의한 클램프에 따르면,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되어 다시 폐색 상태가 될 때에 영구 왜곡의 영향으로 정상적으로 복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액 튜브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클램프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다른 수액 튜브에 재사용되는 결과, 생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청구항 30에 규정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폐색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수액 장치로의 장전 후에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수액이 행해지는 해제 상태가 되고,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될 때에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에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아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할 수 있고, 간단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클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0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클램프에 따르면,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폐색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수액 장치로의 장전 후에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수액이 행해지는 해제 상태가 되도록 압박될 때에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될 때에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간단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40에 규정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수액 튜브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폐색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기구로의 장전 후에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수액이 행해지는 해제 상태가 되고,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되어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할 수 있고, 간단히 클램프를 수액 튜브로부터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도어를 폐쇄할 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수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수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0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클램프에 따르면,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낙하시의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으로 폐색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수액 장치로의 장전 후에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수액이 행해지는 해제 상태가 되도록 압박될 때에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수액 장치로부터 취출될 때에 확 실하게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간단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한 동시에, 도어를 폐쇄할 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수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主基部)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에서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副基部)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수액 튜브 폐색 수단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를 장전할 때에 상기 부기부를 상기 폐색 상태로 이동 압박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아암 부재가 상기 부기부의 측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전용 클램프, 또는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고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범용 클램프 중 어느 하나를 장전 및 검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클램프 장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의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이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해제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 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을 구비한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저어널부의 근방에 형성되는 접촉면에 대해 그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2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원 출원인이 일본 특허 공개 평9-151856호 공보 에 있어서 제안한 펠리스탈릭 핑거 방식이며, 각 핑거에 의해 수액 튜브를 상류측과 하류측만 완전히 찌부러트린 폐색 상태로 하는 한편, 폐색된 도중 부위에 대해서는 완전히 찌부러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액 튜브의 두께의 영향을 없앤 정밀도가 좋은 송액을 행하는 수액 방식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완전히 찌부러트림으로써 수액 튜브의 연동 운동을 행하도록 구성된 펠리스탈릭 핑거 방식의 수액 펌프 또는 다른 방식의 수액 장치인 회전 롤러를 구비한 디스크에 의해 수액 튜브를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는 롤러식 수액 펌프 등의 수액 장치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를 점적통(6)의 출구관(7)에 미리 세트한 후에 투명 백 속에 수납하고, 멸균 처리 후에 봉인하여 준비되는 전용 수액 세트(4)와 범용 수액 세트(5)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트(4, 5)를 일부 포개고 있으므로 전용 클램프(1)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지만 범용 클램프(1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세트된다.
또한, 전용 클램프(1)와 범용 클램프(101)를 세트한 전용 수액 세트(4)와 범용 수액 세트(5)의 쌍방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세트(4, 5)를 사용하여 수액 장치에 장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쌍방의 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한다.
도1에 있어서, 전용 수액 세트(4)의 투명 백 내부에는 후술하는 지정된 수액 장치에 장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액 정밀도가 보증할 수 있도록 외형 치수, 두께, 재질, 경도 등이 엄밀하게 관리되어 제조된 길이 약 2 m, 외형 약 5 ㎜ 의 투명한 수지제의 전용 수액 튜브(2)가 권취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이 전용 수액 튜브(2)의 일단부에는 투명 수지로 된 점적통(6)이, 또한 타단부에는 커넥터(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점적통(6)에는 후술하는 수액 백에 천자되는 파선으로 도시한 병 침(8)이 접속되는 한편, 점적통(6)의 출구관(7)(파선 도시)에는 전용 클램프(1)가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세트되어 있다.
병 침(8)에는 캡(9)이, 또한 커넥터(13)에도 캡(14)이 씌워져 있고,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시에 각 캡을 제거하여 커넥터(13)에 대해 동봉된 파선 도시한 천자침(15)을 캡(16)을 제거한 후에 압입하여 세트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수액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 커넥터(13)의 상류측에는 롤러 크렌메(10)가 세트되어 있다. 이 롤러 크렌메(10)는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수지제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 튜브(2)를 삽통한 후에 좌우 벽에 있어서 일부가 비스듬히 형성된 좌우 홈(12)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1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롤러(12)를 도시한 위치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 수액 튜브(2)와 롤러(12)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최종적으로 폐색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롤러 크렌메(10)는 수액 개시 후에 개방 위치에 세트되어 수액 종료 후에 폐색 위치에 세트된다.
이상이 전용 수액 세트(4)에 곤포되는 내용이지만, 범용 수액 세트(5)에 대해서도 대략 동일한 내용의 것이 세트된다. 단, 이 범용 수액 세트(5)의 수액 튜브(3)는 수액 정밀도를 보증할 수 없는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것이고, 점적통(6) 내의 점적수(예를 들어 15 방울에 1 ㎖)를 카운트하는 점적 검출 장치와 함께 사용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준비된다. 따라서, 범용 수액 세트(5)는 점적 검출 장치에 접속하는 만큼 번거롭기 때문에 전용 수액 세트(4)보다도 저렴하게 제공된다. 이상이 각 세트의 내용이지만, 이 밖에도 병 침의 근방에 현수시에 힘을 받아내는 보조 밴드를 설치하는 경우, 공기 벤트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삼방 밸브를 접속하는 경우, 고무 캡을 설치하여 실린지로부터 약액을 주입하는 분기관을 접속하는 경우 등 많은 세트가 있다.
이상의 각 세트에 있어서, 종래의 세트와의 비교에서 특징적인 점은 전용 클램프(1)가 수액 튜브보다 두꺼운 외경의 점적통의 출구관(7)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사용시에 있어서 수액 튜브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이와 같이 미리 전용 클램프(1) 혹은 범용 클램프(101)를 세트해 둠으로써, 각 세트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클램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액 튜브의 변형이나 백을 파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2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를 사용 상태로 한 후에, 수액 튜브(2, 3)를 튜브 폐색 부분에서 개방 상태로 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해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b는 상기 수액 튜브(2, 3)를 튜브 폐색 부분에서 폐색 상태로 하는 모습을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우선, 도2a에 있어서, 클램프(1, 101)는 반복 탄성 변형 가능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나일론계의 폴리아세탈 수지(등록 상표인 듀라콘)로 일체 수지 형성되면 좋다. 또한, 수액 튜브(2, 3)를 폐색하기 위한 한쪽 폐색부(21)를 형성한 주기부(20)와, 수액 튜브(2, 3)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31)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주기부(20)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33)를 거쳐서 해제 방향으로 자연 상태에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34)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주기부(20)와 부기부(34)를 계지함으로써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41a)을 압박함으로써 도2b의 상태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해제 상태로 하기 위한 계지부가 일체 성형된다.
여기서, 클램프(1, 101)는 상기한 수지 성형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수지의 종류는 특히 소각 처분시에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종류가 바람직하고, 또한 금속제, 두꺼운 종이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판 두께(20t)의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주기부(20)로부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 지지부(33)가 일체 성형되어 있고, 이에 연속해서 부기부(34)가 또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제1 탄성 지지부(33)는 판 두께(33t)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2a의 화살표 F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주기부(20)에 형성된 한쪽 폐색부(21)를 향해 다른 쪽 폐색부(31)가 이동하여 수액 튜브(2, 3)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정 판 두께(20t)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22)가 주기부(20)로부터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1 연장 설치부(22)에 있어서 상기한 한쪽 폐색부(21)를 향해 갈고리 형상의 제1 계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연장 설치부(22)의 상하면에는 경사면과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제2 계지부(24, 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기부(34)로부터 연속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2 탄성 지지부(40)는 자연 상태에서는 상기한 다른 쪽 폐색부(31)로부터 항상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탄성 지지부(40)의 단부로부터는, 상기한 제1 연장 설치부(22)를 사이에 잠입시키고, 또한 제1 연장 설치부(22)보다 작은 외주면에 있어서 압박면(41a, 41a)을 각각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상측을 이점 쇄선으로, 하측을 파선으로 도시하였음)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 사이에는 상기한 제1 계지부(23)에 계지하기 위해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제3 계지부(43)가 보강을 겸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의 대향면에는 상기한 제2 계지부(24, 24)에 동시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44, 44)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부기부(34)가 화살표 F1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지부(23)와 제3 계지부(43)가 계지되어 수액 튜브(2, 3)의 폐색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압박면(41a, 41a)을 화살표 F2 방향으로 동시에 압박함으로써, 원호 형상의 제2 탄성 지지부(40)가 안쪽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제3 계지부(43)가 안쪽으로 이동되어 제1 계지부(23)와의 사이의 계지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이 동작에 맞추어 전후하여 제1 탄성 지지부(33)가 갖는 탄성 복귀력에 의해 부기부(34)가 도2a에 도시하는 위치로 복귀되고, 상하의 제2 계지부(24, 24)와 제4 계지부 (44, 44)가 계지하는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수액 튜브(2, 3)의 해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각 계지부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도3a는 도2a의 전용 클램프(1)의 계지의 구성 부분을 일부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b는 도2a의 전용 클램프(1)에 의해 수액 튜브(2, 3)를 폐색한 모습을 도시하기 위해 수액 튜브의 길이 방향의 중심면을 따라 파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2c는 수액 튜브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3a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본 도면에서는 제1 연장 설치부(22)를 상하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 사이에 잠입시킴으로써 대기 위치로 하기 전의 수지 사출 성형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클램프(1, 101)를 수지 사출 성형할 때에, 계지 상태에서는 성형할 수 없으므로 도시한 상태에서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그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에 세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성형 금형에 있어서 가장 언더부가 생기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본 도면에 있어서, 제2 계지부(24, 24)에 동시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44, 44)는 압박면(41a, 41a)에 대략 직교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안쪽을 향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장 설치부(22)에 있어서 후술하는 클램프 장전 수단에의 지나친 삽입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25)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면으로부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규제부(25)를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파지하였을 때에 손가락 끝이 아프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다음에, 도3b에 있어서 상기한 한쪽 폐색부(21)와 다른 쪽 폐색부(31)의 횡단면 형상은 각도(θ)가 45 내지 90도 범위의 소정 각도의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수액 튜브(2, 3)를 폐색 상태로 하였을 때에 정상점간의 거리인 간극(T)이 제로가 되는 것은 아니고, 수액 튜브의 두께부끼리가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제 상태가 되면,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약액을 하류측에 송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이 클램프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이다.
다음에, 도4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를 전방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4b는 전용 클램프(1)를 후방 경사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5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범용 클램프(101)의 정면도, 도5b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의 정면도이다.
도4a, 도4b, 도5a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폐색부(21, 31)로부터는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20a, 38, 35, 28)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38, 35, 28)에는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부(29, 36)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기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연장 설치부(22)와는 역방향이 되도록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26)가 형성 되어 있고, 이 삽입 가이드부(26)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작은 골 형상의 제1 오목부(26a)인 검출 부재가 선단부에 모따기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기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연장 설치부(22)와는 역방향이고 또한 수직이 되도록 보강 가이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기부(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탄성 지지부(40)로부터 역방향으로 보강 리브(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가이드부(30)는 판 형상의 주기부(20)에 대해 직교하는 벽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보강과 후술하는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의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강 리브(37)는 부기부(34)의 보강과 후술하는 회전 아암 부재의 미끄럼 접촉면으로서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5b의 범용 클램프(101)에 있어서 전용 클램프(1)와 크게 다른 구성으로서 검출 부재가 되는 제2 오목부(27a)를 형성한 삽입 가이드부(27)가 전용 클램프(1)의 전체 길이보다 1.5 ㎜ 정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38)와, 이 안내부(38)에 형성되는 돌기부(29)는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치수(㎜)로 도시한 실치수를 갖도록 수지 사출 성형되어 준비된다.
다음에, 도6a는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를 대기 위치에 계지함으로써 사용 상태로 한 후의 좌측면도, 도6b는 상기 우측면도, 도6c는 대기 위치로 이동되기 전의 상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도6a, 도6b에 있어서 돌기부(29, 29)와 돌기부(36)가 폭 치수 4 ㎜의 부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장 설치부(22)는 좌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 사이에 인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탄성 지지부(40)의 폭 치수는 7 ㎜이다.
계속해서 도6c에 있어서, 제2 계지부(24, 24)의 정상점간의 거리는 3.8 ㎜이고, 제2 연장 설치부(41, 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4 계지부(44, 44)간의 거리인 3.3 ㎜보다 0.5 ㎜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대기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4 계지부(44, 44) 사이가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하여 도2에서 도시한 계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7a는 도6a의 수지 사출 성형 후의 전용 클램프(1)에 있어서의 X-X선 화살표 단면도, 도7b는 범용 클램프(101)를 사용 상태로 한 후의 평면도, 도7c는 범용 클램프(101)를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후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도7a에 있어서 제1 안내부(28)는 제2 안내부(35)와 포개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7b에 있어서, 범용 클램프(101)는 범용 수액 튜브(3)를 폐색부(21, 31) 사이에 있어서의 해제 상태로 유지한 후에,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지부(23)와 제3 계지부(43)가 계지되면 파선으로 나타낸 범용 수액 튜브(3)가 폐색되게 된다. 이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의 압박면(41a)을 압박함으로써 제1 계지부와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어 제2 계지부와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대기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각 클램프(1, 10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된 후에 대기 위치가 되도록 계지부가 계지되지만,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클램프(1)를 백색으로, 범용 클램프(101)를 주황색으로 하여 다른 색으로 수지 성형하면 된다.
도8a는 전용 클램프(1)를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외관 사시도, 도8b는 비교를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8c는 도8a의 X-X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우선, 도8a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검출 부재가 되는 삽입 가이드부(26)에는 RFID(IC 태그)(45)가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태그(45)를 상기한 오목부 대신에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41, 41)는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의 피파지부가 되므로 삽입 화살표를 입체 형성한 파지부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다음에, 도8b에 있어서 폐색 상태가 된 수액 튜브(2, 3)를 장전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손가락 끝으로 상하로부터 파지하면 수액 튜브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색부(21, 31)에서의 폐색 상태에 헐거움이 발생하여 액 누설을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돌기부(29, 29)와 돌기부(36, 36)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액 튜브(2, 3)를 도시한 바와 같은 기울기 방향으로 손가락 끝으로 상하로부터 파지해도 폐색부(21, 31)에 직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폐색 상태에 헐거워짐이 발생하지 않고 액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9는 수액 튜브(2, 3)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한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바닥 상에 낙하시킨 모습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닥면 또는 간호사의 신체 일부에 클램프가 충격력을 갖고 닿으면 제2 연장 설치부(41)의 압박면(41a)보다도 먼저 제1 연장 설치부(22)가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무의식중에 떨어뜨리거나 한 경우나, 심하게 취급한 경우에 신체에 닿았을 때에도 수액 튜브의 폐색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안전성의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다음에, 도10은 수액 장치(200)에 수액 튜브(2, 3)를 장전하고, 도어(204)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서는 수액 튜브(2, 3)의 도중 부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한 후에, 도어(204)를 폐쇄하고 나서 도어 로크 레버(207)의 조작에 의해 수액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 있어서,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의 전방면측에 설치되는 조작 스위치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수액 튜브(2, 3)는 도1에서 서술한 세트로부터 취출되어 최상류측에는 소정의 약액을 저장한 수액 백(46)에 병 침을 천자하여 접속되어 있고, 수액 튜브(2, 3)의 도중 부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 장치(200)에 세트한다. 또한, 수액 튜브(2)의 더욱 하류측의 롤러 크렌메(10)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맥 자침의 천자침(15)을 환자의 정맥에 자침함으로써 약액의 주입을 행한다.
이 롤러 크렌메(10)는 클램프(1, 101)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종종 폐색하는 것을 잊을 수 있으므로 클램프(1, 101)가 필요해진다. 수액 백(46)은 도 시하지 않는 스탠드 폴에 현수되는 한편, 점적통(6)은 점적으로 광축이 차단됨으로써 카운트를 행하는 점적통 센서(47)에 세트된다. 특히 범용 수액 튜브(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행하는 것이 필수 조건이 된다. 이상의 세트 후에 예를 들어 베드 위에 누운 환자에 대한 정밀도가 높은 수액이 행해진다.
또한, 표시부는 소위 7 세그먼트 숫자 표시부가 모두「8」이 되는 표시로 되어 있지만, 이는 수치 및 에러,「-」등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수액 장치(200)의 본체의 기부가 되는 동시에, 본체 외주연부의 형상부를 형성한 본체 베이스는 알루미다이캐스트제 또는 강성을 갖는 수지제로 필요한 강도와 정밀도를 확보하는 한편, 이 본체 베이스의 좌측연부를 그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도어(204)를 설치하고, 이 도어(204)의 전방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와 표시부를 배치하여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즉, 조작 스위치류를 배치한 키 패널부(209)와, 표시부(208)가 프레임 인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크게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키 패널부(209)와 표시부(208)는 투명 수지 필름의 이면 상에 소정 항목이 인쇄되는 동시에, 엠보스 가공에 의해 전방에 원형으로 돌기되도록 가공된 수지 필름이고, 도시하지 않는 각 키 톱 부분을 덮도록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어 약액 등이 장치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스위치 키는 공통의 기판 상에 실장되고, 또한 표시부(208)의 LED는 자기 발광하여 야간에도 표시를 보기 쉽게 하고 있다. 각 스위치 키와 표시 장치 및 램프류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대해 가요성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이 케이블로부터 전력 공급 및 구동 신호 등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화장 커버를 설치한 도어(204)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는 전력 공급 및 신호 전달을 지장없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어(204)에 설치되는 키 패널부(209)와 표시부(208)는 TTL 레벨의 상기 신호만을 취급한다.
다음에, 각 스위치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면, 도시한 좌측 구석에 배치되는 전원 스위치(215)는 메인 전원의「온(ON)/오프(OFF)」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초(약 2초 이상) 계속 누름으로써 전원 온이 되고, 다시 소정의 초(약 3초 이상) 계속 누름으로써 전원 오프가 되도록 제어되어 있고, 부주의하게 전원의 온 오프를 할 수 없도록 하여 생각치 못한 사고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이 우측 옆의 배터리 램프(216)는 도시한 바와 같이 3단계로 표시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있어, 전원의 온 오프에 관계없이 교류 또는 전용 직류 전원을 접속하고 있을 때에 점등하여 충전 중인 것을 알리도록 하고 있고, 충전 중에는 충전량을 또한 내장 배터리 사용 중에는 잔량을 3단계 레벨로 LED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배터리 램프(216)의 상방에는 상용 전원이나 직류 전원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 전원이 온일 때만 항상 점등하는 교류 직류 램프(2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에는 수액 중에 누름으로써 내장된 부저가 울리고, 수액을 강제 정지하기 위한 정지 소음 스위치(2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지 소음 스위치(218)는 경보음이 울리고 있을 때에 누름으로써 소음시킬 수 있고, 또한 수액의 준비가 갖추어져 개시 가능한 상태로부터 소정의 초(약 2초 이상) 계속 압박하면「스탠바이 모드」가 되고, 개시를 잊는 것을 주의하는 알람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수술실 내에 있어서 환자에게의 자침이 완료된 상태에서 대기 할 때에, 수액 개시까지의 시간 중에 알람 발생을 행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정지 소음 스위치(218)의 좌측 옆에는 정지 중에 주황색으로 발광하는 다이오드가 점멸하도록 한 정지 표시 램프(221)가 정지 소음 스위치(218)와 같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이도록 하여 관련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정지 소음 스위치(218)의 우측 옆에는 개시 스위치(2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시 스위치(219)를 누름으로써 내장된 부저가 울려 수액 동작을 개시하고, 개시 표시 램프(220)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멸하여 동작 상태인 것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정지 소음 스위치(218)의 좌측 옆에는 빠른 이송 스위치(236)가 설치되어 있고, 이를 압박함으로써 압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설정된 속도(mL/h)보다도 빠른 송액을 행하도록 하여 긴급 사태에 즉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들 각 스위치의 상방에는 표시부(208)로 둘러싸인 하방에 위치하는 유량 예정량 표시부(233)의 표시 자릿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 수단인 업다운 스위치(222)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에 합계 3열분 배치되어 있고,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6개의 스위치의 온에 의해 이들 업다운 스위치(222)의 각 자릿수에 대응한 상하 버튼을 정지 상태에서 각각 누름으로써 유량과 예정량의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업다운 스위치(222)의 자릿수에 따른 열을 누름으로써 0.1 mL/h, 1 mL/h… 단위로 표시가 변화하고, 유량 설정 범위가 최소 1.0 내지 최대 500 mL/h로 설정 가능해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유량 예정량 표시부(233)의 상방에는 전용 클램프(1)가 장전되었을 때에 내장된 램프가 점등하는 전용 클램프 표시부(239)와 범용 클램프(101)가 장전되었 을 때에 내장된 램프가 점등하는 범용 클램프 표시부(238)가 병설되어 있다.
이 유량 예정량 표시부(233)의 상방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프레임 인쇄로 둘러싸인 적산량 예정량 표시부(2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정량 설정의 범위는 상기 업다운 스위치(222)의 각 자릿수에 대응한 상하 버튼을 누름으로써 1 내지 9999 mL의 범위로 설정 가능하고, 1 mL 단위로 설정하거나 또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 그 설정치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액된 적산량을 적산량 표시 범위가 0.0 내지 9999 mL의 범위가 되도록 0.1 mL, 또는 1 mL 단위로 표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들 유량 표시부(233)는 LED 표시이고, 적산량 예정량 표시부(223)도 LED이므로, 야간 내지 어두운 방에서도 조명없이 볼 수 있다.
또한, 적산량 예정량 표시부(223)의 상방에는 각종 알람 문자를 설치한 알람 표시부가 다른 프레임 인쇄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알람 표시부는「완료」의 문자를 점멸로 표시하는 완료 표시부(224)와, 수액 튜브(2, 3)의 폐색 이상이 검출되어 정상적인 수액을 할 수 없을 때에「폐색」의 문자가 점멸하도록 하여 처치를 촉구하는 폐색 이상 표시부(230)와, 도어(204)가 본체 베이스(3)에 대해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을 때에 그 상태가 도어 스위치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도어」의 문자를 점멸시키는 도어 개방 표시부(227)와, 수액 튜브(2, 3) 중에 소정 길이(10 ㎜) 이상의 길이의 기포가 혼입하였을 때에「기포」의 인쇄 문자를 점멸 표시하도록 한 기포 이상 표시부(228)와 내장 배터리의 전압이 저하되었을 때에「배터리」를 점멸 표시하도록 한 배터리 이상 표시부(229)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 프레임으로 둘러싸이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액 튜브(2)의 폐색 검출 경보 압력 레벨을「H」의 높음,「M」의 중간,「L」의 낮음의 3단계로 녹색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배치한 폐색압 설정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미리 설정된 폐색 검출 경보 압력 레벨을 항상 점등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설치 기판 상에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한 가요성 케이블을 거쳐서 전력 공급을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208)의 가장 위에 클램프의 장전을 내장된 램프(237a)의 점등으로 표시하는 클램프 표시부(23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파선으로 일부가 도시된 도어 베이스(204a)는 알루미다이캐스트제 또는 강성이 있는 수지제이고, 디자인 상의 포인트가 되는 곡면을 측면과 전방면 사이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면에 있어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동작 지시기(206)를 설치하고 있다. 이 동작 지시기(206)의 내부에는 적색과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내장되어 있고,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점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송액 중과 빠른 이송 중에는 점멸하고, 스탠바이 기능이 작용하고 있을 때에는 적색과 녹색이 교대로 점멸하여 수액을 바로 개시할 수 있는 상태를 먼 곳에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11a는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1b는 경사 부재(50)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를 개방하고 있고, 설명을 위해 도어(204)는 본체 베이스(203)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의 면이 될 때까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어(204)는 소 정 각도의 약 105도까지 개방되면 정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 부재(50)는 도어(204)에 부착하기 전에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11a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수액 장치(200)는 소정 재질의 수지 재료로부터 수축부나 수지 유동 흔적 등이 없도록 특수 사출 성형되는 본체 화장 커버(212)로 본체 베이스(203)의 네 구석을 덮도록 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본체 화장 커버(212)를 제거함으로써 내부의 모든 부위에 간단히 근접하도록 한 보수 조립의 용이화를 고려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 화장 커버(212) 상에는 운반시에 파지하기 위한 핸들(205)이 고정되어 있다. 본체 베이스(203)는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203m)를 일체 형성하고 있고, 이 홈부(203m) 내에 수액 튜브(2, 3)를 세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홈부(203m)의 하방에는 합계 4개의 나사를 플러스 드라이버로 제거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펌프 기구(20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펌프 기구(201)가 약액 등으로 오염되어 핑거(201a, 201b, 201c, 201d, 201e)의 움직임이 나빠졌을 때에 펌프 기구(201)를 본체 베이스(203)로부터 취출하고, 소정 세제로 세정함으로써 약액을 씻어 버려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펌프 기구(201)에 설치되는 각 핑거는 내약액, 약품성이 우수한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 재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본체 베이스(203)의 하방에는 지면 전방에 돌출되는 한 쌍의 턱부 (203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도어 화장 커버를 설치한 도어(204)를 폐쇄하였을 때에 이 볼록 형상부인 턱부(203a) 상에 도어 화장 커버의 하방측면이 위치함으로써, 어떠한 충격적인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이 턱부(203a)에서 외력을 받아내도록 하여 도어 화장 커버와 도어(204)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본체 베이스(203) 중간의 우측에는 후크(259)가 고정되어 있고, 도어(204)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로크 레버(207)의 계지부(207a)가 이 후크(259)에 대해 계지됨으로써 도어(204)를 본체에 대한 고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홈부(203m)의 최상류측에 대향한 도어(204)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도어 시일 고무(266)가 배치되어 있고, 도어(204)를 폐쇄하였을 때에 본체 베이스(203)는 도시한 형상부(203j)와의 사이에서 접합 시일면을 형성하도록 도어 시일 고무(266)가 변형하도록 하여 내부에 약액 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어 시일 고무(266)는 도어(204)에 고정되는 튜브 압박판(267)에 의해 탈락 방지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형상부(203j)의 하방에는 기포 센서(2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기포 센서(260)는 수액 튜브(2, 3) 내부에 혼입하는 기포 중에서 튜브 내에 있어서의 길이가 소정 길이(예를 들어, 약 10 ㎜)가 되는 소정량(약 0.08 ㏄) 이상의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이후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 기포 검출부인 기포 센서(260)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측에는 튜브 압박부(267b)가 튜브 압박판(267) 상에 일체 형성되어 있고, 도어(204)를 폐쇄하였을 때에 수액 튜브(2, 3)를 부동 상태로 함으로써 정확한 기포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기포 센서(260)의 하방에는 펌프 기구(201)가 위치하고 있지만, 이 펌프 기구(201)의 하방에는 폐색 센서(262)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도록 도어(204)에 배치된 짐벌식 폐색 압박판(269)과 함께 수액 튜브(2, 3)를 지면의 전후 방향에 협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폐색 센서(262)는 영구 자석과 이 영구 자석의 이동 위치를 아날로그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픽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액 튜브(2, 3)의 폐색 상태에 수반하는 내압 변화에 따라서 이동되는 영구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폐색 압박판(269)은 수액 튜브(2, 3)의 모든 방향의 내압 변화를 규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시한 원반은 스프링판(탄성 부재)의 단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가동할 수 있도록 보유 지지된다.
한편, 펌프 기구(201)의 동작 원리는 장착된 수액 튜브(2)를 핑거(201a, 201b, 201c, 201d, 201e)로 압박하여 설정된 시간당 유량으로 지속적으로 수액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CPU)에 기억된 정보에 의해 모터 회전 신호를 생성하고, 이 회전 신호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켜 펌프를 구동하여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각 핑거는 상류측으로부터 제1 핑거, 제2 핑거, 제3 핑거, 제4 핑거, 제5 핑거의 각각이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베이스 내에 있어서 지면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내장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핑거와 제4 핑거의 형상은 다른 제2 핑거, 제3 핑거, 제5 핑거와는 다르다. 즉 제1 핑거와 제4 핑거의 폭 치수(W1)는 다른 핑거의 폭 치수(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핑거와 제4 핑거의 압박면에는 볼록 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핑거를 모두 같은 형상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일본 특허 공개 평09-151856호 공보에 있어서 제안한 펠리스탈릭 핑거 방식을 실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제1 핑거와 제4 핑거의 압박면에 형성된 볼록부에서 수액 튜브(2, 3)를 상류측과 하류측만 완전히 가압 폐쇄하고, 다른 핑거 제2 핑거, 제3 핑거로 도중 부위를 완전히 찌부러뜨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액 튜브의 두께의 영향을 없앤 높은 정밀도의 송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1 핑거와 제4 핑거는 수액 튜브(2)를 완전히 가압 폐쇄할 때에 수액 튜브(2, 3)가 좌우로 넓어지는 상태가 되므로 제1 핑거와 제4 핑거의 폭 치수(W1)는 다른 핑거의 폭 치수(W2)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제5 핑거(201e)는 맥동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상의 연동 운동 방식의 경우에는, 모든 핑거를 제2 핑거(201b)와 같은 편평한 것으로 함으로써 완전히 수액 튜브(2, 3)를 찌부러뜨림으로써 수액 튜브의 연동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어(204)는 본체 베이스(203)에 대해 상하 한 쌍의 힌지 블럭(265)과 파선으로 도시한 핀(261)에 의해 좌측을 향해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표시부(208), 키 패널부(209), 동작 지시기(206)로의 통전 등을 반복 구부림에 강한 가요성 케이블(263)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어(204)의 대략 중앙 부위에는 상기한 펌프 기구(201)에 대향하도록 하여 압박판인 후방 플레이트 기구(2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후방 플레이트 기구(230)는 펌프 기구(201)의 각 핑거에 대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핑거에 의한 압박 작용의 받침면을 형성하는 것이지만, 지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어떠한 과잉 부하가 발생하였을 때에 지면 이면측을 향해 후퇴하도록 하여 수액 튜브(2, 3)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핑거와 제4 핑거는 수액 튜브(2, 3)를 완전히 가압 폐쇄하므로, 이들 핑거에 대향하도록 하여 후방 플레이트 부재(231)가 후방 플레이트 베이스(232)와는 개별로 지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폐색 센서(262)의 하방에는 수액 튜브 폐색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 수액 튜브 폐색 부재(51)와 고정 수액 튜브 폐색 부재(52)가 설치되어 있고, 수액 튜브 폐색 해제 부재(55)가 도어(204)가 폐쇄됨으로써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한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수액 튜브 폐색 부재(51)의 하방에는 클램프 장전 수단의 회전 아암 부재(53)가 설치되어 있고, 클램프의 장전시의 다른 쪽 개구 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 수액 튜브 폐색 부재(52)의 하방에는 가이드 부재(54)가 고정되어 있고 클램프 장전시의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고 있다. 회전 아암 부재(53)의 하방에는 하방 가이드(5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수액 장치(200)의 배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통신 접속 커넥터와 퓨즈 홀더와 교류 전원 커넥터(리셉터클)와 도시하지 않은 메인 실장 기판 상에 실장된 히스토리 스위치와 직류 커넥터 등이 개구부를 거쳐서 외부로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1b에 있어서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의 내측 하방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50)는 도어(204)의 내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회전 아암 부재(53)의 미끄럼 접촉면(53f)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50c)과, 클램프(1, 101)의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50a)과, 제1 연장 설치부(22)가 인입하는 홈부(50b)와, 상기한 제2 경사면(50a)에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골부를 형성하는 제3 경사면(50d)을 소정 수지 재료인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를 이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다.
다음에, 도12는 수액 장치(200)에 수액 튜브(2, 3)를 장전하고 도어(204)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본체 베이스(203)는 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한 펌프 기구(201)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형상부(203t)를 상기한 턱부(203a)와 함께 일체 형성하고 있다.
이 턱부(203a)는 도어(204)와 같거나 약간 높게 성형되어 있고, 도어(204)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본체 베이스(203)는 각 부재의 부착 기부가 되어 있고, 알루미다이캐스트로 된 상판 부재인 상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함으로써 장치의 상면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상부 플레이트의 배면 부분에는 두께 1 내지 2 ㎜ 전후의 철판으로부터 가공되는 배면 부재인 배면 플레이트가 상부 플레이트의 나사 구멍을 마련한 부착부에 있어서 2개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장치 배면측 배면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체 베이스(203)의 하방 부분과 배면 플레이트 사이에는 하부판 부재인 하부판 플레이트가 나사에 의 해 고정되어 있고, 장치의 바닥면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리 하여, 본체 베이스(203)와 상부 플레이트와 배면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의한 단단한 폐쇄 구조의 본체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부 플레이트, 배면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전지 케이스(241)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본체 베이스(203)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와 배면의 플레이트로 내장되는 기구와 기판을 둘러싸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일체화함으로써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는 결과, 만에 하나 낙하시에 기구와 회로 기판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전자파를 차단하여 이 영향에 대해서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본체 베이스(203)의 형상부(203t)의 상하면 부분에는 캠샤프트(24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베어링 블럭이 고정되어 있다. 이 캠샤프트(248)의 상단부의 축 부재에는 기어가 달린 풀리(247)가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에는 출력축에 있어서 상기한 기어가 달린 풀리(247)보다도 작은 직경 또는 같은 크기의 기어가 달린 풀리(241)를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한 스테핑 모터(240)가 고정되어 있고, 각 플리간에 걸쳐지는 기어가 달린 벨트(242)에 의해 스테핑 모터(240)의 회전력을 캠샤프트(248)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플리의 플랜지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만 설치하도록 하여 기어가 달린 벨트를 조립 부착하거나 교환할 때에 스테핑 모터(240)를 제거하지 않고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캠샤프트(248)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각 핑거에 상당하는 편심 캠 형상 부가 정밀도가 확보되어 컴퓨터 제어 가공 장치에 의해 일체 가공되어 있다. 이 캠샤프트(248)는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가 좋은 수액 튜브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유량 정밀도 ±5 % 이내를 보증할 수 있다. 이 일체형 캠샤프트(248)는 SUS304 등의 스테인레스강으로부터 기계 절삭 가공된다. 또한 회전 검출 센서(246)는 기어가 달린 풀리(247)의 상면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상기한 캠샤프트(248)의 회전 위치와 회전수를 판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검출 센서(246)는 상부 플레이트에 있어서 일체 형성된 부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배면 플레이트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40)의 배후에 배치되는 동시에 전원 커넥터 등을 실장한 이면 기판의 부착 기부로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유닛은 모터(240)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거쳐서 전지가 교환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체 화장 커버의 바닥부를 막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이면 덮개가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나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이면 덮개에는 장치 전체를 스탠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 구멍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펌프 기구(201)가 형상부(203t)에 대해 4개의 나사로 고정된 후에는 후술하는 핑거의 소형 래디얼 베어링이 캠샤프트의 캠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는 기어가 달린 풀리를 릴리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캠샤프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시에 있어서 캠샤프트를 조립한 후에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순서의 부정합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은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고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한편, 가요성 케이블(263)은 도시하지 않은 메인 설치 기판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고, 본체 베이스(203)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동시에 소정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실장 기판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를 설치하고 있고, 이 메인 실장 기판을 나사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방 모서리부를 고정한다. 또한, 이 메인 설치 기판은 접지 패턴을 넓게 설정하거나, 각 전자 부품의 설치 패턴을 배려함으로써 외부 소음에 대해 강해지도록 배려되어 있고, 소음 발생이 수반하는 기기가 다수 사용되는 수술실 내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13a는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하기 전의 모습을 정면 경사 상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13b는 장전한 후의 클램프 장전 기구를 정면 경사 상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한쪽 개구 안내부가 되는 가이드 부재(54)에는 클램프(1, 101)의 주기부에 일체 성형된 보강 가이드부(30)에 일치하는 형상 및 내치수를 형성한 개구 홈부(54a)가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 홈부(54a)의 중앙에는 중앙 홈부(54b)가 형성되어 있고, 주기부가 잠입된 후에 제1 연장 설치부(22)에 형성된 규제부(25)가 가이드 부재(54)의 표면(54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규제되어 그 이상의 압입을 할 수 없는 것을 알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전 아암 부재(53)는 제2 탄성 지지부(40)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 및 접촉하는 산부(山部)가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 삽입시의 클릭감을 얻도록 하고 있다. 하방 부재(56)와 가이드 부재(54)는 같은 색의 수지로부터 수지 성형된 부품으로서 준비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 튜브 폐색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 수액 튜브 폐색 부재(51)와 고정 수액 튜브 폐색 부재(52)의 하방에 고정된다.
도14는 수액 튜브(2, 3)를 전용 클램프(1), 범용 클램프(101)를 이용하여 폐색 상태로 한 후에, 수액 장치(200)에 장전하는 모습을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15는 수액 장치(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조작 설명서(57)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클램프(1, 101)가 점적통(6)의 출구관으로부터 제거되어 수액 튜브(2, 3)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폐색 상태로 세트된다.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는 개방되어 있고, 도15의 설명서(57)를 보면서 세트한다. 즉 도어(204)를 개방하여 튜브 폐색 기구를 해제하고, 수액 튜브(2, 3)를 홈부(203m)와 수액 기구(201)의 하방의 빨갛게 착색된 튜브 가이드(268)의 홈에 세트하고, 클램프(1, 101) 중 어느 하나를 클램프 장전 수단의 가이드 부재(54)와 회전 아암 부재(53) 사이에 삽입 가이드부를 앞으로 하여 속까지 넣는다. 이에 이어서 도어(204)를 폐색 레버(207) 조작으로 본체에 고정하면 폐색 상태가 해제되어 해제 상태가 되고 수액 개시의 준비가 갖추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클램프(1, 101)는 폐색 상태로 낙하하면 충격력으로 폐색 상태 가 해제되는 일이 없고, 게다가 도어(204)를 폐쇄하여 폐색이 해제된 후에 클램프가 도2b의 상태로부터 도2a에 도시한 상태로 한 순간에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각 계지부가 영구 왜곡으로 복귀되지 않게 되는 일이 없게 되었다. 즉 도어(204)를 폐쇄하여 폐색이 해제될 때에 클램프의 영구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형상의 클램프로 변경 맞춤하여 도어 연동식 클램프 장전 기구의 안티 프리 플로우 기구로 하였다. 또한 전용 수액 세트와 범용 수액 세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전용 수액 세트와 범용 수액 세트의 쌍방이 사용 가능해지도록 하고, 검출 결과는 조작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였다.
또한, 수액 정밀도가 10 % 보증되는 전용 수액 세트인 경우에는 수액 펌프에 그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범용 수액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튜브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학식 적수 카운터인 점적통 센서(47)로 예를 들어 15, 20, 60 방울에 1 ㎖로서 검출하여, 적수를 세트한 상태에서 사용하는「수액 세트 절환 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적수의 세트를 장치 패널로부터 사용자가 행하는 경우와, IC 태그, 바코드 등의 자동 검출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클램프(1, 101)의 반대로 찌름 방지용 벽부인 보강 가이드부(30)를 설치하였으므로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세트할 때의 손잡이가 되는 단차부인 규제부(25)를 클램프에 설치하였으므로 세트시의 기준이 된다. 단 세트시의 클릭감은 회전 아암 부재의 산부를 타고 넘을 때에 얻도록 하였다. 또한, 제거하였을 때에 간호사가 클램프와 튜브를 동시에 꽉 쥐면 튜브가 절곡 폐색이 해제되어 누설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도 돌기부에서 방지되었다. 또한 전용 수액 세트와 범용 수액 세트의 쌍방에 클램프(1, 101)를 같이 곤포하고, 또한 클램프를 착탈 방지의 형상으로 한 완전 사용 타입으로 함으로써 클램프를 완전 사용 타입으로 한다. 이것으로 역방향 장전된 경우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전용 수액 세트와 범용 수액 세트의 클램프의 색 구분 표시(백색, 주황색)하였으므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다.
다음에, 클램프 장전 기구에 대해 도16의 클램프 장전 기구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입체 분해도와, 도17a의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장전 전의 클램프 장전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와, 도17b의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와 도18c의 범용 클램프(10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클램프 장전 기구의 기능은 도11b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액 장치(200)의 도어(204)의 내측 하방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50)가 도어(204)의 개폐 동작에 의해 회전 아암 부재(53)의 미끄럼 접촉면(53f)을 경사 부재(50)의 제1 경사면(50c)에서 압박하는 동시에, 클램프(1, 101)의 압박면(41a)의 한쪽을 제2 경사면(50a)에서 동시에 압박함으로써 폐색 상태와 해제 상태로 하는 제1 기능과, 전용 클램프(1)와 범용 클램프(101)의 장전 상태를 검출하는 제2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구성은 본 일예이고 기구는 클램프(1, 101)의 형상 치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한 제1 기능과 제2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개별 기구로서 구성해도 좋고,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를 위한 전용 클램프 장전 기구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장전 상태를 광학적 또는 IC 태그에 의해 RF 결합으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도16에 있어서, 도13a, 도13b를 참조하여 서술한 파선으로 도시한 가이드 부재(54)와, 회전 아암 부재(53) 사이에 있어서 클램프(1, 101)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수액 장치(200)의 본체(203)에 고정되는 베이스(58)는 1 내지 1.5 ㎜ 두께의 스테인레스판으로부터 도시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되고, 이 베이스(58)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돌기를 형성한 제1 구부림부(58a)와, 스토퍼를 형성하는 제2 구부림부(58c)와, 가이드 부재(54)로부터 연속하는 제3 구부림부(58d)와, 센서 기판(68)의 고정을 위한 제4 구부림부(58k)와 본체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부착 구멍부(58g)와, 토션 스프링(65)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구멍부(58f)가 프레스 가공되어 있다.
이 베이스(58)에는 또한 고정륜(62)을 끼워 맞추는 홈부를 형성한 큰 스터드 축 부재(59)와, 상기 고정륜(62)을 끼워 맞추는 홈부를 형성한 작은 스터드 축 부재(61)가 수직 방향으로 압입 고정되어 있다.
회전 아암 부재(53)는 수지 재료로부터 도시한 형상이 되도록 예를 들어 PPS 수지로부터 일체 수지 성형하여 준비된다. 이 회전 아암 부재(53)는 상기한 스터드 축 부재(59)에 삽입되는 관통 구멍부(53a)를 일단부에 형성하여 타단부에 상기한 미끄럼 접촉면(53f)과 산부(53b)를 형성하고, 또한 도면 우측 횡면에 미끄럼 접촉면(53d)을 형성한 본체(53k)(일부를 파선 도시)와, 이 본체(53k)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돌기부(53g)를 내측면에 형성한 연장 설치부(53m)와 베이스(58)에 대해 미끄럼 접촉하는 파선으로 도시한 미끄럼 접촉 돌기부(53s)를 본체(53k)의 이면에 일체 형성하고 있다. 이 회전 아암 부재(53)가 상기한 베이스(58)의 스터드 축 부재(59)에 대해 관통 구멍부(53a)가 삽입된 후에 고정륜(62)이 세트되어 빠짐 방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60)은 베이스(58)의 돌기부(58a)와, 회전 아암 부재(53)의 돌기부(53g) 사이에 단부(60a, 60b)가 들어가는 동시에 예압을 발생하도록 자연 상태에서 가볍게 압축되어 세트된다. 이 결과, 본체(53k)의 미끄럼 접촉면(53d)이 상기한 제2 구부림부(58c)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완성된다. 이상으로, 회전 아암 부재(53)는 압축 코일 스프링(60)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축 부재(59)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전용 클램프와 범용 클램프의 판별 수단은 상기한 IC 태그를 검출함으로써 비접촉이면서 또한 확실한 검출을 할 수 있다. 도시한 경우에는 베이스(58)의 축 부재(6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디스크(63)를 설치하고, 이 디스크(63)를 각 클램프의 삽입으로 회전시켜 회전 위치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한정된 용적 내에서 클램프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원반 형상의 디스크(63)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흑색의 수지제로 하는 동시에 회전 중심의 관통 구멍부(63a)와 외주면에 있어서 절결부(63b)와, 오목부(63c)와 토션 스프링(65)의 타단부(65c)가 고정되는 절결부(63d)를 형성하고 있다. 이 디스크(63)는 토션 스프링(65)의 코일 부분이 직경 축소됨으로써 원래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단부(65b, 65c)가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되고, 베 이스(58)의 축 부재(61)에 삽입 후에 고정륜(62)에 이해 빠짐 방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된다.
이 절결부(63b)는 전용 클램프(1)의 제1 오목부(26a)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제2 오목부(27a)가 잠입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각 클램프를 취출하면 토션 스프링(65)의 복귀하고자 하는 힘과 각 오목부(26a, 27a)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힘으로 초기 위치로 회전된다. 이 결과, 약액 부착에 의해 복귀되기 어려워진 경우라도 확실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63)의 회전에 수반하지 않는 오목부(63c)를 검출하는 제1 센서(67)와 제2 센서(66)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상기한 디스크(63)에 걸치도록 센서 기판(68)에 고정되어 있고, 센서 기판(68)을 베이스(58)의 구부림부(58k)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투과식 광학 센서 외에 자기식 등의 검출 원리 센서라도 좋다.
다음에, 도17a, 도17b, 도17c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도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가 장전되기 전에는 디스크(63)의 오목부(63c)를 검출하는 제1 센서(67)와 제2 센서(66)는 각 광축이 차단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63b)는 평행축으로부터 약 15도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또한, 회전 아암 부재(53)는 미끄럼 접촉면(53d)이 평행축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60)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가 개구부를 구성하는 한쪽 개구부가 되는 가이드 부재(54)와 다른 쪽 개구부가 되는 회전 아암 부재(53)의 산부(53b) 사이에 화살표 방향으로 세트됨으로써 도17b에 도시한 상태 또는 도18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즉 전용 클램프(1)가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되면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63)의 절결부(63b)의 접촉면(63b-1)에 전용 클램프(1)의 삽입 가이드부(26)의 선단부가 충돌하고, 이에 전후하여 제1 오목부(26a)에 절결부(63b)의 산부(63b-2)가 인입하고, 축 부재(61)의 주위를 소정각만큼 회전하여 디스크(63)가 정지되고, 제1 센서(67)의 광축이 차폐되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63c)가 검출되게 된다. 이 때, 산부(53b)는 제2 탄성 지지부(40)의 외주면을 타고 넘어 클릭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규제부(33a)가 스토퍼 부재(58c)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삽입이 방지된다.
한편, 도17c의 범용 클램프(10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닥면도에 있어서, 범용 클램프(101)가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63)의 절결부(63b)의 접촉면(63b-1)에 범용 클램프(1)의 삽입 가이드부(27)의 선단부가 충돌하고, 이에 전후하여 제2 오목부(27a)에 절결부(63b)의 산부(63b-2)가 더 깊은 위치까지 인입한다.
이상과 같이, 전용 클램프의 경우보다도 삽입 가이드부(27)가 길기 때문에, 디스크(63)는 다시 소정 각도의 15도 회전한 위치에서 정지되고, 제2 센서(66)의 광축이 차폐되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63c)가 검출되게 된다. 이 때, 마찬가지로 산부(53b)는 제2 탄성 지지부(40)의 외주면을 타고 넘어 클릭감을 부여하면 규제부 (25)가 가이드 부재(54)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삽입이 방지된다.
이상의 장전시에 있어서, 회전 아암 부재(53)는 클램프의 보강 가이드부(30)가 미끄럼 접촉면(53d)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장전 및 누출된다. 이 결과, 압축 코일 스프링(60)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회전 아암 부재(53)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전되어 홀드감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 장전 기구에 대해 도18a의 도어(204)가 개방되어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하기 전의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보는 동시에 회전 아암 부재(53)의 본체(53k)를 크로스 해칭으로 도시한 단면도와, 도18b의 전용 클램프(1)를 클램프 장전 기구에 장전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기초로 서술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여 동작 설명하면, 도어(204)가 개방되면 경사 부재(50)의 제1 경사면(50c)과 제2 경사면(50a), 제3 경사면(50d)이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퇴피한다. 또한, 회전 아암 부재(53)의 본체(53)의 미끄럼 접촉면(53f)은 가이드 부재(54)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수액 튜브(2)를 폐색 상태로 한 전용 클램프(1)가 삽입된다. 이 때 회전 아암 부재(53)의 미끄럼 이동면(53d)은 클램프(1)의 보강 리브(37)에 접촉하므로 적절한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강 가이드부(30)는 가이드 부재(54)의 안내 홈부에 세트됨으로써 표면과 이면을 뒤집은 상태에서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이 때 디스크(63)는 도17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에 이어서, 도18b에 있어서 클램프 장전 기구에 전용 클램프(1)를 클릭감을 얻어 상기한 바와 같이 장전함으로써, 도17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센서(67)로부터의 상기 신호에 의해 전용 클램프(1)가 장전된 것을 수액 장치(200)에 알린다. 다음에, 도어(204)가 화살표 방향으로 폐쇄된다.
도19a의 도어(204)가 폐쇄되어 전용 클램프(1)와 회전 아암 부재(53)가 접촉 부재(50)에서 압박되는 상태가 된다. 즉, 전용 클램프(1)의 압박면(41a)이 경사 부재(50)의 제2 경사면(50a)에서 안쪽의 계지 해제 방향으로 압박되어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 아암 부재(53)의 미끄럼 접촉면(53f)이 경사 부재(50)의 제1 경사면(50c)에서 압박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계속해서, 도19b에 있어서 도어(204)가 다시 폐쇄되어 수액 장치와의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가 1도 전후가 되면, 제2 경사면(50a)에서 전용 클램프(1)의 압박면(41a)이 더욱 압박되어 계지 해제 직전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4)가 마지막까지 폐쇄되어 로크되면 전용 클램프(1)가 해제되어 수액 튜브의 폐색이 해제된다. 이 때 제1 연장 설치부(41)의 압박면(41a)은 탄성력으로 경사 부재(50)의 골부에 떨어져 순간적으로 원래의 자연 상태가 됨으로써 영구 왜곡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전 아암 부재(5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대기 위치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전용 클램프(1)는 보강 리브(37)를 형성한 부기부가 회전 아암 부재(53)측으로 변위한다. 이상으로 수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클램프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나타내는 작용점을 변경하였으므로, 도어(204)를 가벼운 힘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연동 운동에 의한 수액이 행해진다.
이 수액의 종료 후에, 도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4)의 로크가 해제되어 개방되기 시작하면, 회전 아암 부재(53)는 경사 부재(50)의 제1 경사면(50)이 미끄럼 접촉면(53f)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함으로써 전용 클램프(1)를 우측 방향으로 압박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 때 경사 부재(50)의 제2 경사면(50a)은 제1 연장 설치부(41)의 압박면(41a)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4)가 더욱 개방되어 각도 8도 전후가 되면 회전 아암 부재(53)가 압박 위치로 이동되어 전용 클램프(1)는 계지 상태와 수액 튜브의 폐색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에,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4)가 개방되어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22a의 전용 클램프(1)가 취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에 있어서, 간호사는 전용 클램프(1)의 파지부를 상하로부터 쥐고 전방측으로 인출하지만,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은 홀드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취출할 때에 도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63)가 강제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용 수액 세트의 클램프와 범용 수액 세트의 클램프의 자동 검출을 할 수 있고, 또한 클램프 장전시의 평행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비검출부가 되는 절결부를 설치하여 광투과식 센서를 2개 병설하고, 또한 토션 스 프링으로 대기 위치에 디스크를 설치하도록 하여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를 인출할 때에, 디스크는 절결부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므로, 약액 부착(및 건조 후)에 의해 토션 스프링으로 복귀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도 강제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고, 다음번의 사용시에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23은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자동 검출을 위한 동작 설명의 흐름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단계 S1에 있어서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프와 수액 튜브 외가 세트된다. 범용 수액 세트의 경우에는 점적통을 점적 검사 프로브를 구비한 점적 장치에 세트하여, 점적 장치를 수액 장치에 반드시 접속한다.
이에 이어서, 단계 S2에 있어서, 도어(204)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원 추지(215)를 1초 동안 온함으로써 초기화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각 수단의 초기화 및 셀프 체크가 행해져, 어떠한 이상이 있으면 알람을 발생하여 그 후의 동작을 금지한다.
이에 이어서,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전용 클램프(1) 또는 범용 클램프(101)가 세트된 후, 단계 S4에서 도어(204)가 폐쇄됨으로써 클램프를 해제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단계 S5에 있어서 센서(66, 67)에 의해 전용 클램프(1)나 또는 범용 클램프(101)의 검출이 행해지고, 단계 S6에서 전용 클램프(1)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전용 클램프(1)의 표시를 램프의 점등으로 알리는 동시에, 단계 S8로 진행하여 수액 허가를 실행하여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에서 전용 클램프(1)가 아니라 범용 클램프(101)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9로 진행하여 범용 클램프(101)의 표시를 램프의 점등으로 알리는 동시에,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점적 검출 프로브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되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수액 허가를 실행한다. 또한, 단계 S10에서 순서 오류 등으로부터 점적 검출 프로브의 접속을 잊은 경우에는 단계 S11에 있어서 알람을 발생하여 접속을 재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 튜브를 미리 삽입 관통 상태로 할 필요가 없고, 또한 폐색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 동작만으로 클램프에 의한 수액 튜브의 폐색 상태의 해제와, 다시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세트된 클램프가 수액 튜브로부터 부주의하게 제거되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클램프와 클램프를 이용한 수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24는 도어(204)가 개방되어 전용 클램프(1)가 폐색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또는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할애하면, 도어(204)는 본체 베이스(203)에 대해 저어널부가 되는 핀(261)에 의해 좌측을 향해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204)에는 핀(261)의 근방에 접촉면(20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인 베이스(58)에는 축 부재(59)가 실장되어 있고, 회전 부재인 회전 아암 부재(53)가 상기한 바와 같이 축 부재(59)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 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60)은 베이스(58)의 돌기부(58a)와 이동 부재(300)의 돌기부(300a) 사이에 단부(60a, 60b)가 인입하도록 하여 예압을 발생하도록 자연 상태로 압축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된다.
이동 부재(30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도어(204)의 접촉면(204a)에 대해 접촉하는 접촉부(301)를 선단부에 일체 형성하고 있고, 압축 스프링(60)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58)의 축 부재(303)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이동 부재(300)의 축 부재(302)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1 링크 부재(305)가 이동 부재(300)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아암 부재(53)에는 축 부재(304)가 고정되어 있고, 이 축 부재(304)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이동 부재(300)의 축 부재(302)에 대해 표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2 링크 부재(30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링크 부재(305, 306)에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강도적으로 금속제가 좋다. 또한, 링크 부재(306)에는 이동 부재(300)의 형상부(310)에 합치하는 절결부가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상태로부터 그 이상의 이동을 할 수 없도록 규제되어 있다.
도25는 도24의 동작 설명도이며, 압축 스프링(60)의 화살표 D1 방향의 압축력의 작용에 의해 이동 부재(300)는 화살표 D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수반하여 링크 부재(305, 306)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링크 부재(306)에 의해 화살표 D3 방향으로 회전 아암 부재(53)가 이동되어 클램프(1)의 폐색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이어서, 도26에 있어서 도어(204)가 폐쇄되어 전용 클램프(1)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에 있어서, 도어(204)가 폐쇄되면 이동 부재(300)의 접촉부(301)가 핀(261)으로부터 거리(L)의 접촉면(204a)에 있어서 접촉되어 이동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아암 부재(5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전용 클램프(1)가 개방 상태가 된다. 즉, 도27의 도어(204)가 폐쇄되어 전용 클램프(1)가 개방 상태가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에 있어서, 도어(204)가 폐쇄되면 이동 부재(300)가 화살표 D4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축 스프링을 화살표 D5 방향으로 압축 이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링크 부재(305, 306)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살표 D7 방향으로 회전 아암 부재(53)가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 클램프(1)가 개방되는 동시에, 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어(204)를 폐쇄할 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로 수액 튜브를 폐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액 장치의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확실하게 폐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또한 수액 튜브 폐색 기구의 하류측에 클램프 장전 기구를 배치하고, 또한 클램프를 클램프 장치 수단에 출납할 때에 적절한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한 수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1)

  1.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主其部)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副其部)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수액 튜브 폐색 수단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를 장전할 때에 상기 부기부를 상기 폐색 상태로 이동 압박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아암 부재가 상기 부기부의 측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여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상기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계지부를 갖는 제1 계지부와 제3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
    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
    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 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안내부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이면서 또한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에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아암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산부(山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전용 클램프, 또는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고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범용 클램프 중 어느 하나를 장전 및 검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클램프 장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장전되는 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장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범용 클램프의 장전시에 있어서 상기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을 때에 경고 내지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에 설치된 피검출 부재를 비접촉으로 광학식 또는 전파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길이가 다른 검출 부재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검출 부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
    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
    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 2 연장 설치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의 상기 검출 부재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검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보다 깊은 제2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의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한 경사 부재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가 계지되고, 상기 클램프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오목부 또는 상기 제2 오목부가 잠입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력이 전해지는 절결부와, 오목부를 외주면에 형성하여 초기 위치로 회전 압박되는 디스크와,
    상기 오목부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광투과식의 광학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다른 색의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0.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
    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
    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가 계지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폐색 상태로 취출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안내부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 또한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에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아암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30.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이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해제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
    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 또는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9.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의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을 구비한 회전 아암 부재와,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저어널부의 근방에 형성되는 접촉면에 대해 그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회전 아암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2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 유지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와 함께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41. 삭제
KR1020050097902A 2004-10-19 2005-10-18 수액 장치와 클램프 KR100737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4315A JP4473092B2 (ja) 2004-10-19 2004-10-19 クランプ
JPJP-P-2004-00304312 2004-10-19
JPJP-P-2004-00304314 2004-10-19
JP2004304314A JP4473091B2 (ja) 2004-10-19 2004-10-19 輸液装置
JPJP-P-2004-00304313 2004-10-19
JPJP-P-2004-00304315 2004-10-19
JP2004304313A JP4473090B2 (ja) 2004-10-19 2004-10-19 輸液装置
JP2004304312 2004-10-19
JPJP-P-2005-00276429 2005-09-22
JP2005276429A JP4754917B2 (ja) 2004-10-19 2005-09-22 輸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059A KR20060054059A (ko) 2006-05-22
KR100737195B1 true KR100737195B1 (ko) 2007-07-10

Family

ID=3715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902A KR100737195B1 (ko) 2004-10-19 2005-10-18 수액 장치와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7195B1 (ko)
TW (1) TWI3818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33B1 (ko) 2016-04-27 2017-04-12 이상운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102171665B1 (ko) 2020-03-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94B1 (ko) * 2006-09-29 2007-07-23 주식회사세운메디칼 의료용 클램프
US8545458B2 (en) 2009-06-25 2013-10-01 Nestec S.A. Pinch clamp assembly for an infusion cassette
TWI554299B (zh) * 2014-04-17 2016-10-21 弘人工業股份有限公司 點滴輔助推送裝置
TWI674120B (zh) * 2018-06-14 2019-10-11 英華達股份有限公司 輸液設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1787A2 (de) * 2001-11-15 2003-05-22 Arcomed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infusionspum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115A (en) * 1998-10-12 2000-09-12 B. Braun Medical, Inc. Medical tubing slide clamp device for determining proper tubing siz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JP2000237308A (ja) * 1999-02-22 2000-09-05 Ckd Corp 輸液ポンプ
JP4369139B2 (ja) * 2002-06-17 2009-11-18 テルモ株式会社 クランプとこれを用いた輸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1787A2 (de) * 2001-11-15 2003-05-22 Arcomed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infusionspum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33B1 (ko) 2016-04-27 2017-04-12 이상운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KR102171665B1 (ko) 2020-03-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1861B (zh) 2013-01-11
KR20060054059A (ko) 2006-05-22
TW200613023A (en) 200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917B2 (ja) 輸液装置
EP1180376B1 (en) Infusion pump
KR100737195B1 (ko) 수액 장치와 클램프
KR100753748B1 (ko) 수액 장치
CN100558417C (zh) 输液装置及夹子
US7264148B2 (en) Drug container and drug infus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0843563B1 (en) Systems for cassette identification for drug pumps
EP2345441B1 (en) Syringe pump
WO2014049661A1 (ja) 輸液ポンプ
CN102256642A (zh) 药剂投予装置
WO1999024093A1 (fr) Appareil medical
CN104540533A (zh) 输液泵
JP4369139B2 (ja) クランプとこれを用いた輸液装置
JPH09122237A (ja) シリンジポンプ
JP4949700B2 (ja) 輸液チューブ装填補助具および輸液装置
WO2014049656A1 (ja) 輸液ポンプ
JP4473092B2 (ja) クランプ
JP3124022U (ja) 輸液装置
JP4473090B2 (ja) 輸液装置
JP4121485B2 (ja) 薬液断続弁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4473091B2 (ja) 輸液装置
JP3140940U (ja) 経腸輸液ポンプ
JP7144465B2 (ja) 造影剤注入装置及び注入ラインキット
JP3581695B2 (ja) シリンジポンプ
CN115023251A (zh) 造影剂注入装置以及注入管线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