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47B1 - 수소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47B1
KR100736947B1 KR1020070005507A KR20070005507A KR100736947B1 KR 100736947 B1 KR100736947 B1 KR 100736947B1 KR 1020070005507 A KR1020070005507 A KR 1020070005507A KR 20070005507 A KR20070005507 A KR 20070005507A KR 100736947 B1 KR100736947 B1 KR 10073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torage
hydrogen
storage device
discharge
hydroge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전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버셜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버셜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버셜에너지
Priority to KR102007000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17C11/005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for 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저장(반응)과정 중 발생되는 반응열을 저장장치 외부로 신속하게 열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소의 저장 및 방출과정에서의 수소저장합금의 유동성으로 인한 수소저장합금의 밀도차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소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소정 용량의 수소저장합금이 채워지는 충전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을 관통하여, 내부로 수소가스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입밸브가 설치된 주입관과; 상기 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차단시키는 토출밸브가 설치된 토출관과; 상기 몸체의 내면에 고정되어, 높이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수소저장합금의 저장 공간이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하나이상의 열전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소저장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수소저장장치, 수소저장합금, 열전도판, 수소가스

Description

수소저장장치{HYDROGEN STOR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의 단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의 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요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군을 이루는 수소저장장치의 사용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수소저장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소저장장치 (10) : 몸체
(10a) : 상부커버 (10b) : 하부커버
(11) : 주입관 (12) : 토출관
(15) : 공급관 (16) : 배출관
(20)(20') : 열전도판 (20a)(20a') : 구멍
(30) : 수소저장합금 (40) : 매니폴드형 이동관
(40a) : 미세홀 (110) : 주입밸브
(120) : 토출밸브
본 발명은 수소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가스의 저장 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저장장치 외부로 신속하게 열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수소의 저장 및 토출과정에서의 수소저장합금의 유동성으로 인한 수소저장합금의 밀도차 및 온도편차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저장효율을 향사시키도록 하는 수소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최근 고정 또는 이동장비의 대체연료로서의 수소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수소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소는 일반적으로 상온, 대기압 상태에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체적당 에너지밀도가 낮고 운반 및 저장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소저장방법의 지속적인 기술발전을 통한 수소의 저장은 기체, 액체상태로의 저장뿐만 아니라, 활성화탄소에 수소흡착, 수소저장합금에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하여 수소저장탱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소저장합금이 수소를 흡수하여 저장할 때는 발열반응이 발생하고 수소를 방출할 때는 흡열반응을 일으키므로 이와 같은 반응을 감안하여 수소저장탱크를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한다.
종래 수소저장합금 수소저장탱크의 구조는 모두 수소의 통로로 탱크의 중앙 부분에 원통형의 금속 메쉬 또는 필터를 장착하여 수소의 장입이나 방출을 도모하고 있으며 탱크 외벽과 합금과의 열전달을 위한 구조물이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의 외벽도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핀(금속핀)을 탱크의 외벽과 수직으로 설치한다.
도 5는 종래의 수소저장장치(반응기)의 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소정 용량의 충전공간이 구비되며, 그 상,하부에 용접에 결합되는 상,하부커버에 의해 밀폐공간이 제공되는 몸체(100)와; 상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외부로 일정 압력의 수소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밸브체(200)와; 밸브체에 연결되어 수소가스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공상의 관로로 이루어지는 여과체(300)와; 여과체와 둘레에 충전되는 수소저장합금(500)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키도록 몸체의 높이방향에 길게 형성되면서 다수의 요철이 구비되고, 관로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열전도체(400)를 포함하는 수소저장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소저장장치는, 몸체(저장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열전도체(400)를 통한 전열면적의 확대로 인한 전열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태로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열전도체에 신속하게 전달되어 급속충전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저장용기내의 수소저장합금은 수소가 흡수될 때에는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수소를 토출할 때에는 수축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소가스의 저장(반응)이 장기간 걸쳐 발생됨에 따라 수소저장합금이 미분화하게 된다. 이렇게 미분화된 수소저장합금이 저장용기의 하부에 쌓이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 하부 간에는 수소저장합금의 밀도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소저장합금과 수소가스가 반응(저장)할 시에는 저장용기의 상부와 하부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종래의 수소저장장치와 같이, 수소저장합금에 수소가스가 흡수되려면 수소저장합금의 입자들 사이에 수소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수소저장합금의 미분화 현상에 의해 밀도가 높아져 수소가스의 반응성(저장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저장을 위한 수소의 공급과, 저장된 상태에서의 수소가스의 배출이 동일한 입, 출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바, 수소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외부장치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다가, 저장된 수소가스가 완전히 소모된 후에는 외부장치로부터 탈거하여, 다시 별도의 수소가수 공급 장치에 결합하여 새로운 수소가스를 보충하여야 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경우, 수소가스를 원료로 하는 연속적인 작동을 요구하는 공장지대의 설비, 냉난방용 보일러 등과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장치에 채워지는 수소저장합금은,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높여주게 되면 수소를 흡수하여 금속수소화합물이 되고, 반대로 온도를 올리거나 압력을 낮추면 다시 수소를 방출하게 되다. 이때 수소를 흡수할 시에는 이와 동시 열을 발산하고, 반대로 수소를 방출할 시에는 이와 동시 열을 흡 수하게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소저장합금의 성분에 따른 수소가스의 흡수 및 방출의 양과 속도의 다양성과 난이성은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소저장합금이 채워진 수소저장장치 내부에서 흡착 저장 중인 수소가스의 대류이동을 활성화하고, 발생되는 반응열을 저장장치 외부로 신속하게 열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소의 저장 및 방출과정에서의 수소저장합금의 유동성으로 인한 수소저장합금의 밀도차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소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용량의 수소저장합금이 채워지는 충전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로 수소가스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입밸브가 설치된 주입관; 상기 하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차단시키는 토출밸브가 설치된 토출관; 상기 몸체의 내면에 고정되어, 높이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수소저장합금의 저장 공간이 연통되도록 수 소저장합금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을 가진 망이 설치된 구멍을 갖는 하나이상의 열전도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이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하 이웃하는 열전도판에 형성된 구멍이 상호 엇갈리게 설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이웃하는 열전도판의 간격을 좁게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고 하단이 토출관에 연결된 채, 상기 열전도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각각 관통하여 배치되어, 관상에 수소저장합금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매니폴드형 이동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저장장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일군으로; 외부 수소가스 공급기와 연결되어, 각각의 수소저장장치의 주입관에 설치된 주입밸브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구성하고; 각각의 수소저장장치의 토출관에 설치된 토출밸브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수소가스를 외부 소모장치로 공급하는 배출관을 구성하며; 상기 주입밸브 및 토출밸브는 3방 밸브로 설치 구성되어, 다수개의 수소저장장치들 중, 수소가스가 선택적으로 유입 저장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를 보이는 것으로, 수소저장장치(1)는, 수소저장합금(30)이 채워지는 충전 공간(수소의 저장 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10a)(10b)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10)와; 상부커버(10a)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10)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수소가스를 이동시키는 주입관(11)과; 상기 하부커버(10b)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토출관(12)과;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중력방향인 높이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저장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멍(20a)을 형성한 하나이상의 열전도판(20); 및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수소저장합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입관(11) 및 토출관(12)에는 수소가스의 입, 출을 제어하는 밸브(110)(12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와 상하커버(10a)(10b)는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주입관(11) 및 토출관(12) 상에는 금속 메쉬 또는 필터(11a)(12a)를 장착하여 수소가스의 장입이나 방출을 도모하며, 이때 내부에 저장된 수소저장합금(30)이 주입관(11) 및 토출관(12)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열전도판(20)은 알루미늄재질의 몸체(10)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10)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20)에 형성된 구멍(20a)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수소저장합금(30)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을 갖는 망(21)이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열전도판(20)에는 다수개의 구멍(20a)을 형성하되, 높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열전도판(20)의 구멍(20a)들을 상호 엇갈리게 형성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 열전도판(20)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몸체(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열전도판(20)의 간격을 좁게 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수소저장합금(30)은 몸체(10)와 열전도판(20) 및 상,하부커버(10a)(10b)의 일체화 작업 전기 충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가스의 유입이 활성화되는 몸체(10)의 입구측인 상부에는 비교적 작은 입도를 가지는 수소저장합금을 충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몸체(10)내에 충전되는 수소저장합금(30)은 히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련 공지의 특정 히토류 금속의 혼합비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1)는, 외부 가압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는 수소가스는 주입밸브(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입관(11)을 통해 몸체(10)내부로 유입하게 되며, 먼저 몸체(10)의 최 상단 내부공간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30) 층을 지나며, 일부는 흡착 저장되는 과정을 거치는 동시 열전도판(20)의 구멍(20a)을 지나 아래측 저장 공간의 수소저장합금(30) 층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흡착 저장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몸체(10)의 최 하단까지 이동되어 전체적인 흡착 저장이 완료된다.
이때, 이웃된 열전도판(20)의 상호 엇갈림 상태를 취하는 구멍(20a)들을 통 해, 각각의 내부공간에 층별로 충전된 수소저장합금(30)내를 대류이동하며, 내부공간 내의 수소저장 밀도를 고르게 분포시키게 된다.
아울러, 몸체(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열전도판(20)의 간격을 좁게 배치함으로서, 수소가스가 유입되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많이 발생되는 반응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열전도판(20)은 장시간에 걸쳐 반복된 수소저장을 거듭함에 따른 밀도차에 의한 수소저장합금(30)의 유동을 차단하여 높이방향에 따른 밀도의 균일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도달하는 수소가스의 유동시간의 의해 수소저장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나, 내부 공간 내 많은 양의 수소저장을 저장장치의 열적 부담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치의 다른 예를 보이는 것으로, 이에 따른 수소저장장치(1')는, 수소저장합금(30)이 채워지는 충전 공간(수소의 저장 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10a)(10b)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10)와; 상부커버(10a)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10)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수소가스를 이동시키는 주입관(11)과; 상기 하부커버(10b)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토출관(12)과;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중력방향인 높이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저장 공간이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20a')을 형성한 하나이상의 열전도판(20')과; 상단이 주입관(11)에 연결되고 하단이 토출 관(12)에 연결된 채, 열전도판(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0a')들을 각각 관통하여 배치되는 매니폴드형 이동관(40)과;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수소저장합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품에 관하여서는 동일부호를 인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혼동을 피해 생략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의 관상에는 충전된 수소저장합금(30)의 크기보다 작은 미세홀(40a)이 형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의한 열전도판(20')에 형성된 구멍(20a')은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을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의 개수만큼 형성 배치되는 것이다.
물론, 도 3에 도시되기로는 열전도판(20')의 구멍(20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을 3개소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몸체()의 충전크기에 따라 늘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1')는, 외부 가압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는 수소가스는 주입밸브(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입관(11)을 통해 유입되며, 먼저 몸체(10)의 하단까지 연장된 매니폴드형 이동관(40)내에 채워져, 이후 매니폴드형 이동관(40)에 형성된 미세홀(40a)통해 열전도판(20')에 의해 구획된 각 층별 수소저장합금(30)에 동시 흡착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을 통해 단시간에 수소가수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제2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형 이동관(40)을 부가 형성한 수소저장장 치(1')의 경우, 주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수소가스가 몸체(1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며 빠른 흡수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해 그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수소저장합금(30)이 충전되는 체적의 축소로 인해 일 회 충전(저장)할 수 있는 수소가스의 양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으나, 빠른 시간 내 수소가스의 저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바, 수소가스의 급속충전(저장)을 필요로 하는 곳에 효과적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로 구성된 수소저장장치를 보이는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 혹은 제2실시예에 의한 수소저장장치(1)(1')를 다수개로 구성한 일군의 수소저장장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일군의 수소저장장치는, 외부 수소생성기(2)를 통해 발생된 수소가스는 일정압력으로 공급하는 가압공급기(3)를 거쳐 공급관(15)을 따라 유입되고, 이 공급관(15)에 병렬식으로 각각의 수소저장장치(1)(1')가 배치된다. 아울러, 각각의 수소저장장치(1)(1')의 토출관(12:도 1참조)이 병렬 연결되게 배출관(16)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외부의 수소가스 소모장치(4)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공급관(15)과 각각의 주입관(11:도 1참조), 및 배출관()과 각각의 토출관의 연결부에 설치 구성되는 주입밸브(110), 및 토출밸브(120)들은 3방 밸브인 것으로 하여, 공급관(15) 및 배출관(16)으로부터 유, 출입되는 수소가스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군의 수소저장장치를 통해, 일군의 수소저장장치에 대해 동시 수소 가스의 충전(저장)을 수행하고 동시 사용에 따른 수소가스의 동시 배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외부 소모장치(4)의 연속적인 수소가스의 소모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방 밸브구조를 이루는 주입 및 토출밸브(110)(120)의 선택적인 개방 혹은 차단을 통해, 일군의 수소저장장치들 중, 일부의 수소저장장치가 사용 중이라 하더라고 다른 나머지 수소저장장치에 대한 수소가스 충전(저장)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소가스의 충전 시 발생되는 전열을 신속히 전달시키는 것과 더불어 내부 구획공간을 제공하는 격막역할을 겸하는 열전도판을 통해 수소저장합금의 유동을 구획된 공간 내로 차단하여 줌으로서, 전체적인 내부공간에서의 수소저장합금의 밀도 및 온도 편차의 균형을 유지하여, 균일한 내부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로 이루어진 수소저장장치를 통해, 외부장치의 연속적인 작동 중 필요로 하는 수소가스의 충전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소정 용량의 수소저장합금이 채워지는 충전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로 수소가스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입밸브가 설치된 주입관;
    상기 하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차단시키는 토출밸브가 설치된 토출관;
    상기 몸체의 내면에 고정되어, 높이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수소저장합금의 저장 공간이 연통되도록 수소저장합금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을 가진 망이 설치된 구멍을 갖는 하나이상의 열전도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하 이웃하는 열전도판에 형성된 구멍이 상호 엇갈리게 설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이웃하는 열전도판의 간격을 좁게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
  4. 소정 용량의 수소저장합금이 채워지는 충전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를 통해 밀폐되는 몸체;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로 수소가스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입밸브가 설치된 주입관;
    상기 하부커버에 관통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차단시키는 토출밸브가 설치된 토출관;
    상기 몸체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에 대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웃하는 공간이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 다수개의 열전도판;
    상단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고 하단이 토출관에 연결된 채, 상기 열전도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각각 관통하여 배치되어, 관상에 수소저장합금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매니폴드형 이동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장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일군으로,
    외부 수소가스 공급기와 연결되어, 각각의 수소저장장치의 주입관에 설치된 주입밸브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구성하고,
    각각의 수소저장장치의 토출관에 설치된 토출밸브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수소가스를 외부 소모장치로 공급하는 배출관을 구성하며,
    상기 주입밸브 및 토출밸브는 3방 밸브로 설치 구성되어, 다수개의 수소저장장치들 중, 수소가스가 선택적으로 유입 저장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장치.
KR1020070005507A 2007-01-18 2007-01-18 수소저장장치 KR10073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507A KR100736947B1 (ko) 2007-01-18 2007-01-18 수소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507A KR100736947B1 (ko) 2007-01-18 2007-01-18 수소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947B1 true KR100736947B1 (ko) 2007-07-09

Family

ID=385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507A KR100736947B1 (ko) 2007-01-18 2007-01-18 수소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785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 장치
CN109516438A (zh) * 2019-01-22 2019-03-26 内蒙古科技大学 一种工业废气中氢气的分离提纯回收工艺
KR102105883B1 (ko) * 2019-11-05 2020-04-29 장진구 기능 개선형 액화수소 연료탱크
KR20200072614A (ko) *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장치
CN112682689A (zh) * 2019-10-17 2021-04-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连续填充性能评估和容量特定填充性能评估的通用的氢填充性能评估系统
CN114636091A (zh) * 2022-04-19 2022-06-17 江苏集萃安泰创明先进能源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环流型换热的固态储氢罐
KR20230024602A (ko) * 2021-08-12 2023-02-21 (주)더하이드로젠 고체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수소 저장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785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 장치
KR102430095B1 (ko) * 2015-11-30 2022-08-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 장치
KR20200072614A (ko) *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장치
KR102634450B1 (ko) * 2018-12-12 202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체 수소 저장장치
CN109516438A (zh) * 2019-01-22 2019-03-26 内蒙古科技大学 一种工业废气中氢气的分离提纯回收工艺
CN112682689A (zh) * 2019-10-17 2021-04-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连续填充性能评估和容量特定填充性能评估的通用的氢填充性能评估系统
KR102105883B1 (ko) * 2019-11-05 2020-04-29 장진구 기능 개선형 액화수소 연료탱크
KR20230024602A (ko) * 2021-08-12 2023-02-21 (주)더하이드로젠 고체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수소 저장장치
KR102583833B1 (ko) * 2021-08-12 2023-10-24 (주)더하이드로젠 고체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수소 저장장치
CN114636091A (zh) * 2022-04-19 2022-06-17 江苏集萃安泰创明先进能源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环流型换热的固态储氢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947B1 (ko) 수소저장장치
JP5760000B2 (ja) 金属水素化物を有する水素貯蔵タンク
JP4477432B2 (ja) 改質器
KR20120134112A (ko) 수소 저장 유닛
KR20120104182A (ko) 수소 및/또는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탱크
RU2008141143A (ru) Теплообменный реактор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для эндотермической реакции в неподвижном слое
JP2017538905A (ja) 複数の積層された階層を備える金属水素化物水素貯蔵タンク
KR100979470B1 (ko) 수소 저장장치
US20140238634A1 (en) Reversible metal hydrid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devices, and process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US4723595A (en) Heat exchanger using hydrogen storage alloy
CN106662411A (zh) 用于储存液体的设备
ES2907065T3 (es) Reactor para recibir un material de almacenamiento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WO2019019794A1 (zh) 板式模块化控温反应器
US10589247B2 (en) Reactor apparatus for loading a carrier medium with hydrogen and/or unloading it therefrom and plant comprising a reactor apparatus of this kind
KR101472335B1 (ko) 가스저장탱크
RU167781U1 (ru) Металлогидрид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водорода многократного действия с улучшенным теплообменом
JPS5925956B2 (ja) 金属水素化物容器
CN210174625U (zh) 储氢装置及氢动力车辆
RU164881U1 (ru) Металлогидридный реактор хранения и очистки водорода
TW201221822A (en) Hydrogen storage device
KR100989885B1 (ko) 수소저장 장치
CN109642776B (zh) 蓄热系统、蓄热容器、使用蓄热容器的蓄热装置及使用蓄热装置的暖气装置
ES2350278T3 (es) Reactor intercambiador de combustión interna para reacción endotérmica en lecho fijo.
JP5783525B2 (ja) ケミカルヒートポンプ及び熱回収方法
JP2002295798A (ja) 水素輸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