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41B1 -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741B1
KR100736741B1 KR1020070021092A KR20070021092A KR100736741B1 KR 100736741 B1 KR100736741 B1 KR 100736741B1 KR 1020070021092 A KR1020070021092 A KR 1020070021092A KR 20070021092 A KR20070021092 A KR 20070021092A KR 100736741 B1 KR100736741 B1 KR 10073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ing
injection molding
mol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덕
Original Assignee
(주)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5035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367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 filed Critical (주)지티
Priority to KR102007002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봉과 전선의 연결부위의 누수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품질 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는, 발열봉과 전선의 연결부위를 포함하여 전선의 전체에 걸쳐 에폭시 수지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제조방법은, 긴 전선을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연결부(100a)와 수지 피복(100b)을 한번의 사출성형작업으로 가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일정 구간(S) 단위로 사출금형에 안착시켜 일부 구간을 사출 성형한 후, 성형 완료된 구간에 연이어서 다음 구간을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발열봉, 절연, 누전, 누수차단, 사출성형, 전선피복

Description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IRC HEATER COATED BY RESIN}
도 1은 발열봉과 전선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에 관한 종래기술의 개념 설명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한국 특허출원 제10-2006-0058079호)에 의한 연결부 보호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제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사출금형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사출가공 공정의 순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작업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서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선 2: 발열봉
10: 하부금형 21: 모터
25: 스페이서 28: 밀폐구
100: 사출성형부 100a : 연결부
100b: 전선 피복부 100c : 발열봉 피복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7945호(2006.06.07.공고)
도전성 카본발열체를 감싸는 절연외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열봉 양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결합하기 위하여, 일단은 상기 전선에 감기고 타단은 쐐기형상으로 구성하여 이 쐐기부가 발열봉 양단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본 발명은 학교, 주택, 공장, 노면이나 공항 활주로면 등에 설치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밀성을 향상시켜 누전에 의한 전력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생산성 제고 및 제품 불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호커버가 연결되어 있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는 주택, 학교, 공장, 공항 활주로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플러그(P)와, 상기 플러그(P)에서 분기된 두 가닥의 전선(1)과, 상기 두 가닥의 전선(1)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열봉(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1)과 발열봉(2)의 연결부위는 보호커버(4)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1)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1a)와 상기 도체를 감싸는 외피(1b)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봉(2)은 발열체(2a)와 상기 발열체(2a)를 감싸는 외피(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선(1)과 발열봉(2)의 전기적 연결은 전선의 외피(1b)를 벗겨 노출된 도체(1a)와 발열봉의 발열체(2b)를 전도성 연결구(3)가 연결한다.
상기 발열봉의 양단부와, 발열체의 양단에 연결시키기 위해 노출된 전선의 도체부분은 누전과 같은 전기적 안전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수분과의 접촉이 차단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보호커버는 이러한 수밀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전기적 안전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선과 발열봉의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감싸 결합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등분된 T자형의 보호커버로 연결부위를 감싼 후 초음파 또는 고주파를 이용해 용융결합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초음파 또는 고주파에 의한 용융결합은 보호커버와 전선, 보호커버와 발열봉 사이를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밀착결합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수밀성이 보장되지 않아 누전문제가 많 이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2006년 6월 27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6-0058079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에서는 상기한 종래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자형 보호커버를 제1분체와 제2분체로 구성하여 연결부를 감싸도록 하되,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의 돌출부(11)와 요홈부(12)가 암수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제1분체와 제2분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부(18)에 충진제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보호커버(10)에 천공되어 있는 충진제 주입공(20)을 형성함으로써, 내부를 실리콘과 같은 충진제로 완전히 채움으로써 습기기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습기가 유입되더라도 실리콘이 전선과 발열선을 밀착하여 감싸고 있으므로 전선의 도체와 발열선의 발열체에 습기가 유입될 수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에 의해 제품을 생산해 본 결과, 충진제 주입작업이 수작업에 의존될 수밖에 없는 작업여건의 한계로 인하여 품질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능률 저하가 초래되어 결국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각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봉과 전선의 연결부위의 누수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품질 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는, 도전성 카본발열체와 이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외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카본발열체에 통전하기 위한 전선; 및 일단은 상기 전선과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열봉에 삽입 결합되어 통전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의 양단 일부를 포함하여 전선의 전체에 걸쳐 에폭시 수지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등간격으로 외피(1b)가 제거된 노출부를 갖는 전선을 준비하는 단계와; 결합부재로써 상기 전선의 노출부와 발열봉의 단부를 통전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작업단계와; 상기 연결작업이 완료된 반제품의 하나 이상의 연결부위를 포함하는 구간을 수용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연결작업이 완료된 반제품의 전선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금형 내에 위치되도록 설정하는 세팅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폐한 후, 스프루(sprue)를 통해 에폭시수지를 사출금형 내부에 충진하여, 전선과 발열봉과의 연결부 및 금형 내부의 전선 전체길이에 대해 수지를 코팅하는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사출성형이 완료되어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개한 후에, 일정 거리만큼 반제품을 전진시키 는 이송단계와; 이송된 반제품의 전선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금형 내에 위치되도록 설정하는 반복 세팅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폐한 후, 상기 사출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끝단부에 연결하여 수지를 코팅하는 반복 사출성형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단계, 반복 세팅단계 및 반복 사출성형단계를 반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발열봉(2)과 전선(1)의 연결부위는 물론 전선까지도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일체로 수지층을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수밀성이 요구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제고 및 제품 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제품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발열봉(2)의 양단 일부를 포함하여 전선(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사출성형에 의해 에폭시 수지가 일체로 피복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는, 전선(1)과 발열봉(2)의 연결부위는 보호커버(4)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아니라, 사출성형에 의해 전선(1)과 발열봉(20)의 연결부(100a)를 성형하여 연결부위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전선의 길이 전체에 대해 일체로 전선 피복부(100b)를 형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출성형된 연결부(100a)에 의해 전선(1)과 발열봉(2)의 연결부위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부(100a)와 일체로 성형된 전선 피복부(100b)가 전선의 외피(1b)까지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수밀성을 100%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에폭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수지와 비교할 때 반응 수축율이 매우 작고, 휘발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기계적 성질, 전기절연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절연 및 수밀성 향상에 적합하며, 특히 타 열경화성 수지와는 달리 에폭시(주제) 단독으로 가열이나 가압에 의하여 경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성형 완료 후에 완성된 제품을 원통 코어에 감아서 보관 및 출고할 수 있는 취급상의 잇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을 함에 있어서 연결부(100a)는 전선 피복부(100b)에 비해 더욱 두텁게 성형되도록 금형을 설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전선에 연결된 발열봉(2)의 양단 일부분에도 수지가 발열봉 피복부(100c)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수밀성 향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50m 이상의 긴 전선을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연결부(100a)와 전선 피복부(100b) 및 발열봉 피복부(100c)를 한번의 사출성형작업으로 가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S) 단위로 사출금형에 안착시켜 일부 구간을 사 출 성형한 후, 성형 완료된 구간에 연이어서 다음 구간을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 전선을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사출성형을 실시할 때에는, 한번의 사출성형 공정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부위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생산성 제고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이음부(102)의 수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 이음부(102)는 서로 겹쳐진 형상의 이음부를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旣)성형된 부분의 끝단부(즉, 새로 성형될 부분과 이어질 부분)의 성형 두께가 전선 피복부(100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금형을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선(1)의 외피(1b)를 등간격으로 제거하여 노출부를 형성하고, 이 노출부(1a)와 발열봉(2) 끝단부의 카본발열체를 통전되도록 결합부재를 연결시킨다. 이 작업은 종래 본 발명의 발명자가 등록받은 종래기술1의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업된 상태의 제품(이하 '반제품'이라 한다)을 원통코어에 권취하여 사출성형작업을 준비한다.
사출성형용 하부금형(10)을 도 4a 및 도 4b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사출금형은 동일한 형상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사출성형과 마찬가지로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11)가 구비된다. 도 4a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 4a에 도시된 금형에는 3개의 연결부(100a) 성형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연결부 성형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하부금형은 일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미도시된 부분의 금형 형상은 도시된 부분과 서로 대칭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연결부(100a)가 전선 피복부(100b)에 비해 더 두텁게 사출성형되도록 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하지만,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연결부(100a)의 사출성형 두께를 전선 피복부(100b)와 균일하게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출성형되는 두께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발열봉과 전선의 연결부위에 대한 수밀성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사출성형하는 것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50m 이상의 긴 전선을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연결부(100a)와 전선 피복부(100b)를 한번의 사출성형작업으로 가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방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제품의 일정 구간(S1)(즉, 금형의 크기에 해당하는 구간)을 사출금형에 안착시켜 사출 성형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완료된 구간을 소정거리(S2) 만큼 전진·이송시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될 부분을 금형 내부에 세팅시켜 다음 구간(S3)을 사출 성형하되, 직전에 사출성형된 부분과 이어지도록 하는 방식 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반복 사출성형작업에 있어서, 기성형된 부분과 사출성형되는 부분의 이음부(102)가 서로 겹쳐지게 성형되도록 하기 위해, 금형의 좌측부에는 단턱(102a) 성형부가 구비된다. 상기 단턱(102a) 성형부의 바깥쪽은 공급(투입)되는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부(12)가 형성되는데, 이 전선수용부(12)의 공간은 전선의 굵기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용융수지가 금형 밖으로 밀려나가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일정 구간을 성형한 후에, 다음 구간을 이어서 성형하기 위해 반제품을 전진이송시킬 때, 성형 완료된 마지막 연결부가 금형 내부에 안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금형 내에서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제품 투입구 측에서 전선을 잡아당겨 전선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금형에 삽입된 기성형 연결부가 지지점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이음부(102)가 견고하게 성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복 사출성형과정에서는 기성형된 끝단부가 금형의 우측을 밀폐하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최초 사출성형단계에서는 금형의 우측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구가 요구된다. 도 5a는 최초 사출성형단계의 가공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폐구(28)가 금형의 우측부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밀폐구(28)의 직경은 전선 피복부(100b)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구의 내경 속으로 전선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구(28)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최초 사출성형단계에서 용융수지가 금형의 우측으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출성형작업을 위하여 반제품이 금형에 삽입된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전선 외피(1b)의 둘레에 피복되는 용융수지가 둘레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기 위한 작업이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5)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고 그 위에 전선(10)이 얹히도록 하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사출성형 작업 과정 내내 수작업에 의해 적정 간격으로 스페이서(25)를 삽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므로, 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 구간을 성형하되 직전의 사출성형 구간에 이어서 사출성형하기 위해 반제품을 전진이송(화살표 a방향)시킬 때, 성형 완료된 마지막 연결부가 금형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선 공급부 측에 상부롤러(23)와 하부 가이드(22)를 구비하고 이 상부롤러(23)에 역회전 모터(21)를 장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 모터(21)를 역회전(화살표 b방향)시켜 전선(1)을 잡아당기도록 하면, 기성형된 연결부는 금형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점 역할이 되어, 사출성형될 금형 내부에 위치한 전선(1)이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형폐되면, 상기 전선수용부(12)에 의해 전선이 금형에 고정되어, 결국 금형 내부의 전선은 처짐현상이 없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선(1)의 둘레에 균일한 두께의 전선 피복부(100b)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복 사출성형을 위하여 반제품을 전진·이송시킬 때, 정확한 위치에서 반제품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술은 자동화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위치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에 의해 이송수단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형개 후에, 사출성형된 반제품의 전진·이송을 위해 금형에서 반제품을 분리하는 기술구성도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술에서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제품 취출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품 취출수단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다만, 제품이 하부금형에서 분리된 후에 하부금형의 표면에서부터 일정 간격의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전진·이송되도록 하고,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하부금형의 내부로 전선이 하강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제품 공급구 쪽과 완성품 배출구 쪽에 승하강수단을 구비하여, 반제품을 전진·이송시킬 때에는 상기 승하강수단이 상승되어 전진·이송되는 전선(1)이 하부금형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전진·이송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승하강수단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반제품이 하부금형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수단의 방식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원통형 가이드롤러로 구성하면 충분할 것이나, 일반적인 기계장치기술분야에서 당업자라면 상 기한 설명만으로도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기재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서 전선(1)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스페이서(25)는 사출 용융수지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용융수지와 일체로 융화될 수 있는 재질은 모두 본 발명의 방식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형상도 당업자라면 누구나 충분히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정도의 재질 및 형상의 변형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선(1)과 발열봉(2)의 연결부위에만 플라스틱 보호커버를 끼우고, 보호커버 내부에 수지를 충진하는 작업으로 인해 생산단가의 상승문제와, 충분한 수밀성의 보장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선(1)과 발열봉(2)의 연결부위를 사출성형에 의해 연결부를 성형함으로써 수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전체 길이에 대해 수지로 피복시킴으로써, 바닥에 매립 시공되는 경우에 자주 발생되던 전선의 외피 손상문제까지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작용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의 제조방법은 수작업이 없이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생산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도전성 카본발열체와 이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외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카본발열체에 통전하기 위한 전선; 및 일단은 상기 전선과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열봉에 삽입 결합되어 통전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의 양단 일부를 포함하여 전선의 전체에 걸쳐 에폭시 수지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피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과 전선이 연결된 연결부위에 사출성형된 연결부(100a)는, 전선(1)의 둘레에 사출성형된 전선 피복부(100b)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3. 제1항에 의한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간격으로 외피가 제거된 노출부를 갖는 전선을 준비하는 단계와;
    결합부재로써 상기 전선의 노출부와 발열봉의 단부를 통전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작업단계와;
    상기 연결작업이 완료된 반제품의 하나 이상의 연결부위를 포함하는 구간을 수용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연결작업이 완료된 반제품의 전선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위치되도록 설정하는 세팅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폐한 후, 스프루(sprue)를 통해 에폭시수지를 사출금형 내부에 충진하여, 전선과 발열봉과의 연결부 및 금형 내부의 전선 전체길이에 대해 수지를 코팅하는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사출성형이 완료되어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개한 후에, 일정 거리만큼 반제품을 전진시키는 이송단계와;
    이송된 반제품의 전선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금형 내에 위치되도록 설정하는 반복 세팅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폐한 후, 상기 사출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끝단부에 연결하여 수지를 코팅하는 반복 사출성형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단계, 반복 세팅단계 및 반복 사출성형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세팅단계는,
    반제품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 이송되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반제품의 공급부 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를 역회전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선에 긴장력을 인가시켜 전선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수지가 사출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세팅단계는,
    전선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반복 사출성형단계에 있어서,
    직전 사출성형단계에 의해 성형된 전선 피복부의 일측 끝단부(102a)는 후속 사출성형단계에 의한 사출수지에 의해 겹쳐지게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제조방법.
KR1020070021092A 2007-03-02 2007-03-02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92A KR100736741B1 (ko) 2007-03-02 2007-03-02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92A KR100736741B1 (ko) 2007-03-02 2007-03-02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741B1 true KR100736741B1 (ko) 2007-07-09

Family

ID=3850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092A KR100736741B1 (ko) 2007-03-02 2007-03-02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000B1 (ko) * 2009-04-08 2011-04-25 박우만 난방용 발열부재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1176768B1 (ko) 2012-06-21 2012-08-23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제조장치
KR101193321B1 (ko) 2012-06-21 2012-10-19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조인트장치
KR101194103B1 (ko) 2012-06-21 2012-10-24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이송장치
KR101529100B1 (ko) * 2014-02-13 2015-06-16 주식회사 삼명테크 난방 전열관의 절연캡용 수지 충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603A (ko) * 1995-12-28 1997-07-26 구자홍 냉동 · 냉장고 제상용 메탈 시스 히터의 씰링구조
KR20010077566A (ko) * 2000-02-03 2001-08-20 안수영 엠아이 케이블 연결 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603A (ko) * 1995-12-28 1997-07-26 구자홍 냉동 · 냉장고 제상용 메탈 시스 히터의 씰링구조
KR0163153B1 (ko) * 1995-12-28 1999-01-15 구자홍 냉동, 냉장고 제상용 메탈 시스 히터의 씰링구조
KR20010077566A (ko) * 2000-02-03 2001-08-20 안수영 엠아이 케이블 연결 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000B1 (ko) * 2009-04-08 2011-04-25 박우만 난방용 발열부재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1176768B1 (ko) 2012-06-21 2012-08-23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제조장치
KR101193321B1 (ko) 2012-06-21 2012-10-19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조인트장치
KR101194103B1 (ko) 2012-06-21 2012-10-24 주진숙 난방용 발열부재 이송장치
KR101529100B1 (ko) * 2014-02-13 2015-06-16 주식회사 삼명테크 난방 전열관의 절연캡용 수지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741B1 (ko) 난방용 전기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730367B2 (ja) 分割固定子製造方法
US9793038B2 (en) Electromagnetic drive coil unit and molding method thereof
CN104428980B (zh) 线圈、旋转电机及线圈的制造方法
SE9500749D0 (sv)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tt båtskrov
US11981061B2 (en) Preparation method of a passive horn
CN100524962C (zh) 线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90337203A1 (en) Passive horn integrally formed by using thermoplastic vulcanized rub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745442B2 (ja) 配線一体型樹脂パイプの製造方法
EP1174890B1 (en) Moulded coi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A2151352C (en) Composite insul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1673600A (zh) 一种预制分支电缆的制造方法
JP2013158095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847412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ally heated, over-molded hose and fluidic fitting assembly
JP2009131052A (ja) 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ルドコイル、それを用いた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JP2006032847A (ja) モールドコイル部品の成形装置およびその成形方法
CN108141017A (zh) 在电力电缆的裸露导体部分周围建立绝缘系统的方法
KR102477478B1 (ko) 전기압력밥솥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일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일 조립체
JP6994683B2 (ja) 電気掃除機用樹脂製吸引パイプ
JPH0885154A (ja) 電気融着継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射出成形用金型
CN217216117U (zh) 电枢组件及具有该电枢组件的电机
CA1050716A (en) Method of producing an excitation coil for shaded pole electric motors
CN104309057B (zh) 用于衬塑复合钢管法兰密封端面的衬塑方法
CN117067517A (zh) 线缆外皮注塑模具及方法
JPH0740376A (ja)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329

Effective date: 2012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1204

Effective date: 201306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