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81B1 -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381B1
KR100736381B1 KR1020060082251A KR20060082251A KR100736381B1 KR 100736381 B1 KR100736381 B1 KR 100736381B1 KR 1020060082251 A KR1020060082251 A KR 1020060082251A KR 20060082251 A KR20060082251 A KR 20060082251A KR 100736381 B1 KR100736381 B1 KR 10073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focus
ring
adju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부현
Original Assignee
손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부현 filed Critical 손부현
Priority to KR102006008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줌조절부와 포커스조절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줌조정부재, 상기 하우징과 줌조정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줌조정부재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커스조정부재, 상기 줌조정부재와 포커스조정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모듈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촬상, 초점, 줌, 렌즈

Description

카메라장치{CAMERA}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메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줌조정부재 및 포커스조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줌조정부재와 포커스조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메라모듈 11 : 렌즈부
12 : 줌조절부 12a : 줌작동레버
13 : 포커스조절부 13a : 포커스작동레버
14 : 회로부 20 : 하우징
21 : 제1결합홈 22 : 제1리세스홈
30 : 줌조정부재 31 : 줌조정링
31a : 제1체결홈 31b : 제2결합홈
31c : 제2리세스홈 32 : 줌지지부재
32a : 제1끼움홈 33 : 전선수용부
40 : 제1연결부재 41 : 제1절곡부
50 : 포커스조정부재 51 : 포커스 조정링
51a : 제2체결홈 52 : 포커스 지지부재
52a : 제2끼움홈 53 : 나사공
60 : 제2연결부재 70 : 전방커버
80 : LED기판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모듈을 조작가능하게 장착한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감시용 카메라 등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광학장치를 구비한다. 이중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포커싱 기능 및/또는 줌(zoom) 기능을 위한 렌즈모듈이 렌즈경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소정 구동력에 의해 렌즈경통 내에서 왕복 구동된다.
등록실용 제20-036953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감시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103) 및 상기 렌즈부(103)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104), 전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렌즈부(103)가 설치되는 렌즈보관부(123)와 상기 회로부(104)가 설치되는 회로보관부(121)가 서로 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2), 상기 렌즈보관부(123)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렌즈부(103)의 초점 또는 줌을 조절하는 렌즈조정부재(10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렌즈부(103)는 렌즈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포커스조절부(133)와 피사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줌 조절부(135)로 구성되며, 상기 포커스조절부(133) 및 줌 조절부(135)의 외주면에는 막대형태의 포커스 조절로드(134) 및 줌 조절로드(136)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렌즈보관부(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134) 및 줌 조절로드(136)가 삽입되도록 제1안내홀(124)이 제2안내홀(125)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보관부(123)의 제1안내홀(124)과 제2안내홀(125)은 원통형의 부재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가공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커스 조절링(151)과 줌 조절링(153)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안내홀(124)과 제2안내홀(125)을 통하여 돌출된 상기 포커스 조절로드(134)와 줌 조절로드(136)가 고정결합되는 결합홈(152,1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홈(152,154)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51)과 줌 조절링(153)을 삽입해야만 하우 징(102)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복잡한 조립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분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비용이 상승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카메라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카메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부로 입사되는 피사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줌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줌조정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줌조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과 줌조정부재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줌조정부재는 줌조정링과; 상기 줌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줌조절부를 지지하는 줌지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조절부와; 상기 줌조정부재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를 작동시키는 포커스조정부재 및; 상기 줌조정부재와 포커스조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커스조정부재는 포커스 조정링과; 상기 포커스 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를 지지하는 포커스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줌지지수단과 포커스지지수단은 줌조정링과 포커스 조정링의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스냅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줌조정부재와 포커스조정부재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줌조절부와 포커스조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하우징에 포커스조정부재가 결합되고 그 포커스조정부재에 줌조정부재가 연속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줌조절부(12)와 포커스조절부(13)를 구비한 카메라모듈(10)과, 상기 카메라모듈(10)을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줌조정부재(30), 상기 하우징(20)과 줌조정부재(3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40),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커스조정부재(50), 상기 줌조정부재(30)와 포커스조정부재(5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은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11)와, 상기 렌즈부(11)로 입사되는 피사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조절부(12)와, 상기 렌즈부(11)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조절부(13) 및, 상기 렌즈부(11)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줌조절부(12)와 포커스조절부(13)는 렌즈부(11)의 외측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줌조절부(12)와 포커스조절부(13)는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한다.
상기 줌조절부(12)의 외주면에는 줌작동레버(12a)가 구비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13)의 외측에는 포커스작동레버(13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줌작동레버(12a)는 줌조절부(12)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줌조정부재(30)와 결합된다.
상기 포커스작동레버(13a)는 포커스조절부(13)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포커스조정부재(50)와 결합된다.
상기 줌조정부재(30)는 줌조정링(31)과, 상기 줌조절부(12)의 줌작동레 버(12a)를 지지하는 줌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줌지지수단은 상기 줌조정링(31)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줌지지부재(32)이다.
상기 줌지지부재(32)는 선단에 제1끼움홈(32a)이 형성되어 줌작동레버(12a)의 선단을 수용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줌지지부재(32)에 의해 상기 줌조정링(31)과 줌작동레버(12a)가 일체로 거동하면서 상기 줌조절부(12)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는 포커스 조정링(51)과, 상기 포커스조절부(13)의 포커스작동레버(13a)를 지지하는 포커스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포커스지지수단은 상기 포커스 조정링(51)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포커스 지지부재(52)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커스 지지부재(52)는 선단에 제2끼움홈(52a)이 형성되어 포커스작동레버(13a)의 선단을 수용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포커스 지지부재(52)에 의해 상기 포커스 조정링(51)과 포커스작동레버(13a)가 일체로 거동하면서 상기 포커스조절부(13)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포커스 조정링(51)과 포커스 지지부재(52)가 일체로 선회하면서 포커스조절부(13)를 선회시켜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줌지지수단과 포커스지지수단은 줌조정링(31)과 포커스 조정링(51)의 내측벽에 홈의 형태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줌작동레버(12a)와 포커스작동레버(13a)는 줌조정링(31)과 포커스 조정링(51)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줌조정링(31)과 포커스 조정링(51)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이 줌작동레버(12a)와 포커스작동레버(13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과 줌조정부재(30)는 제1연결부재(4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줌조정부재(30)와 포커스조정부재(50)는 제2연결부재(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40)를 수용하는 제1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일단 내측벽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40)를 수용하는 제1체결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0)와 제2연결부재(6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링형상을 갖는 스냅링으로 형성되고, 양쪽 개방선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절곡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제1결합홈(21) 일측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40)의 제1절곡부(41)를 수용하는 제1리세스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제1결합홈(21)과 줌조정부재(30)의 제1체결홈(31a)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이 하우징(20)의 제1체결홈(31a) 외측으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은 하우징(20)의 선단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4에 도시된 바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40)는 상기 하우징(20)의 제1결합홈(21)과 줌조정부재(30)의 제1체결홈(31a)에 동시에 끼워짐으로써 줌조정부재(30)가 하우징(2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한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40)는 제1결합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줌조정부재(30)의 제1체결홈(31a)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제1체결홈(31a)의 내측벽에 대하여 걸림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40)가 제1결합홈(21)과 제1체결홈(31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절곡부(41)만이 제1리세스홈(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연결부재(40)의 벌어지려는 복원력에 의해 1쌍의 제1절곡부(41)는 서로 최대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1리세스홈(22)으로 노출된 1쌍의 제1절곡부(41)에 외력을 가해 서로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제1연결부재(40)가 제1결합홈(2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턱의 역할을 하지 않게 되어 줌조정부재(30)가 하우징(20)으로부터 슬라이드이동되면서 탈거될 수 있다.
도 4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60)를 수용하는 제2결합홈(31b)이 형성되고,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일단 내측벽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60)를 수용하는 제2체결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60)는 양쪽 개방선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절곡부(6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제2결합홈(31b) 일측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60)의 제2절곡부(61)를 수용하는 제2리세스홈(3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줌조정부재(30)와 포커스조정부재(50)의 결합관계 및 작동원리는 하우징(20)과 줌조정부재(30)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선단에는 전방커버(70)가 결합되며, 그 전방커버(70)에 LED기판(80)이 장착된다.
상기 줌조정부재(30)의 내측벽에는 카메라모듈(10)로부터 LED기판(80)으로 연결된 전선을 물어 잡는 전선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포커스조정부재(50)의 내측벽에는 LED기판(8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9 및 39는 수밀을 위한 고무링(O-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방커버(70)와 포커스조정부재(50)가 결합되는 결합부에도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 고무링(O-링)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를 요약하면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11),
상기 렌즈부로 입사되는 피사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줌작동레버(12a)가 외주면에 구비된 줌조절부(12),
상기 렌즈부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포커스작동레버(13a)가 외주면에 구비된 포커스조절부(13), 그리고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10)과;
상기 카메라모듈(10)을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줌조절부(12)를 작동시키도록 줌조정링(31)과, 상기 줌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줌조절부를 지지하는 줌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 줌조정부재(30); 및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13)를 작동시키도록 포커스조정링(51)과, 상기 포커스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를 지지하는 포커스지지부재(52)로 이루어진 포커스조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 수밀성을 위한 고무링(29)(39)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줌조정부재(30)를 결합시키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줌조정부재(30)와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를 결합시키는 제2연결부재는
각각 일측이 개방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링형상을 갖고 양쪽 개방선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및 제2 절곡부(41)(61)를 갖는 스냅링(40)(60)으로,
상기 스냅링(40)(60)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선단과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에는 각각 상기 스냅링의 제1 및 제2 절곡부(41)(61)의 수용을 위한 제1 및 제2 리세스홈(22)(31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에 위치한 상기 두 스냅링(40)(60) 각각을 공유하도록 상기 줌조정링(31) 및 상기 포커스조정링(51) 내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체결홈(31a)(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줌조절부(12)의 줌작동레버(12a) 및 상기 포커스조절부(13)의 포커스작동레버(13a)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줌조정링(31) 및 상기 포커스조정링(51)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줌지지부재(32) 및 상기 포커스지지부재(52)에는 각각 제1 및 제2 끼움홈(32a)(5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선단에는 LED기판(80)과 수밀성 향상을 위한 오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전방커버(70)가 결합되며,
상기 줌조정부재(30)의 내측벽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로부터 상기 LED기판(80)으로 연결된 전선을 물어 잡는 전선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내측벽에는 상기 LED기판(8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측에 천공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모듈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11),
    상기 렌즈부로 입사되는 피사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줌작동레버(12a)가 외주면에 구비된 줌조절부(12),
    상기 렌즈부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포커스작동레버(13a)가 외주면에 구비된 포커스조절부(13), 그리고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10)과;
    상기 카메라모듈(10)을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줌조절부(12)를 작동시키도록 줌조정링(31)과, 상기 줌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줌조절부를 지지하는 줌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 줌조정부재(30); 및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13)를 작동시키도록 포커스조정링(51)과, 상기 포커스조정링에 구비되고 상기 포커스조절부를 지지하는 포커스지지부재(52)로 이루어진 포커스조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 수밀성을 위한 고무링(29)(39)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줌조정부재(30)를 결합시키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줌조정부재(30)와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를 결합시키는 제2연결부재는
    각각 일측이 개방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링형상을 갖고 양쪽 개방선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및 제2 절곡부(41)(61)를 갖는 스냅링(40)(60)으로,
    상기 스냅링(40)(60)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선단과 상기 줌조정부재(30)의 선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에는 각각 상기 스냅링의 제1 및 제2 절곡부(41)(61)의 수용을 위한 제1 및 제2 리세스홈(22)(31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1 및 제2 결합홈(21)(31b)에 위치한 상기 두 스냅링(40)(60) 각각을 공유하도록 상기 줌조정링(31) 및 상기 포커스조정링(51) 내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체결홈(31a)(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줌조절부(12)의 줌작동레버(12a) 및 상기 포커스조절부(13)의 포커스작동레버(13a)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줌조정링(31) 및 상기 포커스조정링(51)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줌지지부재(32) 및 상기 포커스지지부재(52)에는 각각 제1 및 제2 끼움홈(32a)(5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선단에는 LED기판(80)과 수밀성 향상을 위한 오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전방커버(70)가 결합되며,
    상기 줌조정부재(30)의 내측벽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로부터 상기 LED기판(80)으로 연결된 전선을 물어 잡는 전선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스조정부재(50)의 내측벽에는 상기 LED기판(8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82251A 2006-08-29 2006-08-29 카메라장치 KR10073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51A KR100736381B1 (ko) 2006-08-29 2006-08-29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51A KR100736381B1 (ko) 2006-08-29 2006-08-29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381B1 true KR100736381B1 (ko) 2007-07-06

Family

ID=3850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251A KR100736381B1 (ko) 2006-08-29 2006-08-29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3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15A (ko) * 2002-03-12 2003-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Pc 카메라
JP2004212452A (ja) * 2002-12-27 2004-07-29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付き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15A (ko) * 2002-03-12 2003-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Pc 카메라
JP2004212452A (ja) * 2002-12-27 2004-07-29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付き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958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7352516B2 (en) Lens apparatus and camera
JP2008102427A (ja)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3257499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6227214A (ja) 光学機器
JP2006276240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KR100736381B1 (ko) 카메라장치
US866535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n which image pickup element is movable in optical axis direction
KR100509373B1 (ko) 줌 카메라의 배럴 어셈블리
KR20050110737A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JP200627624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6140982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KR101109590B1 (ko) 경통 모듈
JP4858776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100520472C (zh) 摄像装置以及具有该摄像装置的便携式终端
JP2007163841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並びにレンズ位置調整方法
JP2009092764A (ja)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KR20050008011A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2004205678A (ja) 鏡筒駆動機構
JP2020177101A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5227503A (ja) 光学モジュール及びこの光学モジュールを含む携帯用電子機器
KR100516283B1 (ko) 광학줌 어댑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내장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9300927A (ja) 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6235133A (ja) ズームレンズ駆動機構
JP2007249250A (ja) レンズの移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