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23B1 - Vapor exhaus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Vapor exhaus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23B1
KR100735923B1 KR1020060121672A KR20060121672A KR100735923B1 KR 100735923 B1 KR100735923 B1 KR 100735923B1 KR 1020060121672 A KR1020060121672 A KR 1020060121672A KR 20060121672 A KR20060121672 A KR 20060121672A KR 100735923 B1 KR100735923 B1 KR 10073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duct
steam
blow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06012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9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A vapor exhaus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remove inconvenience to operate an exhausting apparatus by a user by automatically detecting vapor with a sensor. A vapor exhausting apparatus includes a suction part(110), an air inlet(120), a duct(140), an induction part(150), an exhaust unit(170), a blower(160), a vapor detector(180), and a controller(190). The suction part is funnel-shaped and collects vapor generated from cooking appliances. The air inlet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suction part. The duc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ction part and horizontally guides sucked vapor. The induction part is formed on an upper wall of the duct in center of the air inlet and inflows the vapor into the duct. The exhaust unit exhausts forward the vapor inside the duct. The blower is connected to an other end of the duct and compulsively exhausts the vapor inside the duct. The vapor detector detects vapor generation. The controller drives the blower when the detector detects the vapor generation.

Description

수증기 배출기 {Vapor Exhausting Apparatus}Vapor Exhauster {Vapor Exhaus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로 수증기가 흡입되는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th through which water vapor is sucked into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가 탑재된 주방기기 수납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kitchen appliance cabinet equipped with a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흡입부 120 : 흡기구110: suction unit 120: inlet

130 : 차단벽 140 : 덕트130: barrier wall 140: duct

150 : 유도부 160 : 블로어150: induction unit 160: blower

170 : 배기구 180 : 수증기 감지부170: exhaust port 180: water vapor detection unit

190 : 제어부 200 : 수증기 배출기 190: control unit 200: water vapor discharger

300 : 구동부300 drive unit

본 발명은 수증기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dis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 discharger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er.

가정의 주방에서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그 조리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분출한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싱크장 혹은 별도의 수납장에 놓여진다. 그런데 조리 과정에서 분출되는 높은 온도의 수증기에 의해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천장면에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고 고온의 수증기로 인해 싱크장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In home kitchens, heated cookers, such as rice cookers, emit hot and high pressure steam during the cooking process. Typically such heating cookers are placed in sinks or separate cabinets. However, water vapor may condense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sink or the storage cabinet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emit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se phenomena can cause mold and warp in the sink due to hot steam.

뿐만 아니라,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의 뚜껑을 열 때에 사용자는 갑자기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고, 나아가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pening the lid of a heating cooker such as an electric rice cooker,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by hot steam suddenly ejected, and there may be a risk of bur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열 조리기기에 의해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주방 수납장의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ndensation or mol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kitchen cabinet by effectively discharging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emitted by the heating cooker used at home.

나아가 수증기 배출기에서 고온의 수증기의 흡입 효율을 더욱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reas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high temperature steam in the steam dischar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중앙으로 모아서 흡입하되, 흡기구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유도부에 의해 흡기구로 흡입되는 수증기를 덕트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전방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ollect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to the center and sucked, so that th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by the induction part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intake port into the duct In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exhaust port.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기기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덕트내로 효과적으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어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in the heating cooker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into the duct to be discharged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sink or cabinet caused by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and mol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흡기구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가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by a barrier wall extending along the outer wall of the intake po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vapo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from escaping again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vapor can be suck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증기 배출기는 수증기 감지부에 의해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수증기가 감지되면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부를 구동 시켜 블로어를 통해 덕트 내에 집결되는 수증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증기 배출 기능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vapor discharge unit detects whether water vapor is generated by the water vapor detection unit, and when water vapor is detected, drives the driv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duct through the blower. . According to this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discharge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oper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The foregoing and additional aspec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는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110)와, 흡입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는 흡기구(120)와, 흡기구(120)를 통해 흡입부(110)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140)와, 덕트(140)의 상부벽에 흡기구(120)의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흡입부(110)를 통해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140)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150)와, 유도부(150)에 의해 유도된 덕트(140)내의 수증기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구(170)와, 덕트(140)의 타단에 연결되고 덕트(140) 내의 수증기들을 배기구(170)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블로어(160)와, 수증기의 발생을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180)와, 수증기 감지부(180)에서 수증기의 발생이 감지되면 블로어(16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team dis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 of the funnel-type narrowing toward the upper side to collect and guide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er,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110 The inlet 120, the inlet 110 and one end thereof are connected through the inlet 120, and a duct 140 for guiding sucked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nlet 120 on the upper wall of the duct 140. Induced by the induction unit 150 and the induction unit 150 is formed i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inclined portion to guide the water vapor to be sucked into the inlet 120 through the suction unit 110 into the duct 140, An exhaust port 170 for discharging water vapor in the duct 140 forward, a blower 16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uct 140 and forcibly discharging water vapor in the duct 140 through the exhaust port 170, and steam Steam detection unit 180 to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water vapor detection unit 180 When the generation of steam is detect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90 for driving the blower 16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 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흡입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부(110)는 가열 조리 기기가 조리 중에 분출하는 고온의 수증기를 상측 중앙으로 집결시키도록 안내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흡입부(110)의 일부는 수증기 배출기(200)의 하단에 노출되어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uction part 110 is implemented in a funnel form that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unit 110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guides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to collect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emitted during cooking to the upper center.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110 is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am discharger 200 is implemented to suck the steam.

흡기구(120)는 흡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흡입부(110)의 상측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기구(120)는 흡입부(110)의 상측면과 덕트(140)의 일단이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inlet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let 110 and is provided above the inlet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120 may be defined as a portion where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110 and one end of the duct 140 meet.

덕트(140)에는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부(110)에 의해 상측 중앙으로 모아져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공기들이 집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덕트(140)는 실제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후술할 블로어(160)에 의해 배기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즉 안내 통로를 마련한다. 바람직하게는 더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흡기구(120)가 장착된 일 단쪽보다 블로어(160)가 구비된 타 단쪽으로 갈 수록 그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40)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duct 140, the air collected at the upper center by the suction unit 110 connected to one end and collected by the suction port 120 is collect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uct 140 may include a space that can move horizontally until th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inlet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70 by a blow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epare. Preferably, the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ther end with the blower 160 than the one end on which the inlet 120 is mounted for more effective discharg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duct 140 may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유도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4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흡기구(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로 수증기가 흡입되는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a)는 유도부(150)의 경사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140)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유도부(150)는 아래쪽이 뾰족한 원뿔 형태이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흡입되는 수증기(a)들이 덕트(140)내로 유입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다. The induction part 1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140 as shown, and is for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120.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th in which water vapor is sucked into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water vapor (a)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ct 140 by th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inlet por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duction unit 150.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part 150 has a conical shape with a pointed bottom. This is a form that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can effectively guide the water vapor (a) to be sucked by ri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introduced into the duct 140.

배기구(170)는 블로어(160)의 구동에 의해 팬이 회전됨에 따라 덕트(140)내에 집결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구(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배출기(2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배기구(17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가 설치되었을 때에 수증기가 방출되어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고 배출되는 수증기가 무리없이 공기중에 확산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haust port 170 discharges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duct 140 to the outside as the fan is rotated by the blower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port 1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team discharger 200, as shown in FIG. When the steam outl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exhaust port 170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re is no inconvenience for the user and the discharged steam is easily spread in the air without difficulty.

블로어(blower)(160)는 덕트(140)와 연동되고 유도부(150)에 의해 덕트(140) 내로 유입된 수증기들을 배기구(170)로 배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어(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면이 형성되고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다수개의 날개(165)들을 포함하는 팬과,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00)는 후술할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00)는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구동전류로 블로어(16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덕트(140)내의 블로어(160)가 구동되고 덕트(140)로 유입된 수증기는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온 수증기는 팬의 회전에 따라 그 흐름 방향이 바뀌어 날개(165)의 회전면을 따라 배출되고 배기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blower 160 is interlocked with the duct 140 and discharges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duct 140 by the induction part 150 to the exhaust port 170. 5 is a view showing a blowe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er 160 includes a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vanes 165 having a plan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urved in a rotation direction as shown, and a driving unit 300 for driving the fan. do. The driving unit 300 may be implemented by a motor.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9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300 drives the blower 160 with a driving current suppli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90. When 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accordingly, the blower 160 in the duct 140 is driven, and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duct 140 is sucked into the center of the fan. And th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n is changed in the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is discharged along the rotating surface of the wing 165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7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부흡기구(210)를 더 포함하고, 덕트(140)는 부흡기구(210)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흡기구(210)는 흡기구(120)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면 전기 밥솥과 커피 포트(coffeepot)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가열 조리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당 기기를 높이와 부피에 적절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가열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team discharger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ction port 210, and the duct 140 is formed to be linked to the suction port 21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uide the steam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do. 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intake vent 210 is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intake vent 1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heating cookers of different heights at the same time, such as electric cookers and coffee pots,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inhale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devices by placing them appropriately for height and volume. It can work.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는 흡기구(120)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흡기구(120)로 유입되는 수증기가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며, 블로어 방향으로는 개방된 차단벽(130)을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130)은 흡입구(120)를 통해 덕트(140)내로 유입된 수증기(a)가 다시 흡입구(120)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벽(13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20)의 일부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 1 차단벽(130)과, 제 1 차단벽(130)의 양 끝단과 일체로 형성되되, 블로어(16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 2 차단벽(135)을 포함한다. 이는 수증기가 흡기구(120)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것은 막되, 효과적으로 수증기가 블로어(160)쪽으 로 유인될 수 있도록 그 흐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The steam discharger 20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along the outer wall of the inlet 120, blocks the water vapor flowing into the inlet 120 again, and blocks the barrier wall opened in the blower direction. 130 further includes. As shown in FIG. 4, the blocking wall 130 may prevent the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duct 140 through the inlet 120 from escaping back to the inlet 120. 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wall 130 is the first blocking wall 130 extending along a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inlet port 120, as shown in Figure 3, both ends of the first blocking wall 130 And a second blocking wall 135 formed integrally with and extending toward the blower 160. This is to prevent the water vapor is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inlet 120, but to induce the flow so that the water vapor can be attracted to the blower 160 effectively.

수증기 감지부(180)는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증기 감지부(180)는 전류 감지부(182)와 온도 감지부(184)를 포함한다. 전류 감지부(182)는 가열 조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가열 조리 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를 감지함에 따라 가열 조리 기기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184)는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감지부(184)는 복수개의 흡기구(120)들 모두에 장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의 흡기구(100)로 흡입되는 수증기는 가열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로, 흡기구(100)에 수증기가 흡입되면 순간적으로 그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소정의 온도 이상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일정 출력 전류를 출력한다. 그러나, 수증기 감지부(180)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The steam detector 180 detects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detector 180 includes a current detector 182 and a temperature detector 184. The current detecting unit 182 is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detects a current supplied to the heating cooking appliance. The sensing of the curr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cooking appliance is operating.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184 may be implemented as a temperature sens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84 may be mounted on all of the plurality of intake holes 120 or may be mounted on any one of them. Th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00 of the water vapor discharge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temperature steam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cooking process, and when the water vapor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00, the temperature thereof rises instantaneously.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outputs a constant output current when water vapor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detected. However, the steam detector 18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er.

제어부(19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90)는 수증기 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이상의 전류 혹은 그 밖에 수증기 감지 신호에 대해 구동부(300)가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에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는 실제 구동부(300)가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90)는 전류 감지부(182)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블로어(160)를 약하게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온도 감 지부(184)에서 높은 온도의 수증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블로어(160)를 강하게 작동시킨다. 이 때에 제어부(190)는 온도 감지부(184)에서 고온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타이머를 온(on)하여 약 5~10분동안 강하게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에 김이 빠지는 시간 정도이다. 타이머를 통하여 구동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시간동안만 블로어를 작동시킴으로써, 따로 사용자가 수증기 배출기의 작동 여부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be implemented with a conventional microprocesso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outputs a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driver 300 rotates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current or other steam input signal input from the steam detector 180.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90 may be a driving current required for the actual driver 300 to ro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weakly operates the blower 160 when the current flow is sensed by the current detector 182. Then, when water vapor of a high temperature is detected i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84, the blower 160 is strongly operated. At this time, when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4, the controller 190 preferably turns on the timer to drive the blower strongly for about 5 to 10 minutes. For example, when cooking rice using an electric cooker, steaming time is about. By counting the driving time through the timer and operating the blower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does not need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r separatel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기 수납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방기기 수납장은 적어도 하나의 가열 조리기기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전술한 본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가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가열 조리기기들을 동시에 수납 및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kitchen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chen applianc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t least one heating cooker, wherein the steam dischar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It is characterized by. As show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ceive and use heating cookers of different height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증기 배출기(200)는 주방기기 수납장에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수증기 배출기(200)의 양측면에 추가로 수평 방향의 안내 레일을 설치하고, 주방기기 수납장에 수증기 배출기(200)의 안내 레일과 만나는 부분에 일 예로 볼트, 너트 같은 체결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탈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discharger 200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be freely detachable in the kitchen cabinet. For example, by installing guide rai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o both sides of the steam discharger 200, and by attach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nuts, etc. to a portion that meets the guide rail of the steam discharger 200 in the kitchen cabinet, for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mobil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조리중 분출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덕트 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분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로 인해 싱크장이나 수납장에 뒤틀림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troduc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ejected during cooking from a heating cooker into the duct,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ejected from the heating cooker is applied to the sink or cabinet. It can prevent warping and prevent condensation or mold on the ceiling.

뿐만 아니라, 센서로 수증기를 감지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자동으로 동작하고 멈추므로 사용자가 따로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detects the water vapor and automatically operates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r to operate separately.

나아가 선반에 수납되는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개의 가열 조리기기들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고온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Furthermore, even when a plurality of heating cookers of different heights stored in the shelf are used at the same time, high-temperature steam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such obvious variations.

Claims (5)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와;A funnel-shaped suction part narrowing toward an upper side for collecting and guiding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er; 상기 흡입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흡기구와;An inlet por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part;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흡입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와;A duct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one end thereof through the inlet port and guiding sucked water vapo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덕트의 상부벽에 상기 흡기구의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흡기구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상기 덕트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와;An induction part formed on an upper wall of the duct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intake port, and having an inclined part to induce water vapo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through the intake part into the duct; 상기 유도부에 의해 유도된 덕트내의 수증기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구와;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forward water vapor in the duct guided by the induction part; 상기 덕트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 내의 수증기들을 상기 배기구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블로어와;A blow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uct part and forcibly discharging water vapor in the duct through the exhaust port; 수증기의 발생을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와;A steam detector for detecting the generation of steam; 상기 수증기 감지부에서 수증기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제어부;A controller for driving the blower when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is detected by the water vapor detec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Steam ejector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가 :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duction part: 아래로 뾰족한 원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A steam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pointed cone dow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기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am discharger is: 상기 흡기구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수증기가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블로어 방향으로는 개방된 차단벽;A blocking wall extending along the outer wall of the inlet port and blocking the water vapo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from escaping again, the barrier wall being opened in the blower direction;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Steam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기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am discharger is: 부흡기구;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uction device, 상기 덕트는 상기 부흡기구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상기 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The duct is 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ake port is a water vapor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uide the water vapo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감지부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ter vapor detection unit: 전류 감지부와,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A current sensing unit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블로어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고온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블로어를 더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The controller starts driving the blower when a current is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further drives the bl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high temperature steam i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KR1020060121672A 2006-12-04 2006-12-04 Vapor exhausting apparatus KR100735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72A KR100735923B1 (en) 2006-12-04 2006-12-04 Vapor exhau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72A KR100735923B1 (en) 2006-12-04 2006-12-04 Vapor exhaus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923B1 true KR100735923B1 (en) 2007-07-06

Family

ID=3850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72A KR100735923B1 (en) 2006-12-04 2006-12-04 Vapor exhaus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9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51A (en)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가나테크 System for controlling hybrid range hood system
US20220120452A1 (en) * 2020-10-16 2022-04-21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Boot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450A (en) * 1989-04-28 1990-11-30 Hitachi Ltd Automatic ventilator
JPH03225138A (en) * 1990-01-31 1991-10-04 Hitachi Ltd Automatic ventilator
JPH0861735A (en) * 1994-08-16 1996-03-08 Shin Nippon Kucho Kk Artificial tornado type exhaust hood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3185148A (en) 2001-12-14 2003-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frequency heating cooker with oven hood
JP2006112717A (en) 2004-10-15 2006-04-27 Royal Electric Co Ltd Range hood f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450A (en) * 1989-04-28 1990-11-30 Hitachi Ltd Automatic ventilator
JPH03225138A (en) * 1990-01-31 1991-10-04 Hitachi Ltd Automatic ventilator
JPH0861735A (en) * 1994-08-16 1996-03-08 Shin Nippon Kucho Kk Artificial tornado type exhaust hood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3185148A (en) 2001-12-14 2003-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frequency heating cooker with oven hood
JP2006112717A (en) 2004-10-15 2006-04-27 Royal Electric Co Ltd Range hood fa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51A (en)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가나테크 System for controlling hybrid range hood system
KR102248633B1 (en) 2019-07-15 2021-05-06 주식회사 가나테크 System for controlling hybrid range hood system
US20220120452A1 (en) * 2020-10-16 2022-04-21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Bo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714B2 (en) Steam cooker
CN107923631B (en) Combined device with cooking area and fume extractor
CN106051853B (en) Oven exhaust hoo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291412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WO2012032449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CA2569972A1 (en) Air flow cooking device
JP6790247B2 (en) Ventilation device with air intake
KR100735923B1 (en) Vapor exhausting apparatus
KR101261646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JP5220163B2 (en) Cooker
CN212408755U (en) Cooking apparatus
KR20110012038U (en) Apparatus for rangehood having subsidiary inhale hole in kitchen
KR101659019B1 (en) Cooker
KR20100026252A (en) Water vapor emissions
JP2004076954A (en) Cooking device
JP2008008556A (en) Heating cooker
KR100735924B1 (en) Vapor exhausting apparatus
JPS58104430A (en) Exhaust gas discharging means for heating cooker
JP3218283B2 (en) Steam exhaust device
JPH06101852A (en) Fan lock detecting device for built-in cooking device
JP2004093048A (en) Heating cookware
KR100829622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CN215570607U (en) Integrated kitchen
CN217302926U (en) Integrated kitchen
JP4178168B2 (en) Kitchen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