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833B1 - 수세식 간이 소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간이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833B1
KR100735833B1 KR1020060057269A KR20060057269A KR100735833B1 KR 100735833 B1 KR100735833 B1 KR 100735833B1 KR 1020060057269 A KR1020060057269 A KR 1020060057269A KR 20060057269 A KR20060057269 A KR 20060057269A KR 100735833 B1 KR100735833 B1 KR 10073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resh water
container
flush
ur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79A (ko
Inventor
서동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쓰리
Priority to KR102006005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8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간이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부와, 상기 소변부를 통해 주입된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과 상기 소변부를 청수로 수세하기 위해 청수가 담기는 청수통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로 구성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에 직접 가지 않고 소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자리에서 즉시 소변부를 수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변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청결함을 동시에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한 수세식 간이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을 가지 않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덮개가 주연부에 구비된 주입구가 형성되고, 외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소변부와; 소변부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과, 소변부를 수세하기 위해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담겨 있는 청수가 역류되는 청수통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와; 소변부와 수세부의 소변통을 연결하는 주입관과; 소변부와 수세부의 청수통을 연결하는 역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세식 간이 소변기가 제공된다.
수세식, 간이 소변기, 소변부, 수세부, 청수통, 소변통, 가압장치

Description

수세식 간이 소변기{A flush simple urinal}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변부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세부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 2 : 주입구 3 : 손잡이
4 : 소변부 5 : 소변통 6 : 가압장치
7 : 청수통 8 : 수세부 9 : 주입관
10 : 역류관 11 : 가압손잡이 12 : 외기유입관
13 : 개폐밸브 14 : 작동손잡이 15 : 샤워기
16 : 배수장치 17 : 악취유출방지트랩 18 : 복귀스프링
19 : 주입공마개 100 : 수세식 간이 소변기
본 발명은 수세식 간이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부와, 상기 소변부를 통해 주입된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과 상기 소변부를 청수로 수세하기 위해 청수가 담기는 청수통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로 구성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에 직접 가지 않고 소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자리에서 즉시 소변부를 수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변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청결함을 동시에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한 수세식 간이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는 화장실을 드나드는 일이 매우 곤란함에 따라 간이 소변기를 통해 화장실이 아닌 장소에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간이 소변기는 통상적으로 소변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소변이 담겨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잡기 위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환자 및 노약자 또는 이를 간호하는 간병인이 손잡이를 통해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용기의 주입구로 소변을 보면 용기 내부로 소변이 담기게 됨으로써, 직접 화장실에 가지 않고서도 소변을 손쉽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간이 소변기는 입구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소변을 본 후에는 용기에 담겨진 소변으로 인해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악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용 후에는 반드시 용기에 담긴 소변을 버리고 용기의 내부를 청수로 깨끗하게 씻는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뒷처리는 오히러 간이 소변기의 사용을 더욱더 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손쉽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함을 물론이고, 사용 후 매번 직접 수세하지 아니하더라도 소변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입구가 형성되고, 손잡이가 구비된 소변부와; 소변부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과, 소변부를 수세하기 위해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담겨 있는 청수가 역류되는 청수통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와; 소변부와 수세부의 소변통을 연결하는 주입관과; 소변부와 수세부의 청수통을 연결하는 역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의 소변부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의 수세부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100)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을 가지 않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간이 소변기(100)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덮개(1)가 주연부에 구비된 주입구(2)가 형성되고, 외측에 손잡이(3)가 구비된 소변부(4)와; 소변부(4)의 주입구(2)를 통해 주입되는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5)과, 소변부(4)를 수세하기 위해 가압장치(6)가 설치되어 담겨 있는 청수가 역류되는 청수통(7)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8)와;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소변통(5)을 연결하는 주입관(9)과;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청수통(7)을 연결하는 역류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장치(6)는 외기를 유입하여 청수통(7)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11)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외기유입관(12)과, 외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내압이 상승된 청수통(7)의 청수를 역류관(10)으로 역류시키기 위해 역류관(10)에 설치된 개폐밸브(13)를 개폐하는 작동손잡이(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변통(5)은 내부의 악취가 주입관(9)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입관(9)이 연통된 내측벽에 악취유출방지트랩(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변부(4)와 연결된 역류관(10)의 단부에는 역류된 청수가 강한 분사력과 넓은 분사범위를 가지도록 샤워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청수통(7)과 소변통(5)은 내부를 깨끗히 세척할 수 있도록 이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소변통(5)의 외저부에는 배수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은 가압장치(6)의 작동손잡이(14)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고, 19는 청수통(7)에 청수를 보충하기 위한 청수주입공을 막는 주입공마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100)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불편한 몸을 이끌고 화장실에 가지 않아도 소변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환자나 노약자는 물론 이를 간병하고 보호하는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수세식 간이 소변기(100)는 소변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악취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 후 매번 소변을 비우고 내부를 직접 수세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사용 후 내부를 자동으로 수세할 수 있고, 소변을 즉시 비우지 않아도 악취가 유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과 청결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잡고 소변을 보는 소변부(4)가 구비되고, 소변부(4)를 통해 주입되는 소변이 담기는 청수통(7)과, 소변부(4)를 수세하기 위한 청수가 담기는 청수통(7)이 일체로 구성됨 수세부(8)가 동시에 구비되되,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청수통(7),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소변통(5)이 각각 역류관(10)과 주입관(9)으로 연결됨에 의한 것인데, 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주입구(2)를 통해 소변부(4)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은 주입관(9)을 통과하여 소변통(5)으로 자연스럽게 담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소변을 간단하게 볼 수 있지만, 소변부(4)의 내부와 주입관(9)의 내부에는 소량의 소변이 묻어 있게 되므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청수통(7)에 설치된 가압장치(6)를 작동하게 되면 청수통(7)에 담긴 청수가 역류관(10)을 통해 소변부(4)로 역류됨으로써, 소변부(4)와 주입관(9)의 내부를 청결하게 수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압장치(6)의 가압손잡이(11)와 작동손잡이(14)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청수가 소변부(4)의 주입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소변부(4)의 주입구(2)를 덮개(1)로 막은 상태에서 가압장치(6)를 작동해야 한다.
먼저, 가압손잡이(11)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게 되면 외기유입관(12)을 통해 외기가 청수통(7)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청수통(7)의 내압은 상승되어 청수통(7)에 담긴 청수는 역류관(10)을 통해 외부로 역류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4)를 누르게 되면, 역류관(10)을 막고 있던 개폐밸브(13)가 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청수통(7)의 청수가 역류관(10)으로 역류됨으로써 소변부(4)의 내부를 수세하고, 소변부(4)를 수세한 청수는 다시 주입관(9)을 통과하면서 주입관(9)의 내부를 수세한 후 소변과 함께 소변통(5)에 담기게 된다.
이때 역류관(10)의 단부에는 샤워기(15)가 설치되어, 청수가 보다 강한 분사력과 넓은 분사범위를 가지게 됨으로써 소변부(4)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청결하게 수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 후 가압장치(6)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소변부(4)의 내부는 물론이고 주입관(9)의 내부를 청수로 청결하게 수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변부(4)와 주입관(9)의 내부에 묻어 있는 소변으로 인한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변부(4)를 수세하다가 청수를 완전히 소진하였을 경우에는 청수통(7)의 주입공마개(19)를 열어 청수를 손쉽게 보충할 수 있고, 소변부(4)의 수세를 마친 후 청수통(7)의 내압이 남아 있을 때에도 상기 주입공마개(19)를 열어 청수통(7)의 내압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관(9)이 연통된 소변통(5)의 내측벽에는 악취유출방지트랩(17)이 설치됨에 따라, 소변통(5)에 담긴 소변이나 오물에서 유발되는 악취가 주입관(9)과 소변부(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활을 하게 됨으로써, 소변통(5)에 담긴 소변이나 오물을 외부로 바로 배출하지 않아도 소변이나 오물에서 유발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청수통(7)과 소변통(5)은 이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청수 또는 소변 및 오물에 의한 내부의 물때나 찌든때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할 때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변통(5)의 외저부에는 배수장치(16)가 설치되어 소변통(5)이 소변이나 오물로 가득하더라도 이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소변부(4)와, 상기 소변부(4)를 통해 주입된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5)과 상기 소변부(4)를 청수로 수세하기 위해 청수가 담기는 청수통(7)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8)로 구성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에 직접 가지 않고 소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자리에서 즉시 소변부(4)를 수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변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청결함을 동시에 만족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화장실을 가지 않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덮개(1)가 주연부에 구비된 주입구(2)가 형성되고, 외측에 손잡이(3)가 구비된 소변부(4)와; 소변부(4)의 주입구(2)를 통해 주입되는 소변이 담기는 소변통(5)과, 소변부(4)를 수세하기 위해 가압장치(6)가 설치되어 담겨 있는 청수가 역류되는 청수통(7)이 일체로 구비된 수세부(8)와;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소변통(5)을 연결하는 주입관(9)과; 소변부(4)와 수세부(8)의 청수통(7)을 연결하는 역류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세식 간이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가압장치(6)는 외기를 유입하여 청수통(7)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11)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외기유입관(12)과, 외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내압이 상승된 청수통(7)의 청수를 역류관(10)으로 역류시키기 위해 역류관(10)에 설치된 개폐밸브(13)를 개폐하는 작동손잡이(14)로 구성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소변통(5)은 내부의 악취가 주입관(9)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입관(9)이 연통된 내측벽에 악취유출방지트랩(17)이 설치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소변부(4)와 연결된 역류관(10)의 단부에는 역류된 청수가 강한 분사력과 넓은 분사범위를 가지도록 샤워기(15)가 설치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청수통(7)과 소변통(5)은 이분되어 분리되는 구조로 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소변통(5)의 외저부에 배수장치(16)가 설치된 수세식 간이 소변기.
KR1020060057269A 2006-06-26 2006-06-26 수세식 간이 소변기 KR10073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69A KR100735833B1 (ko) 2006-06-26 2006-06-26 수세식 간이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69A KR100735833B1 (ko) 2006-06-26 2006-06-26 수세식 간이 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79A KR20060087479A (ko) 2006-08-02
KR100735833B1 true KR100735833B1 (ko) 2007-07-06

Family

ID=3717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269A KR100735833B1 (ko) 2006-06-26 2006-06-26 수세식 간이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96Y1 (ko) * 2017-09-21 2019-08-26 남병성 남녀공용 소변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17B1 (ko) * 1985-04-27 1989-06-08 하루시게 다니구찌 신체 불구자의 배변 및/또는 배뇨후 음부를 자동수세하기 위한 장치
JP2001149265A (ja) 1999-11-26 2001-06-05 Mac Sanko Kk 携帯型の便器
JP2001252220A (ja) 2000-03-09 2001-09-18 Sosuke Negishi 携帯用自動洗浄トイレ
JP2003144476A (ja) 2001-11-16 2003-05-20 Kunio Abe バキウム式お尻洗浄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17B1 (ko) * 1985-04-27 1989-06-08 하루시게 다니구찌 신체 불구자의 배변 및/또는 배뇨후 음부를 자동수세하기 위한 장치
JP2001149265A (ja) 1999-11-26 2001-06-05 Mac Sanko Kk 携帯型の便器
JP2001252220A (ja) 2000-03-09 2001-09-18 Sosuke Negishi 携帯用自動洗浄トイレ
JP2003144476A (ja) 2001-11-16 2003-05-20 Kunio Abe バキウム式お尻洗浄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79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KR101059127B1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100735833B1 (ko) 수세식 간이 소변기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20100033949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2082084B1 (ko) 변기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변기 세척 시스템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101134887B1 (ko) 절수용 소변기
KR20180010723A (ko)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KR100989201B1 (ko) 매립형 양변기
KR200351205Y1 (ko) 스텝 개폐 밸브를 이용한 소변기 세척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US4819280A (en) Portable handheld urinal and complementary flush system for same
WO2018218826A1 (zh) 一种护理用移动防臭马桶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1007054B1 (ko)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CN213345474U (zh) 一种防臭免冲可移动坐式男女通用型小便器
KR101007055B1 (ko) 양변기 구조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JPH03156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