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377B1 -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377B1
KR100735377B1 KR1020060032764A KR20060032764A KR100735377B1 KR 100735377 B1 KR100735377 B1 KR 100735377B1 KR 1020060032764 A KR1020060032764 A KR 1020060032764A KR 20060032764 A KR20060032764 A KR 20060032764A KR 100735377 B1 KR100735377 B1 KR 10073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predetermined temperature
electromagnetic coil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943A (ko
Inventor
요시미 와타나베
미츠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1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 저온 시의 누출 방지를 위해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또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온도 센서(36)에 의해 검출되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밀봉 장치(15) 부근으로 되는 케이싱(11)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20)의 전자 코일(23)에도 통전하고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전자 코일에 의해도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한다. 콤프레셔 히터는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Description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TEMPERATURE CONTROL PROCESS AND APPARATUS IN OPENING TYPE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의 주요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 형태의 작동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실시 형태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 형태의 작동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일례의 작동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개방형 콤프레셔
(11) 케이싱
(12) 주축
(15) 밀봉 장치(기계적 씰)
(20) 전자 클러치
(23) 전자 코일
(28) 콤프레셔 히터
(30) 원동기(엔진)
(35) 제어 컴퓨터
(36) 온도 센서
본 발명은,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개방형 콤프레셔로서는 특개2004-08463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것은 공기조화장치 등에 사용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내에 냉매 등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과 가동 스크롤을 설치하고, 가동 스크롤에 연결되어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를 전동(傳動) 벨트와 풀리를 통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케이싱과 샤프트 사이에 기계적 씰(mechanical seal)을 설치한 것이다.
이 특허문헌 1의 개방형 콤프레셔의 구조 그 자체는,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 명의 실시 형태의 개방형 콤프레셔(10)로부터 콤프레셔 히터(28, 28A)를 제외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개방형 콤프레셔(10)는, 케이싱(11)의 내부에 설치한 스크롤형의 압축기구부의 가동 스크롤에 연결된 주축(12)이 롤러 베어링(13a, 13b)에 의해 케이싱(11)에 지지되고, 주축(12)의 선단부는 케이싱(11)에 형성된 통형상부(11a)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압축기구부의 압축실에 연통되는 주축(12)과 케이싱(11) 사이의 틈새에는, 정지측 씰링(16)과 회전측 씰링(17)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씰(15)이 설치되어 밀봉되어 있다. 정지측 씰링(16)은 통형상부(11a)의 내주(內周)에 0링이 기밀하게 끼워 맞춰져서, 통형상부(11a)의 내단부의 안쪽을 향하는 플랜지와 스냅 링(snap ring)에 의해 축선 방향 이동이 구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회전측 씰링(17)은 주축(12)의 중간부에 0링(17a)을 통하여 기밀하면서, 또한 축선 방향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0링(17a)의 뒤쪽에 맞닿은 스프링 후크(18a)와 주축(12)에 설치된 회전측 유지 플레이트(19)와의 사이에 스프링(18)을 끼워 장착함으로써 회전측 씰링(17)의 선단의 고리 형상 돌기가 정지측 씰링(16)으로 회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다.
케이싱(11)의 통형상부(11a)의 외주(外周)에는 전동 벨트 등을 통하여 가스 엔진 등의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고리 형상에서 뒤쪽이 개방된 단면 U자 형상의 로터(21)가, 롤러 베어링(21a)을 통하여 주축(12)과 동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로터(21)의 U자 형상의 단면 내에는, 앞쪽이 개방된 단면 U자 형상의 고리 형상으로 철 등의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요크(yoke)(22)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전자 코일(23)로 이루어지는 전자석(24)이, 다소의 틈을 두고 삽입되고, 지지 판(24a)에 의해 통형상부(11a)에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1a)로부터 돌출하는 주축(12)의 전단부에는 허브(25)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나사 조임 고정되고, 이 허브(25)의 플랜지부에는 판 스프링(32)을 통하여, 로터(21)의 전단면과 대향하는 고리 형상으로 철 등의 자성 재료의 두꺼운 판으로 이루어지는 마찰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로터(21)와 전자석(24)과 마찰판(26)에 의해, 전자 클러치(20)가 구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자유 상태에서는 로터(21)의 전단면과 마찰판(26)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클러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개방형 압축기에서는, 전동 벨트(도시 생략) 등을 통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로터(21)를 회전 구동한 상태에서도, 전자 코일(23)에 통전하지 않으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20)는 이탈된 채로 로터(21)의 전단면과 마찰판(26)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므로 주축(12)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 코일(23)에 통전함으로써 마찰판(26)이 전자석(24)에 의해 흡인되어 로터(21)의 단면에 흡착되면 전자 클러치(20)가 맞물리게 되고, 로터(21)와 함께 주축(12)이 회전되어 개방형 콤프레셔(10)는 작동된다.
상술한 기술에서는, 개방형 콤프레셔(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 코일(23)에 통전하여 마찰판(26)을 로터(21)의 단면에 흡착하면, 주축(12)에는 판 스프링(27)을 통하여 축선 방향 안쪽을 향하는 힘이 더해져서 주축(12)은 그 방향으로 다소 이동한다. 회전측 씰링(17)은 0링(17a)을 통하여 주축(12)에 기밀하면서, 또한 축선 방향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스프링(18)을 통하여 정지측 씰링(16)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으므로, 주축(1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다소 이동하여도, 통상은 회전측 씰링(17)의 선단의 고리 형상 돌기가 정지측 씰링(16)이 떨어지지 않고, 기계적 씰(15)에 의한 밀봉은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콤프레셔(1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온의 분위기인 시간 이상 놓여져서 기계적 씰(15)의 주위의 분위기 온도(이하, 간단히 밀봉부 분위기 온도라고 한다)가 저하한 경우는, 고무 등을 소재로 하는 기계적 씰(15)의 0링(17a)이 경화하여 주축(12)에 대한 회전측 씰링(17)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축(12)이 축선 방향 안쪽 방향으로 다소 이동하면, 회전측 씰링(17)도 함께 이동하여 그 선단의 고리 형상 돌기가 정지측 씰링(16)이 떨어지는 일이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 코일(23)에 통전하여 개방형 콤프레셔(10)를 작동시키면, 냉매 등의 누출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외부 동력이 운전 정지한 경우, 제어 수단은 전자 코일에 소정 시간 통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전자 코일의 발열에 의해, 하우징을 통하여 기계적 씰 부근을 따뜻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0링의 경화를 방지하여, 기계적 씰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인용 문헌 1에서는, 전자 코일의 발열에 의해 기계적 씰 부근이 따뜻해져 있고, 콤프레셔의 예열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히터 등의 부품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코스트 업을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특허문헌 1의 기술의 구체적 작동의 설명을 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술에서는, 콤프레셔(10)의 주위의 분위기 온도(이하, 간단히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라고 부른다)가 점차로 하강한 경우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강 측 소정 온도(tf1)을 넘으면 전자 코일(23)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상승한 경우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하강 측 소정 온도(tf1)보다 다소 높은 값으로 설정된 상승 측 소정 온도(tf2)를 넘으면 전자 코일(23)의 통전이 정지되게 되어 있다.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에 대한 밀봉부 분위기 온도의 변화특성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특성 L1과 그 연장선상의 파선(破線)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에 대해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하강하면 냉매 누출 상한 온도(냉매 등의 누출이 발생하는 밀봉부 분위기 온도의 상한치)(T0) 이하로 된다. 그러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하강하고, 하강 측 소정 온도(tf1)을 넘어 전자 코일(23)에 통전이 이루어지면,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전자 코일(23)의 가열에 의해 위쪽의 특성(L7)으로 이동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하강하여도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 이하로 되지 않는다. 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상승하고, 상승 측 소정 온도(tf2)를 넘어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위쪽의 특성(L7)으로부터 본래의 특성 L1으로 이동한다. 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하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계적 씰(15) 부근에 주어야 할 필요 가열량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 측 소정 온도(tf1)에 있어서의 최소 가열량(=0)의 위치(A1)와, 미리 설정된 운전 하한 온도(tr)에 있어서의 최대 가열량의 위치(A2)를 결합한 특성 H으로 나타난다.
또한, 특개2002-031386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동일한 목 적으로 콤프레셔를 예열하는데 히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압축기를 예열하는 예열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이 제어 수단에 예열 모드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고 있고, 외출시와 같이 분명하게 공기조화기를 운전하지 않는 경우에 압축기가 예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절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특개2004-084631호 공보(3쪽 12줄 ~ 5쪽 7줄, 도 1, 도 2).
[특허문헌 2] 특개2002-031386호 공보(3쪽 12줄 ~ 6쪽 17줄, 도 1).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콤프레셔의 예열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히터 등의 부품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비비의 코스트 업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코일은 전자 클러치로서 요구되는 기능에 의해 사양이 정해져 있고, 또 케이싱의 기계적 씰이 설치되는 부분에 대한 전열성도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코일의 소비 전력이 많아진다. 또, 도 6(c)에서 설명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하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특성 H로 나타내어지는 필요 가열량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총가열량은, 도 6(c)의 위치 A1, A2, A4를 연결한 삼각형의 면적에 상당하나, 전자 코일에는 소정 온도(tf1)과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서 최대 가열량(A2)에 상당하는 일정한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실제의 총가열량은 위치 A1, A2, A3, A4를 연결한 사각형의 면적이고, 실제의 총가열량은 필요한 총가열량의 2배가 된다. 이와 같이 전자 코일이 소비하는 전력은 많고, 이것에 의해 고온으로 되므로,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 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빨라지게 되며,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콤프레셔를 가열하는 전용의 히터를 사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하면 가열에 최적한 사양 및 설치 위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은 전자 코일에 의해 가열하는 경우에 비하여 감소한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히터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도 6(c)에 의해 설명한, 실제의 총가열량은 필요한 총가열량의 2배가 된다는 문제는 존재하므로, 히터로 소비되는 전력의 감소는 반드시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은, 압축기구부가 내장된 케이싱과, 압축기구부에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케이싱을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압축기구부의 압축실에 연통되는 주축과 케이싱 사이의 틈새를 밀봉 장치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 개방형 콤프레셔의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밀봉 장치 부근이 되는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여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전자 코일에 의해서도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청구항 1에 기재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여,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에 기재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은,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는, 압축기구부가 내장된 케이싱과, 압축기구부에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케이싱을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압축기구부의 작동실에 연통되는 주축과 케이싱 사이의 틈새를 밀봉 장치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 개방형 콤프레셔의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밀봉 장치 부근으로 되는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함과 동시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여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전자 코일에 의해도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 제어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고, 제어 수단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에 기재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에, 도 1~도 4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을 한다. 이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형 콤프레셔(10)와, 이를 구동하는 가스 엔진(원동기)(30)과, 개방형 콤프레셔(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제어 수단)(35)와, 제어 컴퓨터(35)에 접속된 온도 센서(36), 기동 스위치(37) 및 정지 스위치(3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개방형 콤프레셔(10)는, 옥외의 전용 수납 박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방형 콤프레셔(10)의 밀봉 장치(15) 부근의 온도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와의 상관이 있다. 따라서, 코스트 면에서도 우위인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를 온도 센서(36)로 검출함으로써, 밀봉 장치(15) 부근의 분위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형 콤프레셔(10)는, 기계적 씰(밀봉 장치)(15) 부근으로 되는 케이싱(11)의 일부에 벨트 형상의 콤프레셔 히터(28)를 감아서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 앞의 종래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의해 설명한 개방형 콤프레셔(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개방형 콤프레셔(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21)의 외주의 벨트 홈(21b)과 가스 엔진(30)의 출력축(30a)에 설치한 구동 풀리(31) 사이에 전동 벨트(32)를 걸쳐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온도 센서(36)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 컴퓨터(35)에 입력하는 것이다. 이 개방형 콤프레셔(10) 및 이를 구동하는 엔진(30)은, 옥내의 일부, 옥외에 설치한 전용의 수납박스 내, 처마 밑으로 되는 옥외 등에 설치되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는 전자의 두 가지 경우는 그 옥내 또는 수납 박스 내의 온도이고, 후자의 경우는 바깥 공기 온도이다. 기동 스위치(37) 및 정지 스위치(38)는 수동 또는 소정의 시퀀스에 의해 작동되어, 엔진(30)을 기동 또는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어 컴퓨터(35)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 제어 컴퓨터(35)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콤프레셔 히터(28) 및 전자 코일(23)의 어느 쪽에도 통전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비교적 높은 온도로부터 점차로 하강한 경우는, 온도 센서(36)에 의해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예를 들면, 5℃)을 넘으면 우선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을 개시하고, 더욱 저하하여 미리 설정된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예를 들면, -5℃)을 넘으면 전자 코일(23)에 통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35)는 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콤프 레셔 히터(28) 및 전자 코일(23)의 어느 것에도 통전이 이루어져 있는 저온으로부터 점차로 상승한 경우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보다도 다소 높은(그러나,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보다는 낮다) 값으로 설정된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tb2)(예를 들면, 0℃)를 넘으면 먼저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더욱 상승하여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보다도 다소 높은 미리 설정된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ta2)(예를 들면, 10℃)를 넘으면 콤프레셔 히터(28)로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와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ta2)의 양쪽을 합친 것이 제 1 소정 온도(ta)이고,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와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tb2)의 양쪽을 합친 것이 제 2 소정 온도(tb)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의해, 이 제 1 실시 형태의 작동의 설명을 한다. 제어 컴퓨터(35)는,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엔진(30)의 작동의 유무, 전자 클러치(20)의 작동의 유무 및 콤프레셔 히터(28)의 작동의 유무에 관계없이, 소정 시간마다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이 플로우 챠트에서는, 엔진은 「E/G」로 생략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는 「C/P 분위기」로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6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에 대한 밀봉부 분위기 온도의 변화 특성은, 전자 코일(23) 및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특성 L1(도 3(b) 참조)과 그 연장선상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에 대해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콤 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하강하면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 이하로 되나, 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하강하여도 밀봉부 분위기 온도가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 이하로 되지 않는다.
제어 컴퓨터(35)는 우선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스텝 101에 있어서 엔진(30)의 정지 후 30분 이상 경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엔진(30) 작동 중은 개방형 콤프레셔(10)는 그 작동에 의해 따뜻해져 있고, 엔진(30)의 정지 후 30분 이상 경과하지 않으면, 밀봉부 분위기 온도가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예를 들면, 0℃) 이하로 저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그 사이는 밀봉부 분위기 온도가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자 코일(23) 및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어 컴퓨터(35)는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즉시 종료한다.
엔진(30)의 정지 후 30분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컴퓨터(35)는 온도 센서(36)에 의해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102), 미만이면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스텝 103)하여 가열하고, 이것에 의해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하나 위쪽의 특성 L2(도 3(b) 참조)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어 컴퓨터(35)는 온도 센서(36)에 의해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104), 미만이면 전자 코일(23)에도 통전(스텝 105)하여 가열하고, 이것에 의해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하나 더 위쪽의 특성 L3으로 이동하며, 이 상태에서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스텝 102에 있어서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가 ta1 미만이 아니면, 제어 컴퓨터(35)는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ta2)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106), 이상이 아니면 그대로, 또 이상이면 콤프레셔 히터(28)로의 통전을 정지하여(스텝 107),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 상태에서는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특성 L1의 실선부 위에 있다. 또한 스텝 107은,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된 상태에서 전회(前回)의 제어 프로그램이 종료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또, 스텝 104에 있어서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 미만이 아니면, 제어 컴퓨터(35)는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tb2)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108), 이상이 아니면 그대로, 또 이상이면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스텝 109), 도 4의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 상태에서는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특성 L2 위에 있다. 또한 스텝 109는, 전자 코일(23)에 통전된 상태에서 전회의 제어 프로그램이 종료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또 제어 컴퓨터(35)는,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와는 별개의 제어 프로그램(도시 생략)에 의해 엔진(30)과 전자 클러치(20)를 제어하여 개방형 콤프레셔(10)를 작동시킨다. 그 제어 프로그램에서는, 기동 스위치(37)로부터 엔진 기동 지령이 주어진 경우는, 제어 컴퓨터(35)는, 전자 코일(23)에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는 즉시 엔진(30)을 기동하나, 전자 코일(23)에 통전되어 있을 때는 기동시의 엔진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단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엔진(30)을 기동한다. 엔진(30)의 기동 후는, 본래의 동력 전달을 위해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을 행한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프레셔 히터(28)에는 제 1 소정 온도 ta(ta1과 ta2)와 운전 하한 온도 tr 사이에서 통전이 이루어지고, 전자 코일(23)에는 제 1 소정 온도 ta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 tb(tb1과 tb2)와 운전 하한 온도 tr 사이에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 양자(28, 23)에 의해 가열되어,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실선의 각 특성(L1, L2, L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하여도 밀봉부 분위기 온도가 냉매 누출 상한 온도 T0 이하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코일(23)에 통전하여 개방형 콤프레셔(10)를 작동시킬 때에 발생하는 냉매 등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하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계적 씰(15) 부근에 부여하여야 하는 필요 가열량은, 도 3(c)에 있어서도 도 6(c) 과 마찬가지로,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에 있어서의 최소 가열량(=0)의 위치(A1)와, 미리 설정된 운전 하한 온도(tr)에 있어서의 최대 가열량의 위치(A2)를 연결한 특성 H로 나타난다. 이에 대해 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특성 H로 나타나는 필요 가열량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총가열량은, 콤프레셔 히터(28) 및 전자 코일(23)에 의해 부여되며, 콤프레셔 히터(28)에 의해 부여되는 가열량은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로부터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 걸치는 사각형 A1, A4, B3, B1의 면적에 상당하고, 전자 코일(23)에 의해 부여되는 가열량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로부터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 걸치는 사각형 B2, B3, A2, C1의 면적에 상당한다. 즉,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a1)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b1) 사이에서는 전자 코일( 23)에 대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 제 1 실시 형태의 실제의 총가열량은 종래 기술인 도 6(c)의 사각형 A1, A4, A2, A3에 비하여 사각형 B1, B2, C1, A3에 상당하는 면적만큼 감소하고, 그만큼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은 감소한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콤프레셔 히터(28)에 비하여 많은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 시간이 감소하므로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은 한층 감소됨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가열되는 전자 코일(23)의 온도 및 시간이 감소하여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늦어지므로,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5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의 설명을 한다. 이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는, 도 1에 2점쇄선으로 기입한 바와 같이, 제 2 콤프레셔 히터(28A)가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함으로, 이 이상의 상세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콤프레셔 히터는 제 1 실시 형태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 2B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35)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및 제 2 콤프레셔 히터(28, 28A) 및 전자 코일(23)의 어느 쪽에도 통전이 이루어져있지 않은 비교적 높은 온도로부터 점차로 하강한 경우는, 온도 센서(36)에 의해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를 넘으면 우선 제 1 콤프레셔 히터(28)에 통전을 개시하고, 더욱 저하하여 미리 설정된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를 넘으면 제 2 콤프레셔 히터(28A)에 통전을 개시하며, 더욱 저하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하강 측 소정 온도(te1)를 넘으면 전자 코일(23)에 통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 컴퓨터(35)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양콤프레셔 히터(28, 28A) 및 전자 코일(23)의 어느 것에도 통전이 이루어져 있는 저온으로부터 점차로 상승한 경우는,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3 하강 측 소정 온도(te1)보다 다소 높은(그러나,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보다는 낮다) 값으로 설정된 제 3 상승 측 온도(te2)를 넘으면 우선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더욱 상승하여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보다 다소 높은(그러나,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보다는 낮다) 값으로 설정된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td2)를 넘으면 제 2 콤프레셔 히터(28)으로의 통전을 정지하며, 더욱 상승하여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보다 다소 높은 미리 설정된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tc2)를 넘으면 제 1 콤프레셔 히터(28)으로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와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tc2)의 양쪽을 합한 것이 제 1 소정 온도(tc)이고,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와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td2)의 양쪽을 합한 것이 제 2 소정 온도(td)이며, 제 3 하강 측 소정 온도(te1)와, 제 3 상승 측 소정 온도(te2)의 양쪽을 합한 것이 제 3 소정 온도(te)이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에 의한 설명은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콤프레셔 히터(28)에는 제 1 소정 온도 tc(tc1과 tc2)와 운전 하한 온도 tr 사이에서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 2 콤프레셔 히터(28A)에는 제 1 소정 온도 tc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 td(td1과 td2)와 운전 하한 온도 tr 사이에서 통전이 이루어지며, 전자 코일(23)에는 제 2 소정 온도 td보다 낮은 제 3 소정 온도 te(te1과 te2)와 운전 하한 온도 tr 사이에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 삼자(28, 28A, 23)에 의해 가열되어, 밀봉부 분위기 온도는 실선의 각 특성(L1, L4, L5, L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하여도 밀봉부 분위기 온도가 냉매 누출 상한 온도(T0) 이하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코일(23)에 통전하여 개방형 콤프레셔(10)를 작동시킬 때에 발생하는 냉매 등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점차로 하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계적 씰(15) 부근에 부여해야 하는 필요 가열량은, 도 5(c)에 있어서도 도 6(c) 및 도 3(c)과 마찬가지로, 위치 A1과 위치 A2를 연결한 특성 H로 표시된다. 이에 대해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특성 H로 표시되는 필요 가열량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총가열량은, 양 콤프레셔 히터(28, 28A) 및 전자 코일(23)에 의해 부여되고, 제 1 콤프레셔 히터(28)에 의해 주어지는 가열량은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로부터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 걸치는 사각형 A1, A4, D3, D1의 면적에 상당하고, 제 2 콤프레셔 히터(28A)에 의해 주어지는 가열량은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로부터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 걸치는 사각형 D2, D3, E3, E1의 면적에 상당하며, 전자 코 일(23)에 의해 주어지는 가열량은 제 3 하강 측 소정 온도(te1)로부터 운전 하한 온도(tr) 사이에 걸치는 사각형 E2, E3, A2, F1의 면적에 상당한다. 즉,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과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td1) 사이에서는 제 2 콤프레셔 히터(28A)에 대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tc1)와 제 3 하강 측 소정 온도(te1) 사이에서는 전자 코일(23)에 대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 제 1 실시 형태의 실제의 총가열량은 종래 기술인 도 6(c)의 사각형 A1, A4, A2, A3에 비하여 육변형 D1, D2, E1, E2, F1, A3에 상당하는 면적만큼 감소하고,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은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보다 더욱 감소한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제 1 콤프레셔 히터(28)에 비하여 많은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 시간이 감소하므로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은 한층 더 감소됨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가열되는 전자 코일(23)의 온도 및 시간이 감소하여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늦어지므로,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한층 향상한다.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콤프레셔 히터(28, 28A)를 설치하여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최저인 경우는 양 콤프레셔 히터(28, 28A)에 통전하고, 그것보다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높은 경우는 제 1 콤프레셔 히터(28)에만 통전하고 있으나, 콤프레셔 히터를 3개 이상으로 하여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의 수를 증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변형 예에 의하면, 콤프레셔 히터가 2개의 경우보다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은 한층 더 감소되고, 또 가열되는 전자 코일(23)의 온도 및 시간이 감소하여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한층 늦어지므로,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은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 예에서는, 복수의 콤프레셔 히터를 설치하고 있으나, 콤프레셔 히터는 1개로 하여 그에 대한 통전량을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저하에 따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계적 씰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의 감소와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데 더하여, 콤프레셔 히터는 1개로 충분하므로 구조가 간략화되어, 코스트 업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자 코일(23)으로의 통전량을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저하에 따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또 전자 코일을 복수로 분할하여,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저하에 따라 통전하는 전자 코일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기계적 씰(15)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이 감소하므로, 전자 코일(23)에 있어서의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소비 전력이 많다는 문제점을 커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 예는, 복수의 것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1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발명에 의하면, 개방형 콤프레셔의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에는 밀봉 장치 부근이 되는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고,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여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전자 코일에 의해도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므로,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 사이에서는 콤프레셔 히터만이 통전되어 밀봉 장치가 가열되고, 제 2 소정 온도 이하가 되면 콤프레셔 히터와 전자 코일의 양쪽에 통전되어 밀봉 장치가 가열된다. 즉, 제 1과 제 2 소정 온도 사이에서는 전자 코일에 대한 통전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그만큼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많은 전자 코일으로의 통전 시간이 감소하므로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은 한층 감소됨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가열되는 전자 코일의 온도 및 시간이 감소하여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늦어지게 되므로,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여, 제어 수단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한 청구항 2에 기재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발명에 의하면,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 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도록 한 청구항 3에 기재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는데 덧붙여서,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을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 업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개방형 콤프레셔의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밀봉 장치 부근으로 되는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함과 동시에,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도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여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전자 코일에 의해서도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어 수단은,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 사이에서는 콤프레셔 히터에만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고, 제 2 소정 온도 이하가 되면 콤프레셔 히터와 전자 코일의 양쪽으로 통전하여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한다. 즉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 사이에서는 전자 코일에 대한 통전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그만큼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밀봉부 분위기 온도를 소정치 상승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많은 전자 코일으로의 통전 시간이 감소하므로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은 한층 감소됨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가열되는 전자 코일의 온도 및 시간이 감소하여 전자 코일의 절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의 열화의 진행이 늦어지므로, 전자 코일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고, 제어 수단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킨 청구항 7에 기재의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 수단은, 검출된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도록 한 청구항 8에 기재한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는데 더하여,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을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 업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0)

  1. 압축기구부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압축기구부에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을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상기 압축기구부의 압축실에 연통되는 상기 주축과 상기 케이싱 사이의 틈새를 밀봉 장치에 의해 기밀(氣密)하게 밀봉하는 밀봉 장치를 구비하고,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밀봉 장치 부근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상기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며,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상기 제 1 소정 온도보다도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여 상기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상기 전자 코일에 의해도 상기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고,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상기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 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온도는,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와, 상기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도 높은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하강시에 상기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 낮게 되는 경우에 상기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며,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상승시에 상기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를 넘는 경우에 상기 콤프레셔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온도는,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와, 상기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도 높은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하강시에 상기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 낮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코일 에 통전하며,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상승시에 상기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6. 압축기구부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압축기구부에 연결되고 이것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을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상기 압축기구부의 작동실에 연통되는 상기 주축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밀봉 장치와,
    주위의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밀봉 장치 부근으로 되는 상기 케이싱에 설치한 콤프레셔 히터와,
    검출된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콤프레셔 히터에 통전하여 상기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상기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의 전자 코일에도 통전하고 상기 콤프레셔 히터에 더하여 상기 전자 코일에 의해도 상기 밀봉 장치 부근을 가열하는 제어 수단
    을 또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라도 복수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검출된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통전하는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수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검출된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 히터 및 전자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의 통전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온도는,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와, 상기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도 높은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하강시에 상기 제 1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 낮게 되는 경우에 상기 콤프레셔에 통전하며,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상승시에 상기 제 1 상승 측 소정 온도를 넘는 경우에 상기 콤프레셔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온도는,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와, 상기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도 높은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하강시에 상기 제 2 하강 측 소정 온도보다 낮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코일에 통전하며, 상기 콤프레셔 분위기 온도의 상승시에 상기 제 2 상승 측 소정 온도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장치.
KR1020060032764A 2005-04-11 2006-04-11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35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4019 2005-04-11
JP2005114019A JP4548189B2 (ja) 2005-04-11 2005-04-11 開放型コンプレッサ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43A KR20060107943A (ko) 2006-10-16
KR100735377B1 true KR100735377B1 (ko) 2007-07-04

Family

ID=3707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764A KR100735377B1 (ko) 2005-04-11 2006-04-11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48189B2 (ko)
KR (1) KR100735377B1 (ko)
CN (1) CN1004474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674A (ja) * 2009-11-11 2011-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634A (ko) * 1994-12-27 1996-07-18 한승준 에어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제어장치
KR970011479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차량 에어컨 압축기용 가변 클러치
KR970045529A (ko) * 1995-12-29 1997-07-26 한승준 에어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제어장치
JPH1127204A (ja) * 1997-07-08 1999-01-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ポケットベル信号と移動体電話信号の同一光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
KR20000056526A (ko) * 1999-02-23 2000-09-15 구자홍 히트펌프의 압축기 예열 제어방법
JP2002031386A (ja) * 2000-07-19 2002-01-31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40019970A (ko) * 2002-08-28 2004-03-06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개방형 압축기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058A (en) * 1972-06-30 1973-09-18 Gen Motors Corp Compressor shaft seal heater
JPS54181361U (ko) * 1978-06-13 1979-12-21
CN2282610Y (zh) * 1996-09-11 1998-05-27 刘淇彬 压缩机的新型控制阀结构
JP2001073952A (ja) * 1999-09-03 2001-03-21 Yamaha Motor Co Ltd 圧縮機の加熱装置
JP4181340B2 (ja) * 2002-06-07 2008-11-12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保護方法および保護構造
JP2004204734A (ja) * 2002-12-24 2004-07-22 Calsonic Compressor Seizo Kk 気体圧縮機および空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634A (ko) * 1994-12-27 1996-07-18 한승준 에어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제어장치
KR970011479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차량 에어컨 압축기용 가변 클러치
KR970045529A (ko) * 1995-12-29 1997-07-26 한승준 에어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제어장치
JPH1127204A (ja) * 1997-07-08 1999-01-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ポケットベル信号と移動体電話信号の同一光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
KR20000056526A (ko) * 1999-02-23 2000-09-15 구자홍 히트펌프의 압축기 예열 제어방법
JP2002031386A (ja) * 2000-07-19 2002-01-31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40019970A (ko) * 2002-08-28 2004-03-06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개방형 압축기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JP2004084631A (ja) * 2002-08-28 2004-03-18 Sanden Corp 開放型コンプレッサ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996-0021634호
공개특허 제1997-0011479호
공개특허 제1997-0045529호
공개특허 제1999-027204호
공개특허 제2000-0056526호
공개특허 제2004-0019970호
일본공개특허 평14-031386호
일본공개특허 평16-08463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43A (ko) 2006-10-16
JP2006291854A (ja) 2006-10-26
CN1847653A (zh) 2006-10-18
CN100447415C (zh) 2008-12-31
JP4548189B2 (ja)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639B (zh) 包括致动器以实现螺旋线圈式离合器与离合器表面的接合的螺旋线圈式离合器组件
US20050178635A1 (en) Device for diving a coolant pump
JP2013527396A (ja) 小動力型クラッチによる作動又は作動停止型付属装置
CN105091231A (zh) 一种空调器及其从制冷模式向恒温除湿模式的切换方法
US20230003167A1 (en) Prime mover systems including multi-accessory driv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US20080304976A1 (en) Temperature management for electric motor driven pump
KR100735377B1 (ko) 개방형 콤프레셔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440412A (zh) 一种压缩机电加热带的控制方法、控制系统与空调器
JP2005121333A (ja) 空気調和装置
CN103004080B (zh) 电机,起动装置和用于运行起动装置的方法
KR20180092755A (ko) 전동 압축기의 기동 제어 방법 및 전동 압축기의 기동 제어 장치
EP0573658A1 (en) Method of demagnetiza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electric motor
CN105258230A (zh) 窗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5003429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7285323A (ja) 自動車用電動圧縮機の制御駆動装置
JPH05309588A (ja) 産業用ロボット
CN112902402B (zh) 空调器的控制方法
CN106839331A (zh) 空调器高温压力控制方法和空调器
JP3451918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WO2020105807A1 (ko) 전동 유·공압 압축장치의 소비전력 절감 구조 및 방법
WO2018088128A1 (ja) 電磁クラッチ及びこれを備えた圧縮機
JPS5986866A (ja) エンジン駆動ヒ−トポンプ装置
JPS622986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70003258U (ko) 자동차 냉각장치의 일정시간 가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