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032B1 -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032B1
KR100735032B1 KR1020060064535A KR20060064535A KR100735032B1 KR 100735032 B1 KR100735032 B1 KR 100735032B1 KR 1020060064535 A KR1020060064535 A KR 1020060064535A KR 20060064535 A KR20060064535 A KR 20060064535A KR 100735032 B1 KR100735032 B1 KR 100735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river
wheeled vehicle
butt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선
Original Assignee
김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선 filed Critical 김준선
Priority to KR102006006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 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일반인에게 공용되는 주파수대(27MHz)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라디오세트와; 상기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장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세트와; 상기 컨트롤세트와 연결되며 이륜 운송수단 운전자의 헬멧에 착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 및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용 헤드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륜, 운송, 무선, 헤드셋

Description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two wheel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트롤세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라디오세트 101 - 전원공급수단
102 - 안테나 200 - 컨트롤세트
300,400 - 헤드세트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전거와 같은 이륜 운송수단의 운전자들이 운전 도중에 상호 편리하게 교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공용 주파수대(27MHz)에서 교신이 이루어지고,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헬멧에 설치하여서 운행중에도 손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교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나 아마추어 무선통신(HAM)을 위한 장비로서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관련 기술 또한 크게 발전하여 초소형화를 꾀하면서 고성능의 제품들이 다양하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가구소득이 증가하고 주 5일제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일반 자전거는 물론, 산악용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과 같은 이륜 운송수단을 이용한 레져 및 스포츠 활동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레포츠 활동은 개인보다는 주로 가족 중심이나 동호인들과 함께 그룹별로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다.
따라서 이륜 운송수단을 이용한 레포츠 활동 중에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호인들과 각종 정보를 교환하게 되면, 레포츠 활동의 재미를 배가하면서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방향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함으로서 그 조작이 번거러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와는 달리 운전자가 두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이륜 운송수단의 경우에는 운전 도중에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면 양손의 활용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고를 위험이 매우 높았다.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설치방식이 마땅치 않고, 2차전지 등을 전원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휴대가 불편하며, 전원을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지 통신을 위한 기능만을 가졌을 뿐, 운전자 및 그 운전자와 함께 탑승하는 동승자를 위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면 오디오청취 또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 운송수단의 운전자에게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는 무선통신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륜 운송수단을 레포츠로 즐기는 동호인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는 물론,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신할 수 있고, 특히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와 동승자가 상호 대화를 하거나 음악 등을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호 통신기능 이외에도 오디오 청취 또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륜 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일반인에게 공용되는 주파수대(27MHz)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라디오세트와; 상기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장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세트와; 상기 컨트롤세트와 연결되며 이륜 운송수단 운전자의 헬멧에 착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 및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용 헤드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트롤세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은 라디오세트(100)와 컨트롤세트(200)와 운전자용 헤드세트(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디오세트(100)는 이륜 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101)인 밧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일반인에게 공용되는 주파수대(27MHz)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컨트롤세트(200)는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착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운전자용 헤드세트(300)는 이륜 운송수단을 사용하는 운전자의 헬멧에 착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302)과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304)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라디오세트(100)는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101)인 밧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되, 그 투입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메인전원스위치(102)와, 그 메인전원스위치(102)의 조작으로 인해 전원이 투입되면 구동되어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1제어부(104)와, 상기 제1제어부(104)의 작동에 따라 데이터를 변/복조하는 RF모듈(106)과, 그 RF모듈(106)이 데이터를 변/복조할 수 있도록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7)와, 변/복조되는 데이터를 음성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08)와, 그 음성처리부(108)에 연결되어 인터콤(intercom)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인터콤접속단자(110)와, 상기 컨트롤세트(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접속단자(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터콤접속단자(110)와 컨트롤접속단자(112)는 일정한 케이블이 길게 형성되어 그 단부에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터콤접속단자(110)는 이륜 운송수단의 운전자와 동승자가 함께 대화하거나 라디오나 음악 등을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간 단히 동승자의 헤드세트(400)의 연결단자와 연결시켜 줌으로서, 동승자가 이어폰(402)과 마이크로폰(404)를 이용해 인터콤기능을 이용해 운전자와 통신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세트(200)는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상기 라디오세트(100)의 컨트롤접속단자(112)와 연결되어 라디오세트(1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인접속단자(202)와, 컨트롤세트(200)만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컨트롤전원스위치(204)와,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조절버튼(206)과, 음성송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버튼(PTT; Push To Talk)(208)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버튼(210)과, 채널 선택 및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채널/잡음제거버튼(212)과, 채널 선택기능이나 잡음 제거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버튼(214)과, 핸드폰과 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를 연결시 전화받기 및 잠금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전화버튼(216)과, 라디오주파수인 AM/FM을 선택하기 위한 AM/FM선택버튼(218)과, 27MHz의 CB(citizens band)를 사용하여 동호인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CB통신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운전자와 동승자간의 대화모드인 인터콤(intercom)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CB/인터콤선택버튼(220)과, 상기 전원스위치(204)의 작동에 따라 초기화되어 작동되며 상기 다수의 버튼입력을 감시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22)와, 상기 다수의 버튼입력 상태 및 제어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 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24)와, mp3나 카세트 등과 같은 휴대용 오디오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연결단자(226)와, 외부 버튼입력을 받을 수 있는 외부 PTT연결단자(228)와, 핸드폰과 같은 개인휴대통신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전화연결단자(230)와, 운전자용 헤드세트(300)를 연결하기 위한 헤드세트연결단자(2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전자용 헤드세트(300)와 동승자용 헤드세트(4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302,402)과,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304,404)으로 이루어져 헬멧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라디오세트(100)는 이륜 운송수단, 예컨대 오토바이의 연료탱크 후단위치에 고정설치하고, 컨트롤세트(200)는 핸들바의 적정한 위치에 브라켓 세트(미도시됨)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며, 컨트롤세트(200)의 내부 제어회로를 이어주는 케이블들은 각각의 요부 컨넥터로 연결하여 접속시킨다.
또한, 라디오세트(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수단(101)은 오토바이에 마련된 배터리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때, 이륜 운송수단이 자전거라면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헤드세트(300)는 헬멧에 장착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기기의 설치가 완료되면, 라디오세 트(100)의 메인전원스위치(102)를 온(ON)시켜서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101)인 밧데리의 전원을 인가하고, 컨트롤세트(200)의 컨트롤전원스위치(204)를 온(ON)시키면 제2제어부(222)가 초기화되어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컨트롤세트(200)의 감도조절버튼(206), 송신버튼(208), 볼륨조절버튼(210), 채널/잡음제거버튼(212), 기능선택버튼(214), 전화버튼(216), AM/FM선택버튼(218), CB/인터콤선택버튼(220)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그와 같은 버튼 조작 및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24)에 그대로 표시된다.
이때, 운전자가 동호인, 즉 다른 운전자와 통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CB/인터콤선택버튼(220)을 선택하여 조작하여 CB를 선택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27Mhz대의 무선데이터는 RF모듈(106)을 통해 복조되어 음성처리부(108)를 거치게 되며, 그와 같은 음성데이터는 컨트롤세트(200)에 연결되는 운전자용 헤드세트(300)에 그대로 증폭 전달되어 이어폰(302)을 통해 출력된다. 그와 같이 음성을 수신하던 중에 음성송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버튼(PTT; Push To Talk)(208)을 누르게 되면 송신모드로 전환되며 그와 같이 누르고 있는 동안에 운전자용 헤드세트(300)의 마이크로폰(304)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는 라디오세트(100)의 음성처리부(108) 및 RF모듈(106)을 거치면서 변조되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
한편, 운전자가 동승자와의 통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컨트롤세트(200)의 CB/인터콤선택버튼(220)을 선택하여 조작하여 인터콤 기능을 선택하면 CB기능이 차단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는 라디오세트(100)의 인터콤접속단자(110)에 동승자용 헤드세트(400)가 연결되어 있어서 대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결되면 운전자와 동승자는 이륜 운송차량이 주행중이더라도 서로 대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디오입력단자(226)에 mp3나 카세트 등을 연결하면 운전자는 물론 동승자도 동일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을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세트(200)의 전화연결단자에 전용케이블(미도시됨)을 연결하고 전화버튼(216)을 누르면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며 통화시에는 운전자용 헤드세트(300)의 이어폰(302)과 마이크로폰(304)을 통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양한 양방향 통신 중에 음감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감도조절버튼(206) 또는 채널/잡음제거버튼(212)을 조작하여 감도 및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다양한 설계변경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나, 이로 인해 전혀 새로운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이러한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전거와 같은 이륜 운송수단의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다른 운전자 또는 동승자와 자유로운 교신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상기 이륜 운송수단을 이용한 각종 레포츠 활동 중에 동호인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는 물론,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신할 수 있게 하므로서, 레포츠 활동의 재미를 배가하고,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신용 주파수를 일반인에게 공용되는 주파수대(27MHz)를사용하므로 광범위한 교신이 가능하고, 오토바이에 장착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므로 별도의 2차전지를 준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mp3나 휴대폰 등을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통신기기의 단조로움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륜 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10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일반인에게 공용되는 주파수대(27MHz)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라디오세트(100)와;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장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세트(200)와; 상기 컨트롤세트(200)와 연결되며, 이륜 운송수단 운전자의 헬멧에 착용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과,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용 헤드세트(3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세트(100)는 이륜 운송수단의 전원공급수단(101)인 밧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되, 그 투입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메인전원스위치(102)와; 그 메인전원스위치(102)의 조작으로 인해 전원이 투입되면 구동되어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1제어부(104)와; 상기 제1제어부(104)의 작동에 따라 데이터를 변/복조하는 RF모듈(106)과; 그 RF모듈(106)이 데이터를 변/복조할 수 있도록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7)와; 변/복조되는 데이터를 음성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08)와; 그 음성처리부(108)에 연결되어 인터콤(intercom) 기능을 위해 구비되 는 인터콤접속단자(110)와; 상기 컨트롤세트(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접속단자(11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콤접속단자(110)에는 이륜 운송수단에 운전자와 함께 탑승하는 동승자용 헤드세트(40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세트(200)는 이륜 운송수단의 핸들이나 운전자의 헬멧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라디오세트(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상기 라디오세트(100)의 컨트롤접속단자(112)와 연결되어 라디오세트(1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인접속단자(202)와; 컨트롤세트(200)만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컨트롤전원스위치(204)와;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조절버튼(206)과; 음성송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버튼(PTT; Push To Talk)(208)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버튼(210)과; 채널 선택 및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채널/잡음제거버튼(212)과; 채널 선택기능이나 잡음제거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버튼(214)과; 핸드폰과 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를 연결시 전화받기 및 잠금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전화버튼(216)과; 라디오 주파수인 AM/FM을 선택하기 위한 AM/FM선택버튼(218)과; 27 MHz의 CB (citizens band)를 사용하여 동호인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CB통신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운전자와 동승자간의 대화모드인 인터콤(intercom)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CB/인터콤선택버튼(220)과; 상기 전원스위치(204)의 작동에 따라 초기화되어 작동되며 상기 다수의 버튼입력을 감시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22)와; 상기 다수의 버튼입력 상태 및 제어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24)와; mp3나 카세트 등과 같은 휴대용 오디오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연결단자(226)와; 외부 버튼입력을 받을 수 있는 외부 PTT연결단자(228)와; 핸드폰과 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전화연결단자(230)와; 운전자용 헤드세트(300)를 연결하기 위한 헤드세트연결단자(23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KR1020060064535A 2006-07-10 2006-07-10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KR10073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35A KR100735032B1 (ko) 2006-07-10 2006-07-10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35A KR100735032B1 (ko) 2006-07-10 2006-07-10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032B1 true KR100735032B1 (ko) 2007-07-03

Family

ID=385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35A KR100735032B1 (ko) 2006-07-10 2006-07-10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0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272A (ko) * 2000-04-03 2001-11-03 가와모토 노부히코 자동 이륜차의 안테나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272A (ko) * 2000-04-03 2001-11-03 가와모토 노부히코 자동 이륜차의 안테나 배치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9527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9095A1 (en) Helmet with audio features
JP4728537B2 (ja) ブルートゥース通信システム
US8195253B2 (en) Wireless portable radio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7203525B2 (en) Wireless control of helmet-mounted communications equipment
US8073496B2 (en) Helmet type hands free system with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US20110110514A1 (en)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US20150080061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helmeted user
US20150105022A1 (en) Multitasking system of bluetooth headset
KR101048523B1 (ko) 다기능 무전기
US20220256029A1 (en) Headset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session
KR100735032B1 (ko) 이륜 운송수단용 무선통신 시스템
US20080014865A1 (en) Radio and public address accessory system with wireless interface
KR10081544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JP2004104684A (ja) 二輪車用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装置
US20110319142A1 (en) Helmet communication device
CN113949405B (zh) 一种警用多通道通讯设备
US20230179697A1 (en) Push to talk radio lock
JP2001287681A (ja) 二輪車用発音装置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451312Y1 (ko) 무전기용 핸즈프리 유니트
US20040152494A1 (en) In-vehicle hands-free cellular phone set
CN101605191A (zh) 一种新型蓝牙耳机
KR200194623Y1 (ko) 핸들에 통화스위치가 부착된 무선 이어폰 핸즈프리 시스템
JP3025207U (ja) バイク乗員向タンデム通話・騒音消去回路付き無線機
KR20020070172A (ko) 통화버튼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한 무선 송수신기용헤드세트 통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