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70B1 -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 Google Patents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70B1
KR100734170B1 KR1020050098753A KR20050098753A KR100734170B1 KR 100734170 B1 KR100734170 B1 KR 100734170B1 KR 1020050098753 A KR1020050098753 A KR 1020050098753A KR 20050098753 A KR20050098753 A KR 20050098753A KR 100734170 B1 KR100734170 B1 KR 10073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usb
terminal
terminals
us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789A (ko
Inventor
조정일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102005009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1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된 접촉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가 수용되는 리드 케이스, 리드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커넥터, 및 리드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USB 단자와 접촉단자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유닛이 구비된 카드리드 파트; 및 카드리드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스마트카드 혹은 여분의 카드가 보관될 수 있는 카드보관 파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Wallet type smart card read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와 USB 커넥터 사이의 회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에 RF 안테나 접촉단자가 더 구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SIO 타입의 스마트 칩 및 RF 안테나가 더 구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있어서, SIO 타입의 스마트카드와 USB 커넥터 사이의 회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의 제1 변형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의 제2 변형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의 제3 변형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스마트카드
1010,2010,3010..카드보관 파트
1100,1200,1300,1400..카드리드 파트
1130,1230,1330,1430..USB 커넥터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에 의해 스마트카드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 판독기로 읽어낼 수 있으며, 여분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는 "하나의 칩에 모든 정보"라는 특징처럼 집적회로 칩을 내장하여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보다 저장용량이 크고, 보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카드는 기본적인 일반은행업무 이외에 신용카드, 교통카드, 신분증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카드는 인식기능이외에 전자화폐의 기능을 수행해 일반은행 혼잡통행료, 주차장,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통행료 등의 이용료 지불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유료콘텐츠를 구매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카드는 전자화폐의 기능, 신분증의 기능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카드가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필요성이 대두된다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카드에 마련된 집적회로 칩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컴퓨터 등으로 전송하여 인터넷 뱅킹, 전자 지불, 인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분의 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외부로 노출된 접촉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가 수용되는 리드 케이스,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커넥터, 및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USB 단자와 접촉단자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유닛이 구비된 카드리드 파트; 및 상기 카드리드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카드 혹은 여분의 카드가 보관될 수 있는 카드보관 파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보관 파트는 상기 리드 케이스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 및 상기 폴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더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 상기 카드리드 파트는 상기 리드 케이스와 적층되어 상기 카드가 수용될 수 있는 보관 케이스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1000)는, 스마트카드(10) 혹은 여분의 카드(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카드보관 파트(1010), 및 상기 스마트카드(1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카드리드(card read) 파트(1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카드 읽기 기능뿐만 아니라 지갑 기능도 겸하게 된다.
상기 카드보관 파트(1010)는 카드리드 파트(1100)에 구비된 리드 케이스(1110)에 대해 절첩(折疊)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folder, 1011)와, 상기 폴더(1011)의 리드 케이스(1110)를 향한 면에 형성된 포켓(10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폴더(1011)는 리드 케이스(1110)의 대향되는 면과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 접혀진 상태에서 미관상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폴더(1011)는 하드 케이스 혹은 소프트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 케이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10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부위가 다단으로 접혀져 다수의 공간(1013)들로 구획하며, 그 구획된 공간(1013)들에 카드(10)(20)를 각각 나누어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포켓(1012)은 카드(10)(20)의 삽입이 용이하게 유연성을 갖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더(1011)는 유연성을 갖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된 절첩부(1015)에 의해 리드 케이스(111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드 케이스(1110)에 대해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절첩부(1015)는 다수의 고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리드 케이스(1110)에 절첩 가능하게 된 폴더(1011)는 리드 케이스(1110)에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폴더(1011)에 자석(1021)이 구비되고, 리드 케이스(1110)에 상기 자석(1021)과 부착될 수 있게 철 등으로 형성된 부착부(10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폴더(1011)에 부착부(1022)가 구비되고, 리드 케이스(1110)에 자석(102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자석(1021)을 이용하게 되면, 리드 케이스(1110)에 대해 고정된 폴더(1011)를 분리하여 펼치는 것도 용이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착탈식 버튼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드리드 파트(11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어 스마트카드(10)가 수용되는 리드 케이스(1110), 및 상기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USB 커넥터(1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 케이스(1110)에 수용되는 스마트카드(10)는 플라스틱 카드(11), 상기 플라스틱 카드(11)에 내장된 집적회로 칩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플라스틱 카드(11) 표면에 노출 된 접촉단자(12)들을 구비한다.
상기 리드 케이스(1110)는 그 일측에 스마트카드(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개구(1111)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 USB 커넥터(1130)가 돌출 가능하게 USB 커넥터용 홀(1114)이 형성된다. 상기 리드 케이스(1110)의 개구(1111) 측은 하부가 상부보다 길게 연장되며, 그 연장된 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고정 턱(1112)과 소정 크기로 절개된 절개 홈(11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턱(1112)은 리드 케이스(1110)의 개구(1111)를 통해 수용된 스마트카드(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 홈(1113)은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가 고정 턱(1112) 부위에서 일부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의 노출된 부위를 손가락으로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면 스마트카드(10)가 리드 케이스(1110)로부터 손쉽게 분리된 후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 케이스(1110)의 개구(1111)는 플라스틱 카드가 휘어져 쉽게 삽입되고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드 케이스(1110)의 개구(1111) 측은 하부가 상부보다 길게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가 하부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연장된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고정 턱(1112)과 절개 홈(1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 케이스(1110)의 개구(1111) 측에 별도의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카드(10)를 수용하는 리드 케이스(1110)는 절연성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 케이스(1110)는 외부 충격에 강건하며 소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하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USB 커넥터(1130)는 그 상면에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USB 단자(1131)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USB 커넥터(1130)에 있어 USB 단자(113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USB 커넥터(1130)는 슬라이딩 왕복 이동됨으로써,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부터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된다. 상기 USB 커넥터(1130)는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스마트카드(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스마트카드(10)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드 케이스(1110) 내에 USB 커넥터(1130)와 함께 스마트카드(10)를 수납하여 휴대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드 케이스(1110)가 지갑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USB 커넥터(1130)는 이송 레버(1140)에 의해 슬라이딩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레버(114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고 당길 수 있게 리드 케이스(1110)의 외부, 즉 상부에 위치한 레버부(1141)를 구비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1141)로부터 USB 커넥터(113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USB 커넥터(1130)와 결합되는 연결부(1142)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1142)는 리드 케이스(1110)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홀(1116)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1116)은 이송 레버(1140)의 이송 방향, 즉 USB 커넥터(1130)의 이송 방 향을 따라 형성되며, USB 커넥터(1130)의 이송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송 레버(1140)와 USB 커넥터(1130)가 결합되어 가이드 홀(1116)을 따라 안내됨에 따라,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1110)로부터 이탈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USB 커넥터(1130)는 외부 컴퓨터 등에 마련된 USB 포트에 끼워져 사용될 수 있을 만큼 리드 케이스(1110)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스토퍼(stopper, 1150)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150)는 이송 레버(1140)의 위치를 고정시켜 궁극적으로 USB 커넥터(1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이송 레버(1140)의 이송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150)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보다 리드 케이스(1110) 자체에 형성되는 것이 부재 개수 등을 간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1150)는 리드 케이스(1110)의 이송 레버(1140)가 배치된 면상에 ㄷ자 형상을 갖도록 소정 크기로 절개되며 그 자유단(1151)이 리드 케이스(1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150)의 자유단(1151)은 USB 커넥터(1130)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이송 레버(1140)를 이송시킨 상태에서 USB 커넥터(1130)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레버부(1141)의 후단 측면에 맞닿아 이송 레버(1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1150)에 의해 이송 레버(114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토퍼(1150)의 돌출한 자유단(1151)을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위치되도록 누르게 되면 이송 레버(1140)는 고정된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렇게 해제된 상태에서 이송 레버(1140)를 USB 커넥터(1130)가 돌출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리드 케이스(1110) 내에 USB 커넥터(113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렇게 이송 레버(1140)의 이송에 따라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되면, 스토퍼(115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고 하며, 그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이송 레버(1140)가 고정됨으로써,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USB 커넥터(1130)는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와 접속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케이스(1110)의 상측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120)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120)은 제1 기판(1121) 및 제2 기판(1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기판(1121)의 하면은 리드 케이스(1110)의 하측 내면과의 사이에 스마트카드(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스마트카드(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제1 기판(1121)에는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접촉단자용 홀(1122)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단자용 홀(1122)은 그 내부에 플라스틱 카드(11)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접촉단자(12)들이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1121)에는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되게 하며, 리드 케이스(1110)의 USB 커넥터용 홀(1114)을 통해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수납 홀(11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 홀(1123)은 USB 커넥터(1130)가 콤팩트한 휴대를 위해 평상시에는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다가, 외부 컴퓨터 등에 마련된 USB 포트에 끼워져 사용될 때에는 리드 케이스(1110) 내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납 홀(1123)에는 USB 커넥터(1130)가 삽입되며, 상기 수납 홀(11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USB 커넥터(113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2)가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USB 커넥터(11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수납 홀(1123)은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USB 커넥터(1130)의 양 측부에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홈에 수납 홀(1123)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짐으로써 USB 커넥터(11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USB 커넥터(1130)의 USB 단자(1131)가 형성된 상부에는 제2 기판(1126)이 위치된다. 상기 제2 기판(1126)은 리드 케이스(1110)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장착 홈(1115)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홈(1115)은 제2 기판(1126)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에 여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되, 상기 여분의 공간은 적어도 USB 커넥터(1130)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폭과, USB 커넥터(1130)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 및 제1 기판(1121)으로부터 USB 커넥터(1130)의 날개부(1132)가 돌출한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USB 커넥터(1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USB 커넥터(1130)의 USB 단자(1131)들은 제1 기판(1121)에 형성된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 및 제2 기판(1126)에 형성된 USB 단자측 리드(1127)들에 의 해,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과 USB 단자측 리드(1127)들 사이는 제1 기판(1121)에 형성된 제1 연결선(1125) 및 제2 기판(1126)에 형성된 제2 연결선(1128)들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선(1125)들은 일단부들에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이 각각 접속되며, 타단부들에 제1 매개단자(1125a)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선(1128)들은 일단부들에 USB 단자측 리드(1127)들이 접속되며, 타단부들에 제2 매개단자(1128a)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선(1125)들의 제1 매개단자(1125a)들은 제2 연결선(1128)들의 제2 매개단자(1128a)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항상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1125)(1128)들은 제1 및 제2 매개단자(1125a)(1128a)들이 생략되고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은 스마트카드(10)가 리드 케이스(1110)에 수용되어 접촉단자(12)들이 제1 기판(1121)의 접촉단자용 홀(1122)을 통해 노출되면 8개의 접촉단자(12)들 중에 어느 4개의 접촉단자(12)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접속된다. 상기 접촉단자용 리드(1124)들은 접촉단자(12)들과의 접속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접촉단자(12)들에 탄성 편향되게 U 자로 굽어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121)에 있어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접촉단자측 리드(1124), 제1 연결선(1125), 및 제1 매개단자(1125a)를 제외한 부위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USB 단자측 리드(1127)들은 USB 커넥터(1130)를 컴퓨터의 USB 포트에 끼워서 사용하기 위하여 USB 커넥터(1130)를 리드 케이스(1110) 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USB 단자(1131)들과 접속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USB 단자측 리드(1127)들은 USB 단자(1131)들과의 접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USB 단자(1131)들에 탄성 편향되게 U 자로 굽어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121)에 있어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USB 단자측 리드(1127), 제2 연결선(1128), 및 제2 매개단자(1128a)를 제외한 부위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에 접촉되어 USB 커넥터(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카드(10)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5)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5)는 ISO 7816 표준에 규정된 물리 규격을 만족하는 C1 내지 C8의 접촉단자들에 있어서, 접촉단자 C1, C2, C3, C5, C6, C7은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로 각각 기능하며, 접촉단자 C4, C8은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D+, D-)로 각각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단자 C1 내지 C8 중에서 4개의 접촉단자들, 즉 전원공급단자(Vcc)인 C1,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D+, D-)인 C4 및 C8, 및 접지단자(GND)인 C5가 4개의 USB 단자(1131)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됨으로써, USB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5)로는 USB 데이터 통신은 가능하나 비접촉 통신은 불가능하다. 이에 USB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비접촉 통신이 가능하 도록 도 4에 도시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6)에는 도 3의 C1 내지 C8의 접촉단자들 이외에 RF 안테나 접속단자들인 접촉단자 C9 및 C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RF 안테나 접속단자들인 C9 및 C10은 인쇄회로기판(1120)에 패턴 형성되어 마련된 RF 안테나(1129)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비접촉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도 3에 도시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5)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되, 비접촉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SIO(Serial Input Output) 타입의 스마트 칩(1161)이 더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1120)에 탑재됨으로써 카드리드 파트(1100)에 붙박이로 장착된다. 상기 SIO 타입의 스마트 칩(1161)은 B1 내지 B8의 단자들에 있어서, 단자 B1, B2, B3, B5, B6, B7은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로 각각 기능하며, 단자 B4, B8은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로 각각 기능한다. 이러한 단자 B1 내지 B8 중에서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인 B4 및 B8은 인쇄회로기판(1120)에 패턴 형성되어 마련된 RF 안테나(1129)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비접촉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B4 및 B8을 제외한 6개의 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1120)에 마련된 USB 변환부(1162)에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USB 변환부(1162)는 6개의 단자들로부터 입력된 SIO 신호를 4개의 USB 신호(Vcc, D+, D-, GND)로 변환하여 USB 단자(1131)들로 각각 출력함으로써,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SIO 타입의 스마트 칩(1161)과는 별개로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15)는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자(Vcc)인 C1,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D+, D-)인 C4 및 C8, 및 접지단자(GND)인 C5가 USB 단자(1131)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됨으로써, SIO 타입의 스마트 칩(1161)과는 독립적으로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카드(10)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SIO 타입의 스마트카드(17)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SIO 타입의 스마트카드(17)는 C1 내지 C8의 접촉단자들에 있어서, 접촉단자 C1, C2, C3, C5, C6, C7은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로 각각 기능하며, 접촉단자 C4, C8은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로 각각 기능한다. 이러한 접촉단자 C1 내지 C8 중에서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인 C4 및 C8은 인쇄회로기판(1120)에 패턴 형성되어 마련된 RF 안테나(1129)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비접촉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4 및 C8을 제외한 6개의 접촉단자들은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을 거쳐 인쇄회로기판(1120)에 마련된 USB 변환부(116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은 6개로 마련된다. 이렇게 6개의 접촉단자들과 연결되어 SIO 신호를 입력받는 USB 변환부(1162)는 4개의 USB 신호(Vcc, D+, D-, GND)로 변환하여 USB 단자(1131)들로 각각 출력함으로써,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1000)가 구성됨에 따라, 카드리드 파트(1100)는 USB 커넥터(1130)를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수납한 상태로 평상시에 휴대하다가, 스마트카드(10)로부터의 데이터를 컴퓨터 등에 전송할 필요가 있게 되면,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접촉단자측 리드(1124)들 사이가 접 속되게 리드 케이스(1110) 내에 스마트카드(10)를 삽입한 후, USB 커넥터(1130)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리드 케이스(1110) 내로부터 돌출시키는 한편, USB 커넥터(1130)의 USB 단자(1131)들과 USB 단자측 리드(1127)들 사이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커넥터(1130)를 컴퓨터의 USB 포트와 접속시키게 되면, 스마트카드(10)와 컴퓨터 간에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카드(10)가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게 되며, 필요한 경우 인터넷 뱅킹, 전자 지불, 인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리드 케이스(1110)는 그 내부에 스마트카드(10)를 항상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리드 파트(1100)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카드보관 파트(1010) 또한 스마트카드(10) 혹은 여분의 카드(20)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카드 읽기 기능뿐만 아니라 지갑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드리드 파트는 도 7에 도시된 제1 변형예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카드리드 파트(1200)는 USB 커넥터(1230)가 평상시에 리드 케이스(1210) 내에 콤팩트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가, 외부 컴퓨터 등에 마련된 USB 포트에 끼워져 사용될 때에 리드 케이스(1210) 내로부터 회동하여 돌출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 케이스(1210)에는 개구 (1111)의 반대 측에 위치한 어느 한 코너에 있어 양 측부에 걸쳐 USB 커넥터용 홀(1214)이 형성된다. 상기 USB 커넥터용 홀(1214)은 USB 커넥터(1230)가 원활하게 내부에 수납되고 외부로 돌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USB 커넥터용 홀(1214)의 주변은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1230)가 회동 축(1236)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20)에 있어 제1 기판(1221)에는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 내에 수납될 수 있게 수납 홀(1223)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 홀(1223)은 USB 커넥터용 홀(1214)에 상응하는 부위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수납 홀(1223)에 삽입된 USB 커넥터(1230)는 수납 홀(122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수납 홀(1223)은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리드 케이스(121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동시에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 내로 지나치게 진입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납 홀(1223)의 주변은 USB 커넥터용 홀(1214)에서와 마찬가지로, USB 커넥터(1230)가 회동 축(1236)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B 커넥터(1230)는 상부에서 제1 기판(1221)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인 상태로 수납 홀(122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기판(1226)이 설치되는 장착 홈(1215)은 제2 기판(1226)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측에 여분의 공간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USB 커넥터(1230)는 리드 케이스(1210)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리드 케이스(1210)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USB 커넥터(1230)의 상부에 회동 축(123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 축(1236)은 리드 케이스(1210)에 형성된 통공(1216)에 끼워짐으로써 회동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통공(1216)에 끼워진 회동 축(1236)의 단부에는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축(1236)과 통공(1216) 사이에는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의 외측으로 180도 회동하여 돌출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회동 축(1236)과 통공(1216) 중에서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게 다른 한쪽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고정수단은 USB 커넥터(1230)가 리드 케이스(121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더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USB 커넥터(1230)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끼워져 사용될 때에는 외측으로 회동하여 돌출한 상태에 놓이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USB 단자(1231)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USB 단자측 리드(1127)들이 제2 기판(1226)에 배열된다.
한편, 카드리드 파트는 도 8에 도시된 제2 변형예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카드리드 파트(1300)는 접촉단자(12)와 USB 단자(1331)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으로 기능하는 인쇄회로기판(1320)은 접촉단자측 리드(1124), 제1 연결선(1125), 및 제1 매개단자(1125a)가 형성된 제1 기판(1321)을 포함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1120)에 있어 USB 단자측 리드(1127), 제2 연결선(1128), 및 제2 매개단자(1128a)가 형성된 제2 기판(1126)이 생략된 구조를 갖는다. 그 대신, USB 단자(1331)들과 제1 매개단자(1125a)들 사이가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은 일단부가 USB 단자(1331)들에 접속되며, 타단부가 제1 매개단자(1125a)들에 접속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리드 케이스(13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와 USB 커넥터(13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을 매개로 스마트카드(10)와 접속되는 USB 커넥터(1330)는 리드 케이스(1310) 내에 수납되어 있다가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렇게 USB 커넥터(1330)가 리드 케이스(1310)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은 USB 커넥터(1330)가 리드 케이스(13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어도 1회 이상 접혀지게 마련된다. 즉, 상기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은 USB 커넥터(1330)가 리드 케이스(1310)의 외측으로 충분한 길이만큼 돌출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은 제1 기판(1321)의 수납 홀(1323)의 내측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이 수용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본 변형예에 따른 수납 홀(132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 홀(1123)보다 내측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렇게 수납 홀(1323)이 더 길게 연장 형성된 만큼 USB 커넥터(1330)가 리드 케이스(1310) 내로 더 진입될 우려가 있는데, 이는 이송 레버(1140)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1316)의 궤적을 조정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납 홀(1323)의 상부에 위치한 리드 케이스(1310) 면에는 오목한 홈(13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한 홈(1315)은 적어도 USB 커넥터(1330)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폭과, USB 커넥터(1330)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 및 제1 기판(1321)으로부터 USB 커넥터(1330)의 날개부(1332)가 돌출한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오목한 홈(1315)은 USB 커넥터(1330)의 이동 길이보다 내측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형성된 공간에 플렉시블 인쇄케이블(1340)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카드리드 파트는 도 9에 도시된 제3 변형예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카드리드 파트(1400)는 접촉단자(12)와 USB 단자(1431)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으로서 전술한 예들에서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120)(1220)(1320)이 생략된 구조를 갖는 대신,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USB 단자(1431)들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촉단자측 단자(1424)들이 USB 커넥터(1430)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술하면, 상기 USB 커넥터(1430)에는 USB 커넥터(1430)가 돌출한 상태에서도 리드 케이스(1410) 내에 항상 위치되는 단자부(1439)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439)의 하면에는 리드 케이스(1410) 내에 수용되어 고정된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과 접속되게 접촉단자측 리드 (1424)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1424)들은 연결선(1425)들에 의해 USB 단자(1431)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USB 커넥터(1430)는 리드 케이스(14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들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 케이스(1410)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USB 커넥터용 홀(1414)을 통해 외측으로 이송 레버(114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 케이스(1410)의 상측 하면에 USB 커넥터(14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할 수 있게 가이드 부재(1450)가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1450)에는 USB 커넥터(1430)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 홀(145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홀(145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USB 커넥터(143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432)가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USB 커넥터(14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홀(1451)은 리드 케이스(1410) 내에 수용된 스마트카드(10)의 접촉 단자(12)들이 USB 커넥터(1430)에 마련된 접촉단자측 리드(1424)들을 향해 노출되게 한다. 상기 삽입 홀(1451)은 단자부(1439)를 포함한 USB 커넥터(1430)가 리드 케이스(1410) 내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USB 커넥터(1430)의 양 측부에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홈에 삽입 홀(1451)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짐으로써 USB 커넥터(14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450)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USB 커넥터(14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을 안내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 홀(1451)의 상부에 위치한 리드 케이스(1410) 면에는 오목한 홈(14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한 홈(1415)은 적어도 USB 커넥터(1430)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폭과, USB 커넥터(1430)의 전후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 및 가이드 부재(1450)로부터 USB 커넥터(1430)의 날개부(1432)가 돌출한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USB 커넥터(143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카드리더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20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비교할 때, 앞서 도 2에 도시된 카드리드 파트(1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들(1200)(1300)(14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스마트 카드(10) 혹은 여분의 카드(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카드보관 파트(2010)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카드보관 파트(1010)와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상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보관 파트(2010)는 카드리드 파트(1100)에 구비된 리드 케이스(1110)에 대해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폴더들(2011a)(2011b)(2011c)과, 상기 폴더들(2011a)(2011b)(2011c)에 각각 형성된 포켓(2012)을 구비한다.
상기 폴더들(2011a)(2011b)(2011c)은 각각 리드 케이스(1110)의 대향되는 면과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미관상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폴더들(2011a)(2011b)(2011c)은 하드 케이스 혹은 소프트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 케이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2012)은 적어도 하나의 카드(10)(20)가 수납되어 보관되는 공간(2013)을 갖는다. 이러한 포켓(2012)은 카드(10)(20)의 삽입이 용이하게 유연성을 갖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더들(2011a)(2011b)(2011c) 중에서 리드 케이스(1110)와 가장 멀리 떨어진 폴더(2011c)에 형성된 포켓(2012)은 리드 케이스(1110)에 대해 폴더들(2011)이 모두 접혀진 상태에서 숨겨져 보호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리드 케이스(1110)와 이에 인접한 폴더(2011a) 사이, 및 폴더들(2011a)(2011b)(2011c) 사이는 유연성을 갖는 가죽 소재 혹은 천 소재 등으로 형성된 절첩부(1015)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상호 절첩 가능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절첩부(1015)는 다수의 고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리드 케이스(1110)에 순차적으로 절첩 가능하게 된 폴더들(2011a)(2011b)(2011c)은 리드 케이스(1110)에 접혀진 상태에서 착탈식 버튼(2020)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자석(1001)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카드리더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카드리더기(3000)는 스마트카드(10) 혹은 여분의 카드(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카드보관 파트(3010)와 스마트카드(1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카드리드 파트(3100)가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드보관 파트(3010)는 보관 케이스(3011)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리드 파트(3100)는 리드 케이스(3110)를 구비한다. 상기 보관 케이스(30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10)(20)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그 일측에는 카드(10)(20)가 삽입될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보관 케이스(3011)의 내부 공간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카드(10)(20)가 나뉘어 수납될 수 있게 격벽으로 구획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 케이스(3110)에는 하나의 스마트카드(10)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그 일측에 스마트카드(10)가 삽입될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리드 케이스(3110)의 개구가 형성된 측과 반대되는 측에는 USB 커넥터(1130)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USB 커넥터(1130)가 리드 케이스(3110)로부터 돌출하는 구성과, 상기 USB 커넥터(1130)와 스마트카드(10)의 접촉단자(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조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구성 혹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들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관 케이스(3011)와 리드 케이스(311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스(3001)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3001)의 개구 측에 하나의 커버부재(3170)가 설치될 수 있게 보관 케이스(3011)의 개구와 리드 케이스(3110)의 개구는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재(3170)는 케이스(300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케이스(3001)의 개구를 폐쇄하고 개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부재(3170)는 카드(10)(20)를 케이스(3001)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스(300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때에는 케이스(3001)의 개구를 폐쇄하게 되며, 카드(10)(20)를 케이스(3001) 내에 수용하거나 분리시킬 때에는 케이스(3001)의 개구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170)는 케이스(30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 부위(3001a)에 끼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3170)의 두께는 케이스(3001a)의 단차진 만큼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커버부재(3170)가 케이스(3001)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미관상 유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17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축용 홀(317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용 홀(3171)에 끼워질 수 있게 케이스(3001)에는 힌지축(3002)이 형성됨으로써, 커버부재(3170)가 케이스(300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3170)는 케이스(300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커버부재(3170)의 보관이 유리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축용 홀(3171)이 케이스(3001)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002)이 커버부재(317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재(3170)의 힌지축용 홀(3171)이 형성된 측은 커버부재(3170)가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170)의 힌지축용 홀(3171)이 형성된 반대 측에는 커버부재(3170)를 케이스(300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커버부재(3170)로부터 케이스(3001) 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 걸이부(3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172)는 케이스 (3001)에 형성된 걸이부용 홈(3003)에 끼워짐으로써 커버부재(3170)가 케이스(3001)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01)의 개구 측에는 스마트카드(10)를 케이스(3001)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카드(10)의 단부가 일부 노출되게 절개 홈(30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001)의 개구에 설치되는 커버부재(3170)는 케이스(3001)와 축 결합되지 않고 완전히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 턱(1112)에 의해 카드(10)(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리드 파트의 리드 케이스 내에 스마트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스마트카드의 접촉단자와 USB 커넥터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마트카드와 외부 컴퓨터 간에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카드가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게 되며, 필요한 경우 인터넷 뱅킹, 전자 지불, 인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USB 커넥터를 리드 케이스에 수납하여 콤팩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스마트카드로부터의 데이터를 컴퓨터 등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USB 커넥터를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드 케이스는 그 내부에 스마트카드를 항상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카드리드 파트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카드보관 파트에서도 스마트카드 혹은 여분의 카드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카드 읽기 기 능뿐만 아니라 지갑 기능을 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삭제
  2. 외부로 노출된 접촉단자들과 회로적으로 연결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가 수용되는 리드 케이스,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USB 단자들이 형성된 USB 커넥터, 및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USB 단자들과 접촉단자들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유닛이 구비된 카드리드 파트; 및
    상기 카드리드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카드 혹은 여분의 카드가 보관될 수 있는 카드보관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보관 파트는 상기 리드 케이스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 및 상기 폴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케이스는 상기 스마트카드의 삽입을 위해 개구된 단부에 고정 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를 수용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턱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 중에서 더 길게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며, 그 연장된 단부에는 절개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케이스는 상기 스마트카드의 삽입을 위해 개구된 측에 커버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리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응되는 부위에 접촉단자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용 홀을 통해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게 접촉단자측 리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되는 수납 홀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들과 연결선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USB 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게 형성된 제2 기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리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응되는 부위에 접촉단자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용 홀을 통해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게 접촉단자측 리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되는 수납 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들과 USB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케이블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응되는 상측에서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삽입 홀에 끼워져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리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USB 커넥터가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도록 상기 USB 커넥터에 형성된 접촉단자측 리드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1. 제 2항,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상기 스마트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케이스에 대한 자유로운 수납과 돌출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리드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USB 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리드 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된 이송 레버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버는 상기 USB 커넥터가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리드 케이스의 이송 레버가 배치된 면상에 ㄷ자 형상을 갖도록 소정 크기로 절개되며, 그 자유단이 상기 리드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USB 커넥터가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그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 레버의 후단 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응되는 부위에 접촉단자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용 홀을 통해 상기 접촉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게 접촉단자측 리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수납되어 그 내측면에 지지되는 수납 홀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접촉단자측 리드들과 연결선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USB 단자들과 대향되어 접속되게 형성된 제2 기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리드 케이스 내에 상기 스마트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케이스에 대한 자유로운 수납과 돌출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는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 및 두 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D+, D-)을 포함한 접촉단자들을 갖는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이며,
    상기 전원공급단자, 접지단자, 및 두 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이 상기 USB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에는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을 포함한 단자들을 갖는 SIO 타입의 스마트 칩이 장착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 접지단자, 및 두 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이, 상기 접속유닛에 마련되고 USB 신호(Vcc, D+, D-, GND)로 변환하여 상기 USB 단자들로 출력하는 USB 변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들이 상기 접속 유닛에 마련된 RF 안테나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는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 두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D+, D-), 및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을 포함한 접촉단자들을 갖는 USB 타입의 스마트카드이며,
    상기 전원공급단자, 접지단자, 및 두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이 상기 USB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들이 상기 접속유닛에 마련된 RF 안테나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는 전원공급단자(Vcc), 초기화 입력단자(Reset), 클럭단자(CLK), 접지단자(GND),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RFU)들을 포함한 접촉단자들을 갖는 SIO 타입의 스마트카드이며,
    상기 전원공급단자, 접지단자, 및 두 개의 USB 데이터 통신단자들이, 상기 접속유닛에 마련되고 USB 신호(Vcc, D+, D-, GND)로 변환하여 상기 USB 단자들로 출력하는 USB 변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RF 안테나 접속단자들이 상기 접속유닛에 마련된 RF 안테나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20050098753A 2005-10-19 2005-10-19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073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53A KR100734170B1 (ko) 2005-10-19 2005-10-19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53A KR100734170B1 (ko) 2005-10-19 2005-10-19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89A KR20070042789A (ko) 2007-04-24
KR100734170B1 true KR100734170B1 (ko) 2007-07-02

Family

ID=3817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53A KR100734170B1 (ko) 2005-10-19 2005-10-19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25277D0 (en) * 2007-12-28 2008-02-06 Touch N Glo Ltd Secure transaction system
KR101031236B1 (ko) * 2009-05-13 2011-04-29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휴대용 카드 리더기
ES1075683Y (es) * 2011-05-20 2012-02-16 Sanchez Antonio Rivera Tarjeta de visita con llamador incorporad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70A (ko) * 2000-05-23 2001-12-07 스마트아이엔티 주식회사 Usb를 내장한 스마트 카드 및 인증 시스템.
KR20020037779A (ko) * 2000-11-15 2002-05-23 최천우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KR20050068920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직렬버스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90964A (ko) * 2005-08-24 2005-09-14 정진섭 카드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70A (ko) * 2000-05-23 2001-12-07 스마트아이엔티 주식회사 Usb를 내장한 스마트 카드 및 인증 시스템.
KR20020037779A (ko) * 2000-11-15 2002-05-23 최천우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KR20050068920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직렬버스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90964A (ko) * 2005-08-24 2005-09-14 정진섭 카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89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484B1 (ko) 접촉 및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용 단말기와 그 단말기 회로
US6883718B1 (en) Credit card sized memory card with host connector
US7344072B2 (en) Credit card sized USB flash drive
US6910634B1 (en) Information input/ output unit
US8225986B2 (en) Casing for electronic key and system comprising such a casing
US7533826B2 (en) Electronic wallet
AU2005331917B2 (en) Variable thickness data card body
US9760741B2 (en) Card reader
KR100625507B1 (ko)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0734170B1 (ko)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0923454B1 (ko) 접이식 카드가이드를 가진 스마트카드 리더기
ES2381209T3 (es) Aparato de recepción de información
KR100625513B1 (ko)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JP2002536772A (ja) 非接触カードからの支払いを受け入れる支払端末
KR200378095Y1 (ko) Usb 단자를 구비한 카드
KR100625495B1 (ko)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05732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US6457648B1 (en) Dual-interface card reading device
KR100562074B1 (ko) 휴대용 카드 판독 장치
US20050114584A1 (en) Multimedia access device
KR20070019262A (ko) Usb 카드 시스템
KR100984137B1 (ko) 카드형 유에스비 장치
KR200446196Y1 (ko) 카드형 유에스비 장치
KR200339123Y1 (ko) 이동통신단말의 카드장착구조
KR101074436B1 (ko)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