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카드 리더기(10)는 카드 삽입홈(21a)을 형성한 본체 하우징(20)과, 개폐 장치부(30)와, 슬라이딩 이동부(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제 1, 2 본체 하우징(2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은 카드(2)를 상기 카드 삽입홈(21a)에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카드(2)의 마그네틱(미도시 됨)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 하는 리더부(70)를 구비한 텐션 스프링(71)을 구비하며, 상기 리더부(70)에 구비된 제 1 연성회로(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은 후술하는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고, 후술하는 상기 연결 커넥터(50)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체결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개폐 장치부(30)는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카드 삽입홈(21a)을 개폐시킴과 아울러 외부 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커넥터(50)를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0)는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과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1)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은 카드 삽입홈(21a)과, 리더 관통홀(21b)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체결부(21c)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부(21d)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21e)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21f)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삽입홈(21a)은 상기 카드(2) 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더 관통홀(21b)은 상기 리더부(70)를 상기 카드 삽입홈(21a)에 구비할 수 있게 관통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체결부(21c)들은 상기 텐션 스프링(71)을 나사(100)에 의해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체결부(21d)들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과 나사(10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21e)들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부(22b)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21f)들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0)을 결합시킴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은, 인입/인출홀(22a)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부(22b)와, 발광홀(22c)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인출홀(22a)은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연결 커넥터(50)를 외부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부(22b)들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걸림부(21e)들에 걸려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홀(22c)은 외부 기기(1)와 전기적으로 접속시 발광되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0)에 구비된 발광 소자(81)의 광을 외부로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부(30)는 개폐홀(31)과, 한쌍의 가이드 돌기(32)와, 가이드 이동부(33)와, 스토퍼 장치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홀(31)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카드 삽입홈(21a)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32)들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가이드 홈(41)들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개폐 장치부(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는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홀(42)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커넥터(50)를 구비한 제 2 인쇄회로기판과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부(30)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21g)에서 착탈되어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의 양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장치부(30)는 상기 스토퍼 홈(21g)들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 락커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는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90)에 구비된 제 2 연성회로(91)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연성회로홀(3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는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90)과 나사(100)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3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0)는 한쌍의 가이드 홈(41)과, 한쌍의 가이드 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41)들은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42)들은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부(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50)에는 상기 인입/인출홀(22a)에서 인출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는 상기 나사체결부(21d)를 보호하도록 보호 커버(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카드 리더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카드 리더기(10)는 카드 삽입홈(21a)을 형성한 본체 하우징(20)과, 개폐 장치부(30)와, 슬라이딩 이동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제 1, 2 본체 하우징(2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체결부(21c)에 카드(2)의 마그네틱(미도시 됨)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리더부(70)를 구비한 텐션 스프링(71)을 나사(100)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21f)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0)을 결합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리더부(70)에 연결된 제 1 연성회로(82)를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부(33)에 상기 연결 커넥터(50)를 구비한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나사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33b)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33b)에 나사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90)에 형성된 홀에 관통된 나사(100)를 체결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 형성된 연성회로홀(33a)에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제 2 연성회로(91)를 관통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부(30)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가이드 홈(41)들에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돌기(3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과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개폐 장치부(30)는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0)는 한쌍의 가이드 홈(41)과, 한쌍의 가이드 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홈(41)들은 상 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홀(42)들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부(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50)는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인입/인출홀(22a)의 입구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100)를 관통시켜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나사체결부(21d)에 나사(100)체결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나사체결부(21d)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60)를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카드 리더기(10)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카드 삽입홈(21a)은 상기 개폐 장치부(30)에 의해 닫혀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카드 삽입홈(21a)을 개방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부(30)의 한쌍의 가이드 돌기(32)와 가이드 이동부(33)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가이드 홈(41)들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는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가이드 홀(4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부(3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90)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 커넥터(50)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인입/인출홀(22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 장치부(3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이동부(33)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의 양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장치부(30)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부(30)는 상기 스토퍼 홈(21g)들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 락커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 장치부(30)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21g)에서 이탈되어 슬라이딩 이동 종료 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스토퍼 홈(21g)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장치부(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삽입홈(21a)이 개방된 카드 리더기(10)를 상기 외부 기기(1)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인출된 연결 커넥터(50)는 연결잭(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잭(3)을 상기 외부 기기(1)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미도시 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0)에 구비된 발광 소자(81)는 상기 연결 커넥터(50)와 상기 외부 기기(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발광되고, 상기 발광된 광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발광홀(22c)을 통해 외부로 발광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2)를 상기 카드 삽입 홈(21a)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카드 삽입홈(21a)내에 구비된 리더부(70)는 카드(2)의 마그네틱과 접촉됨과 아울러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외부 기기(1)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미도시 됨)를 통해 메인 서버(미도시됨)로 인가하여 송수신한다.
도 4,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카드 리더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카드 리더기의 연결 커넥터(50)를 연결잭(3)에서 분리하고,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개폐 장치부(30)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카드 삽입홈(21a)을 닫는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 가이드 홈(41)들에 의해 상기 개폐 장치부(30)의 가이드 돌기(32)들이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22)에 형성된 가이드 홀(42)들에 의해 가이드 이동부(33)들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부(30)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21)의 슬라이딩 이동 종료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 홈(21g)에서 이탈되어 슬라이딩 이동 초기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 홈(21g)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장치부(30)를 윈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카드 삽입홈(21a)을 사용에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시키는 개폐 장치부(30)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카드 삽입홈(21a)에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생된 접촉불량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카드 리더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