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131B1 - 골프티 - Google Patents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131B1
KR100733131B1 KR1020060007976A KR20060007976A KR100733131B1 KR 100733131 B1 KR100733131 B1 KR 100733131B1 KR 1020060007976 A KR1020060007976 A KR 1020060007976A KR 20060007976 A KR20060007976 A KR 20060007976A KR 100733131 B1 KR100733131 B1 KR 10073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upport portion
support
fixing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172A (ko
Inventor
추재천
Original Assignee
추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재천 filed Critical 추재천
Priority to KR102006000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13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하방의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게 못과 같이 형성된 고정부(10)와, 골프공이 안착할 수 있게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부(20)(30)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로 형성하고 상기 제2받침부의 상단에는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연결끈(4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골프티를 하나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받침부의 높낮이와, 롱타 및 숏타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골퍼가 선택하여 사용하고, 파손이나 분실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매우 간편하고 또한 고정부, 제1받침부, 제2받침부가 연결끈에 의해 결합하므로써 연결끈이 골프 공의 타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를 골프티에 붙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골프티, 고정부, 받침부, 연결끈

Description

골프티{Golf 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골프티 구성 분리사시도
도 2는 도1을 결합한 숏타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1을 결합한 롱타시 사용상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로 골프티 휴대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부 20. 제1받침부
21, 31 중공부 11. 돌기부
30. 제2받침부 32. 결합부
40. 연결끈 50. 골프공
본발명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골프티를 하나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하고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받침부의 높낮이와, 롱(Long)타 및 숏(Short)타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골퍼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가 간편하고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키고 타격감각도 방해되지 않는 등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티는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골프티는 골프공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단이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대와, 받침대의 하방향으로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도록 못과 같이 끝이 뽀족하게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골프 클럽의 헤드가 골프티의 몸통 타격시 골프티가 지면에 꽂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튕겨 이탈됨으로 골프티가 분실되어 여러 개의 골프티를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를 일일히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여야 하나 그 크기가 작아 보관의 부주의로 분실될 우려가 있고 손쉽게 주머니에서 꺼내어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게 못과 같이 형성된 고정부와, 골프 공이 안착할 수 있게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로 형성하되 상기제2받침부는 상단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연결끈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즉 2개의 골프티를 하나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하여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받침부의 높낮이와, 롱타 및 숏타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골퍼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고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키고 타격감각도 방해되지 않는 등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정부와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를 결합시 연결끈은 골프공의 타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또한 고정부의 못과 같이 뽀쪽한 부분이 제2받침부의 중공부에 삽입하여 결합되어 혁대 끈에 고정시키거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가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를 골프티에 붙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프티와 함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골프티는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게 못과 같이 형성된 고정부(10)와, 골프공(50)이 안착할 수 있게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부(20)(30)와,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로 형성하되 제2받침부(30)는 상단에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연결끈(4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골프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골프공(50), 고정부(10), 제1받침부(20), 제2받침부(30), 연결끈(40)등으로 구성된 골프티의 분해 사시도로써, 고정부(1))는 제1받침 및 제2받침부와 결합하기 위해 돌기부(11)가 형성되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한다.
받침부는 탄력성이 크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본 실시예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된다.
받침부는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로 구성하되, 상기 제2받침부(30)는 연결끈(40)과 결합부(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는 고정부(10)의 뽀족한 부분과 결합부(32)가 삽입하도록 중공부(21)(31)가 형성된다.
도 1과 같이 제2받침부(30)와 결합부(32) 그리고 연결끈(40)은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연결끈(40) 끝은 와셔와 같은 형태로 고정부(10) 원형의 크기로 형성하여 홈(41)이 형성되고 상기 홈(41)은 고정부(10)의 돌기부에 삽입하여 고정부(10)와 제2받침부(30)가 결합한다.
제1받침부(20)는 숏(Short)티 샷을 할 때 사용하거나 잔디의 길이가 짧게 올라 온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낮은 골프티를 사용할 때 사용되고, 제2받침부(30)는 롱(Long)티 샷을 할 때 사용하거나 잔디의 길이가 길게 올라 온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높은 골프티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등 그때 그때 골프장의 상황에 따라 골퍼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숏(Short)티 샷이나 잔디의 길이가 짧게 올라온 경우에 낮은 골프티를 사용할 때의 실시예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돌기부(11)에 제1받침부의 하단 중공부(21)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롱(Long)티 샷이나 잔디의 길이가 길게 올라 온 경우에 높은 골프티를 사용할 때의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돌기부(11)는 제1받침부(20) 하단의 중공부(21)에 삽입되고, 제1받침부(20)의 상단 부분에 골프공이 올려 놓은 상태이다
제2받침부(30)의 상단에는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는 제1받침부(20)의 상단 중공부(2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받침부(30)와 결합부(32)가 형성된 부분에 돌기(33)가 형성되어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의 결합부(32)가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을 결합한 사시도로써 골프를 치고난 후 골프티의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연결끈(40)은 제2받침부(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끈(40)의 홈(41)이 고정부의 돌기부(11)에 삽입되게 한다.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가 결합시에는 골프공을 보내고자 하는 타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이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의 돌기부(11)에 연결끈(40)의 홈(41)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돌기부(11)에 제1받침부(20)하단의 중공부(21)가 삽입되고, 제1받침부(20)상단의 중공부(21)에 제2받침부(30)의 결합부(32)가 삽입되면 연결끈 (40)은 일방향으로 되어 골프공의 타구방향을 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뽀족한 부분이 제2받침부(30)의 중공부(31)에 삽입되어 이동시 혁대 끈에 고정할 수도 있고 또한 주머니에 넣어 옷이나 몸에 찌를 염려가 없어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한편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고정부(10) 원형의 하단에 홈을 파서 자성을 띤 물질(예, N극의 자석)을 삽입하고, 고정부(10) 원형 보다 큰 원형의 자성을 띤 마크(예, S극의 자석)를 뽀족한 부분 하단에 위로 끼우면 마크(12)가 고정부(10) 원형 하단에 붙게되고, 상기 마크는 착탈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분실할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고 필요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2개의 골프티를 하나의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받침부의 높낮이와 롱타 및 숏타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골퍼가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 할 수 있고, 파손이나 분실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고정부와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1개의 연결끈으로 연결시 연결끈이 골프공의 타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를 골프티에 붙이고, 착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기존제품에 비해 고정부, 제1받침부, 제2받침부, 연결끈, 마크등으로 구분하여 각각 사출하여 부품을 조립시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Claims (6)

  1. 삭제
  2.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게 형성된 고정부(10)와, 골프공이 안착할 수 있게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제1받침부(20) 및 제2받침부(30)로 이루어지고 서로 결합함으로 숏티샷이나 롱티샷에 사용하는 통상의 골프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제2받침부(30)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끈(40)을 제2받침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끈(40)의 끝은 고정부(10) 원형의 크기로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부(10)의 돌기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41)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받침부(20)는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제2받침부(30)를 연결하기 위해 아래쪽으로는 돌기부(11)에 삽입하며 위쪽으로는 돌기(33)에 삽입되는 중공부(2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40)은 상기 제1받침부(20) 및 제2받침부(30)의 연결시 골프공의 타구방향을 제시하고, 이동시에는 혁대 끈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제1받침부(20) 및 제2받침부(30)와 결합하기 위해 돌기부(11)가 형성되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스테인레스강 중 어느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제1받침부(20) 및 제2받침부(30)는 탄력성이 크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원형의 하단에 홈을 파서 자성을 띤(N극) 물질을 삽입하고,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12)에 자성(S극)을 띤 물질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10)에 붙여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6. 삭제
KR1020060007976A 2006-01-25 2006-01-25 골프티 KR10073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976A KR100733131B1 (ko) 2006-01-25 2006-01-25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976A KR100733131B1 (ko) 2006-01-25 2006-01-25 골프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25U Division KR200393402Y1 (ko) 2005-05-12 2005-05-12 골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172A KR20060117172A (ko) 2006-11-16
KR100733131B1 true KR100733131B1 (ko) 2007-07-04

Family

ID=3770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976A KR100733131B1 (ko) 2006-01-25 2006-01-25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65B1 (ko) 2010-04-14 2012-08-09 안찬진 골프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626Y1 (ko) * 2002-07-05 2002-10-11 배인선 골프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626Y1 (ko) * 2002-07-05 2002-10-11 배인선 골프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65B1 (ko) 2010-04-14 2012-08-09 안찬진 골프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172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1983A1 (en) Golf tee
JPH10179829A (ja) ゴルフティー保持装置
US6217458B1 (en) Golf game with a three dimensional target
JP2015514555A (ja) ゴルフ練習マット
US20070202966A1 (en) High endur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KR20160019476A (ko) 골프 티잉 장치
US20130310200A1 (en) Magnetically Attached Golf Tee
US20080096694A1 (en) Golf Tee
JP2007244845A (ja) ゴルフのティー
KR100733131B1 (ko) 골프티
KR100577053B1 (ko) 골프 티
KR102258680B1 (ko) 스트레이트 구질을 유도하는 골프티
KR200393402Y1 (ko) 골프티
US20080009372A1 (en) Golf tee
KR101251941B1 (ko) 볼 마커 겸용 골프티
KR200410167Y1 (ko) 골프 티의 개량구조
KR101078897B1 (ko) 수축 튜브를 이용한 헤드접힘형 기능성 골프티
GB2147814A (en) Golfer&#39;s practice putting aid
WO2004089480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golf ball
WO2006121244A1 (en) Golf tee
KR100676481B1 (ko) 골프 티의 개량구조
KR100623425B1 (ko) 마그넷 부착 길이가변 골프용 티
KR200245110Y1 (ko) 골프 티
KR200327568Y1 (ko) 이중연결골프 티
KR200276715Y1 (ko) 유아용 야구놀이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