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67Y1 - 골프 티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골프 티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67Y1
KR200410167Y1 KR2020050033957U KR20050033957U KR200410167Y1 KR 200410167 Y1 KR200410167 Y1 KR 200410167Y1 KR 2020050033957 U KR2020050033957 U KR 2020050033957U KR 20050033957 U KR20050033957 U KR 20050033957U KR 200410167 Y1 KR200410167 Y1 KR 200410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ball
tee
groun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재천
Original Assignee
추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재천 filed Critical 추재천
Priority to KR2020050033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67Y1/ko
Priority to PCT/KR2006/001216 priority patent/WO20061212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3Te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티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연결띠(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하부받침부(76)(72)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골프공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골프공받침부(70); 끝이 뽀족한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고, 상단에는 상기 골프공받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면고정부(6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면고정부와 하부받침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지면고정부의 상단에 체결된 하부받침대가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여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골프 매니아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면고정부, 골프공받침부, 골프 티.

Description

골프 티의 개량구조{IMPROVEMENT STRUCTURE OF GOLF TEE}
도 1 의 (a)는 종래 골프 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종래 골프 티를 이용한 숏타시의 사용 상태도이고,
(c)는 종래 골프 티를 이용한 롱타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를 이용한 롱타시의 사용 상태도이
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를 이용한 숏타시의 사용 상태도이
다.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의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를 휴대하는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지면고정부 62: 고정돌기
70: 골프공받침부 71: 연결띠
72: 하부받침부 75: 체결구
76: 상부받침부 80: 마크
본 고안은 골프 티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고정부와 하부받침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지면고정부의 상단에 체결된 하부받침대가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여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골프 매니아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골프 티(GOLF TEE)는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골프 티는 종래에도 다수가 출원 및 등록된바 있다.
그 중에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393402호(출원번호 제2005-0013425호)(명칭: 골프 티)가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게 형성된 고정부(10)와, 골프공이 안착할 수 있게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부(20)(30),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3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끈(4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는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20)와 제2받침부(30)로 구성하되, 제2받침부는 연결끈(40)과 결합부(32)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연결끈(40)은 끝에 와셔와 같은 형태의 홈(41)을 형성하여 상기 홈(41)은 고정부(10)의 돌기부(11)에 삽입하여 결합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10)원형의 하단에 홈을 형성하여 자성을 띤 물질을 삽입하고,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자성을 띤 마크(12)를 고정부(10)에 삽입하여 착탈하는 것을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는 결합부(32)와 고정부(10)의 뽀쪽한 부분이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게 중공부(31)(2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2받침부의 결합부(32)는 돌기(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2개의 골프티를 하나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하여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받침부의 높낮이와, 롱타 및 숏타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골퍼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받침부(20)와 홈(41) 그리고 고정부(10) 3개를 함께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받침부(20)는 고정부(10)의 상단에 그냥 끼워진 채로 조립되기 때문에 타격시 받침부(20)와 고정부(10)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는 결과적으로 티샷의 비거리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마크가 끼워지는 지면고정부와 연결띠에 의해 상,하부받침부가 상호 연결 구비된 골프공받침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지면고정부와 골프공받침대 2개만을 고정하면 골프티를 쉽게 조립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지면고정부와 골프공받침부를 상호 체결구로 고정하게 되어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는 결과적으로 골프공받침부가 지면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음으로 인해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제5목적은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골프 매니아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골프 티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골프 티에 있어서, 연결띠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하부받침부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골프공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골프공받침부; 끝이 뽀족한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고, 상단에는 상기 골프공받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면고정부;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받침부는 골프공이 안착되도록 직경이 넓은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반대방향에는 직경이 좁은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골프공이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돌기가 끼워지게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고정부의 몸체 상단에는 하부받침부가 끼워지게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정돌기의 일단에는 연결띠가 통과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의 개량구조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연결띠(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하부받침부(76)(72)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골프공(50)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골프공받침부(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끝이 뽀족한 고정핀(65)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고, 상단에는 상기 골프공받침부(70)가 고정 설치되는 지면고정부(60)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부(76)는 골프공(50)이 안착되도록 직경이 넓은 안착홈(77)과 이 안착홈의 반대방향에는 직경이 좁은 삽입돌기(78)가 형성되고,상기 하부받침부(72)는 골프공(50)이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돌기가 끼워지게 삽입공(73)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고정부(60)의 몸체(61) 상단에는 하부받침부(72)가 끼워지게 고정돌기(62)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정돌기의 일단에는 연결띠(71)가 통과되도록 개구부(63)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받침부(72)의 하단과 지면고정부(60)의 상단에 통공(74)과 체결공(6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과 체결공에는 체결구(75)가 체결되어 지면고정부(60)와 하부받침부(72)가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면고정부(60)와 골프공받침부(70)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지면고정부(60)는 지면에 박혀 지도록 하기 위해 경질의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임팩트시 타격이 가해지는 골프공받침부(7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여 상기 지면고정부(60)와 골프공받침부(70)는 상호 다른 재질이 사용됨으로 인해 상기와 같이 체결구(75)로 상호 고정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지면고정부(60)의 하부 고정핀(65)에는 티샷시에는 끼워진 상태로 사용하고, 이후 티샷 후에는 골프공(50)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멍(81)이 형성된 마크(8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연결띠(71)에는 골퍼가 티샷을 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방향표시부(7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향표시부의 상단 표면에는 잔디색과 구별되는 색상이나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골프 티의 개량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a)에서와 같이 하부받침부(72)의 하단을 지면고정부(60)의 상단에 돌출된 고정돌기(62)의 내부에 끼우는 것으로, 이때 상,하부받침대(76)(7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띠(71)는 개구부(63)를 통해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받침부(72)를 고정돌기(62)의 내부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구(75)를 통공(74)과 체결공(64)에 체결하여 골프공받침부(70)와 지면고정부(60)를 상호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고정핀(65)의 외주면에는 골프공(50)의 위치를 표시해 두는 마크 (80)가 끼워져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2(b)의 실선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를 이용한 롱타시의 사용 상태도이고, 가상선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 티를 이용한 숏타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b)는 숏(Short)티 샷을 할 때 사용하거나 잔디의 길이가 짧게 올라온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낮은 골프티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하부받침부(72)의 상단 삽입공(73)에 골프공(50)을 놓은 다음 드라이버 스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스윙을 하게 되면 클럽이 골프공과 티에 닿으면서 골프공은 전방으로 날아간다. 이때 본 고안은 체결구(75)에 의해 지면고정부(60)와 하부받침부(72)가 상호 일체로 고정됨으로 인해 이탈됨이 없는 것으로, 이는 종래와 같이 타격에 의해 고정부와 받침부가 상호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a)와 같이 롱(Long)티 샷을 할 때 사용하거나 잔디의 길이가 길게 올라온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높은 골프 티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 2(b)의 가상선 상부받침부(76)를 실선과 같이 하부받침부(72)의 상단에 끼우게 된다. 이때 삽입돌기(78)가 삽입공(73)에 끼워져 고정됨과 아울러 안착홈(77)에 골프공(50)을 올려 놓고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스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버 스윙을 하고 난 후에는 골퍼가 지면고정부(60)를 뽑는다. 이후 골프공(50)이 굴러가서 멈춘 지점에 마크(80)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상기 마크(80)는 고정핀(65)에서 분리하거나 끼워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면 휴대가 간편한 것으로, 상부받침부(76)를 허리끈의 안쪽으로 통과시킨 후 고정핀(65)을 안착홈(77)에 끼우게 되면 연결띠(71)에 의해 간단하게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 수 있게 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택적으로 마크가 끼워지는 지면고정부와 연결띠에 의해 상,하부받침부가 상호 연결 구비된 골프공받침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지면고정부와 골프공받침대 2개만을 고정하면 골프티를 쉽게 조립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지면고정부와 골프공받침부를 상호 체결구로 고정하게 되어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골프공받침부가 지면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음으로 인해 티샷시 비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골프 티를 허리끈에 걸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골프 매니아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골프 티에 있어서,
    연결띠(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하부받침부(76)(72)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골프공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골프공받침부(70);
    끝이 뽀족한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고, 상단에는 상기 골프공받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면고정부(6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부(76)는 골프공이 안착되도록 직경이 넓은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반대방향에는 직경이 좁은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부(72)는 골프공이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돌기가 끼워지게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고정부(60)의 몸체 상단에는 하부받침부가 끼워지게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정돌기의 일단에는 연결띠가 통과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
  3.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의 하단과 지면고정부의 상단에는 통공(74)과 체결공(6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과 체결공에는 체결구(75)가 체결되어 지면고정부와 하부받침부가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
  4.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고정부의 하부 고정핀에는 티샷시에는 끼워진 상태로 사용하고, 이후 티샷 후에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마크(8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
  5.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띠에는 골퍼가 티샷을 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방향표시부(79)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의 개량구조.
KR2020050033957U 2005-05-12 2005-12-01 골프 티의 개량구조 KR200410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57U KR200410167Y1 (ko) 2005-12-01 2005-12-01 골프 티의 개량구조
PCT/KR2006/001216 WO2006121244A1 (en) 2005-05-12 2006-04-03 Golf t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57U KR200410167Y1 (ko) 2005-12-01 2005-12-01 골프 티의 개량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977A Division KR100676481B1 (ko) 2006-01-25 2006-01-25 골프 티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67Y1 true KR200410167Y1 (ko) 2006-03-07

Family

ID=4176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957U KR200410167Y1 (ko) 2005-05-12 2005-12-01 골프 티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74B1 (ko) 2009-07-22 2011-08-30 추재천 골프 티
KR200477765Y1 (ko) * 2014-04-11 2015-07-17 김순희 다기능 골프 티
KR101991483B1 (ko) * 2018-02-09 2019-06-20 주식회사 디알지코리아 골프티 이탈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74B1 (ko) 2009-07-22 2011-08-30 추재천 골프 티
KR200477765Y1 (ko) * 2014-04-11 2015-07-17 김순희 다기능 골프 티
KR101991483B1 (ko) * 2018-02-09 2019-06-20 주식회사 디알지코리아 골프티 이탈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360B2 (en) Golf practice device
US20060135278A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JP3112209U (ja) ゴルフティーの紛失防止具
US20050035161A1 (en) Fastener for a golf ball cleaning device
US8870672B2 (en) Portable golf putting target
KR200410167Y1 (ko) 골프 티의 개량구조
US20130310200A1 (en) Magnetically Attached Golf Tee
KR100676481B1 (ko) 골프 티의 개량구조
US7727094B2 (en) Institutional badminton racket
US7118492B2 (en) Structure of a handle sleeve of a golf club
KR200391329Y1 (ko) 골프 티
KR101794238B1 (ko) 골프용 볼마커
US20090275422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shaft and a grip member of a golf club
KR20130000321U (ko) 골프티
US20040163458A1 (en) Portable golf fla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7918744B1 (en) Removable golf-ball aligning device
US1632801A (en) Golf-tee anchor
KR100733131B1 (ko) 골프티
KR200310791Y1 (ko) 골프공 홀더
US20080102989A1 (en) Handheld device for determining golf ball trajectory for putt of chip shot and method therefor
KR200395810Y1 (ko) 볼 마커를 갖춘 골프모자
KR200397250Y1 (ko) 골프볼마커 부착용 모자
KR200458691Y1 (ko) 배팅볼 지지장치
JPH1119264A (ja) パター用ラインガイド
KR200393402Y1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