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008B1 -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008B1
KR100733008B1 KR1020050104313A KR20050104313A KR100733008B1 KR 100733008 B1 KR100733008 B1 KR 100733008B1 KR 1020050104313 A KR1020050104313 A KR 1020050104313A KR 20050104313 A KR20050104313 A KR 20050104313A KR 100733008 B1 KR100733008 B1 KR 10073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ndle
hydrogen
natural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501A (ko
Inventor
양승부
Original Assignee
양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부 filed Critical 양승부
Priority to KR102005010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0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12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hydrogenation
    • C11C3/123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hydrogenation using catalysts based principally on nickel or deriv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1/00Preparation of fatty acids from fats, fatty oils, or waxes; Refining the fatty acids
    • C11C1/08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연 식물성 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원료로 한 양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초에 천연 식용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양초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지인 팜왁스 자체가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녹는 속도가 느리므로 종래의 파라핀 양초보다 오랫동안 빛을 낼 수 있으며, 팜유 원가가 파라핀 원가보다 아주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많은 설비비가 요구되는 증류공정을 거치지 않고 필터여과 방식으로 양초를 제조하여 상당한 설비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양초, 파라핀, 친환경, 팜유, 우지

Description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environmental cand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초를 제조하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의 제조방법의 원료유지의 준비계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를 제조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양초의 비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수소경화장치 110; 교반장치
120; 수소발생장치 130; 수소검사구
140; 리액터 150; 히팅맨틀
160; 유지
본 발명은 양초 및 그 제조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연 식용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한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파라핀, 밀랍 등과 같이 적당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可燃性) 고체를 원통형 등으로 성형하고, 그 중심에 무명 등의 심지를 삽입한 등화용 연료를 말한다.
그런데 기존의 양초는 석유의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일종의 부산물로써 화학공정을 거쳐서 나온 파라핀(paraffin)에 스테아린(stearin)을 참가한 양초가 대부분이다. 파라핀은 파라핀계 탄화수소 또는 고급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파라핀납이나 유동파라핀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반응성이 약하고 화학약품에 대하여 내성(耐性)이 있다. 스테아린은 스테아르산의 글리세리드로서 우지(牛脂)나 면실유 등을 냉각 및 압착하여 액체를 제거한 고체 유지의 성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양초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양초 제조 방법은 단순히 판상형 파라핀 덩어리를 녹여서 주조 또는 압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양초를 제조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양초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리액터(18)내에 고체 파라핀(20)을 넣고 가열용 버너(14)를 이용하여 80 내지 120℃ 온도로 가열한다. 이와 같은 가열에 의해 고체 파라핀(20)은 용융된다. 용융된 파라핀(20)은 리액터(18)의 하방에 마련되는 용탕 배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된 용탕은 심지(28)가 심어진 양초 제어용 다이(26)에 부어져서 양초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라핀을 원료로 한 종래의 양초는 양초를 태울 때 톨루엔, 벤젠, 포름 알데히드 등 유해한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라핀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천연 식용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이용한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를 왁스 성상으로 만들 때 많은 설비 비용이 소요되는 증류(distillation)공정을 거치지 않는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양초 제조방법은 양초의 원료가 되는 유지의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유지를 포화지방산으로 만들기 위한 수소경화단계; 상기 수소경화 된 유지의 요오드값 측정단계; 상기 요오드값이 적정한 것으로 측정된 유지의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유지의 여과 단계; 상기 여과된 유지의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유지를 양초 다이에 투입 후 심지 적용단계; 상기 심지 적용된 유지의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지의 준비단계는 원료 채취단계; 상기 채취된 원료를 가공하여 천연 오일의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오일의 정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의 정제단계는 활성백토를 이용하여 탈검, 중화, 탈색, 탈취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경화단계는 상기 유지의 리액터에서 가열단계; 상기 가열된 유지에 대해 0.2-0.40 중량%의 금속니켈촉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촉매가 투입된 유지에 수소 투입단계; 상기 수소 투입 후 180~190℃에서 수소 차단단계; 상기 수소 차단단계 후 상기 리액터에 열 공급 차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의 리액터에서 가열단계는 70~90℃에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활성백토 투입하고 100~150℃에서 상기 유지를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화 단계는 천연 유화제인 모노구리를 0.1~0.5 중량%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는 식물성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유지는 팜유(palm oi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성 유지는 우지(beef tallow)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양초는 식물성 유지를 원료로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유지는 팜유(palm oi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물성 유지를 원료로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물성 유지는 우지(beef tallow)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양초에 천연 식용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양초를 제공하며, 팜왁스 자체가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녹는 속도가 느리므로 종래의 파라핀 양초보다 오랫동안 빛을 낼 수 있으며, 팜유 원가가 파라핀 원가보다 아주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많은 설비비가 요구되는 증류탑에 의한 증류공정을 거치지 않고 필터여과 방식으로 양초를 제조하여 상당한 설비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양초의 제조방법은 유지의 준비단계(S1), 수소경화단계(S2), 요도드값 측정단계(S3), 이물질 제거단계(S4), 여과 단계(S5), 안정화 단계(S6), 심지 적용단계(S7), 성형단계(S8)를 포함한다. 양초의 원료로는 천연 식물성 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식물성 유지인 팜유(palm oil)을 사용하였다.
우선, 유지의 준비단계(S1)는 원료 채취단계, 천연 오일의 제조단계, 정제단계를 포함한다. 유지의 준비단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팜과실 채취단계(Fresh palm bunches)(S11), 천연 팜오일 제조단계(Crude palm oil)(S12), 제1차 정제단계(1st refinery)(S13)를 거치게 된다. 제1차 정제단계(S13)까지 거친 경우 산업용 분야(Oleochemical plant)에 사용되며, 제2차 정제단계(2st refinery)(S14) 까지 거친 경우산업용 분야 외에 식용분야(food industry)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천연 팜 오일 단계의 원료와 제1차 정제까지 거친 후 원료로 양초제조 분야에 사용하였다.
팜과실 채취단계(S11)에서 팜과실은 기름야자(African oil palm)의 과육을 말한다. 기름야자는 외떡잎식물 종려목 야자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분류는 외떡잎식물 종려목 야자나무과이고, 원산지는 서부 아프리카이고 분포지역은 열대지방이며, 최대산지는 동남아시아이다. 팜과실은 표피·과육·핵각(核殼)·인(仁)의 4부분으로 형성되며 과육·인 모두 다량의 유분(油分)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팜과실은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서 채취했다.
천연 팜오일 제조단계(S12)는 팜과실에서 속에 있는 딱딱한 팜핵(palm kernel)을 물리적인 힘으로 분리해서 팜핵은 분쇄과정으로 가고 팜육(the flesh of the palm)은 가공되어 연노랑색의 천연 팜유(crude palm oil)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천연 팜 오일에는 많은 이물질 및 불순물이 있기에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활성 백토를 써서 교반(agitation)하에 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백토(活性白土)는 유문암, 유문암질, 응회암이 변질하여 생긴 점토인 산성백토를 황산으로 가열 처리한 것으로서 흡착성과 탈색성이 강하다.
이때, 팜육을 걸러내는 경우 백필터방식 또는 펌프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온에서 많은 량을 지속적으로 팜오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백 필터방식(bag filtering)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차 정제단계(S13)는 산성백토(acid clay), 활성백토(active clay), 활성탄(active carbon) 등을 이용하여 탈검(degumming), 중화(neutralisation), 탈색(bleaching), 탈취(deodorization)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탈검은 유지중의 단백질 분해물질 및 점성이 있는 물질인 검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온수 및 인산을 사용하여 침전, 제거한다.
탈색은 1~3 중량%의 탈색제를 첨가한 후 감압하(50~80㎜Hg)에서 100~120℃로 약 10~30분간 교반하여 여과함으로써 카로티노이드(황색), 크산토필(황녹색), 클로로필(녹색) 등의 색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탈취는 이미, 이취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유지를 만드는 마무리 작업이다. 냄새성분은 비교적 휘발성이 크기 때문에 진공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비점차에 따라 분리, 제거한다. 이 밖에도 탈취에 의해 잔류되어 있는 유리지방산, 스테롤류, 토코페롤,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산화생성물, 카로테인 등도 파괴, 제거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원료유지가 준비된다. 한편, 제2차 정제단계(S14)를 시행하는 경우 식용분야(food industry)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유지를 산업용 분야(oleochemical industry)로 적용하며, 특히 양초의 원료로 사용한다.
그 다음으로 도 2의 수소경화단계(S2)를 설명한다. 팜유는 상온하에서 액체 상태이며,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기에 경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불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으로 만드는 수소 경화(hydrogenation)가 제일 중요한 공정이다. 수소경화유는 상온에서도 고체상태로 유지된다.
수소경화단계(S2)는 유지를 리액터에서 가열단계, 니켈촉매투입단계, 수소 투입단계, 수소 차단단계, 리액터에 열 공급 차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경화단계(S2)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초제조장치 중 수소경화장비(100)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수소경화장비(100)의 전체적인 모습은 양초를 만들 수 있는 용량이 되도록 장비를 자체 제작할 수 있다. 수소경화장비(100)는 양쪽 바깥쪽 테두리를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강화시켜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고안함이 바람직하다.
수소경화장비(100)는 교반장치(110), 수소발생장치(120), 수소검사구(130), 리액터(140), 히팅맨틀(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반장치(110)는 수소경화장비(100)의 상부에 교반을 위한 일반 주파수 방식 속도변형 모터를 적재할 수 있다. 히팅맨틀(150)은 온도조절기 부착 하부 콕크형 맨틀임이 바람직하다. 수소발생장치(120)는 수소의 순도가 99.999%로 높은 봄베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폭발 위험이 있는 장비로서 다른 장비와 거리를 띄워서 적치함이 바람직하다.
리액터(140)는 본 발명에서 종래의 리액터와는 달리 하부 콕크부를 변형하여 수시로 불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수소검사구(130)는 비커 또는 투명그릇에 물을 채운 후 수소투입을 한다.
측정게이지(미도시)는 유량계, 압력계, 온도계, 회전수 조절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게이지는 리액터에 부착될 수 있고, 안전문제와 설비비를 고려해서 별도 판넬에 장착 가능하다. 리액터(140)에 부착될 시는 게이지를 탈부착 가능토록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소경화장비(100)를 기반으로 수소경화단계(S2)를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수소경화단계(S2)는 유지를 리액터에서 가열단계, 니켈 촉매 투입단계, 수소 투입단계, 수소 차단단계, 리액터에 열 공급 차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를 리액터에서 가열단계 및 니켈 촉매 투입단계는 액체상태의 연한 노란색인 유지(160)를 리액터(140)에서 넣고 히팅맨틀(150)에 열을 가한 후 70~90℃에서 0.2-0.40 중량%의 금속니켈촉매를 투입한다. 서서히 교반장치(110)를 이용하여 교반을 시켜 촉매가 활성화 되도록 시간적 여유를 준다. 고온에서 촉매를 투입하여 교반시키면 촉매가 용해되어 유지(160)는 짙은 검은색으로 변한다.
다음으로 가열된 유지에 수소 투입단계를 설명한다. 리액터(140)의 온도가 100~150℃ 일 때 수소를 투입하며, 이는 위험한 공정으로서 항상 수소검사구(130)와 온도계(미도시)를 주시해야한다. 유량은 1.0~1.5 L/min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경화가 발열반응이므로 180~190℃ 일 때는 수소를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대략 20~30℃ 전에 히팅맨틀(150)의 열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을 1기압에서 2.8기압까지 올린다. 교반속도는 회전수 800에서 1200까지 유동적일 수 있다. 원료투입량, 원하는 불포화도에 따라 온도,압력,수소량,촉매량,교반속도 등의 변수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이 이중결합으로 된 불포화기가 수소투입과 촉매작용에 의해 단일 결합의 포화기로 바뀌게 된다.
R-CH2-(CH=CH)-CH2-CH2-COOH + H2 + Ni(촉매)-> R-CH2-(CH2-CH2)-CH2-CH2-COOH
다음으로, 도 2에서의 요도드값 측정단계(S3)를 설명한다.
요오드값 측정단계(S3)는 요오드값(iodine value) 측정용 실험장치 및 시약들을 사용한다. 응고점 측정은 응고점 측정기에 의하며, 적정요오드값이 나오지 않을 시 수소경화공정(S2)을 반복한다. 적정한 요오드값은 35 이하이며, 여름과 겨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요오드값 측정은 상온에서 시행한다.
다음으로. 이물질 제거단계(S4)를 설명한다.
이물질 제거단계(S4)는 반응한 촉매 및 잔류 물질과 냄새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활성백토 투입하고 100~150℃의 고온에서 유지를 교반시키면서 행한다.
다음으로, 여과단계(S5)를 설명한다. 여과단계(filteration)(S5)는 탈색과 탈취가 되는 과정으로서 투입 원료와 동일한 색상이 될 때까지 시행한다. 여과 단계는 백 필터방식 또는 펌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정화 단계(S6)를 설명한다. 안정화 단계(S6)는 유화제의 첨가가 결정이 형성되는 입자의 표면에 분자의 분산에 영향을 미쳐 결정의 형성속도가 저하되며 결정의 크기를 작게 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안정화 단계(S6)는 천연 유화제 투입하여 결정화 온도를 낮추는 단계로서 0.1~0.5 중량%의 천연 유화제를 투입하여 행할 수 있다. 천연유화제로는 모노구리 또는 기타 천연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심지 적용단계(S7)를 설명한다. 심지(wick) 적용단계(S7)는 면으로 된 천연 심지를 이용한다. 심지의 재료는 가연성이므로 서서히 연소해서 짧아지는데, 그 속도와 양초의 소비속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심지의 굵기를 알맞게 하거나 심지를 감는 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적절한 심지를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성형단계(S8)를 설명한다. 성형 단계(forming)(S8)는 양초용 다이에 유지를 넣고 성형시키는 단계이다. 성형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보다 나은 양질의 양초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단계를 거쳐서 천연 유지를 이용한 양초를 제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초와 종래 기술에 의한 양초를 비교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라핀 양초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팜유지 양초이고,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우지 양초이다.
도 5에서 도시된 것은 같은 크기로 성형 된 경우 양초에 불을 붙이고 약 1시간 정도 경과 된 시점에서의 양초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라핀 양초로서 심지와 양초가 거의 붙은 형태로 연소하고, 불꽃도 그리 선명하지 못하였다. 또한, 같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양초가 연소하였다. 그리고, 파라핀의 연소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5(b)의 팜유지 양초와 도 5(c)의 우지 양초는 심지가 양초와 거리를 두고 연소하고, 불꽃이 밝고 선명하였다. 나아가 팜 왁스 자체가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녹는 속도가 느리므로 종래의 파라핀 양초보다 오랫동안 빛을 냈다. 그리고 천연 유지의 양초이므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등 산업용 오일 경화제가 필요한 모든 곳에 변형적용 가능하다. 특히 기존의 유지 경화 제조공정 중에서 많은 설비비가 요구되는 증류(distillation)공정을 거치지 않고 필터여과 방식으로 양초제조에 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식물성 유지(植物性油脂, vegetable oil)에는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 등이 있다. 건성유는 요오드값이 130 이상으로서, 공기 속에 내놓으면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하고, 점성도가 커지고 단단하게 되어 얇은 피막을 만든다. 그 예로는 아마씨에서 얻는 아마인유, 해바라기에서 얻는 해바라기유, 양귀비씨에서 얻는 양귀비유, 호두나무 열매에서 얻는 호두유 등을 들 수 있다. 반건성유는 요오드값이 100~130이며, 채종유(菜種油), 면실유, 참기름, 콩기름 등이 이에 속한다. 불건성유는 요오드값이 100 이하로서 동백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물성 유지로 우지(beef tellow)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동물성 유지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동물성유지(動物性油脂, animal oil and fat)는 동물의 지방조직에 포함된 유지로서, 우지(牛脂,쇠기름), 돈지(豚脂), 양지(羊脂) 등과 같은 육산 동물유와 어유(魚油), 경유(鯨油), 정어리유, 청어기름, 상어 간유와 같은 수산 동물유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지의 원료로부터 유지를 채취(採取)하는 방법에는 용출법, 압착법, 추출법 등 세가지 방법이 있다. 용출법은 열수 스팀 등의 가열을 통하여 유지를 용출시키는 방법으로서 우지, 돈지, 어유 등의 동물성 유지에 사용하는 방법이며, 압착법은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여 짜는 방법으로서 식물성 유지에 적정하며, 추출법은 휘발성 용제에 담가 유지를 녹여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유지 함량 20% 이하의 저지방 유지에 적절한 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양초에 천연 식용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양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팜유지 양초의 경우 팜왁스 자체가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녹는 속도가 느리므로 종래의 파라핀 양초보다 오랫동안 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팜유 원가나 우지의 원가가 파라핀 원가보다 아주 저렴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설비비가 요구되는 증류(distillation)공정을 거치지 않고 필터여과 방식으로 양초를 제조하여 상당한 설비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양초의 원료가 되는 유지의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유지를 포화지방산으로 만들기 위한 수소경화단계;
    상기 수소경화 된 유지의 요오드값 측정단계;
    상기 요오드값이 적정한 것으로 측정된 유지의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유지의 여과 단계;
    상기 여과된 유지의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유지를 양초 다이에 투입 후 심지 적용단계 및;
    상기 심지 적용된 유지의 성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경화단계는,
    상기 유지의 리액터에서 70~9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유지에 대해 0.2~0.40 중량%의 금속니켈촉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촉매가 투입된 유지에 수소 투입단계;
    상기 수소 투입 후 180~190℃에서 수소 차단단계; 및
    상기 수소 차단단계 후 상기 리액터에 열 공급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활성백토를 투입하고 100~150℃에서 상기 유지를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단계는,
    상기 여과된 유지에 대해 0.1~0.5 중량% 모노구리를 천연 유화제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식물성 유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지는 팜유(palm oi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동물성 유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유지는 우지(beef tallow)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의 준비단계는,
    원료 채취단계;
    상기 채취된 원료를 가공하여 천연 오일의 제조단계; 및
    상기 제조된 오일의 정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정제단계는,
    활성백토를 이용하여 탈검, 중화, 탈색, 탈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제조방법.
  18.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제 16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양초.
KR1020050104313A 2005-11-02 2005-11-02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73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13A KR100733008B1 (ko) 2005-11-02 2005-11-02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13A KR100733008B1 (ko) 2005-11-02 2005-11-02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501A KR20070047501A (ko) 2007-05-07
KR100733008B1 true KR100733008B1 (ko) 2007-06-28

Family

ID=3827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313A KR100733008B1 (ko) 2005-11-02 2005-11-02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86B1 (ko) * 2019-12-16 2022-01-20 박병석 천연재료로 제조되는 기능성 팜유 초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692A (ja) * 1992-10-28 1994-05-27 Chin Bunki ろうそくの製造方法及びろうそく
KR20010058412A (ko) * 1999-11-18 2001-07-06 하윤구 양초
JP2003046860A (ja) * 2001-08-02 2003-02-14 Canon Inc 撮像装置
KR20040052552A (ko) * 2004-03-24 2004-06-23 씨.에프. 주식회사 소이왁스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692A (ja) * 1992-10-28 1994-05-27 Chin Bunki ろうそくの製造方法及びろうそく
KR20010058412A (ko) * 1999-11-18 2001-07-06 하윤구 양초
JP2003046860A (ja) * 2001-08-02 2003-02-14 Canon Inc 撮像装置
KR20040052552A (ko) * 2004-03-24 2004-06-23 씨.에프. 주식회사 소이왁스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개명세서 제2003/4686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501A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8506B (zh) 蜡组合物、以及金属对燃烧速率的影响
ES2893551T3 (es) Proceso de purificación de aceite
Johnson Recovery, refining, converting, and stabilizing edible fats and oils
CN102504950B (zh) 一种茶籽油的脱色方法
US7837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urified botanical oil
KR100733008B1 (ko)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TWI556744B (zh) Manufacture of grease
Trisakti et al. Comparison of mass balance and oil quality in plant refinery I and IV
JP6639149B2 (ja) 精製油脂の製造方法
UA127792C2 (uk) Рафінування харчової олії
RU2363725C2 (ru) Свечи, сырье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чей, термоаккумул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ырь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чей и термоаккумулирующ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11252136A (ja) ローソク用ワックス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ワックスを使用したローソク
List Bleaching and purifying fats and oils: theory and practice
RU261760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финированного ароматного подсолнечного масла
O'Brien Soybean oil purification
JP7264345B2 (ja) 油脂抽出方法
Matthäus Oil technology
KR100465486B1 (ko) 소이왁스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64019A1 (ko)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US9677028B2 (en) Seed oil refinement
WO2011081119A1 (ja) グリセリド油脂中のクロロプロパノール類及びその形成物質の生成を抑制する方法
WO2011080530A1 (es) Fracciones de aceite de palma con bajo contenido de saturados y su método de obtención
RU2786658C9 (ru) Рафинирование пищевых масел
RU2786658C2 (ru) Рафинирование пищевых масел
JP6973915B2 (ja) 油脂中のシリコーンオイル及び/又は乳化剤の低減方法及び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