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84B1 -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84B1
KR100732884B1 KR1020050098435A KR20050098435A KR100732884B1 KR 100732884 B1 KR100732884 B1 KR 100732884B1 KR 1020050098435 A KR1020050098435 A KR 1020050098435A KR 20050098435 A KR20050098435 A KR 20050098435A KR 100732884 B1 KR100732884 B1 KR 10073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ing
support
slide phon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614A (ko
Inventor
김종완
송길석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젬
Priority to KR102005009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폰의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 각각에 스프링의 양단측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지지체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복수개의 직립편을 포함하여서, 스프링의 단부를 그 직립편 외주면에 걸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서만 조립이 진행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화 구현과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크다.
휴대폰, 슬라이드, 스프링, 리벳

Description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spring fixing structure for slide-phone}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고정 구조체가 채용된 슬라이드폰의 골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스프링 고정 구조체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조립 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지체 110...직립편
120...프레스기 130...토션스프링
131...고리 210,220...링부재
310...원통링 320...나사부재
400...캡부재
본 발명은 슬라이드폰의 이동 지지체와 고정 지지체를 연결하는 스프링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화에 유리하도록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그 외형과 작동방식에 따라 바(bar) 타입, 플립(flip) 타입, 폴더(folder) 타입 및, 슬라이딩(sliding) 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상기 바타입 휴대폰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동일한 몸체에 마련되며 액정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방식의 휴대폰으로 주로 초창기 모델에 많이 채용되었던 구조이다. 상기 플립타입 휴대폰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같은 몸체에 마련되며 키패드를 보호하는 커버가 힌지결합된 구조의 휴대폰이고, 폴더타입은 2개의 파트가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액정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마련된 구조의 휴대폰이다.
그리고, 최근에 많이 등장하고 있는 모델이 바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인데, 이것은 2개의 파트 즉,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를 겹쳐서 배치하고 고정 지지체에 대해 이동 지지체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든 방식으로, 보통 고정 지지체에는 키패드와 마이크가 배치되고 이동 지지체에 액정디스플레이와 스피커가 배치된다. 이러한 타입의 휴대폰을 통상 슬라이드폰이라고 부른다.
도 1은 이와 같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슬라이드폰의 기본 골격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가 장착되는 고정 지지체(10)에 액정이 장착되는 이동 지지체(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이동 지지체(20)가 고정 지지체(1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1)을 타고 위아래로 미끄러지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지지체(10)와 이동 지지체(20) 사이는 2개의 토션스프링(3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토션스프링(30)은 일종의 토글(toggle)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동 지지체(20)를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조금 밀면 이 토션스프링(30)들이 탄력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이동 지지체(20)를 그 이동되는 방향으로 힘껏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간의 힘만 주면 이동 지지체(20)가 토션스프링(30)의 도움을 받아 쉽게 이동하게 되고, 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토션스프링(30)을 고정 지지체(10)와 이동 지지체(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종래에는 리벳(40)을 이용한 방식이 주로 채용되었다. 이 리벳(40)을 이용한 스프링 고정 과정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체(10)나 이동 지지체(20)에 구멍(10a)을 뚫고, 토션스프링(30)의 단부가 끼워진 리벳(40)을 그 구멍(10a)에 삽입한 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부분을 단조하여 찌그러트림으로써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이런 순서대로 공정을 진행하려면, 고정 포인트가 되는 고정 지지체(10)나 이동 지지체(20)를 적어도 한번은 뒤집어서 반대편에서 단조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이 전체 조립과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즉, 스프링(3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 포인트가 되는 지지체(10)(20)를 뒤집어서 다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을 자동으로 수행하려면 베이스를 뒤집어서 정확한 위치에 다시 정렬시킬 수 있는 상당히 복잡하고 난해한 장비를 구현해야만 한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이 커서, 스프링(30)을 고정하는 조립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현실이다. 수작업에 의존하다 보니 자연히 생산성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면 이러한 스프링 고정 작업을 자동화해야 하고, 자동화를 구현하려면 스프링의 고정 구조 자체를 새로운 형태로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조립과정을 자동화하는데 유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폰의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 각각에 스프링의 양단측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복수개의 직립편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의 고리를 상기 복수개의 직립편 외주면에 걸어서 고정시키고, 상기 직립편의 상단은 상기 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고리의 상하부에는 마모 방지용 링부재가 더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상기 지지체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결합용 나선이 형성된 복수개의 직립편과, 상기 직립편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자체 외주면에 상기 고리가 걸리게 되는 원통링과, 몸통부가 상기 직립편의 나선에 체결되어 머리부로 상기 고리의 이탈을 막아주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상기 지지체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복수개의 직립편과, 몸통부는 상기 직립편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자체 외주면에 상기 고리가 걸리게 되고, 머리부로는 상기 고리의 이탈을 막아주는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직립편의 상단은 상기 캡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조립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일단,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에 스프링의 양단에 있는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에 스프링의 고리를 고정하는 구조는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를 고정 포인트인 지지체로 통칭하여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기존과 같은 리벳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체(100)를 펀칭 가공하여 세운 자체 직립편(110)을 이용하여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고정시킨다. 즉, 지지체(100) 바닥을 'ㄷ'자로 펀칭하고 위로 꺾어 올리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체(110)들이 세워지게 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직립체(110)들의 외주면에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 동작 중에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직립체(110)를 고리(131)와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직립체(110)의 외주면이 벤딩되도록 펀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프레스기(120) 등으로 눌러서 회전시켜 직립체(110)의 상단을 절곡시켜 놓으면 스프링(130)의 고리(131) 가 빠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즉, 지지체(100)를 펀칭하여 벤딩된 직립체(110)를 세우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건 다음 직립체(110) 상단을 구부리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체는 모두 한 방향에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 즉, 리벳을 이용하던 기존의 고정방식에서는 지지체(100)를 적어도 한번은 뒤집어야 했지만, 여기서는 지지체(100)의 한 면 쪽에서만 모든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지지체(100)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서 작업을 자동화하는데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된다. 다시 말해서, 직립체(110)를 세우고 고리(131)를 걸어서 상단을 꺾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과정을 자동화하기 쉽고, 따라서 이러한 고정 구조체를 적용할 경우 생산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거의 유사하며, 다만 고리(131)의 상하부에 마모 방지용 링부재(210)(220)를 더 끼워놓은 점이 다르다. 즉, 슬라이딩 동작이 반복되면서 고리(131)가 움직이게 되면 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마모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링부재(210)(220)를 끼워놓은 것이다.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자동화에 유리한 효과 역시 동일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100)의 직립편(110) 내주면에 나사결합용 나선(111) 을 형성하고, 그곳에 나사부재(320)를 체결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직립편(110)의 외주면에는 원통링(310)을 끼워서 그 바깥 면에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걸고, 상기 나사부재(320)의 몸통부(321)를 직립편(110)의 나선(111)에 체결하여 고리(131)가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고리(131)가 원통링(310)의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나사부재(320)의 머리부(322)가 이탈을 막아주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 구조도 지지체(100)의 한 쪽면에서만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체는 직립편(110)과 캡부재(400)를 고정수단으로 채용하고 있다. 즉, 캡부재(400)의 원통형 몸통부(410)에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걸고 직립편(110)의 외주면에 원통형 몸통부(410)를 끼우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기(120) 등을 사용하여 프레스기(120)를 눌러서 회전시켜 직립편(110)의 상단을 절곡시켜 캡부재(400)가 직립편(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캡부재(400)의 머리부(420)는 고리(131)의 이탈을 막아준다. 따라서, 고리(131)는 몸통부(410)의 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고, 머리부(4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 면 작업이 가능하므로 자동화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 고정 구조체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서만 조립이 진행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화 구현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정 지지체나 이동 지지체의 한쪽 면에서 모든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조립 과정을 자동화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둘째,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자동화가 구현되면 작업자의 기능에 따른 품질의 편차가 사라지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슬라이드폰의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 각각에 스프링의 양단측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복수개의 직립편(110)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130)의 고리(131)를 상기 복수개의 직립편(110) 외주면에 걸어서 고정시키고,
    상기 직립편(110)의 상단은 상기 고리(131)가 빠지지 않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편은 그 외주면이 상기 고리의 곡률과 유사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리의 상하부에 마모 방지용 링부재(210,220)가 더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5. 슬라이드폰의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 각각에 스프링의 양단측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결합용 나선(1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직립편(110)과,
    상기 직립편(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자체 외주면에 상기 고리(131)가 걸리게 되는 원통링(310)과,
    몸통부(321)가 상기 직립편의 나선(111)에 체결되어 머리부(322)로 상기 고리(131)의 이탈을 막아주는 나사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6. 슬라이드폰의 고정 지지체와 이동 지지체 각각에 스프링의 양단측 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를 펀칭가공하여 세운 복수개의 직립편(110)과,
    몸통부(410)는 상기 직립편(1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자체 외주면에 상기 고리(131)가 걸리게 되고, 머리부(420)로는 상기 고리(131)의 이탈을 막아주는 캡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직립편(110)의 상단은 상기 캡부재(400)가 빠지지 않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7. 삭제
KR1020050098435A 2005-10-19 2005-10-19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KR10073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35A KR100732884B1 (ko) 2005-10-19 2005-10-19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35A KR100732884B1 (ko) 2005-10-19 2005-10-19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664U Division KR200405868Y1 (ko) 2005-10-19 2005-10-19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14A KR20070042614A (ko) 2007-04-24
KR100732884B1 true KR100732884B1 (ko) 2007-06-29

Family

ID=3817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35A KR100732884B1 (ko) 2005-10-19 2005-10-19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873A (ja) * 2001-08-10 2003-02-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フッ素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873A (ja) * 2001-08-10 2003-02-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フッ素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558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14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1775B (zh) 表带及其穿戴设备
JP2017160784A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KR100522459B1 (ko) 보강된 삼각대
US20090255563A1 (en) Umbrella With Dome Shape
EP2517590A1 (en) Method for mounting male snap button, male snap button, male snap button structure, method for mounting female snap button, female snap button, and female snap button structure
CN110444430A (zh) 按键结构
KR100732884B1 (ko)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KR200405868Y1 (ko) 슬라이드폰용 스프링 고정 구조체
CN102933862B (zh) 固定装置
US2221289A (en) Umbrella
US5259102A (en) Clinching tool
CN206581688U (zh) 一种遮阳折叠篷
CN104114052A (zh) 纽扣安装装置以及纽扣保持冲模
JP2018102919A (ja) 折り畳み傘翻り防止傘骨
KR102349305B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CN115919042A (zh) 具有快速连接肋部段的可收束伞
CN100490695C (zh) 容易分类废弃的伞
US9063517B1 (en) Device for pressing back to a watch without removing wrist band
CN209245003U (zh) 卡扣组件及包括其的伸缩杆组件和挂烫机
CN102715716B (zh) 一种手动直骨伞伞架
US20050161068A1 (en) Umbrella frame
CN110284753A (zh) 一种具有中心锁机构的折叠篷
KR20060085843A (ko) 꼭지 단추
JP3187903U (ja) 時計バンドのフック式時計取付部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腕時計
KR200278628Y1 (ko) 우산 및 양산의 살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