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704B1 -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704B1
KR100732704B1 KR1020050065401A KR20050065401A KR100732704B1 KR 100732704 B1 KR100732704 B1 KR 100732704B1 KR 1020050065401 A KR1020050065401 A KR 1020050065401A KR 20050065401 A KR20050065401 A KR 20050065401A KR 100732704 B1 KR100732704 B1 KR 10073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private
storage device
net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639A (ko
Inventor
김희수
박종헌
선웅
이주형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네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네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네씨스
Priority to KR102005006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7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 사설 인터넷주소(IP)가 할당되었을 때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사설 IP 접속부; 사용자가 소정 작업의 수행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해 하드디스크로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용 인터넷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측면에 의한 인터넷 저장장치, 저장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브라우저 및 저장장치와 브라우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브로커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터넷 사용자가 IP 공유기(IP공유기)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도 인터넷 상에서 사설 IP를 가지는 대용량의 인터넷 저장장치를 운영/이용할 수 있다.
사설 IP, 공인 IP, 저장장치, 인터넷

Description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Device of Digital Data Storage with a Private IP Address at Internet and Network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하드웨어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소프트웨어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사설 IP접속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설 IP접속부를 제어부의 소프트웨어에 통합하여 구성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저장장치의 활용을 위한 PC 브라우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저장장치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 네트워크 접속부 102 : 사설 IP접속부
103 : 제어부 104 : 하드디스크
105 : 전원공급부 106 : 기능 표시 조작부
201 : 중앙제어장치 202 : 실행메모리
203 : 저장메모리 204 : 하드디스크 제어기
401 : UDO 패킷제거/생성부 402 : STUN 접속부
본 발명은 사설 IP를 가질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저장장치가 사설 IP를 가지고 있더라도 인터넷 상의 어디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용량의 디지털 저장 공간을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이동 및 공유가 용이해지고,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각자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들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용자들이 공유하고 싶어 하는 데이터의 종류도 처음에는 텍스트와 정지화상 기반의 소용량 데이터들이었지만 최근에는 음악파일, 동영상 등의 대용량 멀티미디 어 데이터에 대한 공유욕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인터넷 접속기술도 케이블 모뎀(DOCSIS1.0), ADSL 등의 하향속도를 중요시하던 기술에서 DOCSIS2.0 케이블모뎀, VDSL 등의 상/하향 속도가 대칭인 광대역 접속기술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 접속 기술을 포함한 인프라는 계속 발전하고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장치의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이러한 인터넷 인프라와 하드디스크를 이용하는 P2P(Peer to Peer) 기반의 인터넷 저장장치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저장장치들은 주로 초고속 인터넷인 케이블 모뎀, xDSL모뎀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 사용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인터넷상의 공간에 올리거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광대역 접속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속도는 증가하였지만, 공인 IP의 부족은 여전하다. 그래서 SOHO환경이나 가정에서 PC, IP셋톱박스 및 네트워크 프린터등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들에 공인 IP를 부여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많은 곳에서 IP공유기와 같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NAT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존재하여, 두 네트워크에서 오가는 데이터의 주소를 변환하는 장치인데, 외부 접속 네트워크에는 하나 혹은 몇 개의 공인 IP를 사용하고, 내부 접속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다. 내부 네트워크의 인터넷 기기들은 NAT장치로 부터 사설 IP를 부여받고, NAT장치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SOHO나 가정에서 NAT장치의 일종인 IP공유기를 광대역 인터넷 장치인 케이블 모뎀, ADSL 모 뎀 및 VDSL에 모뎀에 접속시키고 IP공유기로부터 사설 IP를 할당받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인터넷 저장장치는 공인 IP를 사용하여 운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NAT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종래 인터넷 저장장치를 설치/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사용 중인 NAT장치를 NAT기능을 가진 인터넷 저장장치와 바꾸는 방법이다. 둘째, NAT기능에 들어 있는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많은 인터넷 저장장치가 NAT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NAT장치를 교체하는 것을 꺼려하고, 인터넷 저장장치의 NAT기능이 사용 중인 NAT장치의 NAT기능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가진다고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방법은 인터넷 저장장치가 사용하는 IP 및 포트 번호를 알고 이를 NAT 설정에 적용하므로써 가능한 방법이다. 이러한 NAT설정의 변경은 사실상 상당한 네트워크 지식의 소유자만이 가능하며, 인터넷 저장장치의 사용자 대부분이 SOHO혹은 가정의 일반인임을 감안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종래 인터넷 저장장치에 사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덧붙임으로써, NAT장치 설정을 변경하거나 NAT장치를 교체할 필요 없이, 사설 IP를 가지고도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 상에서의 개인용 디지털 저장장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접속장치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인터넷 접속부; 사용자가 소정 작업의 수행을 위해 인터넷을 매개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부를 통해 하드디스크로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 상에서의 개인용 디지털 저장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대역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장치;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접속장치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인터넷 접속부, 사용자가 소정 작업의 수행을 위해 인터넷을 매개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부를 통해 하드디스크로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용 인터넷 저장장치; 및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되고 PC 프로그램으로부터 접속요청을 받아 사설 IP를 가지는 상기 인터넷 저장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주는 브로커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 저장장치의 구성도로서, 하드디스크, 네트워크 접속부, 사설 IP접속부, 주제어부,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저장장치는 순수 개인적인 용도로 제작된다. 개인 용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을 1개의 인쇄회로기판상에 함께 구현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소형화 경박화를 도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개인용'이라 함은 인터넷 상에서 당해 저장장치의 사용자가 이를 소유하며,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받은 경우에만 접근이 가능한 비영리적인 용도로서의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저장장치의 이러한 용도는 어떠한 형식을 취하든 영리적인 성격을 가지는 통상적인 웹하드의 용도와는 상이하다.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는 시판되고 있는 어떠한 하드디스크도 포함된다. 따라서 인터넷 저장장치의 제조업자로서는 다양한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는 네트워크와 본 발명의 인터넷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준다. 네트워크는 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이더넷 또는 무선랜 등이 이용되며 이들 연결방식에 따라 이더넷 접속부 또는 무선랜 접속부일 수 있다.
사설 IP접속부는 저장장치가 사설 IP로 운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어부와의 입출력 데이터에 일정한 조작을 가하여 네트워크 접속부에 입출력 시킨다. 또한 브로커 서버와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본 발명 저장장치의 각 부분에 대한 운용제어 및 관리를 위한 부분으로, 적어도 사용자가 소정 작업의 수행을 위해 네트워크를 매개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 및 사설 IP접속부를 통해 하드디스크로 접근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접근'이라 함은 하드디스크에 쓰기(저장) 또는/및 읽기 권한까지 주어진 경우로서 해석된다. 사용자가 수행하는 상기 작업의 예로는 종래 하드디스크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특정한 파일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거나, 하드디스크로부터 이동시키거나, 복사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장치 고유의 IP를 설정한다. 이때 IP는 고정IP 또는 유동 IP를 포함하고, 사설 IP 또는 공인 IP가 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본 발명의 인터넷 저장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통상적으로는 충전지 또는 외부전원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기능조작과 상태표시를 위한 기능표시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능조작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전원 ON/OFF 스위치, 장치의 모든 내부 상태(예를 들면, 장치의 이더넷 주소[MAC 주소]값, 장치 접근 암호 등)를 생산시의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스위치, 하드디스크 포맷스위치, 장치내부의 상태를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시리얼 콘솔[RS232C]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저장장치의 상태란 인터넷의 접속상태, 랜의 접속상태, 전원공급상태, 부팅 중임 표시상태, 하드디스크 억세스상태, 하드디스크 포맷중/완료상태, 하드디스크 남은 용량표시 기타 장치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상태(예를 들면 광대역 인터넷 접속 불능, 하드디스크 에러상태, 인가전원 불량, 하드디스크 용량초과 등)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조작 및 상태표시를 위한 기능조작표시부는 바람직하게는 기능조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버튼과, 상태표시를 위한 LED 또는 LCD 패널의 형태로 구현된다.
위와 같은 요건들을 만족하기 위한 제어부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적절한 하드웨어적 구성과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들 구성은 상기한 제어부가 수행하여야 할 기능을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구현가능한 일예를 제시한 것일 뿐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의 구성의 예를 통해 적절하고도 다양한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 개변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제어부 하드웨어적 구성은 도 3에서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제어장치(CPU), 하드디스크 제어기(예로는 IDE 제어기), 실행 메모리, 저장메모리를 포함한다.
중앙제어장치는 네트워크 접속과 사설 IP접속부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분석하고 각 접속부를 통해 전달된 프로토콜 명령을 실행한다.
하드디스크 제어기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하드디스크를 제어한다.
실행 메모리는 저장장치가 동작 중에 중앙제어장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DRAM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한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 메모리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치이다. 저장 메모리는 바람직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 롬, EPROM, EEPRO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제어부의 소프트웨어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수단은 네트워크 드라이버,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운영체제(OS), 파일송수신기(예로 FTP 서버), 웹서버(예로 Apache), 인터넷 주소 자동할당기(DHCP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된 하드디스크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로부터 데이터를 주고받아 하드디스크 제어기를 제어하여 하드디스크에 그 데이터를 쓰고 읽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영체제(OS)는 제어부내 중앙제어장치의 모든 기능을 제어/관장하는 주 프로그램으로서, Windows CE, VxWorks 등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 소스가 공개되고 사용료의 지불을 요구하지 않는 리눅스가 고려될 수 있다.
파일 송수신기(FTP 서버)는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을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는 원격지 단말기에서 파일 송수신기를 통해 저장장치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
웹서버는 사용자가 원격지 단말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이용하여 저장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제어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예로서 저장장치의 사용자등록을 인터넷 탐색기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제시되는 사설 IP 접속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 생성/제거부에서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모든 IP 패킷을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UDP 패킷으로 만들어 준다. STUN(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ATs, RFC3489)프로토콜을 통해 UDP 패킷을 도7에서 도시된 개인 PC으로 보내서 사설IP간 파일 전송을 하게 된다. 도6에 사설IP접속부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6에서는 사설IP접속부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탑재되어 있다. 도5에서 웹서버와 FTP서버는 모든 IP통신을 한다. 이 두 모듈에서 발생되는 모든 IP패킷은 UDP패킷 생성/제거부와 STUN접속부를 통해 NAT장치를 넘어 도7의 PC로 전달되게 되어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PC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인터넷 저장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PC프로그램을 포함한다. PC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접속부, STUN접속부, UDP패킷 생성/제거부, 자료관리 부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접속부는 인터넷으로부터 패킷을 받아들여서 그 중에서 인터넷 저장장치로부터 오는 패킷을 STUN접속부로 보낸다. STUN 접속부는 STUN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저장장치에 접속하여 파일과 같은 자료를 포함한 UDP패킷을 주고받는다. UDP패킷 생성/제거부는 STUN접속부에서 넘어오는 UDP패킷을 생성하거나 제거하여 자료관리부로 넘긴다. 자료 관리부는 통상 파일송수신 프로그램인 FTP 클라이언트 또는 Web browser로 구성된다. UDP패킷 생성/제거부에 넘어온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패킷은 자료관리부에 의해 PC화면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 는 형태로 나타난다.
도 7은 사설 IP를 가지는 인터넷 저장장치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다. 개인 PC와 인터넷 저장장치는 각각 NAT장치 하단에 존재하여 사설 IP를 가지고 있다. 브로커 서버는 PC와 인터넷 저장장치를 제어하여 두 장치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 PC는 도 6의 PC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어서 사설IP를 가지는 인터넷 저장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인터넷 저장장치는 NAT장치 하단에서 다수 설치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설 IP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저장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저장장치를 IP공유기나 방화벽 하단에 설치하고, 그 인터넷 저장장치가 사설IP를 가지고 있을 지라도, 외부의 인터넷 사용자가 IP공유기나 방화벽 하단에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으므로, 인터넷 저장장치 설치시 IP공유기나 방화벽을 설정 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정 내에서나 소호(SOHO)내에서 IP공유기의 설정 변경 없이 인터넷 저장장치를 다수 설치할 수 있는 점은 각 개인이 인터넷 저장 장치를 1대씩 소유할 수 있게 만든다.

Claims (4)

  1. 이더넷 및 무선랜을 사용하여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가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사설 IP접속부;
    고유의 IP를 설정하고, 상기 사설 IP접속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하드디스크 내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기능조작과 상태표시를 나타내는 기능표시조작부; 및
    충전지 및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사설IP 접속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개인용 디지털 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광대역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장치;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접속장치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인터넷 접속부, 사용자가 소정 작업의 수행을 위해 인터넷을 매개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부를 통해 하드디스크로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용 인터넷 저장장치; 및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되고 PC 프로그램으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아 사설 IP를 가지는 상기 인터넷 저장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주는 브로커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개인용 디지털 저장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50065401A 2005-07-19 2005-07-19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3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401A KR100732704B1 (ko) 2005-07-19 2005-07-19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401A KR100732704B1 (ko) 2005-07-19 2005-07-19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639A KR20070010639A (ko) 2007-01-24
KR100732704B1 true KR100732704B1 (ko) 2007-06-27

Family

ID=3801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401A KR100732704B1 (ko) 2005-07-19 2005-07-19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501B1 (ko) * 2022-12-06 2023-01-13 (주)대영에스텍 비인식 nic 기능을 갖는 공유기의 이더넷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는 주소 변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561A (ko) * 2003-03-19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의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50016755A (ko) * 2002-07-02 2005-02-2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시스템에서 상위 계층 시스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및 무선랜의 자동적인 시스템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55A (ko) * 2002-07-02 2005-02-2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시스템에서 상위 계층 시스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및 무선랜의 자동적인 시스템 선택 방법
KR20040082561A (ko) * 2003-03-19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의 관리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2561A
1020050016755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639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424B2 (en) Multiplexing storage element interface
JP4490954B2 (ja) 改良型通信機能付き電気装置
US8726363B2 (en) Information packet communication with virtual objects
US20070254634A1 (en) Configuring a local network device using a wireless provider network
KR20020026746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제공방법
JP2008061106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485162A1 (en) Method of sharing data in a home network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CA2841248A1 (en) Memory card device
KR100732704B1 (ko) 사설 ip로 운영될 수 있는 인터넷 저장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JP514221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52542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る家庭用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消費者向け電子機器を設定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20080099891A (ko)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
KR20060001550A (ko) 인터넷을 이용한 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1240222B1 (ko) 통신 중계 장치, 통신 중계 시스템 및 통신 중계 방법
KR101454999B1 (ko) 유무선 공유기
KR101782884B1 (ko)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4880883B2 (ja) 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492484B1 (ko) 인터넷 상에서 대용량의 디지털 저장공간을 위한 장치 및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130100242A (ko)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데이터 모델들에 저장된 구성 정보로의 액세스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105224B1 (ko) 홈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서비스 방법
US20030065822A1 (en) Switch box appliance
JP5213029B2 (ja) 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情報の送信方法、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情報の送信システム、ルータ及び端末
TW201223188A (en) Networking equipment with hot plug function
KR20230027806A (ko) Ip 공유기 및 공유기 기반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Saaranen et al. Mobile device connectivity in hom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