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777B1 -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77B1
KR100731777B1 KR1020050092690A KR20050092690A KR100731777B1 KR 100731777 B1 KR100731777 B1 KR 100731777B1 KR 1020050092690 A KR1020050092690 A KR 1020050092690A KR 20050092690 A KR20050092690 A KR 20050092690A KR 100731777 B1 KR100731777 B1 KR 100731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ntrol signal
mode
execution mode
poi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552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7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 동작에 따라, 외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 근거리 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광대역 통신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Point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ling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일 실시예 블럭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와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을 저장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 상기 키 패드는, 복수의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기능을 상기 복수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중에서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러나, 종래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을 변경하거나 실행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기능을 변경하거나 실행하려면,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접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및 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 동작에 따라, 외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 블럭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수단(1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신호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거나, 상기 실행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수단(11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수단(11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조그 셔틀(Jog Shuttle)과 조그 다이얼(Jog Dial)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Stylus)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4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상기 스타일러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칭함으로써, 직접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에 구비된 입력 수단(110)을 이용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 수단(11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1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수단(13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수단(130)은,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이하 'UWB')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2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수단(22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이하 'UWB')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기구적으로 착탈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단말기는 좌측면부, 우측면부, 상측면부 또는 하측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착탈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상기 이동단말기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홈을 구비한 요철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속이 빈 원통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속이 빈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21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실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가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가 '메시지'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 촬영' 모드에서 상기 '메시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촬영' 모드가 현재 실행 중인 경우라도,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사진 촬영' 모드를 중단하고, 상기 '메시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실행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가 'TV 시청'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TV 시청'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숫자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신호가 '한글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입력받는 모든 문자를 한글로 인식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영어 모드' 또는 '숫자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영어 모드' 또는 '숫자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실행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실행 모드를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복수의 기능에 대한 각각의 실행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나열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특정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메뉴 형태와 아이콘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실행 모드가 상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인 경우에, 상기 상위 기능에 포함된 하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의미할 수있다. 또는, 상기 실행 모드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가 '메시지' 모드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 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메시지' 모드의 하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로써, '문자메시지 작성' 모드, '컬러 메일' 모드, '수신 보관함' 모드, '발신 보관함' 모드, '임시 보관함' 모드, '음성 보관함'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가 '전화번호부 찾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화번호부 찾기' 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행 모드가 '메시지 수신 보관함' 모드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 수신 보관함' 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터칭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a. 3b, 3c 및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조하여, 입력 수단으로서 하나의 버튼(310)이 구비된 포인팅 디바이스(300)를 설명한다.
상기 버튼은, 이동단말기로 송신할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거나, 상기 실행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310)이 일정 시간 미만 동안 터칭되면,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이동 방향 신호를 포함하므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상, 하, 좌, 우 중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가능한 이동 방향을 표시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가능한 이동 방향 중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이동 방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310)이 일정 시간 이상 동안 터칭되면,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표시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300)에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써,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300)가 입력받는 신호가 상기 실행 모드 변경 신호 인지 상기 실행 모드 실행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입력 수단으로서 2개의 버튼(320,330)이 구비된 포인팅 디바이스(300)를 설명한다.
제 1 버튼(320)이 터칭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이동 방향 신호를 포함하므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상, 하, 좌, 우 중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 2 버튼(330)이 터칭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여, 입력 수단으로서 조그 셔틀(Jog Shuttle)(340)이 구비된 포인팅 디바이스(300)를 설명한다.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조그 셔틀(340)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그 셔틀(340)이 아래 방향으로 돌려짐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우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그 셔틀(340)이 위 방향으로 돌려짐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 서, 좌 방향 또는 상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실행 모드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 인지 상하 방향 인지를 설정하는 이동 방향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조그 셔틀(340)의 일부분이 터칭됨에 따라,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조그 셔틀(340)의 중앙에 상기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돌출 부재 또는 요철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여, 입력 수단으로서 조그 다이얼(Jog Dial)(350)이 구비된 포인팅 디바이스(300)를 설명한다.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조그 다이얼(350)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그 다이얼(350)이 우 방향으로 돌려짐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우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그 다이얼(350)이 좌 방향으로 돌려짐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은,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에서 좌 방향 또는 상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한 실행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실행 모드 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 인지 상하 방향 인지를 설정하는 이동 방향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조그 다이얼(340)의 일부분이 터칭됨에 따라, 현재 위치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단말기가,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5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신호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단계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이하 'UW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30)와 상기 이동단말기(410)가, 상기 근거리 통신망(420)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변경한다(S520).
예를 들어,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검색하여, 임의의 실행 모드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의의 실행 모드가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가 '메시지'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 촬영' 모드에서 상기 '메시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촬영' 모드가 현재 실행 중인 경우라도,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사진 촬영'을 중단하고 상기 '메시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숫자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가 '한글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가 '영어 모드' 또는 '숫자 모드'로의 변경 신호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영어 모드' 또는 '숫자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모드를 표시한다(S530).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변경된 실행 모드를 아이콘(Icon) 형태 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기능에 대한 각각의 실행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나열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실행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하여 특정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540).
예를 들어, 상기 변경된 실행 모드에 대한 실행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행 모드에 대한 변경 신호는 입력받았으나 실행 신호는 입력받지 않은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변경된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관련 정보를 메뉴 형태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S550).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실행 모드가 상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인 경우에, 상기 상위 기능에 포함된 하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행 모드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실행 모드가 '메시지' 모드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 모드에 포함된 하위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로써, '문자메시지 작성' 모드, '컬러 메일' 모드, '수신 보관함' 모드, '발신 보관함' 모드, '임시 보관함' 모드, '음성 보관함'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실행 모드가 '전화번호부 찾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에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실행 모드가 '메시지 수신 보관함' 모드인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가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 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기능 실행 모드를 변경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25)

  1.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 동작에 따라, 외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의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기구적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조그 셔틀(Jog Shuttle)과 조그 다이얼(Jog Dial)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숫자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실행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아이콘 형태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메뉴 형태와 아이콘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제 1 항에 의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의 문자 인식 모드를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숫자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에 대한 실행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단계에 의한 동작 제어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실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메뉴 형태와 아이콘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50092690A 2005-10-01 2005-10-01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731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90A KR100731777B1 (ko) 2005-10-01 2005-10-01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90A KR100731777B1 (ko) 2005-10-01 2005-10-01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552A KR20070037552A (ko) 2007-04-05
KR100731777B1 true KR100731777B1 (ko) 2007-06-22

Family

ID=3815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90A KR100731777B1 (ko) 2005-10-01 2005-10-01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7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78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 시스템
KR20050091264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78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 시스템
KR20050091264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552A (ko)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2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736276B2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20192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52996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starting application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40138310A (ko) 휴대형 전자 기기
JP2016224523A (ja) 携帯端末
KR2008007919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71882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159034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354630B (zh) 一种终端设备的人机交互方法及其终端设备
US8442601B2 (en) Mobile phone apparatus
KR100731777B1 (ko)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KR101353415B1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KR20080088090A (ko)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의메뉴 표시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CN108605074B (zh) 一种触发语音功能的方法和设备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JP4930136B2 (ja) 携帯端末装置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2006003411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윈도우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단말기
KR10063005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39894B1 (ko) 바탕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598065B1 (ko) 키 입력 시간에 따른 메뉴 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