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001B1 - 직냉식 냉장고 - Google Patents

직냉식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001B1
KR100731001B1 KR1020060007758A KR20060007758A KR100731001B1 KR 100731001 B1 KR100731001 B1 KR 100731001B1 KR 1020060007758 A KR1020060007758 A KR 1020060007758A KR 20060007758 A KR20060007758 A KR 20060007758A KR 100731001 B1 KR100731001 B1 KR 10073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irect
cooling refrigerator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06000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베란다 등의 협소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냉동 냉장 효율이 우수한 직냉식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이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몸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몸체의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설치된 증발기로 이루어진 직냉식 냉장고가 개시된다.
직냉식, 조립, 냉장고, 베란다, 패널, 앙카 볼트,

Description

직냉식 냉장고{Direct typ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가 베란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b의 3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측벽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에 채택된 냉각 사이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중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중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 중 상부벽 및 측벽 사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110; 몸체 111; 상부벽
112; 하부벽 113; 측벽
116; 스페이서 117; 결합 부재
117a; 앙카 볼트 117b; 고정 너트
118a; 결합홈 118b; 결합 돌기
119; 거치대 120; 도어
131; 압축기 132; 응축기
133; 드라이어 134; 캐필러리
135; 증발기 141; 패킹
142; 브라켓 143; 스크류
144; 보스 145a; 결합 홈
145b; 결합 돌기 200; 베란다
210; 베란다 벽면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베란다 등의 협소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냉동 냉장 효율이 우수한 직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식품을 장기간 보관 후 섭취하고자 할 때, 통조림이나 병 저장 또는 건조와 같은 저장방법을 통하여 식품의 섭취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저장방법은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식품을 보관하기 때문에, 유통기간 및 저장기간이 짧으며, 맛과 품질이 천연의 것보다 훨씬 뒤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식품을 냉각하고 동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냉장고는 농수축산물이나 기타 냉동 저장되어야 할 물품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인 창고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따로 외부의 공간을 마련하여 설치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고 또한 협소한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일정한 크기와 규모로 조립되어 대량 생산되었으나, 사용용도에 따라 냉장고를 자유로이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으나, 생산 공정에 있어서 획일적으로 저장용량에 따른 크기가 결정되어 생산되는 것이어서, 크기를 변경시킬 수 없고 저장 내용물의 증가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만큼의 냉장고를 새로 구입하여 사용하여만 하였으며, 사용자가 미리 필요량보다 용량이 큰 냉장고를 구입 또는 설치해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필요한 용량보다 클 때에는 비경제적이고, 또 필요한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등의 협소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냉동 냉장 효율이 우수한 직냉식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이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상기 몸체의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설치된 증발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베란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베란다의 벽면에 다수의 결합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은 베란다의 벽면에 다수의 결합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와 베란다의 벽면 사이에는 소정 공간의 틈이 형성되고, 상기 틈에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및 스페이서는 베란다의 벽면에 결합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몸체 및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베란다의 벽면에 결합되는 앙카 볼트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앙카 볼트에 결합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드라이어 및 캐필러리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응축기, 드라이어 및 캐필러리는 상기 몸체의 후방에 소 정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소정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측벽에 다수회 절곡된 파이프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부벽에도 다수회 절곡된 파이프가 결합되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하부벽에도 다수회 절곡된 파이프가 결합되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파이프의 냉기가 내부로만 전달되도록 외부를 향하는 영역에는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대향되는 내측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거치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대향되는 내측에 소정 두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위에는 거치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중 상호 밀착되는 밀착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영역의 외측에는 절곡된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은 스크류에 의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가 결합되는 몸체에는 보스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중 상호 밀착되는 영역에는 일단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 및 결합 돌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은 단열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 주택의 베란다와 같은 장소에 원하는 크기의 냉장고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패널을 이용하여 몸체를 구현함으로써, 우수한 단열 효과로 냉기를 완전 무결하게 차단하여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한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생산된 규격품을 베란다와 같은 현장에서 즉시 조립하므로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을 다양한 크기의 단열 패널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장소가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 주택과 같은 베란다 이외에도 다양한 장소에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외형 크기에 단열 효과가 탁월한 단열 패널을 몸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벽 두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내부 유효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 등의 신선한 식품을 주산지로부터 공급받거나 구입하여 베란다 등에 설치된 조립식 냉장고에 그 식품의 필요 온도를 조절하여 보관하므로, 내용물에 따라 제품에 가장 적절한 온도를 맞춰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하여도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 냉장고나 김치 냉장고 등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고, 과일 등을 박스 채로 보관할 수 있고, 마늘, 양파 및 감자, 고구마 등을 박스 채로 다량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화장품 및 기타 가정 생활 용품을 한군데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나 가정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가 베란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100)는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 주택의 베란다(200)에 간편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100)는 일반 가정의 좁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100)는 베란다(200) 이외의 영역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100)의 설치 위치를 상기 베란다(20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100)는 크게 몸체(110)와, 적어도 하나의 도어(120)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135, 도 4a 및 도 4b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이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각종 식음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즉, 하나의 상부벽(111)과, 상기 상부벽(111)에 결합된 세 개의 측벽(113)과, 상기 세 개의 측벽(113)에 결합된 하나의 하부벽(113)이 몸체(110)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은 단열 성능이 우수하도록 단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부 용적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20)는 냉동고용 도어와 냉장고용 도어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도어의 갯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발기(135)는 상기 측벽(113) 등에 직접 설치되어, 직냉식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 즉,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은 베란다(200)의 벽면(2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10)와 베란다(200)의 벽면(2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서 용이하게 순환됨으로써, 결국 상기 증발기(135) 및 몸체(110)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 즉,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과 베란다(200)의 벽면(210)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스페이서(116)가 더 개재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벽(111), 하부벽(112), 측벽(113) 및 스페이서(116)에는 결합 부재(117)가 관통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 부재(117)에 의해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은 베란다(200)의 벽면(210)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 부재(117)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증발기(135)에는 압축기(131)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압축기(131)는 몸체(110)의 후방에 소정 공간(S)이 구비되고, 상기 소정 공간에 위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압축기(131)가 측벽(113)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압축기(131)는 측벽(113)의 후방 하부, 좌측의 측벽 상부 또는 하부, 우측의 측벽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압축기(131)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b의 3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의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도면에는 대표적으로 상부벽(111)이 도시됨)은 결합 부재(117)에 의해 베란다(200)의 벽면(210)에 결합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부벽(111)과 베란다(200)의 벽면(210) 사이에는 소정 틈이 형성되도록 스페이서(11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결합 부재(117)는 상기 상부벽(111) 및 스페이서 (116)를 관통해서 베란다(200)의 벽면(210)에 고정되는 앙카 볼트(117a)와, 상기 상부벽(111)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앙카 볼트(117a)에 결합되는 너트(117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이 모두 베란다(200)의 벽면(2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과 베란다(200)의 벽면(210) 사이에는 소정 공간 또는 소정 틈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효율적으로 냉장고(100) 주변을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1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측벽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측벽(113)에 직접 증발기(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기(135)는 냉매 가스가 지나가는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된 채로 상기 측벽(113)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증발기(135)는 대향되는 양측벽(113) 또는 일측벽(11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증발기(135)는 측벽(113)이 아닌 상부벽(111)에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벽(1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35)는 측벽(113)과 상부벽(111)에 동시 설치되거나, 측벽(113)과 하부벽(112)에 동시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벽(111)과 하부벽(112)에 동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증발기(135)의 설치 위치는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가능하며 여기서 특정 부분 또는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에는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소정 두께의 단열재(113a, 도면에는 측벽에 형성된 단열재만 도시됨)가 충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35)로부터 발생하는 냉기가 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만 공급되고, 외부로 방출되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135)가 직접 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직냉식 냉장고로 정의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에 채택된 냉각 사이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채택된 냉각 사이클은 일반적인 냉장고와 같다. 즉,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131), 응축기(132), 드라이어(133), 캐필러리(134) 및 증발기(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131)는 냉매 가스를 소정 압력으로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132)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32)는 자신을 통과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133)는 냉각된 가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캐필러리(134)는 자신을 통과하는 냉매 가스를 저온, 저압 및 액화 가스가 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증발기(135)는 상기 액화 냉매 가스를 기체 가스로 다시 변화시키는데, 이때 외부의 열을 대량으로 떨어뜨림으로써 냉장고(100)의 내부 온도를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증발기(135)를 통과한 냉매 가스는 다시 압축기(131)로 되돌아가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냉장고(100)의 내부 온도가 차갑게 유지된다.
더불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35)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 도면에서는 1개의 측벽만 도시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110)에 구비된 5개의 모든 벽을 통해서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냉각될 수 있어, 냉각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 중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의 대향되는 측벽(113)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118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대향되는 결합홈(118a)에는 거치대(119)가 삽입됨으로써, 각종 식음료품 등을 상기 거치대(119)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홈(118a)은 상기 측벽(113)의 상, 하부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거치대(119) 역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결합홈(118a)은 상기한 증발기(135)의 파이프와 같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치대(119)가 상기 증발기(135)의 파이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3a는 측벽(113)의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 중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의 대향되는 측벽(113)에 소정 두께의 돌기(118b)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대향되는 돌기(118b) 위에는 거치대(119)가 안착됨으로써, 각종 식음료품등을 상기 거치대(119)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도, 이러한 결합 돌기(118b)는 상기 측벽(113)의 상, 하부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거치대(119) 역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결합 돌기(118b)는 상기한 증발기(135)의 파이프와 같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 돌기(118b) 또는 거치대(119)가 상기 증발기(135)의 파이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중 상부벽 및 측벽 사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중 상호 밀착되는 밀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패킹(141)(도면에는 2개의 패킹이 도시됨)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중에는 상부벽(111) 및 측벽(113)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킹(141)은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가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밀착 영역의 외측에는 대략 "L"자로 절곡된 브라켓(142)이 더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142)은 스크류(143)에 의해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각의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 사이의 기계적 결합력은 더욱 상승한다.
더욱이, 상기 스크류(143)가 결합되는 몸체(110)에는 보스(144)가 더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크류(143)가 상부벽(111), 하부벽(112) 또는 측벽(113)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벽(111), 하부벽(112) 또는 측벽(113)은 모두 내부에 단열재(111a,113a, 하부벽의 단열재는 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열재(111a,113a)에는 스크류(143)가 직접 단단하게 결합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 상기 단열재(111a,113a)에 소정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목재 또는 금속 재질의 보스(144)를 결합하고, 그 보스(144)에 스크류(143)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크류(143)가 보스(144) 및 몸체(110)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를 이루는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중 상호 밀착되는 영역 일단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145a)이 형성되고, 타측에 소정 길이 돌출된 결합 돌기(145b)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상부벽(111) 및 측벽(113)만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45a)과 결합 돌기(145b) 사이에는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완벽한 차단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패킹(141)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상부벽(111), 하부벽(112) 및 측벽(113) 상호간의 결합시 별도의 스크류(143)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 (110)의 내부와 외부가 완벽하게 격리된다.
계속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홈(145a)과 결합 돌기(145b) 사이에 적어도 3개의 패킹(141)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부벽(111)과 측벽(113)은 대략 요철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각각의 요철 결합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141)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더욱 완벽하게 격리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 주택의 베란다와 같은 장소에 원하는 크기의 냉장고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패널을 이용하여 몸체를 구현함으로써, 우수한 단열 효과로 냉기를 완전 무결하게 차단하여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한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생산된 규격품을 베란다와 같은 현장에서 즉시 조립하므로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을 다양한 크기의 단열 패널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장소가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 주택과 같은 베란다 이외에도 다양한 장소에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외형 크기에 단열 효과가 탁월한 단열 패널을 몸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벽 두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내부 유효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 등의 신선한 식품을 주산지로부터 공급받거 나 구입하여 베란다 등에 설치된 조립식 냉장고에 그 식품의 필요 온도를 조절하여 보관하므로, 내용물에 따라 제품에 가장 적절한 온도를 맞춰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하여도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 냉장고나 김치 냉장고 등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고, 과일 등을 박스 채로 보관할 수 있고, 마늘, 양파 및 감자, 고구마 등을 박스 채로 다량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화장품 및 기타 가정 생활 용품을 한군데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나 가정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이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상기 몸체의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설치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드라이어 및 캐필러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 중 어느 하나에 다수회 절곡된 파이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파이프의 냉기가 내부로만 전달되도록 외부를 향하는 영역에는 단열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베란다의 벽면에 다수의 결합 부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은 베란다의 벽면에 다수의 결합 부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베란다의 벽면 사이에는 소정 공간의 틈이 형성되고, 상기 틈에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스페이서는 베란다의 벽면에 결합 부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몸체 및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베란다의 벽면에 결합되는 앙카 볼트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앙카 볼트에 결합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대향되는 내측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거치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대향되는 내측에 소정 두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위에는 거치대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중 상호 밀착되는 밀착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영역의 외측에는 절곡된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은 스크류에 의해 몸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 결합되는 몸체에는 보스가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중 상호 밀착되는 영역에는 일단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및 결합 돌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이 더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이루는 상부벽, 하부벽 및 측벽은 단열 패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KR1020060007758A 2006-01-25 2006-01-25 직냉식 냉장고 KR10073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58A KR100731001B1 (ko) 2006-01-25 2006-01-25 직냉식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58A KR100731001B1 (ko) 2006-01-25 2006-01-25 직냉식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001B1 true KR100731001B1 (ko) 2007-06-22

Family

ID=3837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758A KR100731001B1 (ko) 2006-01-25 2006-01-25 직냉식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122A (zh) * 2014-12-24 2015-03-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603U (ko) 1975-04-14 1976-10-21
KR200176324Y1 (ko) 1999-10-28 2000-03-15 주식회사유평공영 저온 및 냉기를 필요로 하는 벽걸이형 소도구함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603U (ko) 1975-04-14 1976-10-21
KR200176324Y1 (ko) 1999-10-28 2000-03-15 주식회사유평공영 저온 및 냉기를 필요로 하는 벽걸이형 소도구함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122A (zh) * 2014-12-24 2015-03-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3606B2 (en) Refrigerator having very low temperature freezer compartment
JP2007101084A (ja) 冷蔵庫
AU201820212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075937A (ja) 冷蔵庫
AU201820212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215716A (ja) 冷蔵庫
KR100731001B1 (ko) 직냉식 냉장고
JP5003029B2 (ja) 冷蔵庫
KR100731003B1 (ko) 빌트인 냉장고
JP2008069997A (ja) 冷蔵庫
EP1124101B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refrigeration grid provided with eutectic plates
JP2001012841A (ja) 冷蔵庫
KR100731002B1 (ko) 간냉식 냉장고
KR100731004B1 (ko) 냉각 킷트를 갖는 냉장고
US6640573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guide rail member for kimchi storage device
KR20050081728A (ko) 가정용조립식냉동냉장고
KR200349972Y1 (ko) 가정용조립식냉동냉장고
KR200424172Y1 (ko) 탑재형 와인 냉장고
CN203177571U (zh) 冷藏库
KR20070024757A (ko) 저장고
KR20030041351A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편차 감소를 위한 금속 전열판구조
KR100376833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체결부 구조
KR102437518B1 (ko) 냉장고
KR100412406B1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보상을 위한 전도판 구조
JP2004225946A (ja) 冷却貯蔵庫及び冷却貯蔵庫の仕切り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