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551B1 -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551B1
KR100730551B1 KR1020067001773A KR20067001773A KR100730551B1 KR 100730551 B1 KR100730551 B1 KR 100730551B1 KR 1020067001773 A KR1020067001773 A KR 1020067001773A KR 20067001773 A KR20067001773 A KR 20067001773A KR 100730551 B1 KR100730551 B1 KR 10073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ed
inform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dis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349A (ko
Inventor
노부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5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5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Abstract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헤드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할 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DISC POSITIONING INFORMATION WRITE METHOD AND DEVICE,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보 트랙 라이터 등의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에서의 소위 비동기 진동(NRRO, Non-Repeatable Run Out)에 의해 발생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의 위치 어긋남에 대하여, 이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시의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이 디스크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로서는,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 제어를 행할 목적으로 미리 자기 디스크에 기록되는 「서보 트랙」을 들 수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서보 트랙을 이용하여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데, 이를 위한 서보 제어 방법으로서 섹터 서보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디스크에 위치 결정 정보로서 기록된 서보 패턴(서보 버스트 등) 중 위치 검출의 방법에 의해 이하의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제1 방식은 버스트 패턴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90° 위상을 어긋나게 한 2조, 즉 4상의 버스트 패턴의 진폭을 연산하여 헤드의 상세한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에는 버스트 패턴을 구성하는 버스트 수가 3상, 6상 등, 상기 4상 이외의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 2종 중 제2 방식은 위상 패턴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트랙 방향으로 헤드가 이동함에 따라 기준 신호와 위치 검출용 신호의 위상이 직선적으로 어긋나도록 미리 패턴을 배치하고, 이것을 판독함으로써 헤드의 상세한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보 패턴을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미디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서보 트랙 라이터」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보 트랙 라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서보 트랙 라이터는 제품으로서의 하드 디스크 장치(100)가 장착되고, 이 장치(100)의 하드 디스크인 디스크형 미디어(100)를 지지,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20), 소정의 클록 정보를 미리 디스크형 미디어(110)에 기록해 두고 서보 트랙 기록시에는 이 클록 정보를 판독하여 서보 패턴 생성기(350)로 보내는 클록 헤드(360), 미디어에 서보 트랙을 기록하는 기록 헤드(130), 기록 헤드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140),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의 위치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장계(320), 레이저 측장계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트랙 라이터측 액츄에이터(330)를 통해 하드 디스크 장치측의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140)를 위치 결정 제어하는 위치 결정 제어기 (340), 스핀들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핀들 모터 제어기(310), 클록 헤드(360)로부터 보내진 클록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밍을 제어하면서 디스크형 미디어(110)에 대하여 기록해야 하는 서보 정보 패턴을 생성하는 서보 패턴 생성기(3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서보 트랙 라이터에서는 소정의 이송 피치로 기록 헤드를 위치 결정하여 미디어를 회전하면서 서보 트랙의 기록을 반복하는 것으로, 전 트랙을 기록할 때까지 이 동작이 반복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기록 헤드는 레이저 측장계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지만, 서보 트랙을 기록하는 대상인 미디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개의 서보 트랙의 궤적은 그 서보 트랙 기록시의 1회의 궤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의 NRRO나 라이트 헤드의 위치 결정 오차 등이 있으면, 이와 같이 하여 기록된 서보 트랙은 완전한 동심원으로는 되지 않고 기록 시작과 기록 종료 사이의 기록 이음 부분에서 서보 트랙에 단차가 발생해 버린다. 이 단차가 크면 상기 서보 제어에 있어서 기록 재생 헤드가 안정하게 트랙을 추종할 수 없게 되어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후술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복수 상의 버스트를 복수의 주회에 의해 트랙 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기록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주회로 분할하여 서보 트랙을 기록함으로써 스핀들 모터의 NRRO에 의한 어긋남을 평균화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NRRO의 주파수, 위상 을 측정하여, 서보 트랙의 기록 시작과 기록 종료 사이의 NRRO의 차가 커지는 타이밍을 피하여 서보 트랙을 기록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8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81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0619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11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복수 주회로 분할하여 1개의 서보 트랙을 기록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 각 서보 트랙의 기록에 필요한 시간이 상기 복수 주회 분만큼 배증된다. 그 결과 서보 트랙의 기록 시간이 대폭 증가해 버린다.
또는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한 방법의 경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한 방법과 같이 서보 트랙을 복수 주회로 분할하여 기록할 필요는 없지만, 상기 측정의 결과에 의해 스핀들 모터의 NRRO의 영향이 크다고 판정된 시간대에서는 서보 트랙을 기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이 발생하여, 모든 서보 트랙을 기록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이 대폭 연장되어 버린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각 서보 트랙의 일주분 중, 소정의 부분만 복수 주회의 기록에 의한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하고, 다른 부분은 종래와 같이 1주회의 기록에 의한 기록 방법으로 한다. 즉,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서보 트랙을 일주분 기록한 후, 소정 각도분만 중복하여 더 기록한다.
종래의 서보 트랙 기록시의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 축 런아웃에 의한 문제점은 주로 일주분의 서보 트랙을 기록할 때의 기록 시작 부분과 기록 종료 부분의 이음매 부분에서 발생하는 단차에 의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단차를 발생시키는 이음매 부분 전후의 소정의 한정된 범위에 대해서만 중복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 중복 기록 부분에 대해서는 서보 제어시 서보 패턴 검출의 때에 각 주회에 의해 기록된 패턴에 의한 검출 위치의 평균을 취하여 위치 오차 검출값으로 한다. 그 결과 상기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서보 제어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중복 기록 부분은 이음매 부분 전후의 한정된 범위이므로, 그 때문에 여분으로 요구되는 시간은 한정되어 디스크 제조 공정에 대한 시간 증가의 비율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트랙 라이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례의 서보 트랙 기록시에 발생하는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상기 단차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도 4B는 서보 트랙을 구성하는 버스트 패턴을 기록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도 5B는 복수 주회에 의한 서보 트랙을 기록하는 방법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도 9,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는 진폭 검출 방식에 의한 위치 어긋남 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도 12B는 서보 버스트와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버스트 게이트 펄스(burst gate pulse)를 대비시켜 나타낸 도면(1).
도 13A, 도 13B는 서보 버스트와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버스트 게이트 펄스를 대비시켜 나타낸 도면(2).
도 14A, 도 14B, 도 14C는 본 발명에 의한 중복 기록 방식 적용시의 진폭 검출 방식에 의한 위치 어긋남 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난 서보 복조기 내부의 블록도.
도 18A, 도 18B, 도 18C, 도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보 복조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8A 내지 도 18D에 나타내는 방식을 실시하기 위한 서보 복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A, 도 20B, 도 20C, 도 2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복조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A 내지 도 20D에 나타내는 방식을 실시하기 위한 서보 복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2A, 도 22B, 도 22C, 도 2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복조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도 22A 내지 도 22D에 나타내는 방식을 실시하기 위한 서보 복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4A, 도 24B, 도 24C, 도 2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복조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도 24A 내지 도 24D에 나타내는 방식을 실시하기 위한 서보 복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6은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7은 도 26에 나타나는 복조 순서 테이블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상기 각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서보 버스트 복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9A, 도 29B는 상기 실시예를 적용한 때의 서보 섹터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A, 도 30B는 데이터 섹터의 구성예 및 데이터 섹터와 서보 섹터를 포함하는 트랙 내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A, 도 31B는 진폭 검출 방식 및 위상 검출 방식 각각을 적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의 중복 기록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A, 도 3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재생용 위치 결정 정보로서의 서보 트랙을 이 매체의 공장 출하 전에 서보 트랙 라이터로써 이 매체에 기록할 때, 그 서보 트랙의 일주의 기록 시작과 기록 종료의 일부분의 수 섹터에 대하여 후술하는 소위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다. 즉, 일주분의 서보 트랙을 기록할 때에 그 기록 시작 부분과 기록 종료 부분을 중복시키고, 그 중복 부분에 대해서는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다. 즉 그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하는 주회마다 서보 트랙을 분할하여 부분적으로 기록해 가고, 이 중복 부분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이 복수 주회에 의해 완전한 서보 트랙을 형성한 다. 감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이 방식을 「중첩 너비(overlap width)」 방식이라고도 칭한다.
이와 같이,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에 의해 이음매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기록 시작과 기록 종료의 부분에 대해서, 소정 회전 각도분 중복하여 기록을 행하여, 그 부분에만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다. 그 결과 이와 같이 기록된 일주분의 서보 트랙은 그 이음매부가 중복되어 분할 라이트되어 있으며, 이것을 판독하는 서보 제어로써 중복 부분의 서보 정보를 평균화하면, 이음매 부분의 단차를 실질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 안정적으로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보 트랙 라이터로써 상기 중복 부분(「중첩 너비」의 부분)의 서보 트랙을 기록할 때, 복수 주회로 나눠 형성하는 서보 패턴의 웨이트(weight)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주분의 서보 트랙에 대하여 기록 재생 헤드가 추종할 때, 그 이음매 부분에서 단차가 있는 경우, 한쪽의 트랙 경로로부터 다른 쪽의 트랙 경로로 헤드가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서보 패턴의 웨이트를 서서히 변화시켜 놓음으로써, 이 이음매의 중복 부분에서는 기록 재생 헤드가 1개의 서보 트랙를 추종하고 있는 사이 서서히 이 서보 트랙을 구성하는 서보 패턴의 웨이트가 감소해 가고, 한편 이것과 회전 각도적으로 중복한, 이동해야 하는 다른 서보 트랙을 구성하는 서보 패턴의 웨이트가 역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기록하여 놓으면 좋다. 그 결과 이음매 부분에서의 헤드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트랙킹 서보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보 트랙 기록시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이 원인인 서보 트랙의 단차에 의한 영향을 실질적으로 적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중복 부분은 서보 트랙 일주분 중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서보 트랙 기록 시간의 증가분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하여 신뢰성이 높은 자기 디스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세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비교의 목적으로 우선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극히 일반적인 서보 트랙 기록의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서보 트랙 기록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점 Q1에서 기록을 시작하여 점 Q2에서 기록을 마친다. 서보 트랙 기록은 실제로는 자기 신호의 버스트 패턴(Pa, Pb)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록해 가는 것으로 서술했지만, 실제로는 주지와 같이 회전하는 것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 쪽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 헤드가 상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을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하 동일하다.
도 4A는 이 경우의 기록 헤드(1a, 1b)에 의한 기록 형태를 나타낸다. 즉 우선 헤드(1a)에 의해 헤드 진행 방향 우측의 버스트 패턴(Pa)이 기록되고, 다음에 헤드(1b)로써 좌측의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다. 이 때,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헤드(1a)에 의해 패턴(Pa)이 기록되고, 그 후 헤드(1b)에 의해 패턴(Pb)이 기록되며, 그 후 동일한 헤드(1b)에 의해 패턴(Pa) 좌측 부분인 Pae가 소거된다. 이 와 같이 하여 형성된 패턴(Pb)의 우측 모서리(Pbo)와 패턴(Pa)의 좌측 모서리(Pao)가 이 트랙의 중심(Tc)을 이룬다.
도 2로 되돌아가, 이와 같이 하여 순차 버스트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쓰여진 서보 트랙은 전술과 같이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회전 축이 어긋남으로써, 기록 시작의 트랙 중심점(Q1)과 기록 종료의 트랙 중심점(Q2)이 합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쓰여진 서보 트랙은 정확한 동심원이 아니며, 이 때문에 기록 시작과 기록 종료 사이의 이음매에 단차가 발생한다.
도 3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동일한 트랙을 기록하는 데 복수 회의 기록을 행한다. 이 경우 이 복수 회의 기록에 있어서의 NRRO 등에 의한 회전 축 런아웃에 의한 트랙 중심의 시프트는, 일반적으로 랜덤이기 때문에 각 주회마다 축 런아웃의 방향은 랜덤이 된다. 따라서 이 복수 주회의 기록에 의한 트랙 중심의 평균을 검출하여 서보 트래킹을 행하면, 상기 축 런아웃으로 인한 이음매의 단차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즉, 도 3, 도 5A, 도 5B에 있어서, 최초의 주회에서 헤드는 1a, 1b의 위치이며, 이에 따라 상기한 도 2, 도 4A, 도 4B와 함께 설명한 동작에 의해 버스트 패턴(Pa, Pb)이 기록된다. 그 후 다음 주회에서는 상기 헤드 위치가 회전 축 런아웃에 의해 어긋나, 그 결과 동일한 헤드(1a', 1b')에 의해 버스트 패턴(Pa', Pb')이 기록된다. 이 경우, 2번째의 주회에서 상기 축 런아웃에 의한 트랙 중심의 어긋남, 즉 도 3 중의 점 Q2와 점 Q2' 사이의 어긋남 혹은 Q3, Q3' 사이의 어긋남이 발생한 다.
그리고,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장치에 조립한 후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할 때, 이들의 평균 위치, 즉 도 3 중, 점 Q2c, Q3c를 검출하여 제어를 행한다. 그 결과, 축 런아웃으로 인한 이음매의 단차에 의한 영향은 반으로 저감된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1개의 서보 트랙을 기록할 때마다 2주회의 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2배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나타낸다. 이 경우, 서보 트랙은 회전 각도 θ1의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주회 기록한 후, 각도 Δθ분 중복하여 더 기록하고, 각도 θ2의 위치에서 기록 종료된다. 그리고 최후의 θ1에서부터 θ2까지의 Δθ분을 기록할 때에는 상기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다.
여기서 분할 라이트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의 기록인 경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Pa, Pb) 각각의 트랙 방향을 따른 기록 폭을 Sa로 한다. 이에 대하여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 경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최초의 주회일 때에는 통상의 기록 폭의 전반분인 Sa분을 기록하고, 다음 주회시에 뒤쪽 반분인 Sa'분을 기록한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기록 폭은 통상의 경우와 동일한 폭이 된다. 이와 같이 복수 주회에 걸쳐 서보 패턴을 기록할 때, 통상 기록 폭을 그 기록 주회 수 분량으로 분할하여, 각 주회마다 그 분할 폭만큼을 순차 기록하는 방식을 분할 라이트 방식이라 칭한다.
이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서보 패턴을 판독할 때의 게이트 시간 폭을 통상 기록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 경우라도 서보 제어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경우와 다르게 트랙 일주 전체 둘레분에 대해서 복수회 기록하는 것은 아니며, 이음매 부근의 Δθ의 각도분만 중복하여 기록하고, 그 이외의 각도 부분에 대해서는 1회의 기록만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에 의한 회전 축 런아웃의 영향이 가장 현저한 이음매 부분에서만 복수 주회에 걸친 중복된 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NRRO 등에 의한 축 런아웃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서보 트랙 기록에 필요한 시간의 증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에 대해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6과 함께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음매 부분의 Δθ의 각도 부분에 대해서만 복수회에 걸친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다. 단, 도 6의 경우와 다른 것은, 분할 라이트의 경우의 1회째의 주회에서의 패턴 기록 폭을 서서히 증가해 가고, 다른 쪽 중복 기록시(2회째)에는 역으로 패턴 기록 폭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그리고 각 섹터에서의 1회째와 2회째의 주회에 의한 기록 폭의 합계(Sa + Sa')는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되고, 또한 그 값은 상기 범위 외, 즉 분할 라이트 방식 부적용 부분의 각 섹터의 단일 주회에 의한 기록 폭(Sa)과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제1 주회의 최초의 섹터(g1)에서의 패턴(Pa)의 기록 폭은 매우 좁고, 이것을 반시계 방향으로 전진하여 감에 따라 서서히 증가시켜, 중복 부분의 최후의 섹터(g2)에서는 상당히 넓은 폭이 되어 있다. 역으로 2회째의 주회시에는 중복 부분의 최초의 섹터(g1)에서는 패턴(Pa')의 기록 폭은 넓지만, 최후의 g2에서는 상당히 좁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중복 부분(Δθ)의 범위 내에서 패턴(Pa)과 패턴(Pa')의 합계 기록 폭(Sa+ Sa')은 항상 일정하게 되며, 그것은 상기 범위 외, 즉 분할 라이트 방식 부적용 부분의 각 섹터의 단일 주회에 의한 기록 폭(Sa)과 같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보 제어할 때의 서보 패턴 판독시의 게이트 시간 폭을 일정하게 하여 서보 제어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은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와 같이 각 트랙의 일주분을 구성하는 섹터 중, 일부에만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하고 다른 부분은 단일 주회에 의한 기록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의 경우, 제어의 복잡화 방지를 위해 유효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째의 주회에 의한 기록 폭과 2회째의 주회에 의한 기록 폭의 웨이트를 서서히 변화시키는 방식에 의하면, 이하의 특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 서보 패턴 판독시, 중복 부분(Δθ)의 최초의 각도 위치 θ1에서는 2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Pa', Pb')의 웨이트가 크다. 따라서 1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Pa, Pb)에 의해 이루어지는 트랙 중심(Tc)보다 2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Pa', Pb')에 의해 이루어지는 트랙 중심(Tc')에 가까운 위치가 트랙 중심으로서 검출된다. 이것이 중복 범위(Δθ) 내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서히 1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Pa, Pb)의 기록 폭의 웨이트가 커지기 때문에 이들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중심에 가까운 측의 위치가 트랙 중심으로서 검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1회째와 2회째의 주회에 의해 기록된 서보 패턴의 합성으로부터 검출되는 트랙 중심(Tcc)은 중복 범위(Δθ)의 최초의 θ1의 각도 위치에서부터 최후의 θ2의 각도 위치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2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의 트랙 중심(Tc')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1회째의 주회로써 기록된 패턴의 트랙 중심(Tc)에 가까운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2회의 주회에 의해 기록된 패턴의 합성에 의한 트랙 중심이 그리는 궤적에 있어서, 이 중복 부분(Δθ)의 양 단 θ1, θ2 부근(즉 이음매 부분)에서 발생하는 실질적 단차량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되는 트랙 중심이 그리는 궤적은 보다 매끄러운 것이 되고, 그리하여 보다 안정적인 트랙킹 서보 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과 함께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할 때의 기록 순서를 다르게 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의 각각 예에서는, 기록 시작의 위치(θ1)에서부터 패턴(Pa, Pb)을 기록하기 시작하여, 동일하게 하여 일주분 순차 패턴을 기록한 후 다시 기록 시작 위치(θ1)에 이른다. 그 후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중복하여 패턴(Pa', Pb')을 기록해 가, Δθ분 중복하여 기록한 후, θ2의 위치에서 기록 종료된다.
이 경우, 중복 부분(Δθ)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라이트 방식이 적용되어, 최초에 기록한 패턴(Pa, Pb)과, 중복하여 기록한 패턴(Pa', Pb')에 의한 분할기록이 이루어진다. 그 때, 1회째의 패턴(Pa, Pb)의 후방, 즉 시간적으로 후에 판독되게 되는 쪽에 2회째의 패턴(Pa', Pb')이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 도 9의 예에 서는 1회째의 패턴(Pa, Pb)의 전방, 즉 시간적으로 먼저 판독되게 되는 쪽에 2회째의 패턴(Pa', Pb')이 기록된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는, 한쪽에서는 1회째의 패턴(Pa)의 전방에 2회째의 패턴(Pa')이 기록되고, 다른 쪽에서는 1회째의 패턴(Pb)의 후방에 2회째의 패턴(Pb')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할 때, 각 주회마다 분할하여 기록하는 패턴의 순서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단, 서보 제어시에 이와 같이 기록된 서보 패턴의 신호을 판독할 때의 신호 판독 정밀도를 감안한 경우, 도 9의 예와 같이 최초에 독출되는 부분을 후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으로 서보 트랙 라이터로써 서보 패턴을 기록할 때, 그 기록 시작 부분의 상승에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기록 시작 부분의 신호에 비해 이미 안정화된 후반의 부분 쪽이 기록 정밀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도 9의 예와 같이 1주째에 Pa, Pb를 기록하고, 2주째의 패턴(Pa', Pb')을 기록할 때는 이 2주째의 패턴(Pa', Pb')의 후반부가 1주째의 패턴(Pa, Pb)의 기록 시작 부분에 중복되도록 오버라이트한다. 그 결과 1주째의 기록 시작 부분의 불안정한 신호 부분은 2주째의 후반 부분의 안정화된 신호 부분에 의하여 덧쓰기되어, 이들 1주째와 2주째의 패턴이 합성된 합성 패턴에서는 신호가 불안정한 부분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하여 기록 순서가 역인 경우는 1주째에서 기록된 후반의 양호한 부분이 2주째의 전반의 불량 부분에 의하여 덧쓰기되어, 결과적으로 전체로서 불량인 부분이 보다 많이 남게 된다.
다음에 도 11A 내지 도 11D, 도 12A 및 도 12B, 도 13A 및 도 13B, 도 14A 내지 도 14C와 함께, 이와 같이 하여 서보 트랙이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장치에 조립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된 서보 패턴을 이용하여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할 때의 서보 패턴 신호 판독의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는 서보 패턴(서보 버스트) 신호 판독시의 버스트 게이트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B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서보 패턴(Pa, Pb)을 디스크 장치의 판독 헤드(10)로써 판독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C, 도 11D는 각각 도 11B에서 판독 헤드(10)가 올바르게 트랙 위를 추종하고 있는 경우(10(2))와, 패턴(Pb) 측에 기울어 추종하고 있는 경우(10(1))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얻어지는 서보 신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c에 나타내는 올바르게 트랙을 추종하고 있을 때에는 헤드(10)가 패턴(Pa, Pb) 각각에 대해서 동등하게 신호를 판독하기 때문에, 그 결과 얻어지는 서보 신호의 진폭은 버스트 게이트 A 신호로써 취득하는 전반부와 버스트 게이트 B 신호로써 취득하는 후반부가 동등해진다. 한편, 도 11D에 나타내는 기울어서 트랙을 추종하고 있을 때는 헤드(10)가 패턴(Pb) 측에 기울어 있기 때문에, 패턴(Pa)보다도 패턴(Pb)에 대해서, 보다 강하게 패턴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동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 게이트 A 신호로써 취득하는 전반부에 비해 버스트 게이트 B 신호로써 취득하는 후반부의 검출 진폭이 커진다. 이와 같이 하여 헤드(10)로 판독되는 서보 신호에 의해 헤드가 올바르게 트래킹하고 있는지 혹은 좌우 어느 쪽인가로 기울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서보 트랙 라이터 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에 의한 회전 축 런아웃의 영향을 평균화할 목적으로, 각 서보 트랙을 기록할 때에 복수 주회에 걸쳐 중복하여 기록하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 도 12B는 도 11A 내지 도 11D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서보 패턴 판독시 사용되는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대해서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도 13A, 도 13B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주회에 걸쳐 패턴을 기록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통상의 폭의 패턴(Pa, Pb, Pa', Pb')을 2주회에 걸쳐 기록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상의 폭으로 중복하여 패턴을 기록한 경우, 이것을 판독하는 디스크 장치의 버스트 게이트 신호도 대응하여 중복해서 발생해야 하므로, 그 결과 서보 제어가 복잡해진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상기 중복 기록에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치 오차 검출 방법에 대해서 나타낸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2주회로써 기록되는 패턴(Pa, Pa', Pb, Pb')의 각각의 트랙 방향에 따른 폭을 조정하고 또한 양자를 전후에 연속하여 기록하며, 그 연속한 패턴의 합계의 폭이 통상의 중복이 없는 기록시의 패턴 폭과 동등해지도록 한다. 그 결과 이것을 판독할 때에 사용되는 버스트 게이트 신호는 종래의 중복이 없는 경우의 버스트 게이트 신호와 동일한 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턴을 판독 헤드(10)로써 판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1A 내지 도 11D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10)는 버스트 게이트 A 신호의 하이 레벨 중에 패턴(Pa, Pa')을 판독한다. 또 한, 일반적으로 판독 헤드(10)와 서보 패턴이 서로 중복하는 면적에 비례하는 진폭의 서보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서보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4B의 경우, 1주째에 기록된 패턴(Pa, Pb)에 따라 트랙 중심(Tc) 위를 트레이스(trace)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이들 패턴(Pa, Pb)에 대한 서보 신호 중, a1, a3의 부분은 동등한 진폭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2주째에 기록된 패턴(Pa', Pb')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중심(Tc')에 대하여 헤드(10)는 Pb' 측에 기울어 있기 때문에, Pb'에 대한 검출 진폭(a4) 쪽이 Pa'에 대한 검출 진폭(a2)보다 커진다.
그리고 이 경우, 실제의 트랙킹 서보 제어는, 예컨대 버스트 게이트 A 신호에 의한 검출 신호(a1, a2)의 면적(적분값)과, 버스트 게이트 B 신호에 의한 검출신호(a3, a4)의 면적(적분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도 14C의 경우, 버스트 게이트 A에 의한 적분값보다 버스트 게이트 B에 의한 적분값 쪽이 명백히 크기 때문에, 헤드가 Pb, Pb' 측으로 기울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반대로, 양자의 적분값이 일치했을 때에는 올바르게 트랙킹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장치의 트랙킹 서보 제어에 있어서 분할 라이트 방식을 적용할 때, 판독 헤드(10)로써 검출된 서보 패턴 신호의 강도에 더해 그 지속 시간도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보 패턴을 기록할 때에 도 7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트 패턴의 트랙 방향을 따르는 기록 폭을 바꿈으로써, 서보 신호 판독시에 분할 라이트 방식으로 기록된 패턴의 합성의 트랙 중심으로서 판단되는 위치를 임의 로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주회마다 기록하는 패턴의 웨이트를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트랙 이음매의 단차로 인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보 트랙 기록시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서보 트랙의 이음매의 단차를 억제하여 순조롭게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단시간으로 서보 트랙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킹 서보 제어시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되어 신뢰성이 높은 자기 디스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보 트랙 기록을 실행하는 장치인 서보 트랙 라이터는 컴퓨터 제어로서 실현 가능하며, 이 때 전술한 실시예로서 설명한 서보 트랙 기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해 두고, 이것을 상기 컴퓨터가 판독함으로써 이 장치를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시켜, 이로써 원하는 서보 패턴(Pa, Pb, Pa', Pb')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 설명한 각 서보 패턴(Pa, Pb, Pa', Pb')은 진폭 검출 방식에 의한 패턴으로서 설명했지만, 도 31B와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상 검출 방식에 의한 패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 도 7 등에 나타내는 「중복 부분」 Δθ은 일주분의 서보 트랙 중에서 반드시 한 부분일 필요는 없고, 일주분의 서보 트랙을 복수의 각도 부분으로 분할하여(도 3 참조), 이들의 이음매마다 상기 「중복 부분」을 마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일주의 서보 트랙 중에 복수 부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2A, 도 32B와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보 트랙 라이터의 스핀들 모터의 NRRO 등에 의해 일주분의 서보 트랙의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중복 부분」 Δθ을 구성하는 섹터 수를 증감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상기 단차가 큰 경우에는 중복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를 많게 하여, 이로써 중복 부분(Δθ)을 크게 하고, 한편 단차가 작은 경우에는 중복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를 적게 한다. 이와 같이 단차의 크기에 따라 중복 부분을 증감함으로써, 단차가 작을 때에는 중복 부분을 작게 함으로써 서보 트랙의 기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서보 트랙 기록 공정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드 디스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하드 디스크 장치는 기록 매체인 디스크형 미디어(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110), 이것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120), 이 미디어(110)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미디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 헤드(130), 아암의 회동 동작에 의해 이 헤드(130)를 미디어(11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140), 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의 회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기 회로(160)를 갖는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하드 디스크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계는 자기 헤드(130)에 의해 미디어(110)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 앰프(171), 증폭된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서보 정보와 데이타 신호로 분리하여, 서보 정보를 서보 컨트롤러(176)로 보내고 또한 데이타 신호를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174)로 보내는 리드(read) 채널 회로(175), 데이타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호스트 장치(200)로 보내는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174), 검출 서보 정보를 기초로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140)를 제어하는 VCM 드라이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스핀들 모터(120)를 제어하는 SPM 드라이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컨트롤러(176),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VCM(voice coil motor)(160)을 통해 액츄에이터 아암 어셈블리(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VCM 드라이버(172) 및 스핀들 모터(120)를 통해 미디어(110)의 회전 제어를 행하는 SPM 드라이버(173)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리드 채널 회로(175)를 구성하는 서보 복조기(175B)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처음에 일반적인 서보 복조기의 동작에 대해서 도 17과 함께 설명한다. 자기 헤드(130)에 의해 판독된 서보 신호는 프리 앰프(171)로 증폭되어 리드 채널 회로(175)의 서보 복조기에 입력된다. 입력된 서보 신호는 AGC(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501)에 입력되고, 여기서 신호의 진폭이 일정하게 수정된다. 이 AGC의 기능은 자기 헤드, 디스크형 미디어의 특성, 헤드 부상 높이의 변동, 디스크형 미디어의 내측, 외측 존 간의 기록 밀도의 차이 등으로 인한 헤드 출력의 변동에 의한 문제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AGC(501)의 출력은 CTF(continuous time filter)(502)에 입력되어 여기서 헤드 출력에 포함되는 불필요한 고역 성분의 조정 등이 행해지고, 이로써 후단의 검출기가 적절히 검출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CTF(502)의 출력은 ADC(AD 변환기)(503)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입력 신호를 이산화(離散化)하고 양자화하여, 후단에서의 처리를 수치 계산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신호는 FIR(유한 임 펄스 응답 필터)(504)에서 파형 정형되어 후단의 검출기가 적절히 검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신호는 서보 데이터 검출기(505)에 입력되고, 여기서 입력 신호가 1, 0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서보 데이터 검출기(505)에서 얻어진 비트 스트림은 서보 마크 디코더(506)에서 디코드되어 서보 마크가 검출된다. 서보 마크는 서보 패턴을 복조하기 위한 동기 패턴으로서 사용되고, 이 정보는 후술하는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 서보 섹터 디코더(508),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 등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에서는 서보 데이터 검출기(505)로부터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그레이 코드를 검출한다. 또한 서보 섹터 디코더(508)에서는 서보 데이터 검출기(505)로부터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서보 섹터 번호를 검출한다. 또한,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에서는 서보 마크 디코더(506)로부터의 서보 마크 검출 신호를 기준 타이밍으로 해서 ADC(503)의 출력 신호로부터 서보 버스트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서보 컨트롤러 인터페이스(510)는 서보 마크 디코더(506),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 서보 섹터 디코더(508) 및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서보 데이터로서 서보 컨트롤러(176)로 송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 장치에서의 서보 복조기(175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한 서보 패턴 중복 기록 부분(Δθ)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복조 방식을 다르게 한 구성을 갖는다. 전술과 같이 중복 기록 부분(Δθ)에서는 서보 패턴이 복 수 주회에 걸쳐 기록된다(분할 라이트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된 서보 패턴을 판독하는 경우, 도 14A 내지 도 14C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상이한 주회로써 기록된 서보 패턴(Pa, Pa')을 공통의 단일한 버스트 게이트 펄스(버스트 게이트 A)에 의해 판독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상이한 주회로 나눠 분할 라이트된 서보 패턴(Pa, Pa') 등에 대하여 각각 별개의 버스트 게이트 펄스를 할당하여, 각각의 버스트 데이터 타이밍에서 개별로 판독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이와 같은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도 18A 내지 도 18D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각 서보 섹터에 소정의 복조 모드 지정용 정보, 즉 도 18A, 도 18C에서 「중복 기록: 부적용」, 「중복 기록: 적용」으로서 나타난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보 복조기에서 복조 모드 디코더(511)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복조 모드 지정용 정보가 판독되며, 그 결과에 따라 「중복 기록: 부적용」인 경우에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버스트 게이트 펄스로서 통상의「1회 기록」에 의해 기록된 서보 패턴(예컨대 도 2, 도 4A에 나타내는 패턴(Pa, Pb)) 판독용 버스트 게이트 펄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에 의해 도 11A 내지 도 11D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로 수신 신호로부터 서보 패턴이 검출된다.
한편 「중복 기록: 적용」인 경우에는 도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버스트 게이트 펄스는 상기한 「복수 주회에 의한 기록」에 의해 기록된 서보 패턴(예컨대 도 3, 도 4B에 나타내는 패턴(Pa, Pb, Pa', Pb')) 판독용 펄스가 발생된다. 이 경 우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8b의 게이트 펄스에 대하여 주기가 반이며 발생 개수가 배인 펄스가 적용된다. 즉, 도 14A 내지 도 14C와 함께 설명한 경우와 상이하여, 상기 각 서보 패턴(Pa, Pb, Pa', Pb') 각각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갖는 게이트 펄스(A, A', B, B')가 대응하는 서보 패턴 판독에 적용된다. 또한, 도 18A 내지 도 18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보 패턴이 예컨대 도 3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조의 Pa, Pb, Pa', Pb'에 더하여, 2조의 Pc, c', Pd, Pd'가 더 더해져 합계 4조 기록된다.
도 20A 내지 도 20D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서보 마크를 상기 복조 모드 판정용 정보로서 이용한다. 즉 미리 서보 섹터마다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에 의해 서보 마크의 종류를 구별하여 선정해 두고, 복조시에는 이를 검출하여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판정한다. 이 경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보 복조기에서는 특별히 별도의 복조 모드 디코더를 마련할 필요는 없고, 기존의 서보 마크 디코더(506)에 의해 디코드되어 얻어진 서보 마크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서보 마크의 종류를 검출하여, 이로써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인식 결과가 서보 마크 디코더(506)로부터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로 보내지고,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에서 그 인식 결과에 따라 도 20B 또는 도 20D에서 나타나는 버스트 게이트 펄스를 적용하여, 이로써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그 서보 섹터에 포함되는 서보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도 22A 내지 도 22D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각 서보 섹터에 할당되어 있는 서보 섹터 번호를 복조 모드 판정용 정보로 이용한다. 이 경우 도 23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서보 복조기에 있어서 기존의 서보 섹터 디코더(508)에 의해 서보 섹터에 포함되는 섹터 코드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섹터 번호가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로 보내진다.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에서는 그 섹터 번호로부터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도 22B 또는 도 22D에서 나타나는 버스트 게이트 펄스를 적용하여, 이것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서보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도 24A 내지 도 24D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각 서보 섹터에 할당되어 있는 서보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 모두를 복조 모드 판정용 정보로 이용한다. 이 경우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보 복조기에서는, 서보 섹터 디코더(508)로써 섹터 코드를 디코드하여 얻어진 섹터 번호 정보 및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로써 트랙 코드를 디코드하여 얻어진 트랙 번호의 정보에 의해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판정한다. 즉 상기 섹터 번호, 트랙 번호의 각 정보가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 서보 마크 디코더(508)로부터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로 보내지고,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로써 적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판정하며,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도 24B 또는 도 24D에서 나타나는 버스트 게이트 펄스를 적용하여, 이로써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그 서보 섹터에 포함되는 서보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
도 26, 도 27은 상기 도 24A 내지 도 24D와 함께 설명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보 복조기에 복조 순서 테이블(512)을 마련하고, 이 테이블 상에서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 서보 섹터 디코더(508) 각각에서 구해진 트랙 번호, 섹터 번호를 키로서 적 용해야 할 복조 모드를 얻는다. 도 27은 상기 복조 순서 테이블(508)이 갖는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 테이블 중, 번호 "0"은 통상의 「1회 기록」에 의한 서보 패턴이 적용된 서보 섹터를 나타내고, 한편 번호 "1"이 상기 「복수 주회」로써 기록된 서보 패턴이 적용된 서보 섹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서보 그레이 코드 디코더(507), 서보 섹터 디코더(508)에 의해 각각 얻어진 해당하는 서보 섹터의 트랙 번호, 섹터 번호가 각각 MAX-2, MAX-4였다고 한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테이블에 의해 번호 "O"이 얻어져 이것이 서보 버스트 복조기(509)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번호 "0"은 통상의 「1회 기록」에 의한 서보 패턴이 적용된 서보 섹터이기 때문에, 해당하는 서보 게이트 펄스(도 24B)를 적용하게 된다.
도 28은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서보 버스트 복조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보 버스트 복조기는 복조 타이밍 선택기와 서보 버스트 검출기로 이루어진다. 복조 타이밍 선택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버스트 복조 모드 정보(섹터 번호, 트랙 번호 등)의 입력에 의해 해당하는 적용해야 할 버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 타이밍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타이밍을 서보 버스트 검출기로 이송하고, 서보 버스트 검출기에서는 주어진 서보 검출 타이밍에 의해 ADC(503)의 출력 신호로부터 해당하는 서보 섹터에 기록된 서보 패턴을 검출한다. 검출 결과는 복조 위치 오차 신호(PES)로서 서보 컨트롤러 인터페이스(510)로 보내진다.
도 29A, 도 29B는 상기 도 25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의 디스크 형 미디어 상의 서보 섹터 내부의 정보 기록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복조 방식, 즉 도 24B, 도 24D 각각에 나타난 버스트 게이트 패턴 중 어떤 것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결정하기 위한 정보, 즉 이 경우 섹터 번호, 트랙 번호를 위치 결정 정보, 즉 버스트 패턴 A 내지 버스트 패턴 D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독출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나타낸다.
또한, 도 29B는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해당하는 섹터와 상이한 섹터에 포함시키는 예에 대해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동 도에서는, 해당하는 서보 섹터의 하나 앞의 서보 섹터에, 대응하는 정보, 즉 섹터 번호, 트랙 번호를 판독하기 위한 정보, 즉 섹터 코드, 트랙 코드를 기록하여 놓는다. 즉 이 예에서는, 어느 서보 섹터의 정보를 판독하여 얻어진 「적용해야 할 복조 코드」는 이 서보 섹터 다음에 판독하는 서보 섹터를 복조할 때에 적용된다. 이 방법은, 예컨대 해당하는 정보를 판독하여 그 결과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을 판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비교적 길어, 그 때문에 그 판정을 기다리고 있으면 동일한 섹터 내의 위치 결정 정보를 독출하는 타이밍과 맞지 않게 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도 30A, 도 30B는 디스크형 미디어에서의 일반적인 데이터 섹터 포맷 및 하나의 트랙 중 데이터 섹터 및 서보 섹터의 배치 관계의 예를 나타낸다. 동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서보 섹터는 복수의 데이터 섹터마다 마련된다. 또한, 도 2 등에서 나타내는 서보 섹터의 버스트 패턴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실제의 서보 섹터의 버스트 패턴은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짧 은 간격에서는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 전체로서 본 경우에는 매우 흩어져 존재하고 있게 된다.
도 31A는 위치 결정 정보, 즉 상기 서보 패턴(Pa, Pb) 등을 상기 주지의 진폭 검출 방식에 따라 기록한 예를 나타내고, 도 31B는 동 위치 결정 정보를 동일하게 상기 주지의 위상 검출 방식에 따라 기록한 예를 나타낸다. 양쪽 도면 모두에서 수평 방향이 트랙 둘레 방향에 대응하고, 수직 방향이 디스크형 미디어의 직경 방향에 대응한다. 즉 이들 도에서는 인접하는 4 트랙분이 나타나 있다.
도 31A의 예에서는 예컨대 위치 정보로서의 버스트 패턴(Pa, Pb, Pc, Pd)이 1주째에서 기록되고, 이들과 교대의 위치 관계로 버스트 패턴(Pa', Pb', Pc', Pd')이 2주째에서 기록된다. 기록 방식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예컨대 도 4A, 도 4B, 도 5A, 도 5B와 함께 전술한 것이 적용된다.
도 31B의 예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위치 정보로서의 버스트 패턴(Pa, Pb, Pc, Pd)이 1주째에서 기록되고, 이들과 교대의 위치 관계로 버스트 패턴(Pa', Pb', Pc', Pd')이 2주째에서 기록된다. 단, 이 예는 도 31A의 진폭 검출 방식, 즉 도 11A 내지 도 11D, 도 14A 내지 도 14C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판독 헤드와 버스트 패턴의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검출 강도, 즉 검출 진폭의 변화에 의해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방법과는 상이하다. 즉, 위상 검출 방식에서는 예컨대 판독 헤드와 각 버스트 패턴(Pa, Pa', ...) 등을 구성하는 일련의 버스트 패턴의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으로부터 발생하는 종합적인 검출 시간의 어긋남, 즉 검출 위상의 변화에 의해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한다. 도 31A의 진폭 검출 방식, 도 31B의 위상 검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서보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2A, 도 32B는 도 6 내지 도 10 등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이들 도면에서 나타낸 중복 기록 부분(Δθ)의 길이를, 상기 비동기 진동(NRRO, Non-Repeatable Run Out) 등에 의한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 즉 단차의 대소에 의해 증감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예이다.
도 32A는 이 NRRO에 의해 발생하는 기록 1주째와 2주째 사이의 단차가 큰 경우를 나타내고, 도 32B는 동 단차가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가 큰 경우에는 분할 라이트부, 즉 상기 중복 기록 부분(Δθ)을 크게 설정하여, 이 예에서는 인접하는 4개의 서보 섹터에 대해서 적용하고, 한편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가 작은 경우에는 분할 라이트부, 즉 상기 중복 기록 부분(Δθ)을 작게 설정하여, 이 예에서는 1개의 서보 섹터에 대해서만 적용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중복 기록 부분을 일률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단차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길이만큼에 대해서만 중복 기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중복 기록 적용에 따라 발생하는 소요 총 기록 시간의 증가분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보 트랙 라이터에서의 NRRO 등에 의해 발생하는 서보 트랙의 기록 위치 어긋남에 대하여, 최소 한도의 소요 기록 시간의 증가로써 이와 같이 서보 트랙이 기록된 디스크형 미디어의 기록 재생시의 서보 제어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서보 트랙 기록 방식 및 이와 같은 서보 트랙 기록을 거쳐서 제조된 디스크형 미디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기록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도출할 수 있다.

Claims (42)

  1.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헤드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그 일주분(一周分)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周回)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한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 중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은, 상기 헤드에 의해 시간적으로 후에 판독되는 것을 빠른 주회로써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진폭 검출 방식에 의한 검출용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위상 검출 방식에 의한 검출용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는, 상기 위치 결정 정보의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의 크기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는 상기 위치 결정 정보의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가 클수록 많게 하고, 적을수록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인접하는 연속 섹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각각이 인접하는 연속 섹터로 이루어지는 1개 이상의 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각 섹터 길이가 상기 일주분의 경로의 기록 시작 부분에서는 서서히 증가하고, 기록 종료 부분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로써 그 합계가 분할되지 않고서 1주회로써 기록되는 부분의 섹터 길이와 동일해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11. 미리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가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을 할 때에 적용하는 복조 방식은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에서 동일하게 하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2. 미리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가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을 할 때에 적용하는 복조 방식을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에서 상이한 방식을 적용하도록 전환을 행하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상기 복수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할 수 있도록 미리 기록된 소정의 서보 패턴을 판독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상기 복수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트랙 혹은 섹터 코드의 일부에 미리 기록된 소정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을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할 때, 미리 마련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와,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의 대응 관계표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을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할 때, 미리 마련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와,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의 대응 관계표를 사용하여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는 상기 복조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보다 빠른 단계에 의해 판독되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19.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헤드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의 주회에 의해 기록하는 부분 중 상기 복수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은, 상기 헤드에 의해 시간적으로 후에 판독되는 것을 빠른 주회로써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2.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진폭 검출 방식에 의한 검출용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3.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위상 검출 방식에 의한 검출용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는, 상기 위치 결정 정보의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의 크기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 수는 상기 위치 결정 정보의 이음매에 발생하는 단차가 클수록 많게 하고, 적을수록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인접하는 연속 섹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각각이 인접하는 연속 섹터로 이루어지는 1개 이상의 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분의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는, 각 섹터 길이가 상기 일주분의 경로의 기록 시작 부분에서는 서서히 증가하고, 기록 종료 부분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로써 그 합계가 분할되지 않고서 1주회로써 기록되는 부분의 섹터 길이와 동일해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보 기록 장치.
  29. 미리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가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을 할 때에 적용되는 복조 방식을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에서 동일하게 하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0. 미리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가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헤드의 위치 결정을 할 때에 적용되는 복조 방식은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에서 상이한 방식을 적용하도록 전환을 행하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할 수 있도록 미리 기록된 소정의 서보 패턴을 판독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트랙 혹은 섹터 코드의 일부에 미리 기록된 소정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은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을,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할 때, 미리 마련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와,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의 대응 관계표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방식의 전환을,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을 구별함으로써 행할 때, 미리 마련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와, 적용해야 할 복조 방식의 대응 관계표를 사용하여 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는 미리 기록된 섹터 번호 및 트랙 번호는 상기 복조시, 상기 위치 결정 정보보다 빠른 단계에 의해 판독되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7.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 재생 헤드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주분의 상기 위치 결정 정보는 그 일주분의 경로를 따라,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과 1번의 주회만에 의해 기록된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은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되는 각각의 분할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정보 중의 상기 복수 주회에 의해 기록된 부분 중의 상기 복수 주회의 각 주회마다 기록된 각각의 분할 부분은, 상기 헤드에 의해 시간적으로 후에 판독되는 것이 빠른 주회로써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67001773A 2006-01-25 2003-07-30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73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773A KR100730551B1 (ko) 2006-01-25 2003-07-30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773A KR100730551B1 (ko) 2006-01-25 2003-07-30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349A KR20060056349A (ko) 2006-05-24
KR100730551B1 true KR100730551B1 (ko) 2007-06-22

Family

ID=3715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773A KR100730551B1 (ko) 2006-01-25 2003-07-30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5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111A (ja) * 1999-07-13 2001-01-30 Hitachi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111A (ja) * 1999-07-13 2001-01-30 Hitachi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349A (ko)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8539B1 (en) Disk drive self servo writing spiral tracks by propagating bursts
US7440222B2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correction method
US6064541A (en) Servo pattern writing method for magnetic disk drives, and magnetic disk drive adopting the method
JP2007073138A (ja) ディスク装置
US7564637B2 (en) Storage media having areas for storing data for correcting servo information errors
US7075743B2 (en) Method of servo writing for magnetic recording system, magnetic recording system
US5748398A (en) Method for writing servo signals onto a magnetic disk and magnetic disk drive equipped with magnetic disk(s) having servo pattern recorded by the method
US6781786B2 (en) Magnetic disk drive system
US5070421A (en) Magnetic disk system having tracking control using recorded information
JP2006012353A (ja) 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341255A (en) Disc drive head positioning servo system with coherent adjacent track magnetic patterns
US7660065B2 (en) Disk positioning information writ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099133B2 (ja) サ−ボデ−タの形成方法
US6760172B1 (en) Magnetic disk drive
US7349172B2 (en) Certifying concentric data in eccentric servo data tracks of pre-formatted media
US20030142435A1 (en) Magnetic disk apparatus,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servo waiting
KR100730551B1 (ko) 디스크 위치 결정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기록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JP2685507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723499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서보 라이트 클럭 발생 방법 및이에 적합한 기록 매체
KR100814588B1 (ko) 기록 매체 및 정보 기억 장치
JP2600889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539029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778321A (ja)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磁気ディスクのサーボ情報記録方法
JP2003141834A (ja) ディスク装置
JPH10269713A (ja) 磁気ディスク媒体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