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309B1 -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309B1
KR100730309B1 KR1020050010034A KR20050010034A KR100730309B1 KR 100730309 B1 KR100730309 B1 KR 100730309B1 KR 1020050010034 A KR1020050010034 A KR 1020050010034A KR 20050010034 A KR20050010034 A KR 20050010034A KR 100730309 B1 KR100730309 B1 KR 10073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kelihood
video
client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921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1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3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선정된 회원들 다수에게 인터넷을 통해 영상물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회원들의 시간대별 호감도를 측정, 분석하여 토론, 연설,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다수의 시청자는 성별, 나이별 지역,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조사참여 수용자들의 호감도 변화를 지켜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영상물을 시청하고, 시청결과인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용자(시청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회원의 클라이언트에 호감도 조사가 필요한 영상물과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가 기록되는 호감도 기록부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영상물을 시청한 회원이 호감도 기록부에 호감도를 기록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의 호감도 기록부에 기록된 정보가 운영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회원으로부터 제공받은 호감도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영상물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대응시켜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시점에 따른 호감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자료를 회원에게 제공되는 영상물에 삽입하여 다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물, 동영상, 반응조사, 여론조사, 수용자조사, 조사방법

Description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A method of real-time audience response collection and repor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기록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별로 분석된 그래프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라이언트 102 : 호감도 기록부
200 : 운영서버 202 : 회원관리 모듈
204 : 영상물관리 모듈 206 : 영상물전송 모듈
208 : 반응처리 모듈 210 : 호감도분석 모듈
212 : 통계관리 모듈 214 : 제어 모듈
300 : 인터넷 400 : 영상물 제공업체
본 발명은 사전에 선정된 회원들 다수에게 인터넷을 통해 영상물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회원들의 시간대별 호감도를 측정, 분석하여 토론, 연설,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다수의 시청자는 성별, 나이별 지역,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조사참여 수용자들의 호감도 변화를 지켜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물의 수용자 반응조사라 함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등의 방송매체를 통하여 방송되는 광고, 영화, 드라마, 기타 TV 프로그램 및 정치연설, 토론 등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반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이는 시청자의 반응을 확인하여 메시지의 내용과 전달방식의 효과를 증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종래의 경우 영상물의 수용자 반응조사는 주로 조사 대상자들을 일정 장소에 모아 놓고 사전에 녹화된 영상물을 제시해주고 난 후, 그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의 반응조사는 경비 및 시간이 매우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이르러 통신 네트워크 및 시스템이 폭넓게 구축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반응조사가 활성화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반응조사 방법은 보통 네티즌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조사결과를 전송받아 즉각적인 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조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인터넷 조사방법은 비록 자료의 수집과정은 자동화되고 실시간 수행이 가능해졌지만, 질문과 답변의 형태 면에서는 과거 종이와 펜으 로 시행했던 단순문답 방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선정된 회원들 다수에게 인터넷을 통해 영상물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회원들의 시간대별 호감도를 측정, 분석하여 토론, 연설,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다수의 시청자는 성별, 나이별 지역,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조사참여 수용자들의 호감도 변화를 지켜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으로 영상물과 함께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조작가능한 호감도 기록부를 제공함으로써 회원들로 하여금 간단한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으로 호감도를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에 영상물을 제공하면서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상의 수용자 반응조사 방법에 있어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영상물을 시청하고, 시청결과인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용자(시청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회원의 클라이언트에 호감도 조사가 필요한 영상물과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가 기록되는 호감도 기록부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영상물을 시청한 회원이 호감도 기록부에 호감도를 기록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의 호감도 기록부에 기록된 정보가 운영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회원으로부터 제공받은 호감도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영상물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대응시켜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시점에 따른 호감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자료를 회원에게 제공되는 영상물에 삽입하여 다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영상물은 라이브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감도 기록부는 3~7점의 눈금으로 표시되며, 마우스의 좌우 버튼과 중앙의 스크롤 버튼 또는 키보드의 방향키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기록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별로 분석된 그래프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은 유·무선 인터넷(300),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0), 인터넷(300), 운영서버(200) 및 영상물 제공업체(400)로 이루어진다.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0)를 이용하여 사전에 가입된 회원은 운영서버(200)로부터 영상물을 제공받고,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 데이터를 기록 하여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면, 운영서버(200)는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내용을 분석하여 전송된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를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분석하여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다수의 객관적인 반응을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운영서버는 회원관리 모듈(202), 영상물관리 모듈(204), 영상물전송 모듈(206), 반응처리 모듈(208), 호감도분석 모듈(210), 통계관리 모듈(212), 제어 모듈(214)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6~224)로 이루어진다.
회원관리 모듈(202)은 운영서버에서 제공되는 영상물을 제공받고, 시청에 따른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용자(시청자)를 회원으로 등록받고, 회원의 나이, 성별, 주소, 지역,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기본정보와 함께 정치적 성향, 과거의 투표 경향, 관심 분야 및 관심 상품 등에 대한 추가정보를 회원정보 DB(21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영상물관리 모듈(204)은 회원에게 제공되어 호감도의 조사에 사용되는 영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영상물정보 DB(218)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사용되는 영상물은 생방송되거나 또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 파일로 전송되는 드라마, 광고, 토론회, 연설, 뮤직비디오, 법정변론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영상물전송 모듈(206)은 호감도 조사를 위한 동영상, 이미지 등의 영상물 및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를 기록할 수 있는 호감도 기록부(102)를 클라이언트(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한다. 이때, 영상물은 각종 토론회, 후보 연설회 등과 같이 생방송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신상품광고, 방송예정인 드라마 등과 같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에 제공된다. 또한, 녹화방송, 사전 녹화된 연설 등과 같이 회원들의 실시간 동시 응답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운로드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영상물과 함께 제공되는 호감도 기록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2(매우 나쁨), -1(나쁨), 0(보통), +1(좋음), +2(매우좋음)"의 눈금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마우스의 양쪽 버튼 또는 키보드의 화살표를 사용해 눈금을 한 칸씩 좌우로 움직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한번씩 클릭하면 -1(나쁨), -2(매우 나쁨)로 한 칸씩 이동하고, 중앙의 스크롤 버튼를 클릭하면 0(보통)으로 이동되며, 오른쪽 버튼을 한번씩 클릭하면 1(좋음), 2(매우 좋음)로 한 칸씩 이동된다.
반응처리 모듈(208)은 클라이언트(100)에서 영상물과 함께 제공된 호감도 기록부(102)에 표시된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받아 반응정보 DB(22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영상물이 라이브로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경우에는 회원이 기록한 호감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된 경우에는 회원이 호감도 데이터의 기록을 완료한 후에 일괄적으로 제공받는다.
호감도분석 모듈(210)은 반응처리 모듈(208)을 통하여 제공받은 호감도를 분석하여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작부터 종료시간 동안 변화한 호감도에 대한 정보를 호감도정보 DB(222)에 저장한다. 이 때, 호감도가 10초, 30초, 60초 등과 같이 설정된 시간동안 변화가 없을 때에는 회원이 영상물을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 단하여 호감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통계관리 모듈(212)은 호감도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영상물 시청시간에 따른 호감도 결과를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분석하여 통계정보 DB(2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관리 모듈(212)을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전체 통계, 또는 지역에 따른 전체 통계, 또는 나이에 따른 전체통계 등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통계관리 모듈은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분석된 통계정보를 라이브로 방송될 때에 영상물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물전송 모듈(206)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4)은 각 모듈(202~212)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운영서버(200)는 인터넷(30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0)를 이용하여 영상물을 제공받아 이에 대한 시청결과로서 "매우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좋음" 등의 호감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용자(시청자)를 회원으로 등록받는다(단계 S302). 회원등록 시에는 나이, 성별, 지역,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기본정보와 함께 정치적 성향, 과거의 투표 경향, 관심 분야 및 관심 상품 등에 대한 추가정보를 회원정보 DB(21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회원이 인터넷(30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0)를 이용하여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운영서버(200)에 접속하면(단계 S304), 운영서버(200)는 접속시 입력된 ID 및 비밀번호를 회원정보 DB(216)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인지의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S306),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가입 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단계 S308).
운영서버(200)에 연결된 회원은 운영서버의 영상물전송 모듈(206)로부터 호감도 평가의 대상이 되는 영상물과 함께, 영상물을 시청하며 호감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호감도 기록부(102)를 함께 전송받는다(단계 S310). 이 때, 평가의 대상이 되는 영상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방송되거나 또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 파일로 전송되는 드라마, 광고, 토론회, 연설, 뮤직비디오, 법정변론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호감도 기록부(102)는 "-2(매우 나쁨), -1(나쁨), 0(보통), +1(좋음), +2(매우좋음)" 등을 눈금으로 하여 좌우로 또는 상하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이 전송되는 영상물을 시청하면서 호감도 기록부에 나타난 눈금을 "-2(매우 나쁨), -1(나쁨), 0(보통), +1(좋음), +2(매우좋음)" 중 하나로 마우스의 양쪽 버튼과 중앙의 스크롤 버튼을 사용하거나 또는 키보드의 화살표 기능을 사용하여 위치시키면(단계 S312), 기록된 호감도는 인터넷에 연결된 운영서버의 반응처리 모듈(208)을 통하여 운영서버로 전송되고(단계 S314), 반응정보 DB(220)에 저장된다(단계 S316).
한편, 운영서버는 호감도분석 모듈(210)을 이용하여 반응정보 DB(220)에 저장된 회원의 호감도를 영상물이 제공되는 시간에 대응되도록 합성한 후 분석하여 영상물이 제공되는 동안의 호감도 흐름을 분석한다(단계 S318).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영상물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회원에게 좋은 느낌을 주는 부분과 나쁜 느낌 을 주는 부분을 선별할 수 있어 드라마, 뮤직비디오, 정치연설, 법정변론 예행연습, 상품광고와 같은 동영상인 경우에 나쁜 느낌을 주는 부분을 수정 또는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좋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영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호감도분석 모듈(210)에서 동영상과 호감도가 대응된 자료는 회원등록시 작성된 회원정보의 나이, 성별, 지역, 과거 행동, 성향 등에 대응시켜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단계 S320). 즉, 인구통계학적,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분석하면, 성별에 따른 호감도 통계, 또는 지역에 따른 호감도 통계, 또는 나이에 따른 호감도 통계 등을 한번에 알 수 있도록 그래프 등으로 작성하여 확인할 수 있다.
TV 생방송 토론과 같이 라이브로 제공되는 동영상인 경우에는 그래프로 분석된 회원의 호감도는 조사에 참여하지 않는 대다수의 일반 시청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중인 라이브 동영상에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제공될 수 있다(단계 S322, S234).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연설, 토론, 드라마, 상품광고 등을 준비하는 의뢰자에 제공되며, 의뢰자는 영상물이 최종적으로 방영되기 전에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를 파악하여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라이브 방송의 경우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시청자) 평가를 실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 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영상물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호감도를 전송받아 영상물의 시간대별 호감도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물의 호감도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간단한 조작으로 기록할 수 있게 하며,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물 각 부분에 대한 평가와 함께 수정/제거/교체에 관련한 의사결정을 과학적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TV를 통한 실시간 결과 게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토론, 연설,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다수의 시청자는 성별, 나이별 지역,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조사참여 수용자들의 호감도 변화를 지켜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영상물을 제공하면서 상기 호감도를 제공받는 운영서버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상의 수용자 반응조사 방법에 있어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영상물을 시청하고, 시청결과인 호감도를 제공하는 수용자(시청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클라이언트에 호감도 조사가 필요한 상기 영상물과 상기 영상물에 대한 호감도가 표시되는 호감도 기록부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영상물을 시청한 회원이 상기 호감도 기록부에 호감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의 호감도 기록부에 표시된 정보가 운영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회원으로부터 제공받은 호감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영상물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대응시켜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시점에 따른 호감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자료를 회원에게 제공되는 영상물에 삽입하여 다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과 호감도가 대응된 자료들은 회원등록시 작성된 회원정보의 나이, 성별, 지역별 등에 대응시켜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별로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 자 반응조사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물은 라이브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감도 기록부는 눈금으로 표시되며,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KR1020050010034A 2005-02-03 2005-02-03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KR10073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034A KR100730309B1 (ko) 2005-02-03 2005-02-03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034A KR100730309B1 (ko) 2005-02-03 2005-02-03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21A KR20060089921A (ko) 2006-08-10
KR100730309B1 true KR100730309B1 (ko) 2007-06-19

Family

ID=3757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034A KR100730309B1 (ko) 2005-02-03 2005-02-03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206B1 (ko) * 2019-05-10 2021-04-20 김류문 경연 플랫폼 운영 방법 및 경연 참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93A (ko) * 2001-04-04 2002-01-09 조윤장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베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0954A (ko) * 2001-07-27 2003-02-06 고영석 웹 기반의 바코드가 장착된 전자 동영상 명함과 이를 통한 이미지메이킹 및 데이터 통계분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93A (ko) * 2001-04-04 2002-01-09 조윤장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베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0954A (ko) * 2001-07-27 2003-02-06 고영석 웹 기반의 바코드가 장착된 전자 동영상 명함과 이를 통한 이미지메이킹 및 데이터 통계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21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9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irable subscribers
CA2353646C (en) Subscriber characterization and advertisement monitoring system
US7150030B1 (en) Subscriber characterization system
US6446261B1 (en) Set top device for targeted electronic insertion of indicia into video
EP1380168B1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US9020415B2 (en) Bonus and experience enhancement system for receivers of broadcast media
US7240355B1 (en) Subscriber characterization system with filters
US20170223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high accuracy, sensor and id based audienc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distributed computing architecture
CN101313572A (zh) 用于交互式电视应用中的跨平台预测受欢迎度等级
JP2009088777A (ja) 広告選択最適化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20120075515A (ko) 사용자 선호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06313520A (ja) データ収集メカニズム
KR100730309B1 (ko)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 반응조사방법
KR101102351B1 (ko) 맞춤형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4032708A1 (en) Method of operating a tv receiver and tv receiver
Thawani et al. Viewing characteristics based personalized ad streaming in an interactive TV environment
KR20100079343A (ko) 상호 인터랙티브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리서치 방법 및 장치
Waris Khan et al. Evolution of Worldwide Cable Television and Rating Systems: A Case Study of Pakistan
AU2004201402B2 (en) Generating a subscriber profile
Park et al. Can TV Ratings Reflect Hidden Viewers regarding Digital Piracy? An Analysis of TV Ratings, Online Buzz, and Digital Piracy
KR20040105397A (ko) 티브이의 시청내역 관리장치 및 방법
Álvarez et al. Audience Measurement technologies applied to convergent broadcasting and IPTV networks
AU2012255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high accuracy, sensor and ID based audience measur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