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074B1 -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074B1
KR100730074B1 KR1020050129424A KR20050129424A KR100730074B1 KR 100730074 B1 KR100730074 B1 KR 100730074B1 KR 1020050129424 A KR1020050129424 A KR 1020050129424A KR 20050129424 A KR20050129424 A KR 20050129424A KR 100730074 B1 KR100730074 B1 KR 10073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valve assembly
housing
fixe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황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2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21C5/40Offtakes or separating apparatus for converter waste gases or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 C21C2100/06Energy from waste gas used in othe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가스의 폭발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유로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밸브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는, 유로에 설치된 하우징 플랜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절단되는 고정 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며, 유로 내의 압력이 전달되는 하부 플랜지; 외주에는 탄성 수단이 위치하며, 하단이 하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 샤프트; 각 가이드 샤프트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상에 장착되며, 하부는 하우징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유로 내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밸브 조립체에 적용된 실린더는 하부는 하부 플랜지 상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부 플랜지 중앙부에 형성된 개방부 내에 수용된 지지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유로 내에 위치하여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컵이 고정되어 있는 작동 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 수단은 압축 스프링이며, 고정 수단은 일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 전단 볼트이다.
밸브 조립체

Description

밸브 조립체{Cup valve assembly}
도 1은 제강 공정 설비의 레이 아웃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밸브 유니트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밸브 유니트를 구성하는 각 컵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고정 수단인 전달 볼트의 정면도.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발 현상 등에 의해 유체의 유로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경우에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에서는 다량의 폐가스가 발생되며, 공정 특성상 폐가스에는 일산화탄소 및 수소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폐가스는 연료로서 재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출된 폐가스는 재사용을 위하여 개스 홀더 내에 저장된다.
도 1은 제강 공정 설비의 레이 아웃도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폐가스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로(1)에서 발생된 폐가스는 유로를 통하여 1차 집진 설비(2) 및 2차 집진 설비(3)를 경유한 후, 구성 성분(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함유량에 따라 가스 홀더(4)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대기로 방산된다.
즉, 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함유량이 우수한 폐가스는 연료로서의 재사용을 위하여 가스 홀더(4)로 유동되며, 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함유량이 낮은 폐가스, 즉 발열량이 낮은 폐가스는 소각되어 대기로 방산된다.
2차 집진 설비(3)에서 배출된 폐가스의 흐름을 가스 홀더(4) 또는 방산 설비(5; 즉, 가스 소각 및 배출 설비)로 유도하기 위하여 컵 밸브 유니트(10)가 이용된다. 컵 밸브 유니트(10)는 2차 집진 설비(3)와 가스 홀더(4) 및 방산 설비(5)를 연결하는 유로(6)에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밸브 유니트(10)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컵 밸브 유니트(10)는 제 1 컵 밸브 조립체(11) 및 제 2 컵 밸브 조립체(12)로 이루어진다.
제 1 컵 밸브 조립체(11) 및 제 2 컵 밸브 조립체(12)가 설치된 컵 밸브 유니트(10)의 가스 유입 라인(6)은 2차 집진 설비(3)에 연결된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나, 가스 배출 라인은 가스 홀더(4) 및 방산 설비(5)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2차 집진 설비(3)에서 배출된 폐가스는 발열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 1 컵 밸브 조립체(11) 또는 제 2 컵 밸브 조립체(12)로 유입되어 가스 홀더(4) 또는 방산 설비(5)로 유입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밸브 유니트(10)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컵 밸브 조립체(11 및 12)의 단면도로서, 편의상 가스 홀더(4), 방산 설비(5) 및 2차 집진 설비(3)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 2 차 집진 설비에서 연장된 유로와 연결된 폐가스 유로(6)에는 제 1 및 제 2 하우징(6-1, 6-2)이 구성되며, 제 1 하우징(6-1)의 배출 라인은 가스 홀더(도 1의 4)로, 제 2 하우징(6-2)의 배출 라인은 방산 설비(도 1의 5)로 각각 연장된다.
한편,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와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구성은 동일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컵 밸브 조립체(1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하우징(6-1)은 그 상단이 밀폐된 상태이며, 그 하단은 개방되어 있어 내부 공간이 유로(6)와 연결된 상태이다. 또한 일측에는 가스 홀더(도 1의 4)와 연결된 배출 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하우징(6-1)의 상단에는 실린더(11-1)가 브라켓트(11-2)에 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즉, 브라켓트(11-2)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의 지지 케이싱(11-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11-1)의 본체(11-1B)는 이 지지 케이싱(11-3)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하우징(6-1)의 내부 공간에는 소정 면적을 갖는 컵 부재(11-4)가 위치한다. 캡 부재(11-4)의 상부면에 고정된 소정 길이의 연결 바(11-5)는 제 1 하우징(6-1)의 상부 부재를 관통하며, 그 종단이 실린더(11-1)의 작동 로드(11-1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1 하우징(6-1)의 하부 내면에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걸림편(6- 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6-1A)은 컵 부재(11-4)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걸림편(6-1A)은 컵 부재(11-4)의 과도한 하강을 억제한다.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와 동일하나, 제 2 하우징(6-2)의 하부 내면에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걸림편(6-2A)이 컵 부재(12-4)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걸림편(6-2A)은 컵 부재(12-4)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컵 밸브 유니트(10)의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로(1)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1차 및 2차 집진 설비(2 및 3)를 경유하여 컵 밸브 유니트(10)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폐가스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한다.
성분 분석 결과, 폐가스 내의 일산화탄소 및 수소 함유량이 적정치 이상일 경우, 폐가스를 가스 홀더(4)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와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각 실린더(11-1, 12-1)를 작동시켜 작동 로드(11-1A, 12-1A)를 후퇴시킨다.
따라서,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의 컵 부재(11-4)는 제 1 하우징(6-1)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1A)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제 1 하우징(6-1) 하부의 유로(6)와 측부의 배출 라인은 연통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폐가스는 제 1 하우징(6-1)과 배출 라인을 통하여 가스 홀더(4)로 유동한다.
이와 반대로,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컵 부재(12-4)는 그 상부 외주면이 제 2 하우징(6-2)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2A) 하부면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제 2 하우징(6-2)의 공간은 유로(6)와 격리된 상태로 전환되어 폐가스는 방산 설비로 유동하지 못한다.
한편, 성분 분석 결과, 폐가스 내의 일산화탄소 및 수소 함유량이 적정치 이하일 경우, 폐가스를 연료로 재사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폐가스를 방산 설비(5)로 유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와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각 실린더(11-1, 12-1)를 작동시켜 작동 로드(11-1A, 12-1A)를 전진시킨다(도 3의 상태).
작동 로드(11-1A, 12-1A)의 전진에 의하여,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의 컵 부재(11-4)는 그 하부 외주면이 제 1 하우징(6-1)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1A) 상부면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제 1 하우징(6-1)의 공간은 유로(6)와 격리된 상태로 전환되어 폐가스는 가스 홀더(4)로 유동하지 못한다.
이와 달리,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의 컵 부재(12-4)는 제 2 하우징(6-2)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2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제 2 하우징(6-2) 하부의 유로(6)와 측부의 배출 라인은 연통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폐가스는 제 2 하우징(6-2)과 배출 라인을 통하여 방산 설비(5)로 유동한다.
한편, 이와 같은 폐가스의 유동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함유된 폐가스는 폭발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폭발성이 우수한 폐가스가 1차 및 2차 (전기) 집진 설비(2 및 3)를 통과할 때, 각 집진 설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하여 폭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유로 내에서의 폐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압력은 각 컵 밸브 조립체(11 및 12)에 그대로 전달된다. 즉, 폐가스의 폭발 압력은 유로(6)와 각 하우징(6-1, 6-2) 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각 컵 부재(11-4, 12-4)를 통하여 실린더(11-1, 12-1)로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한편, 제 2 컵 밸브 조립체(12)에서는 컵 부재(12-4)가 제 2 하우징(6-2)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2A)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폭발 압력이 캡 부재(12-4)에 작용하여도 캡 부재(12-4)의 상승은 걸림편(6-2A)에 의하여 억제되어 실린더(12-1)의 본체(12-1A)에 작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제 1 컵 밸브 조립체(11)에서는 컵 부재(11-4)가 제 1 하우징(6-1)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6-1A)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폭발 압력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면 캡 부재(11-4)는 아무런 제한도 없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바(11-5)를 통하여 캡 부재(11-4)에 연결된 실린더(11-1)의 작동 로드(11-1A) 역시 상승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실린더(11-1)의 본체(11-1B)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본체(11-1B) 내의 유체(오일 또는 에어)의 압축에 의하여 실린더(11-1)가 파열되며, 특히 실린더(11-1)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싱(11-3)과 브라켓트(11-2)의 연결 부분이 파손된다. 또한, 폭발 압력이 유로(6)에 작용하기 때문에 유로(6) 자체에도 심각한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컵 밸브 조립체(11)는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함량이 높은 폭발성 폐가스가 그대로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연료의 낭비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유로(6)의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유독 폐가스가 대기로 유출되며, 이 폐가스가 작업 시설 내에 확산됨으로써 시설 및 근로자들의 안전에 큰 위협 요인으 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폭발성 폐가스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밸브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가스의 폭발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유로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는, 유로에 설치된 하우징 플랜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절단되는 고정 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며, 유로 내의 압력이 전달되는 하부 플랜지; 외주에는 탄성 수단이 위치하며, 하단이 하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 샤프트; 각 가이드 샤프트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상에 장착되며, 하부는 하우징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유로 내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밸브 조립체에 적용된 실린더는 하부는 하부 플랜지 상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부 플랜지 중앙부에 형성된 개방부 내에 수용된 지지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유로 내에 위치하여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컵이 고정되어 있는 작동 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 수단은 압축 스프링이며, 고정 수단은 일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 전단 볼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밸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밸브 유니트를 구성하며, 각각의 기능은 위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가스 홀더 및 방산 설비로의 폐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밸브 조립체는 그 구성이 동일하며, 따라서 어느 한 밸브 조립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도 4a는 정상적인 상태를, 도 4b는 유로 내에서의 폐가스 폭발 직후의 상태를, 그리고 도 4c는 폭발 압력 배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한편, 편의상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밸브 유니트의 제 1 하우징(이하, "하우징"이라 칭함) 내에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 중에서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컵 부재를 제외한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20)는, 집진 설비에서 연장된 라인과 연결된 폐가스 유로(도 1의 6)에 구성된 하우징(30)의 플랜지(31) 상에 설치되며, 상부 플랜지(21), 하부 플랜지(22), 가이드 샤프트(23), 실린더(25) 및 컵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컵 부재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컵 부재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하우징 플랜지(31)의 중앙부에는 비교적 넓은 직경의 개방부(31-1)가 형성되 어 있으며, 그 상부에 하부 플랜지(22)가 다수의 결합 볼트(40) 및 너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하부 플랜지(22)에는 중앙부에 실린더(25)의 본체(25-1)가 관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개방부의 면적은 하우징 플랜지(31)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방부(31-1)의 면적보다는 현저하게 작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각 결합 볼트(40)는 그 일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현저히 작은 구조를 갖고 있다. 도 5는 위에서 설명한 볼트(40), 즉 일부분(41)의 직경이 다른 부분(42)의 직경보다 작은 구조를 갖는 전단 볼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전단 볼트(40)는 외부 압력이 작용할 경우, 직경이 작은 부분(41)에서 전단 변형이 발생되어 파손(절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22)의 중심부에는 실린더(25)가 장착된다. 실린더(25)의 본체(25-1)는 지지 케이싱(26) 내에 위치하며, 그 하부 일부가 하부 플랜지(22) 및 하우징 플랜지(31)를 관통하여 하우징(30) 내에 위치한다. 한편, 실린더(25)의 작동 로드(25-2)는 하우징(30) 내에 위치하며, 그 하단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바를 통하여 컵 부재가 고정된다.
실린더(25)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싱(26)의 하단은 하부 플랜지(22)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상부 플랜지(21)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지지 케이싱(26)의 그 상부는 상부 플랜지(21)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함으로써 지지 케이싱(26) 및 실린더(25)는 흔들림없이 장착된다.
하부 플랜지(22)와 상부 플랜지(21)의 외곽부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 구멍들을 통하여 다수의 가이드 샤프트(23)가 상부 플랜지 (21) 및 하부 플랜지(22)에 체결된다.
여기서, 각 가이드 샤프트(23)의 상단부는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하여 상부 플랜지(21)에 고정된 상태이며, 하단부가 하부 플랜지(22)를 단순히 관통한 상태에서 그 하단이 하우징 플랜지(22)에 고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각 가이드 샤프트(23) 및 상부 플랜지(21)는 하우징 플랜지(31)에 고정된 상태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21)와 하부 플랜지(22) 사이에 위치하는 각 가이드 샤프트(23)의 외주에는 탄성 수단인 압축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압축 스프링(24)의 상단은 상부 플랜지(21)의 하부면에, 하단은 하부 플랜지(22)의 상부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이다.
한편, 단면도인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2개의 가이드 샤프트(23)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원판형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21 및 22)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가이드 샤프트(23)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밸브 조립체(20)의 기능을 도 3, 도 4a, 도 4b 및 도 4c를 통하여 설명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20)는 도 3에 도시된 컵 밸브 유니트(10)의 제 1 하우징(6-1)에 장착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실린더(25)의 작동 로드(25-2)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6-1) 내에 위치하는 컵 부재는 도시하지 않았다.
2차 집진 설비(도 1의 3)에서 배출된 폐가스가 컵 밸브 유니트에 의하여 가스 홀더(도 1의 4) 또는 방산 설비(도 1의 5)로 유도되는 정상적인 상황(도 4a의 상태)에서, 특정 요인, 예를 들어 집진 설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하여 폐가스가 유로(도 1의 6) 폭발하는 경우, 그 폭발 압력은 밸브 조립체(20)에 전달된다.
즉, 폐가스의 폭발 압력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의 컵 부재 및 컵 부재가 고정된 실린더(25)의 작동 로드(25-1)로 전달되며, 또한 이와 동시에 하우징(30)에 설치된 하우징 플랜지(31)에도 전달된다.
하우징 플랜지(31)에 폭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하우징 플랜지(31)는 하우징(3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파손 또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그 중앙부에 형성된 개방부(31-1)를 통하여 폭발 압력은 하부 플랜지(22)로 전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22)는 다수의 전단 볼트(40)를 통하여 하우징 플랜지(31)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순간적인 폭발 압력이 하부 플랜지(31)에 작용하는 경우 각 전단 볼트(40)의 직경이 작은 부분(41)이 절단된다. 하우징 플랜지(31)에 하부 플랜지(22)를 고정하는 전단 볼트(40)가 절단됨으로써 하부 플랜지(22)는 폭발 압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부 플랜지(21)는 하단이 하우징 플랜지(31)에 고정된 각 가이드 샤프트(23)를 통하여 하우징 플랜지(31)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하부 플랜지(22)의 상승에 따라 하부 플랜지(22)에 고정된 지지 케이싱(26) 및 지지 케이싱(26)에 지지된 실린더(25) 역시 상승하게 된다. 한편, 하부 플랜지(22)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하부 플랜지(22)는 각 가이드 샤프트(23)를 따라서 이동 하게 되며, 특히 각 가이드 샤프트(23) 외주에 위치하면서 하단과 상단이 하부 플랜지(22)의 상부면과 상부 플랜지(21)의 하부면에 각각 접촉하는 각 압축 스프링(24)은 폭발 압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하부 플랜지(22)에 의하여 압축 상태가 된다.
하부 플랜지(22)가 상승함에 따라서 하부 플랜지(22)와 하우징 플랜지(31) 사이에는 하부 플랜지(22)가 상승된 높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30) 내의 폭발 압력은 하우징 플랜지(31) 중앙부의 개방부(31-1) 및 하부 플랜지(22)와 하우징 플랜지(3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 4b의 상태).
이와 같은 각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하우징(30) 내의 폭발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30) 내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전환되면, 하부 플랜지(22), 지지 케이싱(26) 그리고 실런더(25)의 하중 및 압축 상태에 있던 각 압축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부 플랜지(22)는 하향 이동되어 폐가스 폭발이 일어나기 전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4c의 상태).
특히, 각 압축 스프링(24)의 복원력은 하부 플랜지(22)를 하우징 플랜지(31) 상에 밀봉된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서 폐가스의 누출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이러한 상태의 밸브 조립체(20)를 이용하여 폐가스 분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며, 설비의 정기 보수 기간에 절단된 전단 볼트(40)를 교체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밸브 조립체는 유로 내부의 압력이 폐가스 폭발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증가하는 경우에도 일부 구성 부재가 파손된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의 계속적인 수행이 가능하며, 열량이 우수한 폐가스의 지속적인 회수, 누출된 폐가스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도모, 그리고 작업 공간의 오염 방지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유체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유로에 설치된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되며, 유로 내의 압력이 전달되는 하부 플랜지;
    하우징 플랜지에 하부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절단되는 고정 수단;
    하단이 하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 샤프트;
    각 가이드 샤프트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하단은 하부 플랜지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탄성 수단;
    각 가이드 샤프트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상에 장착되며, 하부는 하우징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유로 내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는
    하부는 하부 플랜지 상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부 플랜지 중앙부에 형성된 개방부 내에 수용된 지지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유로 내에 위치하여 유체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 으로 개폐하는 컵이 고정되어 있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압축 스프링이며, 고정 수단은 일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 전단 볼트인 밸브 조립체.
KR1020050129424A 2005-12-26 2005-12-26 밸브 조립체 KR10073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24A KR100730074B1 (ko) 2005-12-26 2005-12-26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24A KR100730074B1 (ko) 2005-12-26 2005-12-26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074B1 true KR100730074B1 (ko) 2007-06-20

Family

ID=3837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424A KR100730074B1 (ko) 2005-12-26 2005-12-26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766A (ko) 2016-05-31 2017-12-08 (주)두쿰 밸브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569A (en) 1980-05-08 1981-12-03 Toshiba Mach Co Ltd Relief valve
KR890700781A (ko) * 1987-02-27 1988-04-27 마라빅, 모니카 파이프-파열 안전밸브
US5261439A (en) 1991-02-22 1993-11-16 Stant Manufacturing Inc. Vacuum-actuated vent assembly
KR19980070502A (ko) * 1997-01-14 1998-10-26 치미넬리 프란체스코 특히 연료 증기에 적합한 가스-압력 방출 밸브 유닛
KR20000065351A (ko) * 1999-04-02 2000-11-15 이선영 폐기가스 처리장치의 3웨이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569A (en) 1980-05-08 1981-12-03 Toshiba Mach Co Ltd Relief valve
KR890700781A (ko) * 1987-02-27 1988-04-27 마라빅, 모니카 파이프-파열 안전밸브
US5261439A (en) 1991-02-22 1993-11-16 Stant Manufacturing Inc. Vacuum-actuated vent assembly
KR19980070502A (ko) * 1997-01-14 1998-10-26 치미넬리 프란체스코 특히 연료 증기에 적합한 가스-압력 방출 밸브 유닛
KR20000065351A (ko) * 1999-04-02 2000-11-15 이선영 폐기가스 처리장치의 3웨이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766A (ko) 2016-05-31 2017-12-08 (주)두쿰 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2298C1 (ru) Сухое газовое уплотнение
EP1074791A2 (en) Piping support of gas turbine steam cooled combustor
US7798788B2 (en) Fixing device for a vacuum pump
KR100730074B1 (ko) 밸브 조립체
JPH02173482A (ja) 安全弁
US20220112962A1 (en) Enclosure vent assembly
US5344313A (en) Fugitive volatile organic compound vapor collection system
JP2000205183A (ja) タ―ボ分子ポンプ
CN1906437B (zh) 将加压流体从壳体排出的减压装置和增加流经减压装置的流速的系统
DE102012219520A1 (de) Prozessgasverdichter-Gasturbinenstrang
KR20020038109A (ko)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US8671854B2 (en) Shaft seal for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CN211235147U (zh) 磨煤机取气采样装置及其煤粉过滤器
CN204611008U (zh) 空冷系统及其防爆门
KR20050019281A (ko) 연소실 관측창을 겸비한 샘플포트 구조
CN214755143U (zh) 一种gis及其压力释放装置
US11976819B2 (en) Flue pipe separation sensing apparatus and boiler including the same
US20020179156A1 (en) Gas containment system
KR101907643B1 (ko) 부취제 제거를 위한 퍼지 가스 소음기
CN219997025U (zh) 一种燃机抽气式危险气体探测装置
CN219180295U (zh) 一种避雷器法兰盘连接装置
CN214446531U (zh) 一种六自由度机器人的传感器防护装置
CN218625410U (zh) 风门挡板轴封装置
CN217951687U (zh) 一种可燃气体探测设备
CN115064410B (zh) 一种泄压式防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