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132B1 -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132B1
KR100729132B1 KR1020060131779A KR20060131779A KR100729132B1 KR 100729132 B1 KR100729132 B1 KR 100729132B1 KR 1020060131779 A KR1020060131779 A KR 1020060131779A KR 20060131779 A KR20060131779 A KR 20060131779A KR 100729132 B1 KR100729132 B1 KR 10072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proof material
hot water
dustproof
water pip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숙
Original Assignee
박의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숙 filed Critical 박의숙
Priority to KR102006013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방진재를 수 개의 받침돌기가 콘크리트 바닥에 닿게 하되 받침돌기는 두께를 갖는 에폭시 본드를 이용하여 바닥에 접착되게 하여 에폭시 본드의 두께를 이용하여 방진재의 수평을 잡아 주며 방진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진재의 하부를 통한 진동 소음의 전달이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내측으로 방진재를 설치하여 벽면으로 층간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진재는 사각의 형태를 갖고 인접된 두 측면에는 각각 받침턱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온수관고정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공간홈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돌기는 바닥과 에폭시 본드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진재는 EPS나 PE를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층간소음, 방진재, 부직포, 공기층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Noise protection panel for inter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종래의 바닥 난방 시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 난방 시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진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진재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진재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방진재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방진재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 방진재의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진재에 부직포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결합부위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방진재를 에폭시 본드로 부착시킨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방진재를 에폭시 본드로 부착시킨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벽체에 부착되는 방진재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방진재의 설치상태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 11 : 벽면
14 : 온수관 100,100a : 방진재
110 : 받침돌기 111 : 공간홈
120 : 받침턱 130 : 걸림턱
150 : 부직포 160 : 온수관고정판
200 : 방진재 210 : 타공판
211 : 공간부 300 : 에폭시 본드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방진효율이 높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축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층간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의 상부에 방진재를 설치하여 상층에서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기존의 바닥시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10)의 상부에 방진재(12) 또는 스티로폼을 설치한 후 기포 콘크리트(13)를 타설 하거나, 방진재(12) 없이 바닥(10)의 상부에 직접 기포 콘크리트(13)를 타설 하고 있으며, 상기 기포 콘크리트(13)의 상부에 온수관(14)을 설치한 후 몰탈 미장(15)을 하고 있다.
여기서 방진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방진재를 바닥(10)의 상부에 깔아준 후 상기 방진재의 상부에 온수관(14)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온수관(14)은 몰탈 미장(15)으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방진재(12), 기포 콘크리트(13)를 별로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설치비용도 많이 들게 되며, 스티로폼 방진재를 바닥(10)에 올려놓는 경우 바닥(10)의 수평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스티로폼 방진재를 올려놓게 되므로, 그 위에 설치되는 온수관(14)의 수평이 맞지 않아 온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한편 몰탈 미장(15)을 한 후 크랙이 발생하고, 몰탈 미장(15) 시공시 비중 차이로 인하여 스티로폼 방진재가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바닥(10)에 기포 콘크리트(13)를 그대로 충진 하는 경우 벽면(11)과 바닥(10)이 기포 콘크리트(13)와 분리되지 않아 상층부에서 기포 콘크리트(13)로 전달된 소음이 그대로 하층부로 전달되어 층간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 바닥(10)에 기포 콘크리트(13)를 충진 하는 경우 바닥(10)과 벽면(11)이 분리되지 않아 효과적인 방진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특히 바닥에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방진재를 설치하는 경우 바닥의 수평이 맞지 않아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방진재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고, 이는 온수관(14)의 수평이 틀어져 난방에 문제가 있게 되고,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방진재를 수 개의 받침돌기가 콘크리트 바닥 에 닿게 하되 받침돌기는 두께를 갖는 에폭시 본드를 이용하여 바닥에 접착되게 하여 에폭시 본드의 두께를 이용하여 방진재의 수평을 잡아 주며 방진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진재의 하부를 통한 진동 소음의 전달이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내측으로 방진재를 설치하여 벽면으로 층간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진재는 사각의 형태를 갖고 인접된 두 측면에는 각각 받침턱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온수관고정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공간홈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돌기는 바닥과 에폭시 본드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진재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Resin)이나 PE(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이 완성되면 몰탈 미장의 높이에 맞추어 벽면에 수평을 잡아주는 과정과, 상기 수평라인에 맞추어 벽면에 밀착되는 방진재를 설치하는 과정과, 바닥에 올려지는 방진재의 받침돌기가 닿는 부분에 에폭시 본드를 도포하는 과정과, 에폭시 본드의 상부에 방진재의 받침돌기가 닿게 방진재를 올려놓는 과정과, 방진재의 상면이 벽면에 잡아 놓은 수평라인에 맞추어 수평이 되게 붙여주는 과정과, 상기 방진재의 상면에 온수관고정판을 끼워 접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온수관고정판에 온수관고정구를 고정시켜 온수관이 끼워져 배치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10)을 통하여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방진재(100) 및 상기 방진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볍고 시공이 간편하며 차음 및 방진 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진재(100)는 대략 사각체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온수관고정판(160)이 끼워지는 끼움홈(140)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수 개의 받침돌기(110)를 형성하는 한편 공간홈(111)을 형성하되 받침돌기(110) 사이에는 부직포(150)를 부착시키며, 인접된 두 개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받침턱(12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20)과 대향된 위치의 측면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걸림턱(13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진재(100a)는 대략 사각체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온수관고정판(160)이 끼워지는 끼움홈(140)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수 개의 공간홈(111)을 형성하되 공간홈(111)을 덮어주는 부직포(150)를 부착시키며, 인접된 두 개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받침턱(12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20)과 대향된 위치의 측면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걸림턱(13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벽면(11)에 밀착되는 방진재(200)는 일측으로 공간부(211)가 형성된 두 개의 타공판(210)을 서로 맞붙여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10)의 상부에서 벽면(11)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벽면(11)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진재(100)를 시공하는 방법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10)이 완성되면 몰탈 미장(15)의 상부 높이에 맞추어 벽면(11)에 수평을 잡아주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평라인에 맞추어 벽면(11)에 밀착되는 방진재(2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바닥(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진재(100)의 받침돌기(110)가 닿는 부분에 에폭시 본드(300)를 일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는 과정를 수행하고, 상기 에폭시 본드(300)의 상부에 방진재(100)의 받침돌기(110)가 닿게 방진재(100)를 올려놓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방진재(100)의 상면이 벽면(11)에 그려 놓은 수평라인에 맞추어 수평이 되게 에폭시 본드에 방진재(300)를 붙여주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방진재(100)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140)에 온수관고정판(160)을 끼워 접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온수관고정판(160)에는 U자형의 온수관고정구(170)를 고정시키되 U자형으로 이루어진 온수관고정구(170)의 벌어진 곳이 상측을 향하게 하여 나사 등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U자형으로 이루어진 온수관고정구(170)의 개방된 곳으로 온수관(14)을 끼워, 온수관고정구(170)가 온수관(14)을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온수관(14)이 온수관고정구(170)에 끼워지며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받침돌기(110)가 형성된 방진재(100)를 사용하거나 받침돌기(110)가 형성되지 않은 방진재(100a)를 사용하는 경우 시공 방법에 차이는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시공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10)이 완성되면, 최종적으로 몰탈 미장(15)이 이루어질 때 최종 높이를 감안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벽면(11)에 수평을 잡아 표시를 하게 된다.
즉 바닥(10)으로부터 바닥 마감이 완성되는 높이의 수평라인을 벽면에 그어주게 되며, 이는 바닥 마감을 수평에 맞추어 공사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벽면(11)에 수평라인이 그려지게 되면 일측으로 공간부(211)가 형성된 두 개의 타공판(210)을 서로 맞붙여 형성되는 방진재(200)를 벽면(11)에 밀착 하여 부착함으로써 벽면(11)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방진재(200)는 EPS, PE로 제작되고, 내부에 공간부(211)가 형성되어 있어 진동은 흡수하는 한편 소음은 차단시키는 동시에 차음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바닥(10)의 상부에는 에폭시 본드(300)를 일정 높이로 도포하되 상기 에폭시 본드(30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게 하며, 에폭시 본드(300)의 상부에 방진재(100)를 놓아 방진재(100)의 하부가 에폭시 본드(300)에 닿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돌기(110)가 형성된 방진재(100)는 받침돌기(110)가 에폭시 본드(300)에 닿도록 하고, 받침돌기(110)가 형성되지 않은 방진재(100a)는 바닥이 에폭시 본드(300)에 닿도록 한다.
상기 에폭시 본드(300)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게 되고, 방진재(100)의 상부가 수평을 갖도록 방진재(100)의 상부를 두드려 에폭시 본드(300)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하고, 방진재(100)는 에폭시 본드(300)에 부착될 때 에폭시 본드(300)의 두께를 조절하여 방진재(100)의 상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방진재(100)의 하부에는 공간홈(111)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차음 및 단열의 효과를 갖도록 하고, 방진재(100)의 하부에는 부직포(150)를 부착하여 차음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상기 방진재(100)는 여러 장을 설치하게 되며, 방진재(100)의 일측에 형성된 받침턱(120)에 걸림턱(130)이 올려져 걸쳐지는 방식으로 여러 장의 방진재(100)가 결합되게 된다.
바닥(10)의 상부에 방진재(100)가 고정되게 되면 방진재(100)의 상부에 형성 된 끼움홈(140)에 온수관고정판(160)을 끼워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상기 온수관 고정판(160)에는 온수관고정구(170)를 고정시켜 온수관(14)이 온수관고정구(1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온수관(14)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에 몰탈미장(15)을 하여 표면 처리를 하게 되고, 상기 몰탈미장(15)은 벽면(11)에 부착된 방진재(200)의 높이와 같도록 마감 처리를 한다.
본 발명은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며, 공정이 줄어들어 공기가 빨라지는 이점이 있고, 압축강도가 우수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고, 바닥의 공기층과 부직포 등에 의한 차음, 방진 효과가 증가된다.

Claims (4)

  1. 사각체 형상의 방진재(100) 상부에는 온수관고정판(160)이 끼워지는 끼움홈(140)을 형성하고, 방진재(100)의 하부에는 수 개의 받침돌기(110)를 형성하는 한편 공간홈(111)을 형성하되 받침돌기(110) 사이에는 부직포(150)를 부착시키며, 방진재(100)의 인접된 두 개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받침턱(12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20)과 대향된 위치의 측면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걸림턱(130)을 형성하며, 상기 방진재(100)의 받침돌기(110)가 바닥(10)에 에폭시 본드(300)로 높낮이가 조절되며 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진재.
  2. 사각체 형상의 방진재(100a)의 상부에는 온수관고정판(160)이 끼워지는 끼움홈(140)을 형성하고, 방진재(100a)의 하부에는 수 개의 공간홈(111)을 형성하되 공간홈(111)을 덮어주는 부직포(150)를 부착시키며, 방진재(100a)의 인접된 두 개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받침턱(12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20)과 대향된 위치의 측면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걸림턱(130)을 형성하며, 상기 방진재(100a)의 저면은 바닥(10)에 에폭시 본드(300)로 높낮이가 조절되며 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진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진재(100)(100a)가 설치되는 바닥(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벽면(11)에는 바닥(10)에 세워지는 방진재(200)가 밀착되어 설치되게 하고, 상기 방진재(200)는 내부에 공간부(211)가 형성된 타공판(2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진재.
  4.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이 완성되면 몰탈 미장의 높이에 맞추어 벽면에 수평을 잡아주는 과정과, 상기 수평라인에 맞추어 벽면에 밀착되는 방진재를 설치하는 과정과, 바닥에 올려지는 방진재의 받침돌기가 닿는 부분에 에폭시 본드를 도포하는 과정과, 에폭시 본드의 상부에 방진재의 받침돌기가 닿게 방진재를 올려놓는 과정과, 방진재의 상면이 벽면에 잡아 놓은 수평라인에 맞추어 수평이 되게 붙여주는 과정과, 상기 방진재의 상면에 온수관고정판을 끼워 접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온수관고정판에 온수관고정구를 고정시켜 온수관을 끼워주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진재 시공방법.
KR1020060131779A 2006-12-21 2006-12-21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2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79A KR100729132B1 (ko) 2006-12-21 2006-12-21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79A KR100729132B1 (ko) 2006-12-21 2006-12-21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132B1 true KR100729132B1 (ko) 2007-06-19

Family

ID=3837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79A KR100729132B1 (ko) 2006-12-21 2006-12-21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446A (ja) * 1989-09-22 1991-05-09 Yuka Sansho Kk 床下地材の製造方法
KR200297962Y1 (ko) 2002-09-26 2002-12-13 (주)삼세대시공 건물의 상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바닥재
KR200373630Y1 (ko) 2004-10-13 2005-01-27 (주)현대캐미칼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건축물바닥재
KR100579776B1 (ko) 2002-11-25 2006-05-15 김성모 바닥의 방음 및 단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446A (ja) * 1989-09-22 1991-05-09 Yuka Sansho Kk 床下地材の製造方法
KR200297962Y1 (ko) 2002-09-26 2002-12-13 (주)삼세대시공 건물의 상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바닥재
KR100579776B1 (ko) 2002-11-25 2006-05-15 김성모 바닥의 방음 및 단열 시공방법
KR200373630Y1 (ko) 2004-10-13 2005-01-27 (주)현대캐미칼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건축물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280B1 (ko)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1435993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729132B1 (ko) 층간소음 방진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195502Y1 (ko) 난방 시공용 판넬
KR20039113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053497B1 (ko) 바닥재 시공방법
KR101305239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10138071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구조물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100644507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0151940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101761242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KR101011949B1 (ko) 보일러배관이 일체화된 건축물의 소음 저감 층간 바닥 구조
KR101388280B1 (ko) 바닥난방구조
KR20090006267U (ko) 이중바닥시스템 및 이중바닥시스템용 바닥패널
KR100710715B1 (ko) 층간소음 저감용 패널
KR200294592Y1 (ko) 온돌 패널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