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863B1 -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863B1
KR100727863B1 KR20050099475A KR20050099475A KR100727863B1 KR 100727863 B1 KR100727863 B1 KR 100727863B1 KR 20050099475 A KR20050099475 A KR 20050099475A KR 20050099475 A KR20050099475 A KR 20050099475A KR 100727863 B1 KR100727863 B1 KR 10072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unit
dimensio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611A (ko
Inventor
기이치로 이가
도모히로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 소자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맷 변환부(33)에서 RGB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부(34)에서 일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여, 그 압축 후의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22)에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부(34)는 그 압축 처리에는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부근의 수 바이트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좋기 때문에 큰 기억 메모리가 필요 없다. 또한, 압축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인 비압축 데이터에 비해서 용량이 적다. 따라서, 촬상부(31)의 고화소화에 따라 비압축 데이터의 용량이 많아져도 압축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하게 되며 카메라 인터페이스(35)의 고속화가 불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IMAGE PROCESSOR OF IMAGING APPARATUS,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도 1은 일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의 일부 블록 회로도.
도 2는 압축 처리의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화상 처리 시스템의 일부 블록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모듈
22 : 베이스 밴드 LSI
23 : 화상 메모리
21 : 촬상부
32 : 화상 처리 LSI
33 : 포맷 변환부
34 : 일차원 압축부
35 : 카메라 인터페이스
36 : 일차원 신장부
37 : 이차원 압축부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는 100만 화소를 초과하는 화소수가 큰 CCD나 CiS 등의 촬상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상 장치를 구성하여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일부 블록 회로도이다. 촬상 장치(10)는 카메라 모듈(11), 베이스 밴드 LSI(12), 화상 메모리(13)를 갖고 있다.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부(14)와, 이 촬상부(14)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LSI(15)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14)는 입사광에 따른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를 A/D 변환하고, 이 변환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화상 데이터는 1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의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처리 LSI(15)는 포맷 변환부(YCbCr 변환부)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3 원색(RGB) 화상 데이터를 휘도 색차(YCbCr)에 의해 표현하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 화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베이스 밴드 LSI(12)에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12)는 압축 처리부(16)와 인터페이스부(도시 생략)를 갖고, 카메라 모듈(11)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3)에 저장한다. 압축 처리부(16)는 화상 메모리(13)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사전 결정된 형식(예컨대 JPEG 형식)의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 후의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3)에 저장한다.
그런데, 촬상 소자가 고화소화 되면, 그것에 따라 각 LSI(12, 15)가 처리하는 데이터량, 화상 처리 LSI(15)로부터 베이스 밴드 LSI(12)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대된다.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다음 촬영까지 필요한 시간에 영향을 부여하지만, 이 다음 촬영까지의 시간은 카메라 성능에 관계되기 때문에 길게 할 수 없다.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화상 처리 LSI(15)와 베이스 밴드 LSI(12) 사이의 전송 속도를 높이는 것이 고려된다.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화상 처리 LSI(15)와 베이스 밴드 LSI(12)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높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페이스부는 클록 신호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대응 가능한 인터페이스부의 채용은 LSI의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해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화상 처리 LSI(15) 내에서 데이터를 JPEG 형식으로 압축하여, 화상 처리 LSI(15)와 베이스 밴드 LSI(12) 사이의 전송량을 적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화상 처리 LSI(15) 내에서 데이터를 JPEG 형식으로 압축하기 위해서는 압축 처리 전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화상 처리 LSI(15)에 구비해야 한다. 또한, JPEG 형식의 압축 처리는 이차원 DCT 연산 처리를 포함하고, 이차원 DCT 연산 처리는 수직 8 라인 분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처리이기 때문에, 그 8 라인 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또한, 이차원 압축 처리 사이에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는 것은 화상 처리 LSI(15)의 칩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칩 비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 소자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5,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부에서 화상 처리를 행한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부에서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압축 후의 압축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부는 그 압축 처리에는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부근의 수 바이트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좋기 때문에 큰 기억 메모리가 필요 없다. 또한, 압축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인 비압축 데이터에 비해서 용량이 적다. 따라서 촬상부의 고화소화에 따라 비압축 데이터의 용량이 많아져도 압축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하게 되며, 출력부의 고속화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부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2, 6,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일차원 압축부의 압축 처리에 대응하는 일차원 신장 처리를 행하는 일차원 신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일차원 압축부에서 압축된 데이터로부터 그 압축 처리의 방법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장치라도 신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차원 신장부는 일차원 압축부가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입력하기 때문에, 일차원 압축부에서 생성된 압축 데이터의 송출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신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청구항 3, 7, 1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이차원 압축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이차원 압축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이차원 압축 처리에 의해 더욱 압축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차원 압축부가 DCT 연산 처리를 행할 경우, 그 DCT 연산 처리에는 8×8 화소의 블록 데이터가 필요해지지만, 필요한 블록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축차 공급함으로써, 대용량 기억 메모리를 탑재하지 않아도 되며, 화상 처리 장치의 칩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화상 처리 장치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하는 YCbCr 변환부이다. YCbCr 변환 후의 데이터는 RGB 데이터에 비해서 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차원 압축부에서 압축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변환에 의해 비압축 데이터의 용량이 많아져도 압축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하게 되며, 출력부의 고속화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부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처리 시스템의 일부 블록 회로도이다.
화상 처리 시스템(20)은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이며, 촬상 장치로서의 카메라 모듈(21), 베이스 밴드 LSI(22), 화상 메모리(23)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21)과 베이스 밴드 LSI(22)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1)과 베이스 밴드 LSI(22)는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버스(24)에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이 갖는 도시하지 않는 주변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주변 회로는 화상 처리 시스템(20) 전체를 제어하는 CPU, 퍼스널 컴퓨터 등과 화상 처리 시스템(20)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1)은, 촬상부(31)와, 화상 처리 장치로서의 화상 처리 LSI(32)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31)는 예컨대 컬러 필터, CCD 촬상 소자,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를 구비한다. 컬러 필터는 예컨대 베이어 배열된 적색(R), 녹색(G), 청색(B)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셀(화소)을 구비하고, 입사광에 따라서 각 수광셀에 축적된 전하를 갖는 신호를 행 및 열에 따라서 출력한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는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A/D 변환하고, 이 변환된 신호를 화상 데이터(베이어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 화상 데이터는 1 화소에 대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의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촬상부(31)는 CCD 촬상 소자 및 CiS(CM0S Image Sensor)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화상 처리 LSI(32)는 3 원색(RGB)의 화상 데이터를 휘도 색차(YCbCr)에 의해 표현하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12)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 LSI(32)는 화상 처리부로서의 포맷 변환부(YCbCr 변환부)(33), 일차원 압축부(34), 출력부로서의 카메라 인터페이스(35), 일차원 신장부(36), 이차원 압축부(37)를 구비하고 있다.
포맷 변환부(33)는 3 원색(RGB)의 화상 데이터를 휘도 색차(YCbCr)에 의해 표현하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부(34)는 포맷 변환부(33)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사전 결정된 방식에 의해 일차원 압축하고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 방식으로서 예컨대, 허프만 부호가 이용된다. 일차원 압축부(34)는 압축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수 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기억부(34a)를 구비하고, 순차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34a)에 기억한다. 그리고, 일차원 압축부(34)는 기억부(34a)에 기억된 데이터를 허프만 신호화 방식에 따라 압축하고, 압축 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35)는 일차원 압축부(3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22)에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부(34)로부터 출력되는 1 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촬상부(31)로부터 출력되는 1 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 포맷 변환부(33)로부터 출력되는 1 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비해서 적다. 따라서, 카메라 인터페이스(35)는 주파수가 높은 클록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일차원 신장부(36)와 이차원 압축부(37)는 내부 버스(38)에 접속되고, 그 내 부 버스(38)는 시스템 버스(24)에 접속되어 있다. 일차원 신장부(36)는 일차원 압축부(34)의 압축 방식과 대응하는 신장 방식으로써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하고, 이 신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차원 신장부(36)는 신장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수 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기억부(36a)를 구비하고, 내부 버스(38)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억부(36a)에 기억된다. 그리고, 일차원 신장부(36)는 기억부(36a)에 기억된 데이터에 신장 처리를 행하여 신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차원 압축부(37)는 사전 결정된 압축 방식(JPEG 형식)으로써 데이터를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차원 압축부(37)는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용량을 갖는 기억부(37a)를 구비하고, 이차원 압축부(37)는 내부 버스(38)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억부(37a)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차원 압축부(37)는 기억부(37a)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하여 DCT 연산 처리,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카메라 인터페이스(41), 외부 인터페이스(42)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메모리(23)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23)는 1 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을 가지며, 예컨대 SDRAM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카메라 인터페이스(41)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기억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메모리(2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사전 결정된 방식(JPEG 형식)의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화상 처리 LSI(32)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화상 처리 LSI(32)는 사전 결정된 일차원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우선,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처리 LSI(32)의 일차원 신장부(36)를 이용하여 화상 메모리(2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신장된 신장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기억한다. 다음에,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처리 LSI(32)의 이차원 압축부(37)를 이용하여 신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한 JPEG 형식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압축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기억한다. 또한, 일차원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 이차원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이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
상술하면,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메모리(23)에 기억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경우, 화상 처리 LSI(32)에 신장 처리를 위한 신장 커맨드를 출력한다. 화상 처리 LSI(32)는 신장 커맨드에 응답하여 일차원 신장부(36)에서 신장 처리하기 위한 준비를 행하고, 그 준비가 완료되면 베이스 밴드 LSI(22)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 메모리(23)로부터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순차 판독하고,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화상 처리 LSI(32)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 LSI(32)는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내부 버스(38)를 통해 순차 입력하고, 일차원 신장부(36)는 입력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 처리하여 신장된 신장 화상 데이터를 내부 버스(38),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베이스 밴드 LSI(22)에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입력된 신장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화상 처리 LSI(32)가 일차원 압축부(34)와 일차원 신장부(36)를 구비하고,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처리 LSI(32)로부터 입력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그 화상 처리 LSI(32)가 갖는 일차원 신장부(36)를 이용하여 신장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문에, 일차원 압축부(34)에 의한 압축 방식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신장 데이터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처리 LSI(32)에 압축 처리를 위한 압축 커맨드를 출력한다. 화상 처리 LSI(32)는 압축 커맨드에 응답하여 이차원 압축부(37)에서 압축 처리하기 위한 준비를 행하고, 그 준비가 완료되면 베이스 밴드 LSI(22)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 메모리(23)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순차 판독하고,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화상 처리 LSI(32)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 LSI(32)는 신장 데이터를 내부 버스(38)를 통해 순차 입력하고, 이차원 압축부(37)는 입력된 신장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압축된 이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내부 버스(38),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베이스 밴드 LSI(22)에 입력한다. 베이스 밴드 LSI(22)는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입력된 이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기억한다.
도 2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에 있어서 이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51(YCbCr 변환 수단)에 있어서, 화상 처리(LSI)의 포맷 변환부(33)는 촬상부(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베이어 데이터)를 YCbCr로 표현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일차원 압축부(34)에 출력한다. 단계 52(일차원 압축 수단) 에 있어서, 일차원 압축부(34)는 입력 데이터를 기존의 일차원 압축 수법에 의해 압축하고 압축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35)에 출력한다. 단계 53(압축 데이터 송출 수단)에 있어서, 카메라 인터페이스(35)는 일차원 압축부(34)로부터 입력되는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22)에 송출한다.
단계 54(압축 데이터 축적 수단)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LSI(22)의 카메라 인터페이스(41)는 화상 처리 LSI(32)로부터 입력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저장한다. 단계 55(축적 압축 데이터 송출 수단)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메모리(23)에 저장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화상 처리 LSI(32)에 출력한다.
단계 56(일차원 신장 수단)에 있어서, 화상 처리 LSI(32)의 일차원 신장부(36)는 내부 버스(38)를 통해 입력된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 처리한다. 그리고, 단계 57(신장 데이터 송출 수단)에 있어서, 일차원 신장부(36)는 신장된 신장 화상 데이터를 내부 버스(38),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베이스 밴드 LSI(22)에 송출한다.
단계 58(신장 데이터 축적 수단)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처리 LSI(32)로부터 시스템 버스(24)를 통해 입력된 신장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3)에 저장한다. 단계 59(블록 데이터 송출 수단)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LSI(22)는 화상 메모리(23)로부터 DCT 연산 처리되는 하나의 블록 데이터(8×8 화소 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블록 데이터를 화상 처리 LSI(32)에 송출한다.
단계 60(이차원 압축 수단)에 있어서, 화상 처리 LSI(32)의 이차원 압축부(37)는 내부 버스(38)를 통해 입력된 신장 화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한다. 그리고, 단계 61(이차원 압축 데이터 송출 수단)에 있어서 이차원 압축부(37)는 압축 처리된 이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포맷 변환부(33)에서 RGB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부(34)에서 일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압축 후의 일차원 압축 화상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22)로 출력한다. 일차원 압축부(34)는 그 압축 처리에는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부근의 수 바이트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좋기 때문에 큰 기억 메모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압축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인 비압축 데이터에 비해서 용량이 적다. 따라서 촬상부(31)의 고화소화에 따라 비압축 데이터의 용량이 많아져도 압축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하게 되며, 카메라 인터페이스(35)의 고속화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부(31)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2) 일차원 압축부(34)의 압축 처리에 대응하는 일차원 신장 처리를 행하는 일차원 신장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일차원 압축부(34)에서 압축된 데이터로부터 그 압축 처리 방법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장치라도 신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차원 신장부(36)는 내부 버스(38)를 통해 압축 데이터를 입력하는, 즉 일차원 압축부(34)가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입력하기 때문에, 일차원 압축부(34)에서 생성된 압축 데이터의 송출 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신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3) 화상 처리 LSI(32)는 이차원 압축부(37)를 구비하고, 이차원 압축부(37)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이차원 압축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이차원 압축 처리에 의해 더욱 압축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차원 압축부(37)가 JPEG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와 같이 DCT 연산 처리를 행하는 경우, 그 DCT 연산 처리에는 8×8 화소의 블록 데이터가 필요해지지만, 필요한 블록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LSI(22)가 화상 메모리(23)로부터 판독되어 축차 공급함으로써 대용량의 기억 메모리를 탑재하지 않아도 되며, 화상 처리 LSI(32)의 칩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카메라 모듈(21)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4) 포맷 변환부(33)는 촬상부(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한다. YCbCr 변환 후의 데이터에 비해서 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차원 압축부(34)에서 압축 테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변환에 의해 비압축 데이터의 용량이 많아져도 압축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하게 되며 출력부의 고속화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부(31)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이하의 형태로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예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구체화하였지만, 그 밖의 시스템, 예컨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구체화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차원 압축부(34)는 허프만 부호화 방식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일차원 압축하였지만, 그 밖의 방식에 의해 일차원 압축을 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일차원 압축부(34)는 순차 입력되는 2개의 화상 데이터의 차를 산출하고, 그 차분을 허프만 부호화 방식에 따라 비트 레이트로 대체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전체를 압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허프만 부호 이외의 방식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 상승을 억제하여 대화소의 촬상 소자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촬상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처리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후의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차원 압축부와;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원 압축부가 행하는 일차원 압축 처리에 대응하는 일차원 신장 처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일차원 신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이차원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차원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하는 YCbCr 변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입사광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처리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후의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차원 압축부와,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일차원 압축부가 행하는 일차원 압축 처리에 대응하는 일차원 신장 처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일차원 신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이차원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차원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입사광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상기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신호 처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처리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일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후의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차원 압축부와,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압축 데이터 축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메모리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축적 압축 데이터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일차원 압축부의 압축 처리에 대응하는 신장 처리를 실시하고, 신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차원 신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신장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신장 데이터 축적 수단과, 상기 화상 메모리로부터 블록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블록 데이터를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블록 데이터 송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블록 데이터에 대하여 이차원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후의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차원 압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KR20050099475A 2005-05-02 2005-10-21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KR100727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4226 2005-05-02
JP2005134226A JP4302661B2 (ja) 2005-05-02 2005-05-02 画像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611A KR20060114611A (ko) 2006-11-07
KR100727863B1 true KR100727863B1 (ko) 2007-06-14

Family

ID=3723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9475A KR100727863B1 (ko) 2005-05-02 2005-10-21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3015B2 (ko)
JP (1) JP4302661B2 (ko)
KR (1) KR100727863B1 (ko)
TW (1) TWI2869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45B1 (ko) * 2007-08-08 2011-03-28 주식회사 코아로직 Jpeg 캡쳐 시간 단축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영상 처리 장치에서 jpeg 캡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278A (ja) * 2007-11-13 2009-06-04 Hitachi Ltd 撮像装置
KR102301940B1 (ko) * 2017-12-01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합성 방법 및 장치
CN112468792B (zh) * 2020-11-05 2023-03-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233A (ko) * 1997-06-26 1999-01-25 이데이 노부유키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및 카메라장치
KR19990036491A (ko) * 1997-10-30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정보 처리 장치 및 부호 장치
KR20030026982A (ko) * 2001-05-21 2003-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088A (en) * 1974-03-29 1976-05-18 Xerox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s having a selective facsimile output
IT1155650B (it) * 1982-03-19 1987-01-28 Olivetti & Co Spa Metodo ed apparecchiatura di compressione e decompressione di informazioni digitali di immagini
JPH06121275A (ja) 1992-10-06 1994-04-28 Nikon Corp スチルカメラ
KR0137108B1 (en) * 1993-06-25 1998-06-15 Hitachi Ltd Bus driving system and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the same
TW284869B (ko) * 1994-05-27 1996-09-01 Hitachi Ltd
US5883975A (en) * 1994-09-12 1999-03-16 Nippon Steel Corporation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methods on two-dimensional image data
JPH1174992A (ja) * 1997-06-23 1999-03-16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US6636645B1 (en) * 2000-06-29 2003-10-21 Eastman Kodak Company Image processing method for reducing noise and blocking artifact in a digital image
JP3343104B2 (ja) * 2000-07-06 2002-11-11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187425B2 (ja) * 2000-09-11 2008-11-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3209616A (ja) * 2002-01-15 2003-07-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532299B1 (ko) * 2003-01-30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선로로 접속되는 주 기지국과 원격 기지국간의 지연측정 및 보상장치
JP4368835B2 (ja) * 2005-08-29 2009-11-1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233A (ko) * 1997-06-26 1999-01-25 이데이 노부유키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및 카메라장치
KR19990036491A (ko) * 1997-10-30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정보 처리 장치 및 부호 장치
KR20030026982A (ko) * 2001-05-21 2003-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45B1 (ko) * 2007-08-08 2011-03-28 주식회사 코아로직 Jpeg 캡쳐 시간 단축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영상 처리 장치에서 jpeg 캡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6907B (en) 2007-09-11
JP4302661B2 (ja) 2009-07-29
US20060244992A1 (en) 2006-11-02
US7813015B2 (en) 2010-10-12
TW200640260A (en) 2006-11-16
JP2006311435A (ja) 2006-11-09
KR20060114611A (ko) 200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5386B (zh) 原始格式影像資料處理技術
US8576293B2 (en) Multi-channel imager
US8854488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image capture method in which an image is processed by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devices
US20080247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ization of image compression encoders
US8558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ressed file, camera module associated therewith,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20060158682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mpressing image data and producing thumbnail imag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structure
JPH0955884A (ja) 撮像装置
JP5793716B2 (ja) 撮像装置
US8179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ressed fil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apparatus
KR100789221B1 (ko)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
KR100727863B1 (ko)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KR100664550B1 (ko) 인코딩된 데이터 전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
JP2006080860A (ja) カメラ及びカメラ画像転送システム
KR100827680B1 (ko) 썸네일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77877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787690B2 (en) Image compression and expansion device
KR100902421B1 (ko) 캡쳐 영상을 시간 지연 없이 표시할 수 있는 영상 처리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수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457270B2 (ja) 画像伸張チップおよび電子機器
JP2005303512A (ja) カメラ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KR100854724B1 (ko) 인코딩된 데이터 전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
KR100902420B1 (ko) 캡쳐 영상을 시간 지연 없이 표시할 수 있는 영상 처리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수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12135150A (zh) 图像压缩和解压缩方法、可读介质及其电子设备
WO2000018111A1 (en) Efficient compression engine for digital image data
JP2007228514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