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312B1 -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312B1
KR100727312B1 KR1020070023271A KR20070023271A KR100727312B1 KR 100727312 B1 KR100727312 B1 KR 100727312B1 KR 1020070023271 A KR1020070023271 A KR 1020070023271A KR 20070023271 A KR20070023271 A KR 20070023271A KR 100727312 B1 KR100727312 B1 KR 10072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ing box
box
sludge
hydraulic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이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규 filed Critical 이원규
Priority to KR10200700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탈수율이 뛰어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다수의 배수포트를 구비한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토사 슬러지가 적재되는 적재박스; 상기 적재박스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박스에 미세 진동을 전가함에 따라 상기 적재박스 내의 상기 토사 슬러지에 포함된 물이 토사 슬러지와 분리시키는 유압진동기; 상기 적재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적재박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절곡배수관과, 상기 절곡배수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에 분리된 물이 상기 절곡배수관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상기 절곡배수관의 상부 내부로 삽입되는 가동배수관과, 상기 적재박스에 지지되며 상기 적재박스에 적재되는 상기 토사 슬러지의 수위에 따라 배수를 위해 상기 가동배수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배수부; 및,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 저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하부레일과, 상기 적재박스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하부레일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롤러와,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측부레일과, 상기 한쌍의 측부레일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측부레일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박스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롤러를 구비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사 슬러지, 하수 박스, 탈수, 유압진동기, 배수

Description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Oil pressure vibration earth and sand sludge dehyd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시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폭방향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적재박스에 적재되는 토사 슬러지 및 물의 수위에 따라 배수관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수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외부케이싱 111: 공간부
113: 인출구 115: 배수포트
117: 지지프레임 120: 적재박스
121: 적재공간 123: 요홈
130: 유압진동기 131: 진동전달바
140: 배수부 141: 절곡배수관
142: 배수구멍 143: 가동배수관
144: 연결부재 145: 유압실린더
145a: 피스톤부 146a: 제1 체결구
146b: 제2 체결구 150: 레일부
151: 하부레일 153: 제1 롤러
155: 측부레일 157: 제2 롤러
본 발명은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박스에서 준설한 토사 슬러지를 적재한 후, 미세한 진동을 통해 토사 슬러지로부터 물을 분리 배출하기 위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준설한 토사 슬러지는 장비를 통해 곧바로 트럭에 적재하여 매립지로 운반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운반중 토사 슬러지가 도로로 유출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며 유출된 토사 슬러지가 햇빛에 마를 경우에는 미세먼지로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탈수율이 뛰어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다수의 배수포트를 구비한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토사 슬러지가 적재되는 적재박스; 상기 적재박스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박스에 미세 진동을 전가함에 따라 상기 적재박스 내의 상기 토사 슬러지에 포함된 물이 토사 슬러지와 분리시키는 유압진동기; 상기 적재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적재박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절곡배수관과, 상기 절곡배수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와 분리된 물이 상기 절곡배수관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상기 절곡배수관의 상부내부로 삽입되는 가동배수관과, 상기 적재박스에 지지되며 상기 적재박스에 적재되는 상기 토사 슬러지의 수위에 따라 배수를 위해 상기 가동배수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배수부; 및,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 저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하부레일과, 상기 적재박스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하부레일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롤러와,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측부레일과, 상기 한쌍의 측부레일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측부레일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박스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롤러를 구비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표시된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나타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100)는 외부케이싱(110), 적재박스(120), 유압진동기(130), 배수부(140) 및 레일부(15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싱(110)은 내측에 적재박스(120)가 삽입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적재박스(120)의 길이 및 폭보다 큰 스페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케이싱(111)은 일측에 적재박스(12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3)가 형성되며, 하측의 4곳의 모퉁이에는 각각 외부케이싱(110)의 내측에 집수되는 물을 외부케이싱(1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포트(115)가 형성된다. 외부케이싱(110)의 상부 일측에는 유압실린더(145)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7)이 외부케이싱(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적재박스(120)는 내측에 토사 슬러지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21)이 형성되고, 레일부(150)에 의해 외부케이싱(11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적재박스(120)는 외부 일측에 유압진동기(130)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절곡배수관(141)이 적재박스(120)의 측벽에 배수구멍(142)이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절곡 배수관(141)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압진동기(130)는 적재박스(120)로 미세한 진동을 전가하여, 적재박스(120)에 적재된 토사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토사 슬러지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압진동기(130)는 미세 진동을 적재박스(120)로 전달하기 위해, 진동전달바(131)을 통해 내부박스(120)와 연결된다.
배수부(140)는 절곡배수관(141), 가동배수관(143), 연결부재(144) 및 유압실린더(145)를 포함하며, 적재박스(120)에 적재된 토사 슬러지(S)로부터 탈수된 물(W)을 적재박스(12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절곡배수관(141)은 일측이 적재박스(120)에 배수구멍(142)이 연통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고, 타측이 수직 상방향으로 대략 유압실린더(145)의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가동배수관(143)은 일측이 절곡배수관(141)에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연결부재(144)를 통해 유압실린더(145)의 피스톤부(145a)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가동배수관(143)은 피스톤부(145a)의 상하 구동 시 절곡배수관(14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아울러 토사 슬러지(S)로부터 분리된 물(W)이 절곡배수관(141)의 상부에 삽입되는 가동배수관(143)의 상부를 통해 절곡배수관(141)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가동배수관(143)은 그 외경이 삽입된 절곡배수관(14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밀착되도록 하여 유격으로 인한 토사슬러지(S)의 유입을 차단한다.
연결부재(144)는 상하단이 제1 및 제2 체결구(146a,146b)에 의해 각각 피스톤부(145a) 하단과 가동배수관(143) 상단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체결 구(146a,146b)는 볼트 또는 연결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힌지 역할을 하여 절곡배수관(141)에 전달되는 미세 진동에 의한 기계적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또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레일부(150)는 한쌍의 하부레일(151), 다수의 제1 롤러(153), 한쌍의 측부레일(155) 및 다수의 제2 롤러(157)를 포함하며, 적재박스(120)에 적재된 토사 슬러지(S)내의 물(W)의 탈수를 위해 적재박스(120)에 미세 진동이 가해질 때 적재박스(120)가 외부케이싱(120)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쌍의 하부레일(151)은 적재박스(120)의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요홈(123)에 대응하도록 외부케이싱(110) 내측 저면에 결합된다. 다수의 제1 롤러(153)는 하부레일(151)에 접하고, 적재박스(120)의 요홈(123) 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적재박스(120)를 외부케이싱(1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 시 적재박스(12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쌍의 측부레일(155)은 외부케이싱(1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제2 롤러(157)는 한쌍의 측부레일(155)의 내측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측부레일(155)의 외부로 돌출되어 적재박스(120)의 측면에 접하도록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 롤러(153)와 마찬가지로 적재박스(120)를 외부케이싱(1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 시 적재박스(120)를 손쉽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a 및 도 4b는 적재박스에 적재되는 토사 슬러지에 포함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배수관의 위치 변동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100)의 적재박스(120)에는, 하수 박스 내에 배치된 슬러지 배출장치(230)에 의해 이송관(231)을 통해 배출된 토사 슬러지가 적재된다.
이렇게 배출장치(230)로부터의 토사 슬러지(S)가 적재박스(120)에 적재 전 또는 적재되는 중에 작업자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특수차량(200)에 탑재된 콘트롤부(210)를 조작하여 유압진동기(130)를 작동시켜 토사슬러지(S) 내의 물(W)이 분류되도록 미세진동을 진동전달바(131)를 따라 적재박스(120)로 전가되도록 작동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다시 콘트롤부(210)를 조절하여 유압실린더(145)를 구동시켜 적재되는 토사슬러지(S)가 포함된 물(W)의 수위에 따라 가동배수관(14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물(W)만 배수처리 한다. 이는 적재박스(120)에 적재되는 토사 슬러지(S)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고 토사슬러지(S)의 물(W)의 함유량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토사 슬러지(S)로부터 탈수된 물(W)은 절곡배수관(141)의 상부내부로로 삽입되는 가동배수관(143)의 상부를 통해 절곡배수관(141)으로 유입된 후, 절곡배수관(141)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 내려 배수구멍(142)을 통해 적재박스(120)의 외 부로 배출된다.
적재박스(120) 외부로 배출된 물(W)은 외부케이싱(110)의 공간부(111) 하측에 집수된 후, 다수의 배수포트(115)를 통해 외부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다수의 배수포트(115)는 배출되는 물이 맨홀(300)을 통해 하수 박스 내로 안내하도록, 일측이 맨홀(300)에 삽입된 소정의 배수호스(미도시)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수된 물(W)에 포함된 악취가 지상의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부호 211 및 213은 각각 유압진동기(130) 및 유압실린더(14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배선이며, 220은 유압펌프이고, 221은 유압펌프(220)로부터 토사 슬러지 배출장치(230)로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호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압진동기를 통해 적재박스에 미세한 진동을 전가함에 따라 적재박스에 적재된 토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슬러지 또는 쓰레기의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다수의 배수포트를 구비한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토사 슬러지가 적재되는 적재박스;
    상기 적재박스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박스에 미세 진동을 전가함에 따라 상기 적재박스 내의 상기 토사 슬러지에에 포함된 물을 분리시키는 유압진동기;
    상기 적재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적재박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절곡배수관과, 상기 절곡배수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토사 슬러지에서 분리된 물이 상기 절곡배수관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상기 절곡배수관의 상부내부로 삽입되는 가동배수관과, 상기 적재박스에 지지되며 상기 적재박스에 적재되는 상기 토사 슬러지의 수위에 따라 배수를 위해 상기 가동배수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배수부; 및,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 저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하부레일과, 상기 적재박스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하부레일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롤러와, 상기 외부케이싱 내측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측부레일과, 상기 한쌍의 측부레일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측부레일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박스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적재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롤러를 구비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진동 토사 슬러 지 탈수장치.
KR1020070023271A 2007-03-09 2007-03-09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KR10072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71A KR100727312B1 (ko) 2007-03-09 2007-03-09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71A KR100727312B1 (ko) 2007-03-09 2007-03-09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312B1 true KR100727312B1 (ko) 2007-06-12

Family

ID=3835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271A KR100727312B1 (ko) 2007-03-09 2007-03-09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4838B (zh) * 2008-11-05 2012-10-03 向连城 振动加速污泥沉淀、浓缩、脱水法
KR102115987B1 (ko) 2020-04-10 2020-05-27 박진영 오니 탈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09Y1 (ko) 2001-11-01 2002-02-19 대보공업 주식회사 오니(汚泥)탈수차
KR20050034668A (ko) * 2005-03-10 2005-04-14 설강준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09Y1 (ko) 2001-11-01 2002-02-19 대보공업 주식회사 오니(汚泥)탈수차
KR20050034668A (ko) * 2005-03-10 2005-04-14 설강준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4838B (zh) * 2008-11-05 2012-10-03 向连城 振动加速污泥沉淀、浓缩、脱水法
KR102115987B1 (ko) 2020-04-10 2020-05-27 박진영 오니 탈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8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watering coal combustion residuals
CA2414321C (en) Shale bin/settling tank/centrifuge combination skid
EP0052135A1 (en) METHOD AND MEANS FOR CREATING A VERTICAL DRAINAGE.
KR100727312B1 (ko)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KR101300983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수 슬러지 무인 준설 및 처리시스템
CN201136834Y (zh) 一种污泥强力脱水机
KR100665868B1 (ko) 고압 천공수의 재사용 기능이 부가된 물햄머를 이용한지반천공 공법
KR20050034668A (ko)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20120008473U (ko) 진공 집수정을 이용한 수평배수장치
CN108798568A (zh) 一种钻孔灌注桩渣浆分离施工方法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CN114045812A (zh) 一种基于重力的软土地基排水固结系统
CN209873799U (zh) 一种旋挖桩干成孔的清渣装置
KR100742621B1 (ko) 하수 박스 내의 토사 슬러지 처리방법
JP2000024796A (ja) 濁水処理装置におけるスラリーの脱水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212739555U (zh) 工作面皮带运输煤水分离装置
US104580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watering sediment ponds
CN212555163U (zh) 一种垃圾渗滤液高效收集装置
CN216785957U (zh) 渣土脱水装置
CN221000466U (zh) 一种路基压实装置
CN108951834A (zh) 基于智能机器人的城市管网清淤装置
KR20130008967A (ko) 수평 드레인 모듈을 이용한 준설토 침강 및 침하 촉진공법과 매립전 및 매립중 다단식 설치 장치
CN113802540B (zh) 一种滤管外带液压十字楔入式淤泥质土内排水通道切割器
CN217811084U (zh) 一种地铁基坑支护加固结构
CN116922583B (zh) 一种含有污泥的路基材料的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