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62B1 -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6862B1 KR100726862B1 KR1020050129332A KR20050129332A KR100726862B1 KR 100726862 B1 KR100726862 B1 KR 100726862B1 KR 1020050129332 A KR1020050129332 A KR 1020050129332A KR 20050129332 A KR20050129332 A KR 20050129332A KR 100726862 B1 KR100726862 B1 KR 100726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pectacle
- glasses
- frame
- ear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람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안경 프레임의 하중이 얼굴 전면으로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는 것을 보완하여 안경의 무게중심을 귀걸이 쪽으로 다소 이동시킬 수 있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특수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무게중심은 전면 프레임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2cm 정도되는 위치의 안경다리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 위치는 사람의 얼굴 전면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이어서, 콧등에 안경 무게 하중이 전달되고, 따라서 자주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를 다소 뒤쪽으로 즉 귀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안경, 안경 프레임, 콧등, 코받침대, 귀걸이, 안경추, 악세사리, 무게중심, 나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경 프레임 귀걸이부
20 : 수나사
21, 30, 41 : 암나사
40 : 결합구
50 : 귀걸이 연결수단
60 : 결합고리
61 : 수나사
70 : 힌지
100 : 안경추
※ 위 참조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돋구기 위해 첨부된 것으로서, 도면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형상이나 크기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함을 밝힌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 중 귀걸이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람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안경 프레임의 하중이 얼굴 전면으로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는 것을 보완하여 안경 프레임의 무게중심을 귀걸이 쪽으로 다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수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안경 프레임과 렌즈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안경 프레임은 코받침대 등을 통해 사람 얼굴과 접촉하는 전면 프레임과 양쪽 귀에 거는 귀걸이부로 이루어진다. 전면 프레임은 렌즈가 끼워지는 렌즈 프레임, 코걸이, 연결힌지로 이루어지며, 귀걸이부는 안경다리와 귀걸이로 이루어진다. 귀걸이부의 안경다리는 사람의 얼굴 측면으로부터 귀에 도달하고, 귀걸이는 사람의 양쪽 귓등과 뒷머리가 맞닿는 외주면을 따라 걸쳐진다. 즉, 전면 프레임은 콧등 위에 안경을 놓게 되고, 귀걸이부는 안경을 귀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경은 사람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착용된다.
렌즈 프레임을 별도로 두지 않고 한 쌍의 렌즈의 내부방향의 특정 부위에 코받침대와 직접 나사결합하고, 렌즈의 외부방향의 특정 부위에 직접 힌지가 연결되어 안경다리와 나사결합하는 무테 안경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테 없는 안경에 있어서도, 콧등 위에 올려지고 양쪽 귀에 걸린다.
그런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그 안경의 대부분의 무게는 전방으로 쏠린다. 즉 귀걸이부는 단지 귀에 거는 역할만 수행하고, 전면 프레임에 결합하는 렌즈의 무게가 안경 프레임을 전면으로 쏠리도록 하기 때문에, 콧등에는 안경 무게의 대부분의 하중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말미암아, 안경을 오랫동안 착용하게 되면 콧등에 안경자국이 남게 되며, 안경이 무겁게 느껴져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감내해야만 하였다. 더욱이 안경 착용자의 활동이 증가 될수록, 예컨대 축구나 농구 등 활동이 심한 스포츠를 하는 경우에는, 콧등에 땀이 흐르고, 귀걸이쪽 보다는 전면으로 쏠리는 안경 무게 때문에 귀걸이를 통해 귀쪽에서 바싹 당겨주는 힘이 적어 안정감이 떨어지는데 심한 활동으로 말미암아 그 안정감이 더욱 감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콧등의 땀은 안경 코받침대의 접촉면을 미끌미끌하게 만든다는 점, 귀걸이의 안정감이 떨어지고 코받침대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점, 그런데 코받침대와 코의 접촉면이 미끌미끌하기 때문에 안경착용 자체가 매우 불안전해진다는 점, 이런 상황에서 안경 프레임에 접촉이 생기면 콧등으로부터 안경 코받침대가 완전히 미끄러지면서 이탈하여 결국 안경이 벗겨져 날아가 버리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안경 사용자는 축구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차라리 안경을 벗거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다반사였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이, 렌즈의 무게와 전면 프레임의 무게가 합쳐져서 안경 자체의 하중이 사용자의 얼굴 전면으로 쏠리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면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고, 안경렌즈가 과도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귀걸이가 있는 후방으로 하중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귀걸이라는 구성 자체가 안경을 신체(얼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쪽에 하중을 더 가하면, 고정하는 힘은 더욱 견고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코받침대는 안경을 얼굴 위에 올려놓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지 엄밀히 말하면 안경을 얼굴의 소정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과는 무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단순한 이러한 문제의식은 이제까지 오랫동안 묻혀있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특별히 제시된 바 없음을 첨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귀와 코에 가해지는 안경의 하중을 조정함으로써 편하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심한 운동시에도 안정감 있는 안경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안경이 깨지는 등의 안전사고, 안경을 재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 귀걸이에 하중을 가하 여 전면 프레임 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안경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귀걸이 방향으로 다소간 이동시키기 위한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로서: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부에 형성된 안경추 연결부; 및 그 안경추 연결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착탈식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안경의 무게가 N 그램(N은 5보다 큰 정수)인 경우에, 그 무게가 N-5 그램 내지 N-1 그램인 안경추:로 이루어지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서의 안경추 연결부는 귀걸이부의 끝을 인입지점으로 하는 암나사로 이루어지며, 안경추의 착탈식 연결수단이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경추 연결부는 귀걸이부의 특정 지점에 수나사로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그 제 1 연결부를 수용하는 암나사를 가지며 귀 모양으로 굽은 상태에서 반대쪽 끝에도 상기 안경추와 결합하는 암나사를 가지는 제 2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제 2 연결부의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또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경추 연결부를 귀걸이부의 특정 지점에 수나사로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그 제 1 연결부를 수용하는 암나사를 가지며 귀 모양으로 굽은 상태에서 반대쪽 끝에는 상기 안경추와 결합되는 결합구를 가지는 제 2 연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결합구와 결합하는 결합고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경추 연결부를 귀걸이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례에서의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안경 프레임은 전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귀걸이부(10)로 이루어지며, 귀걸이부(10)는 안경다리와 귀걸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귀걸이 방향으로 하중을 더 가함으로써 안경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다소간 귀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무게중심은 전면 프레임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2cm 정도되는 위치의 안경다리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 위치는 사람의 얼굴 전면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이어서, 콧등에 안경 무게 하중이 전달되고, 따라서 자주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를 다소 뒷쪽으로 즉 귀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귀걸이부(10)의 끝단, 정확하게는 귀걸이의 끝 부분에는 암나사(21)가 형성된다. 암나사가 귀걸이 부재 내부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를 인지하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안경추(100)가 귀걸이 끝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21)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암나사(21)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안경추(100)에 소정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그것은 수나사(61)로 이루어진다. 즉 귀걸이의 암나사(21)와 안경추(100)의 수나사(61)가 결합함으로써 귀걸이쪽의 무게가 안경추(100)의 무게만큼(정확하게는 나사의 무게도 더해진다) 증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의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실시례가 통상의 안경 프레임(안경테)에 대한 것이라면, 도 2의 실시례는 패션 안경 또는 수입 안경 등에서 볼 수 있는 굴곡이 완만하며 귀걸이의 직경이나 두께가 얇은 안경 프레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시례이다. 이 경우에는 귀걸이 자체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그 끝에 암나사를 만드는 것이 번거로운 일이다. 그래서 본 실시례에서는 귀걸이부(10)의 끝을 수나사(20)로 만들고, 별도의 연결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별도의 귀걸이 연결수단(50)의 한쪽 끝단은 상기 수나사(20)와 수용하여 결합되는 암나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쪽 끝단은 안경추(100)와 결합하는 또 다른 암나사(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귀걸이 연결수단(10)은 귀 모양으로 굽은 구조를 취하여 그 끝이 다소 밑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안경추(100)가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서 너무 삐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소정의 무게를 갖는 안경추(100)의 결합수단은 상기 암나사(41)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소정의 피치의 수나사(61)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실시례를 응용한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귀걸이 연결수단(50)의 안경 귀걸이부(10)와 연결되는 한쪽 끝단의 구성은 동일하나, 안경추(100)와 연결되는 결합수단은 암나사가 아닌 결합구(40)로 이루어진다. 이 결합구(40)를 통해 안경추(100)의 결합고리(60)가 결합한다. 안경추(100)의 결합고리(60)는 힌지(70)에 의해 개폐된다.
도 4의 실시례는 가장 간단한 구조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의 단부에 결합구(41)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결합구(41)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안경추(100)의 구조는 도 3의 실시례와 같이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결합고리(60)를 가지고 있다.
한편, 안경의 무게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렌즈의 무게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의 무게는 10g ~ 20g 정도이며, 소재와 사이즈에 따라서 무게에 약간씩 차이가 생긴다. 렌즈 자체의 소재가 가볍고, 사이즈가 작으며, 압축에 의해 무게가 가벼워진 안경렌즈를 사용하면서, 티타늄 소재의 가벼운 안경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경의 무게는 더욱 가벼워질 것이다.
무게가 10g인 경우에 안경추(100)의 무게는 5g 내지 9 g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추(100)는 왼쪽과 오른쪽 양쪽에 걸리는 것이므로 2개의 안경추(100)의 무게는 10g 내지 18g이 된다. 1개의 안경추(100)의 무게가 9g이 넘게 되면 안경의 무게중심이 지나치게 귀걸이쪽으로 쏠려버려 안경 전면 프레임이 위쪽으로 들려버 리는 문제가 생기며, 너무 낮으면 여전히 코받침대에 하중이 가해지고 운동시 불안정하다. 안경의 무게가 18g인 경우에 안경추(100)의 무게는 13g 내지 17g이 되고, 결국 2개의 안경추(100)를 걸게 되면 26g 내지 34g이 된다.
위와 같은 실시례를 통해 본 발명의 발명가는 안경 무게가 N 그램(N은 5보다 큰 정수이다)이라고 가정하면, 안경추(100)의 무게는 N-5 그램 내지 N-1 그램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N-5 그램 N-1 그램 사이의 무게 편차는 안경 착용자 개인의 기호와 편의를 고려한다. 안경추(100)의 무게가 N-1 그램에 이르면 좀더 귀쪽으로 단단하게 고정되고, 안경추(100)의 무게가 N-5 그램인 경우에는 귀쪽으로의 무게는 줄어들겠으나, 안경이 존재감을 다소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경추(100)는 단지 소정의 무게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디자인을 갖는 경우에는 악세사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안경추 악세사리를 사용하면 콧등에 과도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서 안점감을 고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션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귀와 코에 가해지는 안경의 하중을 귀쪽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더욱 안정감 있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콧등에 가해지는 안경 프레임의 하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콧등에 안경자국이 남는 문제점, 콧등 위에서 안경이 흘러내리는 문제점, 심한 운동시에 안경이 잘 고정되지 않거나 작은 충격에도 안경이 벗겨지는 문제점, 코받침대가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 등을 크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의 고정을 뒤쪽 귀걸이에서 해결함으로써 코받침대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있다.
더욱이 안경추로서 "안경추 악세사리"라는 새로운 미적 상품을 고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 삭제
- 안경 귀걸이에 하중을 가하여 전면 프레임 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안경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귀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경추 연결구조로서: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부에 형성된 안경추 연결부; 및착탈식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그 착탈식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추 연결부와 결합되며, 안경의 무게가 N 그램(N은 5보다 큰 정수)인 경우에, 그 무게가 N-5 그램 내지 N-1 그램인 안경추:를 포함하며,상기 안경추 연결부는 귀걸이부의 끝을 인입지점으로 하는 암나사로 이루어지며,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로 상기 수나사가 수용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안경추 연결부는,귀걸이부의 특정 지점에 제 2 수나사로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그 제 1 연결부를 수용하는 제 2 암나사를 가지며, 귀 모양으로 굽은 상태에서 반대쪽 끝에는 상기 안경추와 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가지는 제 2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는 상기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안경 귀걸이에 하중을 가하여 전면 프레임 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안경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귀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경추 연결구조로서: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부에 형성된 안경추 연결부; 및착탈식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그 착탈식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추 연결부와 결합되며, 안경의 무게가 N 그램(N은 5보다 큰 정수)인 경우에, 그 무게가 N-5 그램 내지 N-1 그램인 안경추:를 포함하며,상기 안경추 연결부는,귀걸이부의 특정 지점에 수나사로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그 제 1 연결부를 수용하는 암나사를 가지며 귀 모양으로 굽은 상태에서 반대쪽 끝에는 상기 안경추와 결합되는 결합구를 가지는 제 2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안경추의 상기 착탈식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결합구와 결합하는 결합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9332A KR100726862B1 (ko) | 2005-12-26 | 2005-12-26 |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9332A KR100726862B1 (ko) | 2005-12-26 | 2005-12-26 |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6862B1 true KR100726862B1 (ko) | 2007-06-11 |
Family
ID=3835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9332A KR100726862B1 (ko) | 2005-12-26 | 2005-12-26 |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686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1820U (ja) * | 1991-12-13 | 1993-11-05 | 芝 静代 | ずり落ち防止メガネ |
JP2005043800A (ja) | 2003-07-25 | 2005-02-17 | Mtec Optical:Kk | テンプルの継手構造 |
JP3112016U (ja) * | 2005-04-27 | 2005-07-28 | 株式会社グラスパートナー | 眼鏡枠のモダン |
-
2005
- 2005-12-26 KR KR1020050129332A patent/KR1007268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1820U (ja) * | 1991-12-13 | 1993-11-05 | 芝 静代 | ずり落ち防止メガネ |
JP2005043800A (ja) | 2003-07-25 | 2005-02-17 | Mtec Optical:Kk | テンプルの継手構造 |
JP3112016U (ja) * | 2005-04-27 | 2005-07-28 | 株式会社グラスパートナー | 眼鏡枠のモダン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27133B2 (en) | Earpiece-less eyeglass frame having a removable retainer strap | |
US20100283960A1 (en) | Pendant eyewear | |
KR101420774B1 (ko) | 분리형 다기능 안경 | |
CN205539762U (zh) | 一种可调式眼镜及镜架 | |
KR20200001172U (ko) |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 | |
KR100726862B1 (ko) | 안경 프레임과 안경추의 연결구조 | |
KR100726863B1 (ko) | 안경추 걸이 및 안경추 체결 구조 | |
KR20130003817A (ko) | 기능성 안경의 구조 | |
KR20090092397A (ko) | 코받침이 없는 안경 | |
KR20160022025A (ko) | 안경용 받침수단 | |
CN107678176A (zh) | 一种单镜腿眼镜架 | |
US11994753B1 (en) | Modular frame system for glasses | |
KR20100131090A (ko) |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 |
CN201804167U (zh) | 眼镜 | |
US7568796B1 (en) | Eyeglasses frame with weighted member hanging therefrom | |
JP3198046U (ja) | メガネ用アクセサリー装着具 | |
JP3242259U (ja) | メガネのずれ防止具 | |
CN220064542U (zh) | 一种隐藏式铰链太阳镜 | |
KR101798033B1 (ko) | 안경다리 | |
KR20100117431A (ko) | 안경용 고정구 | |
JP3598253B2 (ja) | 耳立て補助具付き眼鏡 | |
KR100907790B1 (ko) | 안경다리의 귀걸이 | |
CN208297858U (zh) | 一种新型眼镜镜腿 | |
KR20220021350A (ko) | 땀이 나도 불편하지 않은 안경 | |
KR200338153Y1 (ko) | 스키용 고글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