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50B1 -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50B1
KR100726850B1 KR1020050019075A KR20050019075A KR100726850B1 KR 100726850 B1 KR100726850 B1 KR 100726850B1 KR 1020050019075 A KR1020050019075 A KR 1020050019075A KR 20050019075 A KR20050019075 A KR 20050019075A KR 100726850 B1 KR100726850 B1 KR 10072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charging
receiv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013A (ko
Inventor
김한도
정희찬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화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화방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화방송
Priority to KR102005001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8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효과적인 과금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는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충전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충전 코드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기능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는 코드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과금이 완료되면, 상기 장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외부 일련번호를 데이터 방송 서비스 센터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 센터는 상기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해둔 충전 코드중 하나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충전 코드가 직접 입력되거나, 방송 신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에 입력되면,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데이터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시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한다.
DARC, DMB, 무선 데이터 방송, 충전 코드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A method for charging wireless data broadcast service and system thereof}
도 1은 종래의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금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방송 센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베이스와 과금 정보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들을 도시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 중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효율적인 과금 방법 및 상기 과금 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개의 수신 단말에 대한 다중 접속이 지원되지 않는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합리적인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과금 센터와 이동 단말의 구성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방송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종래의 고정 단말에 대한 방송 서비스외에도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개발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단지 TV 수상기와 고정된 수신기가 아니라, 카 네비게이터, PDA ,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방송 수신 모듈이 탑재된 노트북 컴퓨터등에서도 이제는 자유롭게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방송 방식에는 DARC(Data Radio Channel)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등이 있다.
DARC 는 FM 채널의 여유채널에 디지털 정보를 실어 FM 방송과 함께 뉴스, 증권, 기상 교통 정보 등의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FM 방송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활용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 터를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DMB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휴대폰 PDA나 차량용 수신장치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불린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데이터 방송 센터(40)는, 교통, 기상, 증권등 각종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선택한 정보를 송신 장치(30)를 이용하여 차량등에 설치된 방송 수신장치(2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수신 장치(20)은 수신된 방송 데이터와 GPS 위성(1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 및 가공하여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 특허 공개 제2005-5324호는 DARC 와 FM 망을 통해 전송되는 교통정보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지리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GIS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CDMA 방식 등의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거나,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역시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양방향 다중 접속의 데이터 제공 방식은 수신 단말로부터 방송센터로의 리턴채널을 위한 무선 자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방향 통신방식인 방송(broadcast)은 수신 단말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며, 리턴 채널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자원을 크게 절감하며 시스템 구현이 더 간단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는, 상기 무선 데이터의 합리적인 과금에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방송"의 경우에는 리턴 채널이 존재하지 않고, 데이터 방송 센터가 일방적으로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어떠한 단말이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이용료를 지불했는지 판단할 수 없었다.
이러한, 과금 문제를 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수신 장치의 판매시에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이용료를 수신장치 가격에 포함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는 초기 구매시에 구입자의 부담이 너무 큰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필요한 기간만 사용하고 싶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더불어 종래 기술에서는, 수신 장치가 방송 서비스 사용료를 지불하여 방송 수신이 가능한 수신 장치인지, 서비스 중단이 된 수신 장치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서, 수신 장치 양도가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정 기간동안 상기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충전 코드"를 이용하여, 과금이 완료된 이동 수신 장치에서만 방송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서비스 중지나 이용료 환불이 필요한 경우에 언제든지 방송 수신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자원의 여유가 없는 방송 시스템에서도, 무선 채널의 부담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는, 무선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충전 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에 입력된 충전 코드가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이 인에이블 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 과금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자와, 상기 장치 식별자별로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 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또는 과금 정보를 데이터 방송 신호를 위한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장치 식별자가 입력되면, 대응되 는 충전 코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금 정보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와, 데이터 방송 센터(200) 및 과금 인증센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차량에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방식으로 이동중에도 무선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단지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데이터 방송 센터(200)로 의 상향링크 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각각 고유의 장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특정 기간동안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킬 수 있는 코드(이하, "충전 코드"라고 칭함)가 암호화 되어 저장되어진다.
데이터 방송 센터(200)는, 교통, 기상, 증권등 다양한 데이터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과금 인증 센터(400)는, 각각의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장치 식별자와 대응되는 충전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센터(200)와, 과금 인증 센터는 별개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가 자신의 장치의 식별자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과금 인증 센터(400)로 전송하며, 과금 인증 센터(400)는 상기 장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충전 코드중 하나를 유/무선 통신망 또는 데이터 방송 센터의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가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에 입력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특정 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방송 수신 기능을 인에이블 시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그 기능에 따라서 크게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와, 사용자 단말부(120)부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기능과 방 송 수신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부(120)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방송 수신 데이터 수신부(110)는, 복조부(111), 디코더(112), 디스클램블러(113), 수신 제어부(115), 수신부 인터페이스(116), 과금 정보 저장부(114)를 포함한다.
복조부(111)는 에어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방송 방식에 적합하게 복조한다. 만약 DARC 인 경우에는 LMSK 방식의 복조 기능을 수행하며, DMB 인 경우에는 CDM 또는 OFDM 방식의 복조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112)는 방송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복조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고 오류 검출 및 정정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크램블러(113)는 수신된 데이터가 스크램블링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스크램블링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복호된 데이터의 디스크램링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방송 데이터의 복조, 복호, 디스크램블의 과정은 수신 제어부(115)의 제어에 기초하여 활성화 되거나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수신 제어부(115)는 과금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된 충전 코드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충전 코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복호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부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120)이 이용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충전 코드가 활성화 되었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미리 저장된 충전코 드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부(120)는, 단말측 인터페이스(121), 디스플레이부(122), 응용프로그램 저장부(123), 단말제어부(124), 사용자 입력부(125)를 포함한다.
단말측 인터페이스(121)는 수신부측 인터페이스(11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부로 수신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디스플레이부(122)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 가공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123)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교통, 기상, 뉴스, 증권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플래쉬 메모리와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24)는,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충전 코드를 과금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가 위치 정보를 이용한 교통 상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GPS 모듈(130)이 더 추가되어 실시간적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과금 정보 저장부(114)에 데이터 수신 기능을 인에이블 시킬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 기능 또는 사용자 단말부로의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금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된 정보를 도 시한 도면이다.
과금 정보 저장부에는 외부 일련번호(F10), 내부 일련번호(F20), 복수의 충전코드(F31. F32...), 복수의 상태 식별자(F42, F43), 불용코드(F50)가 저장된다.
외부 일련번호(F10)와 내부 일련번호(F20)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장치의 고유 식별자 정보이다. 한편, 내부 일련번호(F10)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자 외에는 공개되지 않는 장치 식별자이며, 암호화 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충전코드(F31, F32)는 특정시간동안 방송 데이터 수신부의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코드 정보이며, 하나의 이동 수신 단말기에 복수개가 존재한다. 상기 충전 코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거나, 단방향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값일 수 있다.
상태 식별자(F42, F43)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를 구분하는 식별자로서, 과금후 충전 상태인지, 불용 상태인지등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복수의 상태(Status)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불용코드(F50)는, 충전 코드로 인해 특정시간 방송 데이터 수신 기능이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이를 다시 디스에이블 시키는 코드 정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제어부(115)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된 충전 코드가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된 충전 코드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충전 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충전 상태로 전환하여, 특정기간 방송 데이터 수신부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는, 리턴 채널 없 이도 과금이 이뤄진 경우에 한해 무선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방송 센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데이터 방송 센터(20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 과금 데이터베이스(220), 과금 정보 제어부(230), 데이터 가공부(240), 부호화부(250), 스크램블부(260), 변조부(270), 송신부(280)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교통, 기상, 증권, 뉴스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과금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컨텐츠들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컨텐츠 이용료를 납부하였는 지와, 이용료 지불을 신청한 경우, 수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충전 코드를 장치 식별자와 매칭시켜 기록해둔다.
과금 정보 제어부(230)는, 수신기 사용자들의 과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충전 코드를 방송 신호에 실어 보내줄 수 있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가공부(24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 컨텐츠를 이동 방송 데이터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적합한 포맷으로 가공한다. 또한, 만약, 상기 컨텐츠외에도 방송 신호를 이용한 이동 방송 데이터의 수신기를 충전(활성화)시킬 경우에, 장치 식별자중 하나인 내부 일련번호와 충전코드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가공한다.
여기서, 방송 서비스의 이용료가 과금이 완료되었는지 영부는 과금 인증 센터(400)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과금 데이터베이스(220) 및 과금 정보 제어부(230)의 기능 역시 과금 인증센터(400)에서 수행되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가공된 데이터는, 부호화부(250), 스클램블부(260), 변조부(270), 송신부(280)를 통해, 부호화, 스클램블링, 변조 과정을 거쳐 특정 지역의 이동 방송 수신기로 전송된다.
상기, 부호화, 스크램블링, 변조의 과정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100)의 복조, 디스크램블링, 복호화 과정에 역으로 대응되는 기능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베이스와 과금 정보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과금 데이터베이스(220)는, 각각의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외부 일련번호(F61), 내부 일련번호(F61), 복수의 충전코드(F62), 불용코드(F63), 상태 식별자(F64)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일련번호(F60)는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장치 식별자로서, 방송 수신기 사용자가 직접 과금을 위하여 파악하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내부 일련번호(F62) 역시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장치 식별자이지만 상기 내부 일련번호는 사용자가 파악할 수 없도록 설정한 것으로서, 만약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을 요청한 경우, 충전코드와 함께 방송 신호에 삽입되어 전송된다.
즉, 방송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 일 부에 일정 기간동안 내부 일련번호와 그 충전 코드 정보를 삽입하여, 방송을 수행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내부 일련번호가 자신의 내부 일련번호와 동일한지를 상관 연산등을 통하여 판단한 후, 동일한 경우에는 대응되는 충전 코드를 수신하여 충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충전 코드는 특정기간동안만 충전이 가능한 충전 코드 외에도, 더 이상 충전이 필요 없도록 영구적으로 수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무한 충전 코드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과금 정보 제어부(230)는, 내부 일련번호 검색부(231), 충전 코드 검색부(232), 상태 식별자 갱신부(233), 충전 코드 제어부(234)를 포함한다.
내부 일련번호 검색부(231)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진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내부 일련번호를 검색한다.
충전 코드 검색부(232)는 내부 일련번호 또는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이동 수신기를 위해 미리 저장된 충전 코드를 검색하고 그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상태 식별자 갱신부(233)는, 충전 코드 또는 불용 코드의 전송 여부에 따라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를 갱신하여 과금/환불 등을 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의 상태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충전 코드 제어부(234)는, 외부 일련번호 또는 내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충전 코드를 데이터 가공부에 전달하거나, 충전 코드를 관리하여, 한번 사용된 충전 코드는 폐쇄하거나, 특정 주기 후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또한, 충전 코 드를 암호화하거나 더 짧은 입력값으로 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센터는 방송 서비스의 이용료가 지불된 경우에는 직접 충전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뿐 아니라, 방송 신호에 내부 일련번호와 충전 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동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수신 기능을 인에이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기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시키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채널 증가의 부담이 적으며, 과금 관련 로직이 상당히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외부에는 공개되지 않는 내부 일련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설 방송 장비를 이용하여 불법적인 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들을 도시한 상태 천이도이다.
과금 상태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Status)는 출고 상태(ST0), 충전 상태(ST2), 비충전 상태(ST2), 무한 충전 상태(ST3), 불용 상태(ST4)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의 상태는,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가 상태 식별자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과금 상태를 실시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출고 상태(ST0)는, 최초로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출고될 때의 상태로서, 소정의 기간동안 방송 수신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고 상태(ST0)에서 충전 상태(ST1)로 자동 천이가 수행되며, 방송 수신 가능 기간은 최초 전원이 ON 된 경우에 누적 시간이 소정 시간이 될 때 까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통 과정이나 테스트 과정에서의 기기조작으로 인해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비충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충전 상태(ST1)는 출고 상태(ST0)에서 자동 천이 되었거나, 비충전 상태에서 충전 코드중 하나를 입력받아 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간이 도과하게 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비충전 상태(ST2)로 천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서, 특정 금액을 지불하여 영구히 방송 수신 기능을 수신하고 싶은 경우, 영구히 수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무한 충전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한 충전 코드가 입력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무한 충전 상태(ST3)로 천이된다. 이때는 특정 시간이 지나도 비충전 상태(ST2)로 천이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가 충전 상태 또는 무한 충전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사용을 중지하고 환불을 요청하는 경우도 발생 할 수 있다.
이 때는,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는 불용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용코드가 입력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불용상태(ST4)로 천이되며, 불용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식별자를 출력한다. 상기 불용 상태 식별자를 과금 인증 센터에 통보하는 경우에는 과금 인증 센터는 불용상태로 된 것을 확인한 후, 사용료 환불 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는 서비스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언제 든지 서비스 중단을 받을 수 있으며, 수신기의 양도등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비충전 상태에서, 수신기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에 사용료를 결재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충전을 위하여 외부 일련번호를 확인한다(S100).
이후, 사용자는 상기 외부 일련번호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에 전송한다(S110, S120). 상기 외부 일련번호 전송은 사용자 본인이 인증되기만 하면, 음성 통화 또는 과금 홈페이지등에 입력하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가 외부 일련번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직접 충전을 할 것인지, 방송 신호를 이용한 충전(이하, 에어충전이라 칭함)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한다(S130).
만약, 직접 충전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충전 코드를 검색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충전코드중 하나를 제공하고, 상태 식별자를 비충선 상태에서 충전 상태로 갱신한다(S131, S135).
상기 충전 코드를 수신받은 사용자는 상기 충전 코드를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S140).
한편, 에어 충전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내부 일련번호를 검색한다(S132). 내부 일련번호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를 식별하는 일련번 호로서, 사용자는 알 수 없도록 비공개 처리되거나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내부 일련번호 검색이 완료되면, 외부/내부 일련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충전코드를 검색하여, 복수의 충전 코드중 하나를 선택한다(S133).
한편, 방송신호를 이용한 충전(에어 충전)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일련번호를 충전 코드와 매칭시켜, 방송 신호에 삽입하여 전송한다(S134). 상기 내부 일련번호 및 충전코드의 데이터 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특정 지역, 특정 기간동안, 패킷의 일부에 삽입하여 방송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일련번호 및 충전 코드가 포함된 방송 신호는, 특정 지역의 모든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전송되지만, 상기 내부 일련번호가 자신의 내부 일련번호와 동일하지 않은 방송 수신기는 충전 코드를 수신하지 않는다. 자신의 내부 일련번호와 동일한 방송 신호를 확인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충전 코드를 수신한다(S141).
만약, 충전 코드가 보안을 위해 부호화 되었거나, 내부 일련번호를 키(key)값으로 하여 암호화된 경우에는, 충전 코드의 복호 및 인증 절차를 더 거칠 수 있다(S15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 중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00)에서, 데이터 방송의 서비스의 이용을 중지하고 싶은 경우에,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 중지를 요청하여, 외부 일련번호를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에 외부 일련번호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으면, 상기 외부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불용코드를 검색하여, 불용코드를 데이터 방송 수신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10, S220).
상기 불용코드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불용코드를 입력하여, 방송 수신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S230).
여기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불용상태가 된 것을 확인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창에 불용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제공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유/무선 통신망를 통해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에 전송하여, 불용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240).
상기 불용 상태 식별자가 전송되면, 데이터 방송 센터 또는 과금 인증 센터는 상기 상태 식별자가 해당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불용 상태 식별자인지를 확인하고, 맞는 경우에는 현재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상태가 불용 상태인 것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S250, S260).
불용 상태가 확인되며, 데이터 방송 수신기 자체에서 방송 수신 서비스는 중지되며, 과금 인증 센터에서는 남아있는 기간등, 약관에 따른 사용료를 환불한다.
여기서, 불용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불용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충전 코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간만큼 자유롭게 데이터 방송 서비스료를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소한 시스템 구성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 수신기능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료 환불이 필요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서비스 중단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편의 및 수신기 양도의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16)

  1. 삭제
  2.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방송 데이터의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충전 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에 입력된 충전 코드가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이 인에이블 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복조 방식에 따라서 복조하는 복조부; 및
    복조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복호 방식에 의해 디코딩하는 디코더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부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부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 수신부 및 사용자 단말부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데이터 및 충전 코드를 상호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5.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방송 데이터의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충전 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에 입력된 충전 코드가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이 인에이블 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제어부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자신의 장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충전 코드를 수신하여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 저장부는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불용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불용 코드가 입력되면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고, 불용 상태를 식별하는 상태 식별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부에 제공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8. 삭제
  9.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자와, 상기 장치 식별자별로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 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또는 과금 정보를 데이터 방송 신호를 위한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장치 식별자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충전 코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금 정보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식별자는 외부에 공개된 외부 일련번호와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내부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정보 제어부는, 상기 내부 일련번호와 상기 선택된 충전 코드를 방송 신호의 패킷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데이터 가공부를 제어하는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 과금 시스템.
  10.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자와, 상기 장치 식별자별로 방송 데이터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복수의 충전 코드를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또는 과금 정보를 데이터 방송 신호를 위한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장치 식별자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충전 코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금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식별자는 데이터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이 인에이블된 상태를 의미하는 제 1 상태 식별자, 데이터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를 의미하는 제 2 상태 식별자,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중단을 의미하는 제 3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 과금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 제어부는,
    상기 충전 코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제 1 상태 식별자 로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불용 코드를 제공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제 3 상태 식별자로 갱신하는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 과금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가공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변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은 DARC 또는 DMB 방식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는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 과금 시스템.
  13.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에 있어서,
    a) 무선 데이터 방송 센터가 과금이 완료된 무선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장치 식별자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장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충전 코드 - 여기서, 충전 코드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마다 구비하고 있는 코드로서 데이터 방송의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시키는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검색된 충전 코드중 하나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데이터 방송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 단계에서,
    상기 장치 식별자중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장치 식별자인 내부 일련번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일련번호와 상기 선택된 충전코드를 방송신호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과금 방법.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e)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서비스 중단을 위해 상기 장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f) 장치 식별자에 대응하여 불용 코드-여기서, 불용 코드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마다 구비하고 있는 코드로서 데이터 방송의 수신 또는 제공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g) 상기 검색된 불용 코드중 하나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불용 코드를 제공한 데이터 방송 장치에 대한 서비스 중단 또는 환불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과금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g) 상기 충전 코드를 제공한 무선 데이터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에 대해, 제 1 상태 식별자로서 상태 식별자를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충전 코드에 대응하는 인에이블 기간이 도과된 무선 데이터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에 대해 제 2 상태 식별자로서 상태 식별자를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불용 코드를 제공한 무선 데이터 장치로부터 불용 코드 입력의 확인을 수신하면, 해당 무선 데이터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에 대해 제 3 상태 식별자로서 상태 식별자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과금 방법.
KR1020050019075A 2005-03-08 2005-03-08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KR10072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075A KR100726850B1 (ko) 2005-03-08 2005-03-08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075A KR100726850B1 (ko) 2005-03-08 2005-03-08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13A KR20060098013A (ko) 2006-09-18
KR100726850B1 true KR100726850B1 (ko) 2007-06-11

Family

ID=3762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075A KR100726850B1 (ko) 2005-03-08 2005-03-08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63B1 (ko) * 2006-11-21 2007-12-1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유료 지상파 dmb 서비스의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CN115742794B (zh) * 2022-11-16 2023-08-29 江苏镭神智造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口盖的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469A (ko) * 2002-08-30 2002-09-26 (주)비웨이 이동 환경에서의 방송을 통한 정보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469A (ko) * 2002-08-30 2002-09-26 (주)비웨이 이동 환경에서의 방송을 통한 정보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13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9736B1 (en) Conditional access for a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KR100311887B1 (ko) 선택 호출 장치 및 정보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법
KR100795655B1 (ko) 방송 서비스 액세스 제어
US20070121940A1 (en) Digital broadcasting conditional access terminal and method
JP2005500752A (ja) 受信器のための暗号化された伝送情報へのハイブリッドな条件付き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87717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e-caching broadcast content for merchandising on a wireless mobile device
CN1762158A (zh) 条件访问机制的控制
EP0595354B1 (en) System for authorizing and billing the use of data transmitted by radio
US20080010209A1 (en) Method for managing user domain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system thereof
US20060168633A1 (en) Broadcasting terminal and viewing method
KR100744340B1 (ko)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319543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携帯端末、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管理プログラム
CN102124761B (zh) 在通用用户标识模块解锁环境下保留广播信息的系统及其方法
KR100726850B1 (ko) 무선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CN105682233A (zh) 一种无线保真wi-fi分享方法及装置
JP201705068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側装置
KR10077740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JP2004208198A (ja) 有料放送課金システム、有料放送課金方法、及び有料放送課金プログラム
CN111131869B (zh) 多个ca系统实时动态切换的方法及系统
CN102457774B (zh) 电视节目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0801595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broadcast communication
JP2000354003A (ja) 車載用データ受信装置
KR100811345B1 (ko)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22318B2 (ja) 有料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有料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用プログラム
CN115988486A (zh) 用于信息发布的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