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49B1 -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49B1
KR100726849B1 KR1020040103908A KR20040103908A KR100726849B1 KR 100726849 B1 KR100726849 B1 KR 100726849B1 KR 1020040103908 A KR1020040103908 A KR 1020040103908A KR 20040103908 A KR20040103908 A KR 20040103908A KR 100726849 B1 KR100726849 B1 KR 10072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frame
ground
waterproof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522A (ko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1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8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측 설치대에는 내,외측에 외측으로 힌지 개폐 가능한 절첩 매쉬망체와 고정 설치된 고정 매쉬망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설치대 양측 전,후방에는 연결돌기가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설치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있되, 상부는 상광 하협(上廣下狹)진 형태의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은 방수 마감재로 마감 처리된 방수 러버지지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통해 연질토로 이루어진 지반에 하수도관을 연결 시공하게 되더라도 지반과의 견고한 결속을 취해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이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절첩 매쉬망체,방수 러버지지부재

Description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Device of reclaim stabilization for drain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요부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수관 2 : 터파기
10 : 프레임 12 : 설치대
14 : 절첩 매쉬망체 16 : 고정 매쉬망체
18 : 연결돌기
20 : 방수 러버 지지부재 22 : 설치홈
24 : 방수 마감재
본 발명은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토로 이루어진 지반에 하수도관을 연결 시공하게 되더라도 지반과의 견고한 결속을 취해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이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오·폐수와 빗물 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를 모으는 하수도는 하수관로 시설과 하수 처리시설 및 슬러지 처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수관로시설은 크게 하수관거와 펌프장으로 구성되며 하수관로는 관거, 오수받이, 우수받이, 맨홀, 우수토실, 토구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우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는 시공되는 위치의 토질(경질토, 보통토, 연질토, 극연질토로 구분)에 따라 실제로는 관부식과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초(모래 또는 쇄석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달리 조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토질의 상태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모래 또는 쇄석을 깔거나 기초받침 PC콘크리트를 연접 설치한 후 이 상부에 관거를 이음 연결하고, 다시 되메우기하여 시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는 종래의 오폐수 하수관로는 경질토와 보통토 내에 시공할 경우에는 그다지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부등침하가 자주 발생하는 연질토와 극연질토에 시공할 경우에는 지반의 부등침하와 지하수 부력에 의한 토압이 전가되어 올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하지 못하고 기초 및 하수관로가 심각하게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실사용시 다량의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켜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하자를 빈번히 발생시켜 막대한 예산을 편성하여 주기적인 관리를 취해 주어야 하는 비경제적이고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질토로 이루어진 지반에 하수도관을 연결 시공하게 되더라도 지반과의 견고한 결속을 취해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이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양측 설치대에는 내,외측에 외측으로 힌지 개폐 가능한 절첩 매쉬망체와 고정 설치된 고정 매쉬망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설치대 양측 전,후방에는 연결돌기가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설치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있되, 상부는 상광 하협(上廣下狹)진 형태의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은 방수 마감재로 마감처리된 방수 러버지지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요부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의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설치대(12)에는 내,외측에 외측으로 힌지 개폐가능한 절첩 매쉬망체(14)와 고정 설치된 고정 매쉬망체(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설치대(12) 양측 전,후방에는 연결돌기(18)가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 설치대(12)의 내측에는 상부에 상광 하협(上廣下狹)진 형태의 설치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은 방수 마감재(24)로 마감처리된 방수 러버지지부재(2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10)의 설치대(12)에는 내측에 방수 마감재(24) 외측면이 밀착되되, 방수 러버지지부재(20)는 하수관(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방수 마감재(24)의 내측에 고무재로 제작되는 상광 하협(上廣下狹)진 형태로 제작된 설치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설치홈(22)의 외측을 방수 마감재(24)로 마감 처리하여 일체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공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터파기(10)된 지면상에 상기 프레임(10)을 길이방향으로 연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임(10) 설치대(12) 양측 전,후방에 형성된 연결돌기(18)에 별도의 볼트를 체결하여 프레임(10) 간을 결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설치대(12) 내측에 방수 러버지지부재(20)를 삽입 위치 시키고, 이 방수 러버지지부재(20)의 설치홈(22) 부위에 하수관(1)을 연결 위치시키며, 상기 설치대(12)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절첩 매쉬망체(14)를 터파기(2)된 양측 사면에 접하게 절첩 위치시킨 후 터파기한 흙을 다시 되메움하여 다지면 시공이 완료된다. 즉, 프레임(10)의 설치대(12)에는 내측에 방수 러버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방수 마감재(24)가 삽입설치되어 밀착되는 한편, 설치홈(22)의 내측에 하수관(1)을 안착시켜 안정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으로 부터 펼 쳐진 절첩 매쉬망체(14)에 의해 지반과의 견고한 결속을 취해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하수도관(1)의 초기 설치 상태가 변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하수관(1)으로 전달되는 토압에 상기 방수 러버지지부재(20)가 미세한 완충 작용 및 변형 지지를 취해 토압 전가에 의해 하수관(1)이 파손 및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수관(1) 이음부가 이완되거나 이탈되어 누수 현상이 초래될 시 상기 방수 러버지지부재(20)의 방수 마감재(24)를 통해 누수가 하수도관(1)을 지지하는 지반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지지 지반을 붕괴하거나 약화시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질토로 이루어진 지반에 하수도관을 연결 시공하게 되더라도 상기 프레임과 이 프레임으로 부터 펼쳐진 절첩 매쉬망체를 통해 지반과의 견고한 결속을 취할 수 있으므로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으로 인해 이 하수도관이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있고, 하수관 이음부가 이완되거나 이탈되어 누수 현상이 초래될 시 상기 방수 러버지지부재를 통해 누수가 하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을 붕괴하거나 약화시키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어, 오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문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과 이동 운반이 용이한 경량재로 제작되어 있어 제작과 시공상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향상 시켜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 설치대(12)에는 내,외측에 외측으로 힌지 개폐 가능한 절첩 매쉬망체(14)와 고정 설치된 고정 매쉬망체(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설치대(12) 양측 전,후방에는 연결돌기(18)가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설치대(12)에는 내측에 방수 마감재(24)의 외측면이 밀착되되, 하수관(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방수 마감재(24)의 내측에 상광 하협(上廣下狹)진 형태로 설치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설치홈(22)의 외측을 방수 마감재(24)로 마감 처리하여 구성된 방수 러버지지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KR1020040103908A 2004-12-10 2004-12-10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KR1007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08A KR100726849B1 (ko) 2004-12-10 2004-12-10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08A KR100726849B1 (ko) 2004-12-10 2004-12-10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654U Division KR200377143Y1 (ko) 2004-12-07 2004-12-07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22A KR20060063522A (ko) 2006-06-12
KR100726849B1 true KR100726849B1 (ko) 2007-06-11

Family

ID=3715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08A KR100726849B1 (ko) 2004-12-10 2004-12-10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5A (zh) * 2020-04-22 2020-08-04 广东中帆建设有限公司 市政雨污分流管道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39B1 (ko) * 2006-10-16 2007-03-20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친환경적인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0U (ko) * 1986-06-19 1988-01-06
JPH0492178A (ja) * 1990-08-03 1992-03-25 Mikio Maruyama ヒューム管の基礎構造
KR200265335Y1 (ko) * 2001-07-28 2002-0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연약지반용 지하수 유출부 하수관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0U (ko) * 1986-06-19 1988-01-06
JPH0492178A (ja) * 1990-08-03 1992-03-25 Mikio Maruyama ヒューム管の基礎構造
KR200265335Y1 (ko) * 2001-07-28 2002-0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연약지반용 지하수 유출부 하수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5A (zh) * 2020-04-22 2020-08-04 广东中帆建设有限公司 市政雨污分流管道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522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6069779B2 (ja) 多層式下水道管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0726849B1 (ko)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KR101418040B1 (ko)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JP7467228B2 (ja) 配管構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200377143Y1 (ko) 하수도관의 매립 안정기구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110110959A (ko)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101722450B1 (ko)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0659397B1 (ko) 수평토압과 수직토압에 견디기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0677904B1 (ko)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CN106759645A (zh) 一种一体式雨水回收蓄调水系统及其方法
KR200387852Y1 (ko)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KR200261900Y1 (ko) 연약지반의 누수방지를 위한 오폐수 하수관로 설치구조
KR102344238B1 (ko) 비점오염배수관을 우수관으로 전용할 수 있는 일체형 배수구조물
JP2000107721A (ja) 廃棄物処分場の浸出水貯留工法
KR100638843B1 (ko)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KR101568018B1 (ko) 터널형 빗물 저류침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