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573B1 -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573B1
KR100726573B1 KR1020040075989A KR20040075989A KR100726573B1 KR 100726573 B1 KR100726573 B1 KR 100726573B1 KR 1020040075989 A KR1020040075989 A KR 1020040075989A KR 20040075989 A KR20040075989 A KR 20040075989A KR 100726573 B1 KR100726573 B1 KR 10072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s
server
monitoring
test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140A (ko
Inventor
이태영
양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S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회선 운용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통신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회선 장애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DCS 접속 세션정보 및/또는 DCS 제어명령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제어정보 원격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은, DCS 감시서버에서, 연결하고자하는 DCS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정보를 읽어와서 DCS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상기 DCS 서버에 연결된 프로세스 및 상기 연결된 프로세스로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이나,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Control Information Remote Control System i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DCS Se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도 1은 종래의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보인 DCS 감시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데이터 감시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감시 절차 중 프로세스 접속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감시 절차중 DCS 서버와 시험서버간 제어 명령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 명령감시 절차 중 DCS 감시 서버 명령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시험서버 101 : 고장시험용 프로그램 저장부
102 : 시험용 프로세서 200 : DCS 서버
201 : 시험용 인터페이스 202 : DCS 서버관리용 인터페이스
300 : DCS 감시서버 301 :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
302 : DCS감시서버용 관리프로그램 저장부 311 : 환경설정부
312 : 실행부 321 :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
322 : DCS 감시서버 명령처리부 400 : DCS
500 : 원격시험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igital Cross-Connect System:DCS)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회선 운용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DCS 제어 관련 업무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통신회선 운용, 관리업무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실시간으로 통제 및 관리 할 수 있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디지털 전용통신망은 고정된 통화 채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igital Cross-Connect System : DCS)을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DCS는 고속 디지털 회선에서 각 디지털 신호에 대한 전자적 교차 접속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입중계 디지털 회선을 원래 신호로 복원하는 역다중화 기능과, 출중계 디지털 회선에서 매트릭스를 통한 신호를 다른 시간 슬롯에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트래픽의 통합, 회선 분배 및 재분배가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이용과 효율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통신망관리시스템에는 복수개의 DCS(11a-11n)이 구비되고, 각각의 DCS(11a-11n)에는 전용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원격측정장치(13b-13n)가 연결되어 있다. 전용회선관리시스템은 패킷망(14)을 이용하여 원격측정장치(13)를 제어한다. 이때,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에는 원격시험에 필요한 전용회선 가입자의 구성내역, 경유 전화국, 수용된 측정장치 및 회선 엑세스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운용자들은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에 접속된 복수개의 운용단말기(17)를 이용하여 장애회선에 대한 관련정보를 검색하고,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에 내장된 서버 프로그램은 장애회선이 수용된 원격측정장치(13)와 패킷망(14)을 이용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패킷망(14)은 원격측정장치(13)를 모두 접속하였으므로 전용회선이 연결된 모든 전화국을 대상으로 장애발생 여부의 시험이 가능하 다. 도 1에서 보인 회선시험을 위한 엑세스장치(12)는 기본적인 회선의 접속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DCS(11a-11n)의 회선 접속기능을 이용한 회선엑세스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에서 DCS(11a-11n)의 제어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DCS(11a-11n)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관리시스템에서는,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장치(15) 내에 DCS(11a-11n)를 경유하는 통신회선의 장애 진단을 위해 시험 서버와, DCS 서버를 각각 구비시키고, 운용자가 시험서버를 구동하여 DCS 서버를 통하여 각 DCS(11a-11n)에 소정 제어명령을 보내고, DCS 서버 관리자가 DCS 서버가 구동되는 운용단말기(17a-17n)의 화면에 출력되는 명령 내역을 추적하여 통신 회선 장애 진단 업무의 진행상황을 관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DCS 서버가 연결된 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서는 원격측정장치(13a-13n)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단순히 운용단말기(17a-17n)의 화면에 나타내기만 하였기 때문에, 운용자는 특정 노드에 소정 프로세스가 몇 개나 연결되었으며, DCS 제어 관련 업무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웠었다. 예를들어, DCS(11a-11n)에 접속된 시험 세션의 접속상황이나 해제 상황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기가 어려웠었고, 각 시험 세션별로 진행되는 DCS 제어명령 분석을 통한 업무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도 또한 어려웠었다.
또한, 운용자의 현재 제어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으로 DCS 서버를 경유하여 진행되는 장애 진단업무를 전체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DCS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회선 운용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통신망관리시스템에서 통신회선 장애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험서버와 DCS서버간의 제어명령 흐름을 원격으로 감시하여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제어정보 원격 감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CS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회선 운용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통신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회선 장애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험서버와 DCS 제어와 관련된 프로세스간 데이터를 중계하는 DCS서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제어정보 원격 감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DCS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회선 운용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통신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회선 장애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DCS 접속 세션정보 및/또는 DCS 제어명령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제어정보 원격 감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은, 고속 디지털 회선에서 각 디지털 신호에 대한 전자적 교차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교차 접 속 시스템(DCS)과; 상기 복수개의 DCS에 각각 연결되어 전용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소정 시험을 통해 장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격시험장치와; 운영자의 각종 시험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간 주고받는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여 전달하기 위한 DCS 서버와; 통신회선 장애 진단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 서버간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감시하고, 상기 DCS와 상기 원격시험장치간 주고받는 제어 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기 위한 DCS 감시서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은, 한쌍 이상의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CS)과 원격시험장치와; 각종 시험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간 주고받는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기 위한 DCS 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 서버간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감시하고, 상기 DCS와 상기 원격시험장치간 주고받는 제어 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기 위한 DCS 감시서버를 구비한 통신망관리시스템에서, 상기 DCS 감시서버에서, 연결하고자하는 DCS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DCS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상기 DCS 서버에 연결된 프로세스 및 상기 연결된 프로세스로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이나,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은, 고속 디지털 회선에서 각 디지털 신호에 대한 전자적 교차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igital Cross-Connect System:DCS)(400)과; 복수개의 DCS(400)에 각각 연결되어 전용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절분(Split) 및/또는 루프백 시험을 통해 장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격시험장치(500)와; 운영자의 각종 시험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서버(100)와; 시험서버(100)와 DCS(400)간 주고받는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여 전달하기 위한 DCS 서버(200)와; 통신회선 장애 진단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험서버(100)와 DCS 서버(200)간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감시하고, DCS(400)와 원격시험장치(500)간 주고받는 제어 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기 위한 DCS 감시서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의 시험 서버(100)는 중앙제어장치를 구비한 전용회선 관리시스템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험서버(100)의 고장시험용 프로그램 저장부(101)에는 여러 종류의 시험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어, 시험용 프로세서(102)를 통하여 통신회선 장애 진단을 위한 각종 시험에 따른 제어명령 및 이에 따른 응답을 DCS 서버(200)를 통하여 DCS(400)와 주고 받는다.
또한, DCS 서버(200)의 시험용 인터페이스(201)는 시험서버(100)의 시험용 프로세서(102)에서 전달되는 각종 시험에 따른 제어명령을 인터페이스처리하여 DCS(400)에 전달하며, DCS(400)에서 전달되는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여 시험서버(100)의 시험용 프로세서(102)에 전달한다. DCS 서버(200)의 DCS 서버관리용 인터페이스(201)는 DCS 감시서버(300)에서 요청하는 감시명령을 시험서버(100) 또는 DCS(400)에 전달하며, 시험서버(100) 또는 DCS(400)에서 전달되는 감시명령에 대한 응답을 DCS 감시서버(300)로 전달한다.
또한, DCS 감시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파일들을 읽어와서, DCS서버(200)에 접속하는 환경설정부(311)와, DCS서버(200)에 연결된 후 프로세스 및 데이터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실행부(312)로 구성되는 DCS 감시서버 관리용 프로세서(301)와; DCS 서버(200)를 감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는 DCS 감시서버용 관리프로그램 저장부(302)로 구성된다.
여기서, DCS 감시서버 관리용 프로세서(301)의 실행부(312)는 DCS 서버(20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와, DCS 감시서버용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3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세스 및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DCS 감시서버 명령처리부(3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에 따른 제어정보 원격 감시절차를 첨부된 도 2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데이터 감시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 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DCS 감시서버(300)에서 DCS 감시서버 관리용 프로세서(301)의 환경설정부(311)는 시험서버(100)가 위치한 전용회선관리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DB)의 환경설정파일을 읽어와서 이에 맞게 DB 환경구성파일을 설정한다(S11,S12). 이어, 환경설정부(311)는 연결하고자 하는 DCS서버(200)에 대한 네트워크정보를 환경파일로부터 읽어온다. 즉, DCS 서버(200)의 네트워크의 환경 조회 접속 프로세서 관련 변수를 초기화한 후, DCS서버(200)의 접속 환경파일을 읽어와서 DCS서버(200)에 대한 네트워크정보(즉, IP 주소, 포트 번호, 센터)를 알아낸다(S13,S14).
이후, DCS 감시 서버 관리용 프로세서(301)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접속하고, 이어 DCS 서버(200)에 접속한다(S15).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는 DCS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운영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16).
이후,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는 수신된 데이터가 DCS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 DCS 감시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수신된 데이터의 발신측을 확인한다(S17).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DCS 서버(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는 DCS 서버 메시지 토큰을 분석하여(S18), 수신된 데이터가 프로세서 접속관리 명령인지를 판단한다(S19).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프로세서 접속관리 명령인 경우, DCS 서버 데이터 처리부(321)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접속 관리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제어한다(S20).
반면, 수신된 데이터가 DCS 서버(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고 수신된 데이터가 프로세서 접속관리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는 수신된 결과가 DCS 서버(200)와 시험서버(100)간 제어명령인지를 판단한다(S21). 이때, DCS 서버 데이터 처리부(321)는 DCS 서버(200)와 시험서버(100)간 제어명령으로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명령관리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제어한다(S22).
한편, S17 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DCS 감시서버(3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의 메시지 토큰을 분석하고(S23), 수신된 데이터가 운영자가 키보드의 입력이나 조작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이면, 도 7에 되시된 바와 같이 DCS 감시서버 명령처리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제어한다(S24).
이어,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는 로그아웃을 실행해야하는 단계인지를 판단하고(S25), 로그아웃을 실행해야할 경우로 판단되면 DCS서버 관리프로세스와 데이터베이스(DB)와의 연결을 끊고, 이후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와 DCS 서버(200)의 연결을 끊고 종료한다(S27,S28). 그러나, S25 단계에서 로그 아웃을 실행하는 단계가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예외로 처리하고 DCS 서버(200)로부터 소켓 이벤트 수신을 대기한다(S2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 명령감시 절차 중 프로세스 접속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는 먼저 수신된 데이터 포맷의 헤더를 검사하여 접속/해제 구분헤더를 분석한다(S31). 이어,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는 DCS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프로세스 접속정보인지를 판단한다(S32).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프로세스 접속정보인것으로 판단되면, 어떤 프로세스인지를 구분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S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 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33). 만일, 접속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속된 시험 세션 식별자(ID)를 분석하고(S34), 동일한 시험세션 식별자를 찾아 DCS 카운트 변수를 1 만큼 증가시킨다(S35). 이어, 접속된 운용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시키고(S36), 시험 세션별로 접속된 운용 단말기의 수정, 갱신 정보 화면에 출력시킨다(S41).
한편, S33 단계에서,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해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37). 이때,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로 판단되면, 접속 해제된 시험 세션 식별자를 분석하고(S38), 동일한 시험 세션 식별자를 찾아 DCS 카운트를 1만큼 감소시키고(S39), 접속 해제된 운용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시키고(S40), 시험 세션별로 접속된 운용 단말기의 수정, 갱신 정보 화면에 출력시킨다(S41).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감시 절차 중 프로세스 접속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에서는 DCS감시서 버 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 처리부(321)는 수신한 DCS 서버(200)로부터의 데이터가 프로세스 연결정보인 경우,어떤 프로세스인지를 구분하고, DCS 서버(200)에 연결을 시도한 것인지 연결을 끊은 것인지를 확인하여, 운용 단말기의 화면에 해당 프로세서를 가감하여 새로운 프로세스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한편, S32 단계에서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는 DCS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프로세스 접속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DCS 서버 접속 정보가 아닌경우, 자동적으로 시험서버 접속정보인지를 판단하여(S42), 시험서버 접속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 이벤트가 발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3). 이때, 접속 이벤트가 발행된 경우, 시험 세션 식별자를 부여하고(S44), 이어 시험 세션 정보를 운용자 단말기에 출력한다(S45). 그러나, S43 판단단계에서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하여(S46),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시험세션에 접속된 DCS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7). 이때, 접속된 DCS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험 세션 DCS 리스트 접속을 해제하고(S48), 이어 접속된 DCS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험 세션 식별자를 해제하고(S49), 시험 세션별로 접속된 운영자 단말기의 수정,갱신정보 화면에 출력한다(S5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7,S46의 해제 이벤트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행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예외로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단계로 리턴한다(S51,S52).
따라서, 프로세스 접속 관리 모듈에 수신된 데이터가 프로세스 연결정보가 아닌경우에는, 통신회선 고장수리 절차에서 DCS 서버(200)와 시험서버(100)간 주고받는 제어명령(TCON,TDIS)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명령 정보가 아니면 미리 설정된 단계로 리턴하고, 제어명령 정보이면, 우선 어떤 프로세스가 보낸 것인지 출처를 구분하여 해당 프로세스에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감시 절차중 DCS 서버와 시험서버간 제어 명령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는 먼저 수신된 데이터 포맷의 헤더를 검사하여 명령/응답 구분헤더를 분석한다(S61). 이어, DCS 감시서버관리용 프로세서(301)의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321)는 DCS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DCS 제어명령정보인지를 판단한다(S62).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DCS 제어명령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명령정보를 분석하고(S63), DCS 접속요구(DCS TCON)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S64), DCS 접속 요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자 단말기의 DCS 보정 화면에 출력하고(S65), 미리 설정된 소정 단계로 리턴한다.
그러나, S64 단계에서 DCS 접속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DCS 해제 요구가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여(S66), DCS 해제 요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자 단말기의 DCS 해제 보정 화면에 출력하고(S67), 미리 설정된 소정 스텝으로 리턴한다.
한편, S62 단계에서 수시된 데이터가 DCS 제어명령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명령 응답인지를 판단한다(S69). 이때, 제어명령 응답인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험 세션정보 및 DCS 결과값을 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S70), 리턴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제어명령 응답인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예외로 처리한 후(S71), 미리 설정된 리턴 단계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서 DCS 감시 서버를 이용한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감시 절차 중 DCS 감시 서버 명령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된 데이터가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 조회 명령인지를 판단한다(S81).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 조회 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를 출력하고(S82), 이어 미리 설정된 단계로 리턴한다(S86). 반면, 수신된 데이터가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 조회 명령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DCS 리스트 조회명령인지를 판단한다(S83).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DCS 리스트 조회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속된 DCS 리스트를 출력하고(S84), 이어 미리 설정된 단계로 리턴한다(S86). 그러나, 수신된 데이터가 DCS 리스트 조회명령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 조회 명령도 아니고, 접속된 DCS 리스트 조회 명령도 아니므로, 예외로 처리하고(S85), 미리 설정된 단계로 리턴한다(S8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통신회선 집중운용 보전시스템의 통신회선 고장수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DCS 서버간의 프로세스들의 운용상황 및 제어 명령 현황을 실시간으로 업무 진행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고장수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 부분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함으로써, 업무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DCS서버 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세스간 또는 응용 프로세스와 장비간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서버에서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감시하는 방법으로도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동 분야에서는 명백한 사실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고속 디지털 회선에서 각 디지털 신호에 대한 전자적 교차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CS)과;
    상기 복수개의 DCS에 각각 연결되어 전용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소정 시험을 통해 장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격시험장치와;
    운영자의 각종 시험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간 주고받는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여 전달하기 위한 DCS 서버와;
    통신회선 장애 진단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 서버간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감시하고, 상기 DCS와 상기 원격시험장치간 주고받는 제어 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기 위한 DCS 감시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S 감시서버는 환경파일들을 읽어와서, 상기 DCS서버에 접속하는 환경설정부와, 상기 DCS서버에 연결된 후 프로세스 및 데이터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실행부로 구성되는 DCS 감시서버 관리용 프로세서와;
    상기 DCS 서버를 감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는 DCS 감시서버용 관리프로그램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S 감시서버 관리용 프로세서의 실행부는,
    상기 DCS 서버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DCS 감시서버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DCS 감시서버용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세스 및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DCS 감시서버 명령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시스템.
  4. 한쌍 이상의 디지털 교차 접속 시스템(DCS)과 원격시험장치와; 각종 시험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간 주고받는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인터페이스처리하기 위한 DCS 서버와; 상기 시험서버와 상기 DCS 서버간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감시하고, 상기 DCS와 상기 원격시험장치간 주고받는 제어 명령과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기 위한 DCS 감시서버를 구비한 통신망관리시스템의 제어정보 원격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DCS 감시서버에서, 연결하고자하는 DCS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DCS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상기 DCS 서버에 연결된 프로세스 및 상기 연결된 프로세스로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이나,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단계는,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상기 DCS 서버로부터의 데이터가 프로세스 접속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DCS 감시 서버에서, 상기 프로세스의 접속정보인것으로 판단되면, 어떤 프로세스인지를 구분하고, 상기 DCS 서버에 접속을 시도한 것인지 접속을 끊은 것인지를 확인하여, 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해당 프로세스를 가감하여 새로운 프로세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CS 감시 서버는, 상기 프로세스 연결정보가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CS 서버와 상기 시험 서버간에 주고 받는 제어 명령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에, 발신측을 구분하여 해당 프로세스에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운용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및 제어명령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DCS 감시서버에 저장된 감시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이 시험 서버 프로세스 리스트 조회 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DCS 감시서버에 연결된 프로세스들을 조회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이 DCS 리스트 조회 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DCS 서버에 접속된 DCS 리스트를 조회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원격 감시 방법.
KR1020040075989A 2004-09-22 2004-09-22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KR10072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989A KR100726573B1 (ko) 2004-09-22 2004-09-22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989A KR100726573B1 (ko) 2004-09-22 2004-09-22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140A KR20060027140A (ko) 2006-03-27
KR100726573B1 true KR100726573B1 (ko) 2007-06-11

Family

ID=3713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989A KR100726573B1 (ko) 2004-09-22 2004-09-22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1381B (zh) * 2021-11-08 2022-02-11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Dcs监视画面工控命令下发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878A (ja) * 1993-12-23 1995-08-11 Krohne Ag ディジタル交差接続装置、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878A (ja) * 1993-12-23 1995-08-11 Krohne Ag ディジタル交差接続装置、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140A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8951B1 (en) Automated rules based proactive alarm analysis and response
US5148435A (en) Testable modem and data communications network
CN107483297B (zh) 对嵌入式设备上所承载业务质量的主动监测系统及方法
CN1874610B (zh) 调试电话呼叫的方法和系统
TWI638548B (zh) 寬頻迴路障礙查測系統
CN100442791C (zh) 使用浮动ip地址提高数据通信可靠性的方法
RU214220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ереговоров на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CN101212346B (zh) 一种网元管理系统的软件版本管理方法及装置
KR100726573B1 (ko)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KR100276882B1 (ko) 광대역액세스장치의 통합운용관리장치 및그 방법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EP1793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ervice switching
US61732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switching system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258076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CN100499500C (zh) 对多级通信设备实现管理的方法
JP2013513265A (ja) 通信の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方法、中央局、およびネットワーク終端装置
KR100496263B1 (ko)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빌링 방법과 이를위한 시스템
KR100321441B1 (ko) 교환기의 중계선 감시 기능 수행 방법
KR016888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KR102055912B1 (ko) 공유기 환경에서 공유 단말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934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부하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1861A (ko) Cdma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51615A (ko)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망 관리 체계에서 프레임릴레이망의관리 정보 불일치 감지 및 보정 방법
KR20000028319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KR100295747B1 (ko) 교환 시스템의 브이5.2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분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