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076B1 -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076B1
KR100258076B1 KR1019970069500A KR19970069500A KR100258076B1 KR 100258076 B1 KR100258076 B1 KR 100258076B1 KR 1019970069500 A KR1019970069500 A KR 1019970069500A KR 19970069500 A KR19970069500 A KR 19970069500A KR 100258076 B1 KR100258076 B1 KR 10025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exchange
instruction
message
t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381A (ko
Inventor
황희산
이길행
Original Assignee
이계철
대한민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대한민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0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9Networ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 내부의 각 프로세서가 관리 정보를 직접 송/수신하므로 최적의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TMN 관리자로부터 관리 명령 메시지를 받아 메시지내의 공통관리 정보서비스의 요소들로부터 파라메터 정보들을 추출하여 교환기 명령어를 만들고, 해당 프로세서에 전달/수행시키며, 교환기의 메시지를 받아들여 교환기내의 관리 명령의 결과나 교환기 자체내에서 발생한 장애, 상태 관리 정보를 커넥터 모듈에 의해 분류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여 교환기 명령을 수행하고 각 인터페이스 모듈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약속된 맵핑 규칙에 의해 변환하여 관리 대행자에게 전달하여 필요한 관리 객체의 처리 과정을 거친후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al)을 통해 관리자에게 결과를 보고하게 하므로써 관리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의 일반성과 확장성, 기존 인터페이스의 재사용성 및 구현 편이성을 갖게 하였다.

Description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본 발명은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MN 시스템은 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해 관리하고자 하는 통신망 내의 임의의 통신 망 요소들과의 온라인상의 관리 정보의 교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통신망 요소를 직접 관리하는 TMN 관리 대행자에게 요구되는 기능이다. 이처럼 TMN 관리 대행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통신망 요소와 관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관리 대행자와 통신망 요소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현재 교환기를 위한 TMN 시스템이 거의 부재한 상황에서 이 인터페이스의 고안 그 자체에도 발명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으나, 지금까지 개발되고 있는 종래의 인터페이스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 내부의 각 프로세서가 관리 정보를 직접 송/수신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 교환기가 지역 운영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는 교환기 내부에 TMN 관리 대행자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교환기 지역 운용자 인터페이스 두개가 동시에 존재하여 교환기의 성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며, 교환기 개발자의 입장에서도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교환기의 개발과 TMN 시스템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두 시스템의 개발 시점이 다르거나 기존에 운용중인 교환기의 경우 교환기가 원래 제공하지 않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정과 변경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인터페이스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환기의 구조적 변경을 최소화하고, 구현상의 간소성과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신망 요소중의 하나인 교환기와 TMN 관리 대행자간에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MN 시스템과 교환기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의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이 수행하는 관리 정보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MN 시스템 120 : 관리자
140 : 관리 대행자 200 : TMN 관리 대행자/교환기 인터페이스
210a : 성능관리 인터페이스 210b : 구성관리 인터페이스 모듈
210c : 장애 관리 인터페이스 210d : 과금관리 인터페이스
220 : 커넥터 모듈 240 : 통신채널
250 : 자동 메시기 해석기 300 : 교환기
310 : OAM 프로세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TMN 관리자로부터 내려진 관리 명령 메시지를 관리 대행자를 통해 전달받으면 그 메시지내의 공통관리 정보서비스의 요소들로부터 명령어의 종류를 검사하여 유효한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명령판단단계를 수행한다. 유효한 명령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소들로부터 교환기가 이해할 수 있는 입력 명령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파라메터 정보들을 추출한 후 교환기 명령어를 만드는 교환기 명령어 생성단계를 수행한다. 생성된 명령어를 일반 교환기 운용 명령어와 동일하게 교환기의 OAM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명령어 문법을 검사 후 해당 프로세서에 전달/수행시키는 명령수행단계를 수행한다. OAM 프로세서를 통해 전달되는 교환기 메시지를 받아들여 교환기 메시지내의 수행된 관리 명령의 결과나 교환기 자체내에서 발생한 장애, 상태 관리 정보를 커넥터 모듈에 의해 분류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거나 TMN의 관리 대상이 아닌 정보일 경우 커넥터 모듈내에서 삭제하는 교환기 명령처리단계를 수행한다. 각 인터페이스 모듈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자동 메시지 해석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해석하고 ASN.1 형태의 관리 정보로의 맵핑을 위한 파라메터만을 추출하는 파라메타 추출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된 파라메터들를 이미 약속된 맵핑 규칙에 의해 변환하여 관리 대행자에게 전달하여 필요한 관리 객체의 처리 과정을 거친후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al)를 통해 관리자에게 결과를 보고하는 관리자 보고단계를 수행하여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MN 시스템과 교환기의 구성도로, TMN 시스템(100)과 교환기(300)와 TMN 시스템/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TMN 시스템(100)은 망 운영자가 망의 상태를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한 그래픽 또는 문자 형태의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TMN 운용자 단말기(110)와, 실제 망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120)와, 관리 대행자(140a,...,140n)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120)는 운용자에 의한 관리 명령들을 물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관리 대행자들(140a,...,140n)로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전달하여 해당 교환기(300a,...,300n)에 대한 명령어를 수행시키고, 그 수행 결과나 교환기(300a,...,300n)의 상태 보고들을 수집, 평가하여 유용한 망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관리 대행자(140a,...,140n)는 관리 대상이 되는 교환기를 객체 지향 모델에 의해 모델링된 관리객체(Managed Object)를 사용하여 교환기와 동일한 형상,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상기 관리자(120)로부터의 요구에 대해 관리 대행자(140a,...,140n)는 관리하고 있는 관리 객체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교환기(300a,...,300n)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관리자(120)에게 전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TMN 관리 대행자/교환기간 인터페이스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교환기의 운용, 유지, 보수기능을 위하여 거의 모든 교환기가 교환기 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교환기 운용자 인터페이스(Man 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고안된 인터페이스를 CASS(Connection for TMN Agent and Switch System)로 명칭하고, 편이상 CASS라함은 본 발명에 의한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약속한다. CASS는 크게 커넥터 모듈(220)과 인터페이스 모듈(210a,210b,210c,210d)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300a)의 OAM프로세서(310)와 TMN 관리대행자 게이트웨이모듈(150)사이의 관리 대행자/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상기 교환기의 OAM프로세서(310)와 연계하여 교환기(300a)와 운용자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교환기/운용자간 인터페이스(230)와, 상기 교환기/운용자간의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적 통신채널(240)을 통하여 자동 메시기 해석기(250)를 이용하는 커넥터 모듈(220)과, 상기 커넥터 모듈(220)과 연결되어 관리 대행자가 관리하는 관리 메시지를 변환시키는 인터페이스모듈(210)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모듈(220)은 교환기의 운용자 인터페이스(230)와 접속하여, 교환기와 TMN의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 역할(240)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10a)(210b)(210c)(210d)은 TMN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대행자의 부하를 분산,최소화하기 위하여 TMN 관리 기능에 따라 4개의 모듈로 나누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a)(210b)(210c)(210d)은 TMN 관리 대행자 게이트웨이(150)로부터 전달받은 CMIP 형태의 TMN 관리 명령어를 교환기의 운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교환기용 명령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교환기로부터의 출력 메시지를 TMN 관리 대행자의 관리 객체가 이해할 수 있는 ASN.1형태의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TMN을 위해 관리 대행자(140a,...,140n)가 관리하는 관리 정보 형태는 CMIP에 기초한 메시지 형태이고 교환기(300a,...,300n)가 보고하거나 입력받는 정보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교환기가 사용하는 MML(Man-Machine Language)에 기초한 메시지 형태로 성능관리 인터페이스(210a)는 성능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고, 구성관리 인터페이스 모듈(210b)은 구성 및 연결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고, 장애 관리 인터페이스 모듈(210c)은 장애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고, 과금관리 인터페이스 모듈(210d)은 과금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한다.
교환기의 상태 정보, 장애 정보등의 운용,유지,보수 관리 정보는 교환기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로세서(310)에 수집되어 출력되므로, 커넥터 모듈(220)은 교환기의 OAM 프로세서(310)와 이더넷 혹은 기타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된다(240). 이 구조는 교환기 측에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구현 없이 기존의 운용자 인터페이스(230)를 그대로 이용한 단일 인터페이스 구조이므로 간단하고 편리하다. 교환기의 입장에서 TMN 시스템은 교환기에 접속한 운용자 단말과 동일하게 간주되므로 TMN에 접속하기 위한 교환기의 논리적,물리적 변경은 관리 정보 제공을 위한 하나의 소프트웨어적인 통신 채널(240)의 설정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10a)(210b)(210c)(210d)에서의 메시지 변환 작업은 교환기의 운용자 인터페이스(230)가 교환기의 입,출력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기존의 라이브러리인 자동 메시지 해석기(250)을 공유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10a)(210b)(210c)(210d)에서는 해석된 메시지를 정해진 데이타 구조로 멥핑을 수행하는 작업만이 필요하게 되어 기존에 교환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최대한 재 사용함으로서 TMN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부가적인 작업을 최소화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TMN 관리자(120)로부터 내려진 관리 명령은 관리 대행자(140)를 통해 CASS로 전달된다(1). TMN내에서 사용되는 정보나 메시지는 CMIP을 이용하여 전달되어지기 때문에, CASS가 관리 대행자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는 CMIP상에서 제공되는 공통 관리 정보서비스(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CMIS)의 요소(Entity)들이다. CASS는 이 공통관리 정보서비스의 요소들로부터 명령어의 종류를 검사하여 유효한 명령인지를 판단한다(2). 유효한 명령으로 판단되면 이 요소들로부터 교환기가 이해할 수 있는 입력 명령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파라메터 정보들을 추출한 후(3), 교환기 명령어를 만든다(4). 이렇게 만들어진 명령어는 일반 교환기 운용 명령어와 동일하게 교환기의 OAM 프로세서(310)로 전달된다(5). OAM 프로세서(310)는 명령어 문법을 검사(6)한 후 해당 프로세서에 전달/수행시킨다(7). 이렇게 수행된 관리 명령의 결과나 교환기 자체내에서 발생한 장애, 상태 관리 정보는 OAM 프로세서(310)를 통해 CASS의 커넥터 모듈(220)로 전달된다(8). 이 교환기 메시지는 커넥터 모듈(220)에 의해 분류되어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되거나 TMN의 관리 대상이 아닌 정보일 경우 커넥터 모듈내에서 삭제된다(9). 각 인터페이스 모듈은 해당 메시지만을 수신하고, 자동 메시지 해석기(250)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해석하고 ASN.1 형태의 관리 정보로의 맵핑을 위한 파라메터만을 추출한다(10,11). 이 추출된 파라메터들은 이미 약속된 맵핑 규칙에 의해 변환되어(12) 관리 대행자에게 전달된다(13). 이를 수신한 관리 대행자는 필요한 관리 객체의 처리 과정을 거친후 CMIP을 통해 관리자에게 결과를 보고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CASS는 TMN 관리 대행자가 동작하는 워크스테이션 에서 동작되며 기능 수행 과정에서 교환기의 OAM프로세서와 연계된다.
본 발명에 의한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 인터페이스는 교환기내에 존재하는 Embedded Agent가 아닌 교환기밖의 워크스테이션에 존재하는 관리 대행자 구조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교환기 내부의 변형없이 타 기종의 교환기로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교환기가 가지고 있는 운용자 인터페이스와 라이브러리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도입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인터페이스는 내부적으로 4개의 기능 블럭으로 나누어져, 각각의 해당 메시지를 분산처리하는 구조이므로, 수많은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관리 정보들의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다.

Claims (2)

  1. TMN 관리자로부터 내려진 관리 명령 메시지를 관리 대행자를 통해 전달받으면 그 메시지내의 공통관리 정보서비스의 요소들로부터 명령어의 종류를 검사하여 유효한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명령판단단계와;
    유효한 명령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소들로부터 교환기가 이해할 수 있는 입력 명령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파라메터 정보들을 추출한 후 교환기 명령어를 만드는 교환기 명령어 생성단계와;
    생성된 명령어를 일반 교환기 운용 명령어와 동일하게 교환기의 OAM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명령어 문법을 검사 후 해당 프로세서에 전달/수행시키는 명령수행단계와;
    OAM 프로세서를 통해 전달되는 교환기 메시지를 받아들여 교환기 메시지내의 수행된 관리 명령의 결과나 교환기 자체내에서 발생한 장애, 상태 관리 정보를 커넥터 모듈에 의해 분류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거나 TMN의 관리 대상이 아닌 정보일 경우 커넥터 모듈내에서 삭제하는 교환기 명령처리단계와;
    각 인터페이스 모듈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자동 메시지 해석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해석하고 ASN.1 형태의 관리 정보로의 맵핑을 위한 파라메터만을 추출하는 파라메타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파라메터들를 이미 약속된 맵핑 규칙에 의해 변환하여 관리 대행자에게 전달하여 필요한 관리 객체의 처리 과정을 거친후 CMIP을 통해 관리자에게 결과를 보고하는 관리자 보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타 추출단계는,
    각 인터페이스 모듈을,
    성능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는 성능관리 인터페이스 모듈과;
    구성 및 연결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는 컨피그레이션 인터페이스 모듈과;
    장애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는 장애 관리 인터페이스 모듈과;
    과금 관리에 관계되는 메시지의 변환을 담당하는 과금관리 인터페이스 모듈로 분담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970069500A 1997-12-17 1997-12-17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10025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00A KR100258076B1 (ko) 1997-12-17 1997-12-17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00A KR100258076B1 (ko) 1997-12-17 1997-12-17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81A KR19990050381A (ko) 1999-07-05
KR100258076B1 true KR100258076B1 (ko) 2000-06-01

Family

ID=1952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500A KR100258076B1 (ko) 1997-12-17 1997-12-17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420A (ko) * 1999-10-25 2001-05-15 정선종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KR100316841B1 (ko) * 1999-11-05 2001-12-24 김진찬 관리 대행자의 재실행방법 및 장치
KR100335390B1 (ko) * 1999-12-08 2002-05-06 김덕중 비동기 전송모드 장치에서의 오에이엠 셀을 고속으로추출하기 위한 장치
KR100358156B1 (ko) * 1999-12-10 2002-10-25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망 환경에서 서비스 관리시스템의 관리명령을 교환기 명령어로 변환하는 방법
KR20020055226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장착된 imt-2000 운용보전시스템
KR20030055697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공중사설망에 대한 통합망 서비스 관리시스템의관리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그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8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743A (en) Interface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08116861A1 (en) Operating network entiti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a management network with agent and management levels
KR100258076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100336499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100361474B1 (ko) 티나 망관리 시스템
KR19980026888A (ko) 비동기식전송방식(atm) 장치에서 단순망관리규약(snmp)을 사용한 원격지에서의 장애관리방법
KR100308903B1 (ko) 객체지향 기법을 이용한 교환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교환기 자원 설치 방법
KR10027068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엠.엠.에스의 엠.씨블록과 연동된 티.엠.엔대행부의 메시지 처리방법
EP0963077A2 (en) Node and link representation of network services
CN112867043A (zh) 一种5g微基站的om管理系统
JP2931341B2 (ja) 交換網管理装置による集中保守方法
KR100415719B1 (ko) Tmn 에이전트 또는 snmp 에이전트 겸용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55482A (ko) 통합망 환경에서 서비스관리시스템의 관리명령을 교환기명령어로 변환하는 방법
KR100283396B1 (ko) 망 요소 인터페이스 방법
KR20000028319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KR10033206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전자교환기 명령어의 자동 입/출력 방법
KR100228299B1 (ko) Atm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mmc를 지원하는 tmn 기반 망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9990056206A (ko) 비동기전송모드교환기의 로컬관리를 이용한 통신관리망의 에이치엠아이의 운영결과 반영방법
JP2795221B2 (ja) マネージャの検証方式
KR100194954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에서 망관리자에 의한 시스템 초기화 방법
KR100726573B1 (ko) Dcs 서버를 이용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정보원격 감시시스템 및 이에따른 감시방법
KR100779322B1 (ko) 네트워크 관리 제어 장치
KR100295747B1 (ko) 교환 시스템의 브이5.2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분석방법
KR19990080818A (ko) 비동기전송모드교환기의 운용시스템에서 서브 통신관리망대행부를 이용한 에이치엠아이의 운용결과 반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