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420A -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420A
KR20010038420A KR1019990046382A KR19990046382A KR20010038420A KR 20010038420 A KR20010038420 A KR 20010038420A KR 1019990046382 A KR1019990046382 A KR 1019990046382A KR 19990046382 A KR19990046382 A KR 19990046382A KR 20010038420 A KR20010038420 A KR 2001003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network management
intelligent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재
최고봉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9004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420A/ko
Publication of KR2001003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5Intelligent networks, 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modeling or simulation, particularly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통신망 관리구조 하에서 통신망 관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을 구현하고,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은, 지능망 서비스 호가 설정되면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에 로딩하는 제 1 단계와; 지능망 서비스 호가 진행되는 동안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가 통신망 관리 대행자에게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한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신망 관리 대행자가 상기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여 구문 검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TMN agent function test in intelligent peripheral system}
본 발명은 지능망의 중요한 망 요소 중 하나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신망 관리(TMN: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구조하에서 통신망 관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을 구현하고,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SCP: Service Control Point)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지능망은 지능망 서비스의 교환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교환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104)와, 지능망 서비스 제어 기능(SCF: Service Control Function)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기(SCP: Service Control Point)(101), 주문화된 안내방송, 음성인식, 음성합성, 음성녹음, DTMF 디지트 수집기, 팩스 송수신기 등과 같은 특수자원 기능을 담당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 및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으로 이루어진다.
지능망 서비스는 지능망 호를 인식할 수 있는 서비스 접근 번호에 의해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므로서 모든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가 수행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들의 수집 및 측정이 가능하다.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서 수집된 정보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 Service Management System)(102)으로 보내져서 가공 및 통계화 되어 운용자, 개발자 또는 관리자에게 보고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은 지능망과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를 망에 설치하고, 설치된 서비스의 관리를 제어하며, 다른 망 요소와의 접속을 통해 지능망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관리 기능을 관장한다. 이러한 지능망 서비스 관리 구조는 통신망 관리(TMN) 구조의 개념과 유사하다. 그러나 통신망 관리 영역 구분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망 자원 및 서비스 관리의 통합 일원화, 통합 서비스 및 통신망 관리 기술의 진보, 관리 기술의 유사성, 통합 망 관리의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통신망 관리와 차세대 지능망의 기술적인 통합 필요성이 요구된다. 통신망 관리 영역에서 볼 때 지능망을 구성하는 망 요소들은 계층구조상 망 요소계층(NEL: Network Element Layer)에 해당되므로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기능을 수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망 요소들이 동시에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을 수용하여 시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의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시험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을 구현하여 통신망 관리(TMN) 체제와 연동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시험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 관리 항목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시험하기 위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지능망의 전체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기능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에서의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서비스 제어기 102 :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3 : 신호 망 104 : 서비스 교환기
105 :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310 :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320 :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은, 서비스 교환기/서비스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에 있어서, 지능망 서비스 호가 설정되면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에 로딩하는 제 1 단계와; 지능망 서비스 호가 진행되는 동안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가 통신망 관리 대행자에게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한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신망 관리 대행자가 상기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여 구문 검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의 처리 과정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지능망의 전체적 구성도이다. 이러한 차세대 지능망은 서비스 제어기(101)와,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 신호 망(103), 서비스 교환기(104) 및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을 구비한다.
서비스 제어기(101)는 지능망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서비스 로직 프로그램(SLP: Service Logic Program) 및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서비스 제어기(101)는 신호 망(103)을 통하여 서비스 교환기(104) 및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과 연결되고, 데이터 망 혹은 내부 연결 망을 통하여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과 연결된다. 또한, 서비스 제어기(101)는 지능망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이나, 다른 서비스 제어기 간의 부하를 분담하기 위하여 같은 종류의 서비스 로직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여러 서비스 제어기에 중복해서 가질 수 있다. 기능적으로는 서비스 제어 기능과 서비스 데이터 기능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은 서비스 제어기를 지원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가입자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어기(101)의 서비스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지능망의 모든 망 요소와 연결되어 지능망 전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102)은 자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보유하여, 서비스 제어기(101)의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와 서비스 제어기(101)에서 일시적으로 파일시스템에 저장되었던 서비스 관련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고 관리한다.
신호 망(103)은 ITU-T(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fo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권고한 No.7 공통선 신호 방식을 이용하고, 서비스 제어기(101)와 서비스 교환기(105), 그리고 서비스 제어기(101)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 등과 같은 망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TCAP(Transmission Control Application Part) 상위의 응용프로토콜인 지능망 응용프로토콜(INAP: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다.
서비스 교환기(104)는 사용자가 지능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지능망 서비스를 감지하는 기능, 지능망의 다른 망 요소들과의 통신 기능과 수신된 명령에 대한 응답 기능을 가진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105)은 주문화된 안내 방송, 음성 인식, 음성 합성, 음성 녹음, DTMF 디지트 수집기, 팩스 송수신기 등과 같은 특수 자원을 가지며, 사용자와 지능망 사이의 유연한 상호 작용을 통하여 특수자원을 제공하며 지능망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로컬 교환기(106)는 지능망 기능을 갖추지 않은 보통 기존의 교환 시스템으로 가입자(107)를 수용한다. 즉 비 지능망 교환기(로컬 교환기)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교환기로 호의 제어를 이관하여 서비스 제어기의 통제하에 지능망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가입자를 수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의 구성도이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시험환경 구성장치는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반전화기(201)를 아답터(202)를 통해서 최대 30가입자까지 수용한다. 서비스 교환기와 서비스 제어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인용 컴퓨터에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로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203)를 구성한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205)과는 랜 라우터(LAN Router)(204)을 통해 서로 지능망 응용프로토콜(INAP)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답터(202)는 최대 30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16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보드(MSI/160SC) 2매를 설치한다. 또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의 통화로 설정을 위해 E1 중계선 보드(D300SC/E1) 1매를 사용하고,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203)에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카드(LAN Card)를 설치한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205)은 랜 라우터(204)를 통해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203)와 접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의 특수자원관리/제어 유니트(313) 내에 통신망 관리 대행자와 운용정합 기능과의 상호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 관리 대행자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의 연결(CAIS: Connector for TMN Agent and AIN IP System)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통신망 관리 대행자(TMN Agent)를 구비한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은 운용자에 의한 인간-기계 통신(MMC: Man Machine Communication) 명령어에 의해 통제가 가능하므로 해당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에서 수행되는 모든 망 관리 정보는 운용자 관리 터미널(311)의 다중 창(Multi-Window) 상의 통신망 관리창을 통해 해당 통신망 관리 정보가 출력 되도록 구성한다.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0)에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321)를 구비하여 실제 전화기를 통해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도한다. 서비스 제어기의 서비스 로직 프로그램에 의해 지능망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가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의 통신망 관리 대행자에게 보내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323)/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를 통해 호가 이루지는 상황과 동시에 통신망 관리 메시지의 처리 과정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324) 창을 통해 확인 및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지능망 서비스 호를 발생시켜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0)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과의 호 진행 과정을 살펴본다.
지능망 서비스를 시도하면,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323)는 지능망 서비스를 인식하고,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로 초기감지신호를 보낸다.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의 패킷 송수신 처리기에 패킷이 도착되면, 사건발생감지기는 패킷이 들어온 것을 감지한다. 들어온 패킷은 메시지 발신지 식별기를 통해 어느 망 요소로부터 수신된 패킷인가를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가 갖고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이를 식별하고,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323)로부터 수신된 초기감지신호(Initial Detection Point)인 경우, 메시지 상태 감시/처리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로 보낸다.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는 호 관련 사건을 감지하도록 기본 호 상태 모델(BCSM: Basic Call State Model) 사건보고요구(RRBE: Request Report BCSM) 신호를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323)에게 보낸다. 또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 사이의 채널을 설정하도록 임시연결 설정(ETC: Establish Temporary Connection) 신호를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323)로 보낸다.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는 가입자의 프로화일을 확인한 후,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절차에 따른 서비스 로직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 상태를 사용자의 상관관계번호(Correlation ID)와 쌍(pair)을 이루게 한 후, 서비스 상태 관리에 들어간다.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킨 후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으로부터 보조 명령요구(ARI: Assist Request Instruction) 오퍼레이션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으로부터 보조명령요구신호가 패킷 송수신처리기에 도착하면, 사건발생감지기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메시지 발신지 식별기로 보낸다. 메시지 발신지 식별기는 해당 신호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310)으로부터 수신된 것을 확인하고 메시지 분리 처리기로 보낸다. 메시지 분리 처리기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집된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322)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분리하여 서비스 상태 감시/처리기로 보낸다. 서비스 상태 감시/처리기는 들어온 메시지의 상관관계번호(Correlation ID)를 확인하여 현재의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여 오퍼레이션 식별기를 거쳐 해당 오퍼레이션을 처리 한 후, 서비스 절차에 따른 다음 오퍼레이션을 패킷 송수신처리기를 통해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으로 보내어 서비스를 계속 진행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에서의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 흐름도이다.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에서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생성한 후,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에 로딩한다(S401). 통신망 관리 메시지는 스크립트 형태의 파일로 구성한다. 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는 패킷의 송수신처리 및 시험제어가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통신망 관리 메시지 변환, 망 정합, 메시지 분석, 및 검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시스템 초기화 시에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스템에 로딩된다.
다음, 통신망 관리 메시지 변환부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소켓(Socket)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변환한다(S402). 변환된 메시지는 통신망 관리 메시지 송수신 처리부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지고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 연결하여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S403). 또한 송수신 메시지는 분석 및 검증을 위해 송수신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S404). 통신망 관리 시뮬레이터는 송수신 메시지의 처리 종료를 확인한(S405) 후 통신망 관리 시험 계속 여부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 흐름도이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가 서로 연결되어 지능망 서비스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통신망 관리 대행자와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가 연결되고,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부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S501), 해당 통신망 관리 메시지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처리가 가능한 지 구문(syntax)을 검사한다(S502).
구문 검사 결과 구문형태가 맞지 않으면, 운용자의 통신망 관리창에 해당 검사 결과를 출력한 후 메시지 송신 처리부를 통해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 검사결과를 송신하고(S503), 해당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를 종료한다(S504).
구문 검사 결과가 성공적이면, 통신망 관리 메시지 변환처리부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변환하여(S505), 운용관리자의 통신망 관리창에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한다(S506). 또한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해당 통신망 관리 메시지 처리를 응용프로그램에 요구한다(S507).
해당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통신망 관리 메시지의 수행한 결과를 수신하여(S508) 통신망 관리창에 출력한다(S509). 통신망 관리 메시지의 처리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S510) 후, 메시지 변환 및 송신부에서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 결과를 송신하고 다음 통신망 관리 메시지가 도착되기를 기다린다(S511).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 관리(TMN) 영역에서 볼 때 지능망을 구성하는 망 요소들은 통신망 관리(TMN)의 망 계층구조상 망 요소계층(NEL: Network Element Layer)에 해당된다. 따라서 지능망의 각 구성 요소들은 통신망 관리(TMN) 체제하에서의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기능을 수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능망을 구성하는 각각의 망 요소들이 동시에 통신망 관리(TMN) 체제를 수용하여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기능을 시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시험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다른 망 요소를 실제로 구성하지 않고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기능을 시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통신망 관리(TMN) 연동시험의 시험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교환기와 서비스 제어기를 설치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발생시켜 실제 상황과 동등한 조건하에서 검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교환기와 서비스 제어기 설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통신망 관리(TMN) 구조는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ISO/ITU-T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단순망 관리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프레임웍이 있다. SNMP, CMIP 모두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나, 현재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통신망 관리 기능 모듈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SNMP를 일차 적용하는 것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 하면서 통신망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 시험 환경을 크게 바꾸지 않고 시험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비스 교환기/서비스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에 있어서,
    지능망 서비스 호가 설정되면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에 로딩하는 제 1 단계와;
    지능망 서비스 호가 진행되는 동안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가 통신망 관리 대행자에게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한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신망 관리 대행자가 상기 통신망 관리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여 구문 검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교환기/서비스 제어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TMN Agent) 기능 시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 메시지의 처리 과정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 기능 시험방법.
KR1019990046382A 1999-10-25 1999-10-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KR20010038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82A KR20010038420A (ko) 1999-10-25 1999-10-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82A KR20010038420A (ko) 1999-10-25 1999-10-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20A true KR20010038420A (ko) 2001-05-15

Family

ID=1961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382A KR20010038420A (ko) 1999-10-25 1999-10-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4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102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망 연동장치 관리 에이전트 시스템
KR20030066028A (ko) * 2002-02-04 2003-08-09 윤영선 가상 망관리 모듈 개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59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통신관리망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 방법
KR19990050381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20000018595A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전전자 교환기에서 엠.엠.에스의 엠.씨블록과 연동된 티.엠.엔대행부의 메시지 처리방법
KR20000028319A (ko) * 1998-10-30 2000-05-25 서평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KR20000039534A (ko) * 1998-12-14 2000-07-05 이계철 티엠엔 운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레거시 통신망 장비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59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통신관리망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 방법
KR19990050381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20000018595A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전전자 교환기에서 엠.엠.에스의 엠.씨블록과 연동된 티.엠.엔대행부의 메시지 처리방법
KR20000028319A (ko) * 1998-10-30 2000-05-25 서평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KR20000039534A (ko) * 1998-12-14 2000-07-05 이계철 티엠엔 운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레거시 통신망 장비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102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망 연동장치 관리 에이전트 시스템
KR20030066028A (ko) * 2002-02-04 2003-08-09 윤영선 가상 망관리 모듈 개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4271C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JP2984685B2 (ja) 構内交換機、通信リンク試験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用装置
US50864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1ESS and 1AESS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6151390A (en) Protocol conversion using channel associated signaling
CN101345581A (zh) 一种无源光网络的故障定位方法及系统
US6069948A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RU214220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ереговоров на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KR20000025255A (ko)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호처리 방법
KR20010038420A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통신망 관리 대행기능시험방법
KR0139586B1 (ko)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US7769158B2 (en) Network switch and related method using integrated service logic objects to handle service requests
KR100311230B1 (ko) 서비스제어기시뮬레이터에서의서비스로직처리방법
KR19990050381A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 인터페이스 방법
KR100275507B1 (ko)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 방법
US6389131B1 (en) Enhanced initiate call attempt
KR100292802B1 (ko) 시뮬레이터에서의 호감시방법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100320275B1 (ko) 위성통신시스템용 아날로그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KR100281553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안내 방송을 위한 지정 경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1174B1 (ko) 차세대 지능망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100278740B1 (ko) 전자교환시스템에서의차세대지능망착신과금호처리방법
KR100384408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 신호 링크의 고정 경로 연결 방법
KR100941212B1 (ko) 다수의 간이교환시스템과 연결되는 통합통계서버장비와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