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525B1 -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525B1
KR100725525B1 KR1020070017686A KR20070017686A KR100725525B1 KR 100725525 B1 KR100725525 B1 KR 100725525B1 KR 1020070017686 A KR1020070017686 A KR 1020070017686A KR 20070017686 A KR20070017686 A KR 20070017686A KR 100725525 B1 KR100725525 B1 KR 10072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tag
information
access contro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환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07001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통제장치와 통지문 알림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출입하는 순간마다 출입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통지문을 알려주고 전달할 수 있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통신부와, 버튼부, 정보저장부, RF 리더기가 내장되어 근거리 접촉식 또는 원거리 접촉식으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리더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출입문을 개폐를 하기 위한 출입문 개폐수단, 화면표시부, 및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출입인증 및 통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저장부에 저장하고, 태그리더기로부터 태그가 감지되면 해당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정보저장부의 출입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출입문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함과 아울러 감지된 태그에 기록된 출입자에게 전달된 통지문이 있는지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통지문의 종류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화면표시부에 바로 출력하고, 개인 혹은 그룹용이면 통지문 리스트를 화면표시부로 출력하며, 버튼부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된다.
출입통제, 통지, 단말기, 인증, 공용, 공지, 개인용, SMS

Description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ENTRANCE CONTROL TERMINAL FOR DISPLAYING NOTICE AND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지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외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가 통지내용을 제공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가 통지대상을 제공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지문 출입통제단말기 100':통지문 단말기
102: 무선/PLC통신망 104: 인터넷
106: 무선/PLC모뎀 108: 태그
110: 무선/PLC통신부 120: 중앙처리부
121: 단말기설정부 122: 통지대상처리부
123: 통지내용처리부 124: 출입인증처리부
125: 출입문제어부 126: 사운드처리부
130: 정보저장부 140: 버튼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화면표시부
170: 태그리더기부 180: 스피커부
190: 외부데이터처리부 200: 출입문제어스위치부
210: 포트부 220: 전원부
본 발명은 출입자에게 자동으로 통지문을 알려주는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통제장치와 통지문 알림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출입하는 순 간마다 출입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통지문을 알려주고 전달할 수 있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지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신져와 이메일, 인터넷이나 ERP(전사적자원관리)내의 게시판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공지사항 알림란(사내 전자게시판포함)이나 메일과 같은 전달방식은 조직원이 인지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처리에는 부적합하고,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 방식은 수신 순간에는 즉시 인지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조직원(사원)들의 일정관리와 알림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부적합하다.
한편, 회사 등에서는 조직원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하여 출입통제시스템이나 근태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출입문 등에 설치된 출입통제장치는 보안이나 방범을 목적으로 특정장소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장소의 방문객이나 출입자를 확인한 다음 잠금장치수단에 의해 출입문을 개방하여 출입을 허락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출입통제시스템은 다수의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사무실, 연구소, 기타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소에서는 출입자에게 ID카드 등을 발급하고, 출입문에 카드리더기를 설치하여 상기 ID카드에 기록된 정보(식별정보)를 카드리더기로 판독하고, 출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수단에 기록된 출입자의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장치를 동작시켜 출입문에 장착된 물리적인 잠금수단을 해제하도록 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허락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특2003-0026455호로 공개된 종합통제시스템 및 그 운 용방법에서는 기업이나 연구소 등과 같이 방범이나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 장소를 출입하는 방문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방문자가 방문 예정된 곳만을 출입할 수 있도록 방문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된 출입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출입문에 설치되는 입출력 수단의 터치패드로 사내외 뉴스 및 게시판을 통하여 다양한 화면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출입통제시스템은 단말기 내에 방문자가 예정된(허가된) 장소만을 출입하도록 하는 출입통제관리 특징 외에 부가적으로 게시판과 내부 연락처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찾을 수 있는 기능으로 제한된 것으로, 내부 구성원들에게 개별적으로 통지문을 발송 및 알려주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출입통제단말기에 통지문 알림기능을 부가한 후 공개용과 비공개용으로 구성된 통지문을 출입인증 과정과 결합하여 출입할 때마다 전달할 수 있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인 이상 다수가 동시에 출입할 경우 이에 대한 대책과 접촉식 태그가 아닌 근접식(원거리 인식)용일 경우에도 구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통지기간이 지나기 전에도 확실한 개인 전달을 위하여 SMS 문자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통제장치와 통지문 알림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출입하는 순간마다 출입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통지문을 알려주고 전달할 수 있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나 전력선 통신 모듈을 내장한 통신부; 출입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부; 단말기 설정치, 출입인증 데이터, 통지대상정보, 통지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 RF 리더기가 내장되어 근거리 접촉식 또는 원거리 접촉식으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리더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출입문을 개폐를 하기 위한 출입문 개폐수단; 화면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출입인증 및 통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태그리더기로부터 태그가 감지되면 해당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의 출입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함과 아울러 감지된 태그에 기록된 출입자에게 전달된 통지문이 있는지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통지문의 종류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상기 화면표시부에 바로 출력하고, 개인 혹은 그룹용이면 통지문 리스트를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를 입력하고 출입자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를 등록하고, 출 입통제정보를 저장하며, 등록된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 및 출입통제정보를 관할 단말기들에 전달하는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 및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태그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하면, 해당 출입자를 인증하여 성공하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해당 출입자에게 전달할 통지문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공용 통지문인지 혹은 그룹용이나 개인용 통지문인지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바로 디스플레이하고, 개인이나 그룹용 통지문이면 해당 통지문리스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럭도로서, 통지 시스템은 무선/PLC통신망(102)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통지문 출입통제단말기(이하 간단히 '출입통제단말기'라 한다; 100)와, 통지문 단말기(100'), 무선/PLC통신망(102)과 무선/PLC통신모뎀(106)을 통해 연결되는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 그리고 인터넷망(104)을 통해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와 연결되는 관리자PC(4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자PC(400)는 인터넷(104)을 통해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와 연결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통지내용과 통지대상, 보낸이, 유효 기간, 구분을 입력하고, 태그리더기(도시되지 않음)가 USB 포트에 연결되어 출입대상자의 태그정보를 등록하여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최신의 출입정보와 통지문정보를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로 송수신하기 위한 서버로서, 무선/PLC통신 모뎀(106)과 USB 포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출입통제단말기(100)와는 근거리 통신을 하여야 하므로 가까운 거리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터넷망(104)에 연결되어 관리자 PC(400)가 접속할 수 있도록 운용된다. 즉,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관리자PC(400)로부터 입력받은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를 등록하고, 출입통제정보를 저장하며, 등록된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 및 출입통제정보를 관할 단말기들에 전달하며, 출입통제단말기(100)의 SMS발송요청에 의해 해당 출입자의 핸드폰으로 통지문을 SMS방식으로 전송해준다. 또한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통지문의 만료기간이 가까워지면 해당 통지문을 SMS방식으로 통지대상자들의 핸드폰으로 자동으로 발송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통지 및 출입 통제서버(300)는 통지 및 출입 통제를 위한 정보를 출입자정보테이블과, 통지문테이블, 통지확인테이블을 통해 관리한다. 출입자정보테이블은 '출입자번호', '출입자명', '소속', '직위', '핸드폰번호', '태그정보', '주민번호', '등록일시' 등의 필드로 이루어지고, 통지문 테이블은 '통지번호', '출입자번호', '발신자명', '통지제목', '통지내용', '유효기간', '구분', 'SMS 발신여부', '작성일시' 등으로 이루어지며, 통지확인테이블은 '통지번호', '출입자번 호', '통지확인일시'로 되어 있다.
출입통제단말기(100)는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와 무선/PLC 통신망(102)을 통해 연결되어 태그(108)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한 후 해당 출입자를 인증하여 성공하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해당 출입자에게 전달할 통지문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공용 통지문인지 혹은 그룹용이나 개인용 통지문인지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바로 디스플레이하고, 개인이나 그룹용 통지문이면 해당 통지문리스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입통제단말기(100)는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와 동기된 통지대상테이블, 통지내용테이블, 출입정보테이블, 출입인증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데, 통지대상테이블은 '통지번호', '출입자번호', '출입자명', '발신자명', '유효기간', '구분', 'SMS발신요청'으로 이루어지고, 통지내용테이블은 '통지번호', '통지내용', '발신자명', '유효기간', '구분', 'SMS발신요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출입정보테이블은 '출입자번호', '출입일시'로 이루어지고, 출입인증테이블은 '출입자번호', '태그정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와는 별도로 출입통제 기능을 제외한 단지 통지문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지문 단말기(100')를 함께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지문 전용 단말기(100')는 출입통제부분이 필요없어 작고 단순하지만 디스플레이부분은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와 비교해 비슷하거나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설치장소가 출입문에 의존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외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는 무선/PLC통신부(110), 중앙처리부(120), 정보저장부(130), 태그리더기부(170), 출입문릴레이스위치부(200), 스피커부(180), 포트부(210), 화면표시부(160), 전원부(220), 외부데이터처리부(190), 버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20)는 단말기설정부(121), 통지대상처리부(122), 통지내용처리부(123), 출입인증처리부(124), 출입문제어부(125), 사운드처리부(126)로 구성되고, 버튼부(140)은 제1버튼부(141), 제2버튼부(142), 제3버튼부(143), 제4버튼부(144), 제5버튼부(145), 제6버튼부(146)로 구성된다.
우선, 전원부(220)는 전술한 각 구성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상시 12V가 외부 아답터에 의해서 공급된다.
화면표시부(160)는 중앙처리부(120)가 검색하고 출력할 정보를 전달받아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화면표시부(160)은 비용 및 효율적인 측면에서 최소 해상도가 160*64의 그래픽 액정표시 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화면 표시부(160)는 버퍼, 메모리, 레지스터 등을 구비하는 LCD 컨트롤러, LCD 구동 드라이버 및 LCD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무선/PLC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망을 실현하는 RF 무선(Zigbee 무선등) 모듈과 전력선 통신(PLC) 모듈을 이용하는데, 건물내, 근거리 1km 이내의 거리에서는 중계기를 이용하면 무선망(102)을 구성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다.
정보저장부(130)는 단말기 설정치, 출입인증 데이터, 통지내용정보, 통지대상정보를 포함하여 출입정보를 상당 기간 동안은 저장될 수 있도록 각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정보저장부(130)는 통지대상테이블, 통지내용테이블, 출입정보테이블, 출입인증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태그리더기부(170)는 RFID(RFIC) 리더기가 내장되어 저주파인 13.56MHZ는 태그(Tag)가 근거리 근접(10~20Cm)이 이루어졌을 시에 인식하고, 고주파인 900MHz 대역은 원거리 접촉식으로 6~7m 에서도 인식하는 특성이 있다. 중앙처리부(120)와 내부 시리얼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시키고, 출입인증처리부(124)에 의해서 출입이 허가된 태그인지 판별하게 된다.
출입문릴레이스위치부(200)은 중앙처리부(1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입문제어부(125)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릴레이 구동회로를 작동시키게 되고, 구동 전류가 인가되어 출입문에 설치된 모터식 또는 전자석식 도어 개폐장치를 작동시킨다.
스피커부(180)는 단말기에 태그(108)를 인식했을 때 통지문이 존재하여 확인을 바라는 멜로디, 태그가 미등록되었을시의 멜로디, 정상등록 되어 출입이 허가되었을시의 멜로디로 구분하여 사운드처리부(126)의 제어에 따라 해당 멜로디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포트부(210)는 관리자PC(4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구비하고, 제어 레지스터 및 상태 레지스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를 외부데이터처리부(190)로 전송한다.
외부데이터처리부(190)는 관리자PC(400)에 USB포트를 통하여 접속한 경우 관리자 PC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접속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일정주기로 송출하고, 이를 인식한 드라이버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포트부(2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저장부(130)에 저장하고, 또한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주로 외부데이터처리부(190)의 데이터의 수신은 출입인증처리(124)를 위한 등록된 태그의 정보이며 송신은 출입된 태그의 정보 리스트이다.
버튼부(140)는 인터페이스부(150)와 연동하여 중앙처리부(120)로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구성부로써, 푸시버튼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통지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버튼부(140)는 제1버튼부(이하에서, '이전화면이동버튼'이라 한다)(141), 제2버튼부(이하에서, '다음화면이동버튼'이라 한다)(142), 제3버튼부(이하에서, '정지화면버튼'이라 한다)(143), 제4버튼부(이하에서, '통지확인버튼'이라 한다)(144), 제5버튼부(이하에서, 'SMS전송요청버튼'이라 한다)(145), 제6버튼부(이하에서, '출입문열림버튼'이라 한다)(146)의 6개의 버튼스위치를 구비한다.
이전화면이동버튼(141)은 인터페이스부(150)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공용 통지문일 때는 통지내용을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중앙처리부(120)에 전달하게 되고, 통지내용처리부(123)에서 화면표시부(160)로 바로 이전의 통지내용이 있으면 바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통지대상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는 인터페이스부(150)가 중앙처리부(120)의 통지대상처리부(122)가 작동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전달하게 된다. 다음화면이동버튼(142)는 이전화면이동버튼(141)과 이동되는 데이터의 방향만 다르고 동작원리는 같다.
정지화면버튼(143)은 통지내용이 디스플레이 되거나 통지대상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에 일정시간(10sec~30sec)이 지나면 다음 화면으로 자동 이동되므로 화면을 정지하여 자세히 읽어 보고자 할 때 작동시킨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초기화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2회 작동됨으로서 각각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선택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처음 1회는 제1위치 선택신호를 중앙처리부(120)로 전달하여 화면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다음 1회는 제2위치 선택신호를 중앙처리부(120)로 전달하여 화면정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통지확인버튼(144)은 출입이 아닌 통지문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통지문확인을 위해 통지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부(120)에 통지문 버튼상태 플레그가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이어서 태그가 인식되면 비공개 개인용 통지문일 때라도 통지내용을 바로 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 원래는 태그접근 후 출입시 개인용 통지문일때는 보안을 위하여 통지문의 번호만을 디스플레이하여 추후에 확인하도록 작동한다.
SMS발신요청버튼(145)은 출입자가 통지문을 확인하고 메모를 필요로 할 때 간단히 메모를 할 상황이 아닐 경우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생성된 선택신호가 중앙처리부(120)의 통지대상처리부(122)의 통지대상을 검색하여 통지번호를 찾아서 통신부(110)를 통해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로 전송된다.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통지문테이블의 출입자번호로 출입자정보테이블의 핸드폰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통지문을 발신하게 된다.
출입문열림버튼(146)은 출입문을 개폐하고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식 태그를 접근시킨 후 출입문이 개폐되면 출입하게 된다. 단지 태그인식때 통지문의 존재를 검색해서 있으면 알려준다는 것인데, 이때 알려주고 바로 문은 개폐되므로 통지문을 숙지할 시간이 없게 된다. 따라서 통지문을 숙지하기 위해서는 버튼부(140)의 각 기능을 사용한다. 사용후 자동으로 바로 상태초기화를 수행하면 처음부터 다시 태그를 인식시켜 출입하게 되어 번거로움이 발생하는데, 출입문열림버튼(146)은 버튼부의 각 기능을 사용하고 단말기의 상태초기화를 하고 대기화면으로 넘어가기 전에 눌러주어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처리부(120)는 내부 메모리를 가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칩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메모리칩에는 중앙처리부(120)의 각 구성부를 기능시키는 연산프로그램 및 정보검색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무선/PLC통신부(11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는다. 중앙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송출신호 및 태그리더기부(170)로부터 전달되는 태그정보를 인식하여 출입문제어부(125), 사운드처리부(126), 출입인증처리부(124), 통지대상처리부(122), 통지내용처리부(123)를 기능시킨다.
통지내용처리부(123)는 통지문의 구분은 '전체공용', '대기화면공지용', '그룹용', '개인용'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기화면 공지용'은 출입단말기(100)의 대기상태일 때 디스플레이하는 통지 내용이며, '전체공용'은 출입인증처리부(124)의 태그인증 과정을 거친 후 통지문을 검색하여 있으면 바로 즉시 그 내용을 디스 플레이하고 출입문제어부(125)에게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하여 출입문릴레이스위치부(200)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만약 '그룹용'이거나 '개인용'이면 중앙처리부(120)는 통지대상처리부(122)에게 해당하는 통지내용 대신에 통지문의 번호, 발신자, 유효기간으로 구성된 통지문목록을 모두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사운드처리부(126)은 출입태그 인증과 통지문의 검색 상태에 따라서 멜로디를 구분하여 크게 3가지로 정보저장부(130)에 저장시켜 두고 스피커부(180)에게 출력하도록 전달한다.
출입인증처리부(124)는 중앙처리부(120)의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의 제어를 통해 태그리더기부(170)에서 태그정보를 전달받는다. 태그정보를 검색키로 하여 출입인증테이블의 필드항목을 검색하여 허가된 목록으로 확인되면 출입문제어부(125)와 통지대상처리부(122)에게 각각 출입문의 개폐와 통지문 검색을 수행하도록 제어를 넘긴다.
단말기설정부(121)는 무선통신과 PLC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가의 설정등록, 통신부(110)의 고유번호 등록, SMS발신 가능 여부 설정, 태그리더기부(170)의 주파수 대역과 방식의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리자 메뉴를 수행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지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400)를 이용하여 통지 및 출입 통 제 서버(300)에 접속한 후 출입자정보와 통지문, 통지대상 정보 등을 입력한다(S1,S2).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입자정보테이블, 통지문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
이어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는 해당 출입/통지 정보를 각 출입통제단말기(100)로 전달한다(S4). 이에 따라 출입통제단말기(100)는 통지대상테이블, 통지내용테이블, 출입인증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
이후 태그(108)를 패용한 출입자가 출입통제단말기(100)로 접근하면 출입통제단말기(100)는 태그(108)를 인식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출입을 허용한다(S6~S8). 이때 출입자의 출입정보는 출입정보테이블에 저장된다.
이어 통지문을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통지문을 표시한다(S9,S10). 이때 해당 통지문이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서버(300)에 통지문을 요청한 후 통지문을 수신받아 전달할 수도 있고, 출입자가 SMS발송요청버튼을 누르면 서버(300)에 SMS발송을 요청하여 해당 통지문을 SMS로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통지문 확인 정보는 서버(300)의 통지확인테이블에 기록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4a는 전체 동작 흐름도이고, 도 4b는 통지문을 처리하는 세부 절차이며, 도4c는 출입확인대기상태의 동작을 도시한 세부 흐름도이고, 도 4d는 버튼조작시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세부 흐름도이다.
우선, 출입문에 도착한 출입자가 태그(108)를 태그리더기부(170)에 근접시키기 전까지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는 출입확인 대기상태에서 대기화면용 통지문(홍보 또는 공고문)이 LCD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110).
다음은 태그를 소지한 출입자가 출입문에 도착하여 태그를 태그리더기부(170)에 근접시키면 태그(108)가 인식되고(S150), 이어 태그를 출입인증처리부(124)에서 검색하여(S160) 등록된 태그이면(S170) 태그에 해당되는 통지문을 통지대상처리부(122)에서 검색(S190)하여, 해당 통지문이 없으면(S200) 스피커(180)로 태그확인 멜로디를 출력한 후(S320) 출입문을 개폐하고(S330), 다시 출입확인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S110).
이어서 또다른 출입자가 출입문에 도착하여 태그를 태그리더기부(170)에 근접시키면 태그가 인식되고(S150), 이어 태그를 출입인증처리부(124)에서 검색하여(S160) 등록된 태그이면(S170) 태그에 해당되는 통지문을 통지대상처리부(122)에서 검색(S190), 해당 통지문이 있으면(S200) 통지문이 공개용인가 여부에 따라서 공개용이면 통지내용처리부(123)에서 스피커(180)로 통지문 확인을 하라는 멜로디를 출력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용 통지문을 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260).
만약, 통지문이 공용이 아닌 개인용이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지대상처리부(122)의 검색 결과에 따라 그 목록을 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S300).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가 동시에 다수의 출입자의 태그를 인식한 후, 검색된 개인용 통지문(167)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개인용이므로 통지내용이 아닌 통지번호만을 출력한다.
이전에 이미 출입자가 개인용 통지문의 알림을 받고 그 통지문의 내용 확인을 위해 통지문확인버튼(144)를 누르고 태그를 근접시켰을 때는 태그에 해당되는 통지문을 검색(S190)하게 되고, 검색된 개인용 통지문의 본문내용은 단말기 저장장치의 제한적 용량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 내의 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되지 않았으므로 통지문번호를 키로 하여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800)에서 통지문테이블(920)을 검색하여 해당 통지내용을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에 전송받아 디스플레이(161, 162)하게 된다.
이때 출입자가 시간이 없거나 통지문을 숙지하지 못할 경우 메모를 하는 방법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버튼선택후 처리(S310) 단계에서 SMS 전송 버튼(145)을 선택(S314)을 하면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에 SMS 발신요청(S315)이 도착하게 되고 출입자는 자신의 핸드폰에 통지문을 문자 수신받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100)가 출입확인 대기상태 단계에 있을 때의 흐름도이다(S110). 우선 태그접근 및 버튼 누름이 있는가를 체크하여 있으면 다음 단계(S120)으로 진행하고, 태그접근 및 버튼 누름이 있는가를 체크하여 없으면 인터페이스부(150)의 상태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후 대기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S113) 한다. 이어서 중앙처리부(120)는 통지문의 유효기간을 검색하여 유효기간이 지났으면 통지문을 삭제하고(S115), 통지문 유효기간이 전체 기간중에서 3/4을 지나면(S116)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300)에게 해 당 통지대상의 핸드폰으로 통지문을 SMS 문자 발송(S117)을 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 통지문의 유효기간 체크와 작업을 수행하고, 한편으로는 태그 접근확인 및 버튼부(140)의 입력이 있는가를 체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4d는 버튼조작시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세부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정지버튼을 선택하면 누르는 동안 화면이 정지되고, SMS전송버튼을 선택하면 통지 및 출입 통제서버(300)에 SMS발송을 요청하며, 이전/다음 버튼을 선택하면 이전/다음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311~S316). 또한 출입문열림버튼을 선택하면 출입문을 개폐한다(S317,S318).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는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는 출입통제장치와 통지문 알림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출입하는 순간마다 출입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통지문을 알려주고 전달받을 수 있어 통지문 알림기능 의 효율을 높여 회의와 만남을 통한 지시, 공지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출입자가 출입할 때에 비공개 통지문의 효과적 전달 방법을 제시하고 통지문을 본 후 재출입시에도 멜로디가 출력되므로 이전 출입할 때 확인한 통지문의 내용을 재 각인시킬 수 있고, 근태관리와 연계해서 운용 가능하다.

Claims (8)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나 전력선 통신 모듈을 내장한 통신부;
    출입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부;
    단말기 설정치, 출입인증 데이터, 통지대상정보, 통지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
    RF 리더기가 내장되어 근거리 접촉식 또는 원거리 접촉식으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리더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출입문을 개폐를 하기 위한 출입문 개폐수단;
    화면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출입인증 및 통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태그리더기로부터 태그가 감지되면 해당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의 출입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함과 아울러 감지된 태그에 기록된 출입자에게 전달된 통지문이 있는지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통지문의 종류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상기 화면표시부에 바로 출력하고, 개인 혹은 그룹용이면 통지문 리스트를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버튼과, 통지문 확인을 위한 통지문 확인버튼과, 통지문의 내용을 SMS로 요청하는 SMS발신요청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문 확인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중앙처리부가 통지문 버튼상태 플레그를 온(ON) 상태로 전환한 후 출입자의 태그가 인식되면 비공개 개인용 통지문일 때라도 통지내용을 상기 화면표시부로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SMS발신요청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해당 태그의 출입자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출입자의 핸드폰번호로 통지문을 SMS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단말기는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태그 감지 후 인증성공 여부, 통지문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4.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를 입력하고 출입자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 를 등록하고, 출입통제정보를 저장하며, 등록된 통지문과 통지대상정보 및 출입통제정보를 관할 단말기들에 전달하는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 및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태그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하면, 해당 출입자를 인증하여 성공하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해당 출입자에게 전달할 통지문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공용 통지문인지 혹은 그룹용이나 개인용 통지문인지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바로 디스플레이하고, 개인이나 그룹용 통지문이면 해당 통지문리스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단말기는,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출입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부;
    단말기 설정치, 출입인증 데이터, 통지대상정보, 통지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
    RF 리더기가 내장되어 근거리 접촉식 또는 원거리 접촉식으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리더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출입문을 개폐를 하기 위한 출입문 개폐수단;
    화면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하여 출입인증 및 통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태그리더기로부터 태그가 감지되면 해당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의 출입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함과 아울러 감지된 태그에 기록된 출입자에게 전달된 통지문이 있는지 검색하여 통지문이 있으면 통지문의 종류를 판별하여 공용 통지문이면 상기 화면표시부에 바로 출력하고, 개인 혹은 그룹용이면 통지문 리스트를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버튼과, 통지문 확인을 위한 통지문 확인버튼과, 통지문의 내용을 SMS로 요청하는 SMS발신요청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문 확인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중앙처리부가 통지문 버튼상태 플레그를 온(ON) 상태로 전환한 후 출입자의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에 해당 출입자의 통지문을 요청한 후 비공개 개인용 통지문일 때라도 통지내용을 상기 화면표시부로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SMS발신요청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에 해당 태그의 출입자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출입자의 핸 드폰번호로 통지문을 SMS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시스템은,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통지문을 전달받고, 수신된 통지문이 공용 통지문이면 바로 디스플레이하고, 개인이나 그룹용 통지문이면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에 성공할 경우 해당 통지문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개인이나 그룹원들에게 알려주는 통지문 전용 단말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및 출입 통제 서버는
    출입자번호, 출입자명, 소속, 직위, 핸드폰번호, 태그정보, 주민번호, 등록일시로 된 출입자정보테이블과,
    통지번호, 출입자번호, 발신자명, 통지제목, 통지내용, 유효기간, 구분, SMS 발신여부, 작성일시로 이루어진 통지문 테이블과,
    통지번호, 출입자번호, 통지확인일시로 된 통지확인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출입통제단말기는
    통지번호, 출입자번호, 출입자명, 발신자명, 유효기간, 구분, SMS발신요청으로 이루어진 통지대상테이블과,
    통지번호, 통지내용, 발신자명, 유효기간, 구분, SMS발신요청으로 이루어진 통지내용테이블과,
    출입자번호, 출입일시로 이루어진 출입정보테이블과,
    출입자번호, 태그정보로 이루어진 출입인증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를 이용한 통지 시스템.
KR1020070017686A 2007-02-22 2007-02-22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KR10072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86A KR100725525B1 (ko) 2007-02-22 2007-02-22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86A KR100725525B1 (ko) 2007-02-22 2007-02-22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525B1 true KR100725525B1 (ko) 2007-06-07

Family

ID=3835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86A KR100725525B1 (ko) 2007-02-22 2007-02-22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5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93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9623B1 (ko) * 2016-07-19 2016-12-26 (주)비앤시스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건물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772A (ja) 2000-07-26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達物の受け取り報知システム
JP2002038781A (ja) 2000-07-24 2002-02-06 Full Time System:Kk 宅配ロッカーの扉開錠方法
JP2005023538A (ja)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通知装置および通知システム
JP2005031984A (ja) 2003-07-14 2005-02-03 Ricoh Co Ltd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781A (ja) 2000-07-24 2002-02-06 Full Time System:Kk 宅配ロッカーの扉開錠方法
JP2002034772A (ja) 2000-07-26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達物の受け取り報知システム
JP2005023538A (ja)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通知装置および通知システム
JP2005031984A (ja) 2003-07-14 2005-02-03 Ricoh Co Ltd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93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3062B1 (ko) * 2014-08-27 2016-07-01 주식회사 엘토브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9623B1 (ko) * 2016-07-19 2016-12-26 (주)비앤시스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건물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4323C (zh) 存在状态更新系统及其方法以及为此使用的移动通信终端
KR101308802B1 (ko)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폐쇄되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US7012503B2 (en) Electronic key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electronic key information
US703942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esenting reminders in a portable device
US94433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FID-based access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US20070235539A1 (en) Mobile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d secure chip
EP2770482A2 (e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CN102103765A (zh) 一种门禁控制与信息显示系统、方法及终端
CN106097519B (zh) 一种电子锁的控制装置、电子锁、控制方法及其应用
JP636350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10101096A1 (en) Identification card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CN103530833A (zh) 智能管理系统以及智能管理方法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JP2006293819A (ja) 入退場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25525B1 (ko)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JP200713203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KR100739507B1 (ko) 카드를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TWI610273B (zh) 自主式訪客系統與其主機
KR1015548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CN104916018A (zh) 智能道闸系统
JP2003288432A (ja) 受付案内装置及び受付案内システム
KR20130056509A (ko) 차량번호 인식 기반의 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KR20070104047A (ko) 사용자별 생활 패턴에 따른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506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