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164B1 -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 Google Patents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164B1
KR100725164B1 KR1020060025059A KR20060025059A KR100725164B1 KR 100725164 B1 KR100725164 B1 KR 100725164B1 KR 1020060025059 A KR1020060025059 A KR 1020060025059A KR 20060025059 A KR20060025059 A KR 20060025059A KR 100725164 B1 KR100725164 B1 KR 10072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polishing
region
tip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윤영세
심용기
Original Assignee
동영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다이아몬드공업(주) filed Critical 동영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to KR102006002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164B1/ko
Priority to US11/600,157 priority patent/US200702275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1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cylinder saws, e.g. trepanning; saw cylinders, e.g. having their cutting rim equipped with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1Types of set; Variable teeth, e.g. variable in height or gullet depth; Varying pitch; Details of gu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1Circular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용 팁을 2개의 연마부로 구성하여 초기절삭불량을 방지하는 가공용 팁 및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에서 제 2 높이로 연장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재, 절삭, 연마, 드릴링

Description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Processing tip and tools using the same}
도 1a은 통상적인 톱형 절삭공구의 몸체 및 이에 접합된 가공용 팁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
도 1b는 통상적인 드릴형 절삭공구의 몸체(샹크) 및 이에 접합된 가공용 팁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
도 2a는 통상의 톱형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
도 2b는 통상의 드릴형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단면도.
도 3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
도 3d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마모경과를 보이는 개념도.
도 3e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 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4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6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7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8b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 도.
도 9b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평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A-A'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4c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공용 팁 110 : 제 1 연마부
115 : 절개홈 117 : 치합돌기
119 : 홈 120 : 제 2 연마부
120a : 전단부 120b : 후단부
200 : 몸체
본 발명은 가공를 절단하거나 천공하는 가공용 팁 및 상기 가공용 팁을 구비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용 팁을 2개의 연마부로 구성하여 초기절삭불량을 방지하는 가공용 팁 및 가공공구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가장 높은 재료로서 1950년대에 인조적으로 합성된 이후 여러가지 용도로 개발되어 왔으며, 중요한 용도처로서 각종 재료를 절삭하는 절삭공구에 적용되어 왔다.
특히, 다이아몬드는 특히 비교적 경도가 강한 무기재료의 경우에도 뛰어난 절삭력을 보여, 예를들어, 화강석, 대리석, 벽돌, 내화벽돌,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유리등의 가공재를 절삭하는 경우에도 널리 사용된다.
통상 다이아몬드를 채용한 공구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한 가공용 팁을 몸체등에 접합시킴으로써 구성되는데, 가공용 팁은 통상 금속재료에, 다이아몬드 입자 및 경도를 강화하기 위한 재료등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 때, 가공용 팁은 디스크나 판형의 둘레에 접합되어 절단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가공용 팁이 원통형 관의 둘레에 접합되어 천공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도 1a은 통상적인 톱형 절삭공구의 몸체 및 이에 접합된 가공용 팁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가공용 팁(20)이 몸체(샹크, 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접합되어 있고, 몸체(10)의 회전에 따라 둘레에 접합된 가공용 팁(20)이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몸체는 4인치에서 120인치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가공용 팁(20)은 몸체의 크기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도 1a에는 직선("A") 및 곡선형("B")의 가공용 팁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가공용 팁이 몸체에 접하는 기저부에는 다이아몬드가 포함되지 않는 접합부(20a)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형태의 가공용 팁이 장착되는 공구로는 쏘 블레이드(Saw blade), 갱 쏘(gang saw), 체인 쏘(chain saw), 프레임 쏘(frame saw)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도 1b는 통상적인 드릴형 절삭공구의 몸체(샹크) 및 이에 접합된 가공용 팁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가공용 팁(40)이 원통형의 몸체(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접합되어 있고, 원통형관(30)의 회전에 따라 가공용 팁(40) 이 피삭재를 드릴링하게 구성된다. 몸체(3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가공용 팁(20)은 몸체의 크기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도 1b에는 곡선형("A") 및 직선형("B")의 가공용 팁(40)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가공용 팁(40)이 몸체에 접하는 기저부에는 다이아몬드가 포함되지 않는 접합부(40a)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의 가공용 팁이 장착되는 공구로는 코어드릴(Core drill), 그라인딩 컵 휠(grinding cup wheel), 폴리싱 디스크 (polishing disc)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도 2a는 통상의 톱형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초기절삭시부터 후기절삭시까지 가공용 팁(20)이 피삭재에 닿는 부분의 폭이 동일하므로, 피삭재에 생기는 폭도 초기절삭시부터 후기절삭시까지 동일하게 된다.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드릴형 가공용 팁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러나, 어떠한 종래의 가공용 팁은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절삭초기에도 절삭면에 면접촉을 하게 되어 초기에 가공용 팁이 피삭재에 용이하게 자리잡기 힘든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절삭공구를 사용할 경우, 진동, 소음, 깨짐, 이탈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초기 절삭 후에도 후기절삭시 가공용 팁이 절삭에 유리한 형태, 즉 외측이 나중에 마모되는 형태로 마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절삭에 유리한 구조의 가공용 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기절삭에 유리한 구조를 구비한 가공용 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절삭 및 후기절삭에 유리한 가공용 팁을 구비한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에서 제 2 높이로 연장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는 피삭재에 선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는 피삭재에 점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의 끝단의 폭은 상기 제 1 연마부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의 끝단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 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 폭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길이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후단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측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를 높이기 위한 연마재의 입자 농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마재는 다이아몬드, SiC, WC, BN, 및 Al2O3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 사이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연마재의 집중도가 낮아지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2개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의 제 1 영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9 carts/cc 내지 1.4 carts/cc이고, 후단부측의 제 2 영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6 carts/cc 내지 0.9 carts/c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비는 1 ~ 3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B영역과 상기 B영역의 양측의 A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A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B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부의 기저에는 상기 제 A 영역, 상기 B 영역, 및 상기 C 영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낮은 제 D 영역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영역, 상기 B영역 및 상기 C영역의 길이비는 1 ~ 2 : 1 : 1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접합하게 될 몸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치합돌기를 구비하고,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 상에 제 2 높이로 형성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합돌기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에서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연마재 집중도가 낮아지며,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B영역과 상기 B영역의 양측의 A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A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B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 상에 제 2 높이로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마부 및 제 2 연마부에는 팁의 연마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나누어지는 제 2 연마부의 각 부분은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에서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연마재 집중도가 낮아지며,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A영역과 상기 A영역의 양측의 B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B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A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가공용 팁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공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가공용 팁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에서 제 2 높이로 연장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몸체는 디스크 또는 판형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크 또는 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관(tube)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다.
도 3a는 톱형 절삭공구의 몸체(샹크)인 디스크에 부착되는 제 1 실시예에 따 른 가공용 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입자가 포함된 가공용 팁(100)은 제 1 연마부(110)와 제 2 연마부(120)를 포함한다.
제 1 연마부(110)는 몸체(샹크)에 접합되는 부분으로 피삭재의 종류 및 재료에 따라서 소정의 높이로 구비된다. 제 1 연마부(110)는 통상의 가공용 팁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형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연마부(110)는 코발트(Co), 구리(Cu), 주석(Sn), 철(Fe), 아연(Zn), 니켈(Ni)등(열거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포함한 금속재료와, 경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SiC, WC, BN, Al2O3등의 연마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마부(110)는 절삭이 진행되는 동안 절삭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각 부위에 따라 재료의 조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데, 절삭시 통상 양 측부는 경도가 높고, 중간에는 경도가 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a의 A-A'단면도로서 도 3b에는, 제 1 연마부가 가상의 선으로서 샹크에 부착되는 면의 세로방향으로 제 A 영역(A), 제 B 영역(B), 및 제 C 영역(C)으로 구획된다. 제 A 영역(A) 및 제 C 영역(C)은 양측부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 B 영역(B)은 그 사이의 영역이다.
이는 마모도를 감안한 구성으로서, 피삭재에 의해 중앙이 먼저 마모될 경우에 가공용 팁이 좌우로 진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절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 A 영역(A) 및 제 C 영역(C)은 가이드가 되고, 제 B 영역(B)은 트랙으로 하여 절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A 영역(A) 및 제 C 영역(C)의 경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 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SiC, WC, BN, Al2O3등의 연마재를 제 B 영역(B)보다 더 많이 함유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제 A 영역(A), 제 B 영역(B), 및 제 C 영역(C)의 길이(각각 a, b, c) 비율은 피삭재의 성등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 b : c는 1 ~ 2: 1 : 1 ~ 2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연마부(120)는 초기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연마부(110)의 상부에 접합되는 부분으로, 연마시에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120a)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120b)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초기 접촉면적이 좁을 수록 초기 절삭시 진동 및 이로인한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데, 전단부를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초기에 가공용 팁(120)이 피삭재에 용이하게 자리잡게 할 수 있다.
전단부(120a)와 후단부(120b)의 폭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단부(120a)의 끝점을 정점으로하여 점전적으로 넓어지면서 후단부(120b)는 제 1 연마부(1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120a)의 끝점을 정점으로 할 경우, 가공용 팁(100)와 피삭재는 종래의 면접촉 대신 선접촉 또는 점접촉을 이룸으로써 진동 및 이탈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연마부(120)의 재질 또한 제 1 연마부와 마찬가지로 코발트(Co), 구리(Cu), 주석(Sn), 철(Fe), 아연(Zn), 니켈(Ni)등을 포함한 금속재료와, 경도를 보강 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SiC, WC, BN, Al2O3등의 연마재를 더 포함하나, 그 조성은 제 1 연마부와 달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연마부(120)의 전단부(120a)와 후단부(120b)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 절삭시 전단부(120a)가 보다 많은 마찰을 받으므로, 전단부(120a)의 경도를 보다 높일 필요가 있으며, 피삭재의 성질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도 조절은 전술한 경도가 높은 연마재인 다이아몬드, SiC, WC, BN, Al2O3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 2 연마부에서 연마재의 집중도는 피삭재의 성질, 예를 들면 석재의 경우 등급, 산지, 콘크리트의 경우 압축강도, 양생기간이나 절단기구의 마력수 등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일예로 제 2 연마부(120)를 두 구역으로 크게 나뉘도록 연마재의 집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 연마부(120)의 전단부측의 제 1 구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9 carts/cc 내지 1.4 carts/cc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연마부(120)의 후단부측의 제 2 구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6 carts/cc 내지 0.9 carts/cc 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하는 경우, 절삭불량이 생길 수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마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 때,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의 길이 비율도 적절한 수준에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제 1 구역의 길이 : 제 2 구역의 길이는 1 ~ 3 : 1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단부(120a)에서 후단부(120b)까지의 제 2 연마부(120)를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연마재의 집중도를 점차 낮추도록 구성하는 것이나, 영역의 구획없이 점진적으로 전단부(120a)로부터 후단부(20b)까지 집중도를 낮추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연마부의 높이(f)는 제 2 연마부(g)의 높이보다 크게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높이는 경도와 마찬가지로 피삭재의 성질 및 각 연마부의 경도등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데, 제 1 연마부의 높이(f)가 작아지고, 제 2 연마부의 높이(g)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 A 영역(A) 및 제 C 영역(C)의 연마재의 양은 급수적으로 증가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제 1 연마부와 제 2 연마부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제 2 연마부의 길이가 제 1 연마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음), 제 2 연마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특히, 제 2 연마부의 전단의 끝점은 제 1 연마부의 폭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양측에 치우쳐서 위치될 수 있다.
도 3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100)으로 절삭할 경우에는, 초기절삭시 제 2 연마부의 전단부가 닿는 부분이 먼저 절삭되고, 점진적으로 제 2 연마부의 후단부가 닿는 부분이 커지면서 후기절삭시 가공용 팁의 전체 폭만큼 피삭재가 절삭되는 것을 볼수 있다.
도 3d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마모경과를 보이는 개념도로서, 초기 절삭시에는 제 1 연마부(110)상의 제 2 연마부(120)의 전단이 먼저 마모되면서 제 2 연마부(120)가 점차적으로 모두 마모되고, 이후 제 1 연마부가 마모된다. 즉, 제 2 연마부는 피삭재의 초기절삭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제 1 연마부도 경도가 약한 부분부터 마모될 것이다. 예컨데, B영역의 경도가 약한 경우 B형역부터 마모되고, A 및 C영역이 나중에 마모될 것이다.
한편, 도 3e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각 가공용 팁(100)은 슬롯(210)사이에 부착된다. 이 때, 가공용 팁(100)과 샹크(200)와의 접합은 용접법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210)의 형상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1 연마부(110)의 높이가 제 2 연마부(120)의 높이보다 작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각 가공용 팁은 슬롯(210)사이에 부착된다.
도 5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가공용 팁(100)이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4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가공용 팁(100)의 일위치에 가공용 팁(100)을 연마방향과 다른 방향, 예컨데 가로방향, 으로 구획하여, 팁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는 절개홈(115)이 1 개 형성되어 있다. 절개홈(115)은 절삭시 절삭속도를 높여주고, 절삭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한다.
절개홈(115)은 일예로 제 2 연마부(110) 및 제 1 연마부(120)의 상부를 절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연마부(120)는 제 1 연마부(110)가 절개홈(115)에 의해 절개된 각각의 구역에서 전단부의 폭이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는 달리, 각 영역상에 각각 형성된 제 2 절개홈들은 서로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도 6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절개홈(115)을 구비한 각 가공용 팁(100)은 슬롯(210)사이에 부착된다.
도 7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에서 가공용 팁(100)의 일위치에 가공용 팁을 회전방향의 가로방향으로 구획하는 절개홈(115b)이 하나 더 형성되어 2 개의 절개홈(115a, 115b)이 형성된다. 이로써, 가공용 팁(100)에 형성되는 절개홈(115b)의 형성갯수는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한편, 도 7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2개의 절개홈(115a, 115b)를 구비한 각 가공용 팁(120)은 슬롯(210)들 사이의 위치에 부착된다.
도 8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6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에서 가공용 팁(100)은 샹크(200)에 치합되는 치합돌기(117)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샹크(200)는 치합돌기(117)와 대향하는 형상의 치합홈(215)을 구비하고 있다. 치합돌기(117)와 치합홈(215)에 부착됨으로써 가공용 팁은 샹크(200)에 용이하게 위치 설정되며, 가공용 팁(100)과 샹크(200)사이의 접합력이 높아지고, 절개홈(115) 주변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응력을 분산시킨다. 이 때, 치합돌기(117)는 가공용 팁(100)의 제 1 연마부(110)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b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절개홈(115)를 구비한 각 가공용 팁(100)은 슬롯들 사이의 위치에 부착된다. 또한, 가공용 팁(100)의 치합돌기(117)는 샹크측에 형성된 치합홈(215)에 삽입되어 샹크(200)에 결합된다.
도 9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7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에서의 가공용 팁(100)이 샹크(200)에 치합되는 치합돌기(117)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샹크(200)는 치합돌기(117)와 대향하는 형상의 치합홈(215)을 구비하고 있다. 치합돌기(117)와 치합홈(215)에 부착됨으로써 가공용 팁은 샹크(200)에 용이하게 위치 설정되며, 가공용 팁(100)과 샹 크(200)사이의 접합력이 높아진다. 이 때, 치합돌기의 위치와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9b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샹크(200)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롯(210)을 구비하고 있고, 2개의 절개홈(115a, 115b)을 구비한 각 가공용 팁(100)은 슬롯(210)들 사이의 위치에 부착된다. 또한, 가공용 팁(210)의 치합돌기(117)는 샹크측에 형성된 치합홈(215)에 삽입되어 샹크(200)에 결합된다.
도 10은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8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연마부(120)의 후단부가 제 1 연마부(110)의 후단 상부에 위치하고, 측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당업자는 제 2 연마부의 형상이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a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9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가공용 팁(100)이 샹크(200)에 치합되는 기저부에 연마재가 포함되지 않거나, 다른 전술한 A, B 및 C영역에 비해 연마재의 함량이 작은 접합부(D;110a)를 구비하고 있다. 접합부(D;110a)를 형성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기저부에 고가의 다이아몬드가 낭비되는 것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도 11a의 A-A'단면도로서 도 11b에는 제 1 연마부(110)의 기저부에는 다이아몬드등의 연마재가 포함되지 않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0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연마부(120)의 전단부(120a)에서 후단부(120b)로 가면서 폭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단의 일정길이(l)를 제외하고는 제 1 연마부(110)의 폭과 제 2 연마부(120)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이 때, 길이(l)은 피삭재의 성질에 맞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톱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11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1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연마부(120)가 전단부(120a)에서 후단부(120b)로 가면서 유선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써, 당업자는 제 2 연마부의 형상이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4a는 드릴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2 실시예는 드릴형 절삭공구에 접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의 가공용 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4b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이 샹크에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드릴형 절삭공구에서 샹크(200)는 통상 튜브형태임)의 둘레를 따라 가공용 팁(100)이 부착된다. 이 때, 가공용 팁(100)과 샹크(200)와의 접합은 용접법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부착되는 가공용 팁의 수는 드릴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c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으로 절삭되는 상태를 보이는 피삭재의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초기절삭시 제 2 연마부(120)의 전단부(120a)가 닿는 부분이 먼저 절삭되고, 점진적으로 제 2 연마부(120)의 후단부(120b)가 닿는 부 분이 커지면서 후기절삭시 가공용 팁(100)의 전체 폭만큼 피삭재가 절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드릴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13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3 실시예는 가공용 팁(100)의 적어도 일면에 가공용 팁에 굴곡을 주기위한 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홈(119)은 소음을 저감시키고, 절삭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의 가공용 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드릴형 절삭공구에 부착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4 실시예는 팁의 폭이 좁은 경우, 제 2 연마부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연마부의 전단부가 제 1 연마부의 중앙이 아니라,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외에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드릴형 절삭공구의 몸체에 접합되는 가공용 팁의 경우에도 전술한 톱형 절삭공구를 설명한 제 3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당업자에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전술한 가공용 팁들이 부착되는 절삭공구의 몸체는 다양한 형태 예컨데 디스크, 튜브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회전축등의 동력전달 수단이 구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은 몸체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절삭공구들의 예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쏘 블레이드(Saw blade), 갱 쏘(gang saw), 체인 쏘(chain saw), 프레임 쏘(frame saw)코어드릴(Core drill), 그라인딩 컵 휠(grinding cup wheel), 폴리싱 디스크 (polishing disc)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들 공구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팁을 용접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가공용 팁의 구체적인 형상의 변경, 가공용 팁의 전단부의 각의 특정, 절개홈의 형성위치 변경, 제 1 연마부와 제 2 연마부의 재료의 특정, 제 1 연마부의 형상의 변경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변형에 속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기재되지는 않았으나,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을 조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변형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팁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는 팁을 제 1 연마부 및 제 1 연마부 상에 형성되는 전단이 후단보다 폭이 좁은 제 2 연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연마부를 피삭재의 성질, 기계강성조건, 가공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폭, 길이, 높이, 및 연마재의 집중도를 변형시킴으로써, 초기절삭이 가공용 팁이 이탈되거나, 진동됨 없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기절삭시에도 제 1 연마부를 소정의 영역으로 나누어, 경도를 달리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절삭이 이루어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 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38)

  1.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제 1 높이로 형성되며 연마재가 포함된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 상에 제 2 높이로 형성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연마재가 포함된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는 피삭재에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는 피삭재에 점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의 끝단의 폭은 상기 제 1 연마부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의 끝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 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의 끝단은 상기 제 1 연마부 폭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길이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를 높이기 위한 연마재의 입자 농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는 다이아몬드, SiC, WC, BN, 및 Al2O3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 사이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연마재의 집중도가 낮아지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2개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의 제 1 영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9 carts/cc 내지 1.4 carts/cc이고, 후단부측의 제 2 영역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0.6 carts/cc 내지 0.9 carts/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비는 1 ~ 3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제 2 높이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제 1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B 영역과 상기 B 영역의 양측의 A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A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B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마부의 기저에는 상기 제 A 영역, 상기 B 영역, 및 상기 C 영역 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낮은 제 D 영역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영역, 상기 B영역 및 상기 C영역의 길이비는 1 ~ 2 : 1 :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5.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접합하게 될 몸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치합돌기를 구비하고,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 상에 제 2 높이로 형성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돌기는 상기 제 1 연마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에서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연마재 집중도가 낮아지며,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B 영역과 상기 B 영역의 양측의 A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A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B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0. 가공용 팁에 있어서,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 상에 제 2 높이로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마부 및 제 2 연마부에는 팁의 연마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나누어지는 제 2 연마부의 각 부분은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경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마부는 연마재의 집중도가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가지고, 전단부측에서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연마재 집중도가 낮아지며, 각 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마부는,
    연마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두 선을 따라, 중앙부의 B 영역과 상기 B 영역의 양측의 A영역 및 C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A영역 및 상기 C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가 상기 B영역에서의 연마재의 집중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팁.
  34. 적어도 하나의 가공용 팁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공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가공용 팁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제 1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연마 부; 및
    상기 제 1 연마부에서 제 2 높이로 연장되며, 연마방향에 따라 피삭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의 폭이 나중에 접촉하는 후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 2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공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디스크 또는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공용 공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또는 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공구.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관(tube)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공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의 몸체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용 팁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공구.
KR1020060025059A 2006-03-17 2006-03-17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KR10072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59A KR100725164B1 (ko) 2006-03-17 2006-03-17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US11/600,157 US20070227521A1 (en) 2006-03-17 2006-11-16 Processing tips and tool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59A KR100725164B1 (ko) 2006-03-17 2006-03-17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164B1 true KR100725164B1 (ko) 2007-06-07

Family

ID=3835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59A KR100725164B1 (ko) 2006-03-17 2006-03-17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27521A1 (ko)
KR (1) KR100725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84B1 (ko) * 2018-11-01 2019-03-29 (주)태성사 극경암 전용 코어 비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166A (en) * 1912-06-20 1915-10-12 Willard F Meyers Stone-saw.
US3072470A (en) * 1959-12-01 1963-01-08 Diamond Tool Associates Method of making a cutting apparatus
US3371452A (en) * 1965-02-08 1968-03-05 Christensen Diamond Prod Co Diamond saw or milling blades
US4407263A (en) * 1981-03-27 1983-10-04 Diamond Giken Co., Ltd. Cutting blade
JPS5912563U (ja) * 1982-07-13 1984-01-26 旭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モンド切断砥石のチツプ取付構造
DE3712953A1 (de) * 1987-04-16 1988-11-03 Rudolf Buettner Schneidwerkzeug
US5311705A (en) * 1992-03-06 1994-05-17 Zuzelo Edward A Contoured cutting tool
CA2243694C (en) * 1996-03-15 2003-04-29 Norton Company Metal single layer abrasive cutting tool having a contoured cutting surface
US6039641A (en) * 1997-04-04 2000-03-21 Sung; Chien-Min Brazed diamond tools by infiltration
US7124753B2 (en) * 1997-04-04 2006-10-24 Chien-Min Sung Brazed diamond too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01205566A (ja) * 2000-01-26 2001-07-31 Noritake Co Ltd 樹脂含浸ビトリファイド砥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32131B1 (en) * 2000-02-03 2003-10-14 Terry L. Buchholz Combination rotary cutting and sanding blade
DE10005064A1 (de) * 2000-02-04 2001-08-23 Siegfried Goelz Gmbh & Co Sintermetallgebundene abrasiv wirkende Segmente für Werkzeuge
US7234550B2 (en) * 2003-02-12 2007-06-26 Smith International, Inc. Bits and cutting structures
KR100420933B1 (ko) * 2003-03-06 2004-03-02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치차형 가공팁과 이 가공팁을 부착한 가공공구
DE102004010781B4 (de) * 2004-03-05 2014-09-04 Dolmar Gmbh Betonsägeke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ägekette
KR100492854B1 (ko) * 2004-09-15 2005-06-02 세원테크 주식회사 연마 휠
JP4874121B2 (ja) * 2004-11-19 2012-02-15 豊田バンモップス株式会社 砥石車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재불비로 의견제출통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84B1 (ko) * 2018-11-01 2019-03-29 (주)태성사 극경암 전용 코어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7521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082B1 (en) Abrasive cutting tool
CN101048570B (zh) 具有多个切削刃的多晶刀具
US7353819B2 (en) Processing tips and tools using the same
US5161627A (en) Attack tool insert with polycrystalline diamond layer
JP5582695B2 (ja) 石鋸刃
JP4282607B2 (ja) 歯車型加工チップ及びこれを取付けた加工工具
JP4860690B2 (ja) ダイアモンド工具用切削チップ及びダイアモンド工具
KR101529910B1 (ko) 석재 절삭용 팁 및 그 제조방법
US4739745A (en) Circular diamond saw blade incorporating a novel cutting segment
RU2723080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добычи уг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амне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о время роторного бурения или обработки асфальта, бетона или подоб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набженный удлиненными в продо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канавками
JP4724185B2 (ja) ダイアモンド工具
JP2009113198A (ja) ワイヤソー用ビードおよびワイヤソー
KR100725164B1 (ko) 가공용 팁 및 이를 이용한 가공용 공구
US20190240865A1 (en) Cutting accessories for power tools
WO2002066217A1 (en) Machining tips and cutting wheel, grinding wheel and drilling wheel therewith
US8656901B2 (en) Cutting tip of frame saw and frame saw with the cutting tip
WO2004052605A2 (en) Frame saw for cutting granite and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of frame saw for cutting granite
KR100639778B1 (ko) 절삭부 구조 및 상기 절삭부구조를 갖는 톱날
KR100910592B1 (ko) 가공용 팁 및 이를 장착한 가공용 공구
US20220097157A1 (en) Machining tool having asymmetrical teeth having cutting particles
JP3722791B2 (ja) ブレード
JP2008012625A (ja) ソーブレード
US7021307B1 (en) Rotary cutting saw
JP2014500804A (ja) 回転ドリル用ビット
JP3830457B2 (ja) 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