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145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145B1
KR100725145B1 KR1020050087595A KR20050087595A KR100725145B1 KR 100725145 B1 KR100725145 B1 KR 100725145B1 KR 1020050087595 A KR1020050087595 A KR 1020050087595A KR 20050087595 A KR20050087595 A KR 20050087595A KR 100725145 B1 KR100725145 B1 KR 10072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attern
value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178A (ko
Inventor
백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1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있어서, (a) 가상의 2차원 평면을 2개 이상의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다분면 내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b)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단위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나 방향 변화에 따라 이동된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확인하여 위치 변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c) 위치 변환 패턴과 동작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및 (d) 확인된 동작 패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속 동작 변화를 2차원 평면상에서의 기준점의 다분면 이동 내역을 통해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통한 운동 궤적 변화 확인을 위하여 많은 계산을 해야하며, 일정 시간 동안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어지게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연속 동작 인식, 동작 변화, 사분면,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패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Method for Recognizing a Series Motions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에 따른 다분면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 인식을 위한 동작 패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상의 2차원 평면을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기준점의 다분면 내에서의 이동 경로 확인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하, 좌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등의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동작 변화를 감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많은 사람이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고 다니는 필수품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음성 통화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외에,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텔레비전 시청 기능, 라디오 청취 기능, MP3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하나씩 눌러가며 부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거나, 사진을 촬영 또는 검색하거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채널을 변환하거나, MP3 음악을 선택하거나, 게임을 실행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일일이 다수의 키 버튼을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자기 감지 센서, 가속도 감지 센서 등의 진동 센서를 내장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속도, 위치, 기울기 등의 변화를 산출하는 기울기/방향 변화 감지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현재 제공되는 기울기/방향 변화 감지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3개의 축, 즉 X축, Y축, Z축 상에 각각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3축의 진동 센서의 움직임에 따른 관성을 측정하여, 관성이 최고값 또는 최저값을 유지한 시간을 통해 가속도 및 감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가속도 및 감속도가 산출되면, 산출된 가속도 및 감속도를 적분하여 속도를 계산하고, 속도를 적분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울기/방향 변화 감지를 통한 위치 산출 방법을 통해 연속된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단위로 위치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산출하여 공간상에서의 운동 궤적 변화를 확인하고, 운동 궤적의 확인을 통하여 사용자의 연속된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 궤적 확인을 통한 사용자의 연속 동작 변화 인식 방법은 운동 궤적을 확인을 위하여 계산량이 많고 복잡한 위치 산출 과정을 짧은 시간 내에 여러 번 반복해야하며, 일정 시간 동안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어야한다. 이에 따라 연속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상당한 계산량 및 데이터 저장에 따른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연속된 동작의 변화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상의 2차원 평면을 다분면으로 분할하 고, 기준점의 다분면 내에서의 이동 경로 확인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하, 좌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등의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동작 변화를 감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있어서, (a) 가상의 2차원 평면을 2개 이상의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1 값(Ln)으로 설정하는 단계; (b)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2 값(Lm)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제1 값(Ln)과 제2 값(Lm)을 비교한 뒤, 상이하면 제2 값(Lm)을 위치 변화 패턴에 저장하는 단계; (d) 위치 변환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값(Lm)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확인된 동작 패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나 방향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 진동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에 따라 다분면으로 분할된 가상의 2차원 평면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 기준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치 변화 패턴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이 매칭되어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하여 이 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및 동작 패턴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 실행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및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단위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및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연속 동작을 인식하고, 동작 패턴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제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록 매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가상의 2차원 평면을 2개 이상의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1 값(Ln)으로 설정하는 기능; (b)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2 값(Lm)으로 설정하는 기능; (c) 제1 값(Ln)과 제2 값(Lm)을 비교한 뒤, 상이하면 제2 값(Lm)을 위치 변화 패턴에 저장하는 기능; (d) 위치 변환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값(Lm)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기능; 및 (e) 확인된 동작 패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로그램 메모리(102), 데이터 저장부(104), 키 입력부(106), LCD 표시부(108), 모드 상태 저장부(110), 부가 장치 접속부(112), 진동 센서(114), 마이크로프로세서(116), 음성 신호 처리부(118), RF 신호 처리부(120) 및 안테나(122)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에 따른 다분면 내의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 기준점 이동에 따른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연속 동작 인식에 따른 부가 서비스 내에서의 동작 실행 프로그램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및 동작 실행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에는 기준점의 다분면 내에서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 인식을 위한 동작 패턴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저장부(104)는 전화번호부, 착발신 전화번호 목록을 비롯하여, 사진, 동영상, 송수신된 메시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게임, 음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102)의 각종 프로그램 실행시 발생되는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106)에 의해 입력된 문자나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준점의 다분면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키 입력부(106)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량 조절 버튼, 방향 버튼, 메뉴 접속 버튼 및 숫자 버튼 등의 각종 키 버튼이 포함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키 입력부(106)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에 따른 연속 동작 인식을 위한 기울기/방향 변화 감지 버튼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LCD 표시부(108)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키 입력부(106)를 통한 부가 기능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메뉴 선택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부가 기능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모드 상태 저장부(110)는 키 입력부(106)를 통한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램프 모드 및 동작 감지 모드로의 변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모드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모드 상태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램프 모드는 호 신호의 수신을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이며, 동작 감지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방향 변화를 감지하여 만보계 기능, 나침반 기능, 고도 측정 기능, 게임 기능 등의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속 동작 인식은 모드 상태가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부가 장치 접속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하는 외부 장치들을 마이크로프로세서(116)와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이어폰 잭이나 통신 포트를 포함한다.
진동 센서(114)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지자기 감지, 속도 및 상대적 위치 측정을 위한 운동 가속도 감지, 기울기 검출을 위한 중력 가속도 감지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로서, MAP(Motion Action Provider)라 부른다.
여기서, 진동 센서(114)에 의한 가속도 감지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방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3개 축, 즉 X축, Y축, Z축 상에 각각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114)를 설치하고, 3축의 진동 센서(114)의 움직임에 따른 관성을 측정하여, 관성이 최고값 또는 최저값을 유지한 시간을 통해 가속도 및 감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가속도 및 감속도가 산출되면, 산출된 가속도 및 감속도를 적분하여 속도를 계산하고, 속도를 적분하여 위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진동 센서(114)를 이용한 기울기/방향 변화의 감지가 가능해지며, 확인된 위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이동 경로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별도의 외부 장치로 구성되어 부가 장치 접속부(11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6)와 연결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부(106)를 통해 동작 감지 모드로의 변환 요청이 있으면, 모드 상태 저장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 감지 모드로 전환하고, 프로그램 메모리(102)로부터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진동 센서(114)를 통해 확인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방향 변화에 따른 다분면 내의 기준점 이동을 확인하고,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및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기준점 이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연속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실행된 부가 서비스를 컨트롤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를 컨트롤한다는 것은 부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거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의 제어 즉, 저장되어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채널을 변환하거나, MP3 음악을 선택하거나, 음량을 조절하거나, 게임에서의 방향 전환을 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18)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구성되어, 음성 신호의 코딩, 디코딩, 잡음 제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등을 처리하는 부분이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118)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RF 신호 처리부(120)는 안테나(222)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는 부분이며, 안테나(122)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신호,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부 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동작 인식이 지원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에 따른 다분면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의 인식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기준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가상의 2차원 평면 상을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각 분면을 인식하기 위한 고유 번호를 각 분면에 부여한다. 그리고, 다분면 내에 기준점을 설정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2차원 평면이 4개로 분할된 사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A에서는 사분면으로 분할된 2차원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면에는 1부터 4까지의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기준점은 1사분면에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우측으로 기울이거나 방향 이동시키면, 1사분면에 위치한 기준점은 2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시 좌측으로 기울이거나 움직이면, 2사분면으로 이동했던 기준점이 다시 1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좌우로 흔들면 기준점은 2B와 같이 1사분면과 2사분면을 왔다갔다하게 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6)에서는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1212121…]로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아래쪽으로 기울이거나 방향 이동시키면, 1사분 면에 위치한 기준점은 4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쪽으로 기울이거나 움직이면, 4사분면으로 이동했던 기준점은 다시 1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상하로 흔들면 기준점은 2C와 같이 1사분면과 4사분면을 왔다갔다하게 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1414141…]로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듯 이동시키면, 1사분면에 위치한 기준점은 2D와 같이 4사분면, 3사분면, 2사분면을 거쳐 다시 1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14321]로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되고, 계속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경우 [14321432…]의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기준점은 2E와 같이 이동하고, [12341234…]의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X표를 그리는 경우, 1사분면에 위치한 기준점은 2F와 같이 1사분면에서 3사분면, 2사분면을 거쳐 4사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원래의 1사분면으로 돌아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13241]의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이 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감안하지 않고, [1324]의 위치 변화 패턴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의 2A 내지 2F에 있어서, 사분면으로 분할된 2차원 평면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 패턴을 설정함에 있어서, 위치 변화 패턴은 4개나 5 개의 사분면 번호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우 이동은 [1212], 상하 이동은 [1414], 시계방향 회전은 [1432], 반시계 방향은 [1234], X표는 [1324]의 위치 패턴을 갖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알파벳이나 한글 등과 같은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문자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밀한 이동을 감지해야 하므로, 2차원 평면을 많은 수의 평면으로 분할해야한다.
2G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알파벳 'A' 형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9개로 분할된 2차원 평면에서의 기준점 이동 및 입력된 알파벳 'A'를 인식하기 위한 변화 패턴을 나타낸다. 알파벳 'A' 형태로 이동되면, 2분면에 위치한 기준점은 7분면, 2분면, 9분면, 5분면을 거쳐 6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272956]이란 위치 변화 패턴을 갖게된다.
또한,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이 입력되는 순간에만 기준점이 이동한 다분면을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방향 변화에 따라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 변화 패턴을 인식한 후,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된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및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어떠한 동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해야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 인식을 위한 동작 패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동작 패턴 테이블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분면으로 분할된 2차원 평면에서, 2B 내지 2F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기울기/방향 변화에 따른 기준점의 위치 변화 패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동작 패턴 테이블은 위치 변화 패턴의 [1212]과 동작 패턴의 좌우로 흔들기, 위치 변화 패턴의 [1414]과 동작 패턴의 상하로 흔들기, 위치 변화 패턴의 [1234]과 동작 패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위치 변화 패턴의 [1432]과 동작 패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및 위치 변화 패턴의 [1324]와 각각 매칭되어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작 패턴 테이블과 위치 변화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동시킨 동작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를 통하여 인식된 위치 변화 패턴이 [1212]이면,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은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우로 흔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인식된 위치 변화 패턴이 [1414]이면,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로 흔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 프로그램은 위치 변화 패턴이 [1432]로 인식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고, 위치 변화 패턴이 [1234]로 인식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 변화 패턴이 [1324]로 확인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X 방향으로 움직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분할된 2차원 평면의 각 사분면의 번호나 기준점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기준점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2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1사분면에 있던 기준점을 2사분면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2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D와 같은 형태로 [14321]의 위치 변화 패턴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2차원 평면을 4분면이 아닌 9분면, 16분면 등으로 세분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 변화 패턴도 복잡해진다.
이와 같이 다분면의 번호가 바뀌거나, 기준점의 위치가 달라지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방향과 기준점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설정하는 경우, 도 3의 동작 패턴 테이블도 바뀌어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울기나 방향의 변화가 감지되면(S402),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모드 상태 저장부(110)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가 동작 감지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04).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기준점의 위치 Ln을 확인해야 한다. 기준점의 초기 위치 확인을 위하여 n=0으로 설정을 한 후(S406), 확인된 초기 위치, 즉 기준점이 위치한 분면의 숫자를 Ln 값으로 설정한다(S408).
Ln 값이 설정되면, 일정 시간 후의 기준점의 위치 Lm을 확인하기 위한 m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n과 m은 기준점의 위치가 확인된 순서를 표시한다. 그리고, m은 n+1로 설정되며(S410), 마이크로프로세서(116)는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일정 시간 후의 다분면 내에서의 기준점 위치 Lm 값을 확인한다(S412). 여기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일정 시간은 1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며, 0.1초 단위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m 값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울기/방향 변화 확인을 위하여 기준점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동 여부의 확인은 현재의 위치 Lm 값과 이전의 위치 Ln 값을 비교하여 같은 값을 가지는지, 다른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하면 된다(S414).
Lm과 Ln 값이 상이한 경우,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방향 변화에 따라 기준점이 다른 분면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부(104)에 Lm값을 위치 변화 패턴의 값으로 저장한다(S416).
그리고, Lm과 Ln 값이 동일한 경우, 즉 기준점의 이동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울기/방향 변화가 없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기준점의 이동 여부 확인 과정이 일정 횟수만큼 진행되었는지, 즉 m 값이 일정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일정 횟수(m 값)는 위치 변화 패턴이 어느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변화가 있었음을 결 정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예로써, 사분면으로 분할되어 있는 2차원 평면에서 m을 4의 배수로 설정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4번의 위치 변화 패턴을 가지게 되면, 해당 위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동작 패턴을 확인한다. 여기서, m은 4의 배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이 3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하 방향, [141] 또는 좌우 방향, [121]의 연속 동작 확인은 가능하지만, 회전에 따른 연속 동작 및 X 표를 그린 연속 동작의 확인은 불가능하다. 즉, m이 4로 설정된 경우, [1234]의 위치 변화 패턴을 확인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3으로 설정된 경우, [123]의 값을 가지고 위치 변화 패턴을 확인해야하므로 정확한 연속 동작 확인이 어렵기 때문이다(S418).
그리고, m 값이 사전에 설정된 일정 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m을 n으로 변환고, Lm을 Ln으로 변환한 뒤, S410 내지 S418의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S420).
마이크로프로세서(116)는 이상의 S406 내지 S420 단계를 실행하는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다분면 내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변화 경로(Lm), 즉 위치 변화 패턴이 확인되면,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과 위치 변화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을 확인한다(S4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이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6)는 동작 패 턴에 따라 동작 실행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고 있는 부가 서비스를 컨트롤한다(S424).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작 감지 모드의 설정이 해제되었는지, 연속 동작 인식을 필요로 하는 부가 서비스가 종료되었는지 등의 확인을 통해 위치 변화 감지의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위치 변화 감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S420 단계를 실행한 뒤, S406 단계 내지 S420 단계의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426).
여기서, S404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동작 인식은 실행되지 않으며, 부가 서비스의 컨트롤은 키 입력부(106)를 통해서 실행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을 필요로 하는 특정 콘텐츠에서는 S404 단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 감지 모드로 자동 변환시키거나, 사용자에게 동작 감지 모드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 및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114)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부가 장치 접속부(112)를 통하여 외부에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진동 센서(114)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S404 단계의 이전이나 이후에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S418 단계에서, 기준점의 이동 여부 확인 과정이 일정 횟수만큼 진 행되었는지 여부의 확인하는 것 대신, Lm 값이 일정 횟수만큼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위치 변화 패턴이 일정 횟수만큼 채워진 경우, 예로써, 4로 설정된 경우, 즉 기준점이 다분면 내에서 위치 변화를 4번 한 경우,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동작 패턴을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및 연속 동작 인식에 따른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속 동작 변화를 2차원 평면상에서의 기준점의 다분면 내에서의 이동 내역을 통해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통한 운동 궤적 변화 확인을 위하여 많은 계산을 해야하며, 일정 시간 동안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어지게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인식 방법에 있어서,
    (a) 가상의 2차원 평면을 2개 이상의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1 값(Ln)으로 설정하는 단계;
    (b)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2 값(Lm)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 값(Ln)과 상기 제2 값(Lm)을 비교한 뒤, 상이하면 상기 제2 값(Lm)을 위치 변화 패턴에 저장하는 단계;
    (d) 위치 변환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값(Lm)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확인된 상기 동작 패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위치 변화 패턴에 저장된 제2 값(Lm)이 사전에 설정된 특정 횟수만큼 저장되어 있지 않았으면, 상기 제2 값(Lm)을 상기 제1 값(Ln)으로 설정한 뒤 상기 단계 (b)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제2 값(Lm)이 사전에 설정된 특정 횟수만큼 저장되었으면, 상기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2 값(Lm)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다분면이 4분면일 때, 상기 동작 패턴 테이블은 상기 위치 변화 패턴이 두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은 좌우로 흔들기나, 상하로 흔들기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다분면이 4분면일 때, 상기 동작 패턴 테이블은 상기 위치 변화 패턴이 순차적인 네 개의 숫자나 역순인 네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동작 인식 방법은,
    상기 단계 (a)에 앞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울기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감지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단계 (a)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동작 감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상기 동작 감지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동작 감지 모드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울기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가상의 2차원 평면을 2개 이상의 다분면으로 분할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1 값(Ln)으로 설정하는 기능;
    (b)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기준점이 위치한 다분면을 제2 값(Lm)으로 설정하는 기능;
    (c) 상기 제1 값(Ln)과 상기 제2 값(Lm)을 비교한 뒤, 상이하면 상기 제2 값(Lm)을 위치 변화 패턴에 저장하는 기능;
    (d) 위치 변환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값(Lm)의 위치 변화 패턴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기능; 및
    (e) 확인된 상기 동작 패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기준점의 위치 변화 패턴을 확인하는 기준점 이동 인식 프로그램;
    상기 위치 변화 패턴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이 매칭되어 있는 동작 패턴 테이블; 및
    상기 동작 패턴 테이블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패턴을 확인하는 연속 동작 인식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동작 패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 실행 프로그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록 매체.
KR1020050087595A 2005-09-21 2005-09-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KR10072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595A KR100725145B1 (ko) 2005-09-21 2005-09-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595A KR100725145B1 (ko) 2005-09-21 2005-09-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178A KR20070033178A (ko) 2007-03-26
KR100725145B1 true KR100725145B1 (ko) 2007-06-04

Family

ID=415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595A KR100725145B1 (ko) 2005-09-21 2005-09-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75B1 (ko) * 2009-10-01 2010-05-11 (주)올라웍스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자세에 기초하여 비주얼 서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48A (ko) * 2004-10-21 2006-04-26 (주)두모션 모바일 기기의 동작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동작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48A (ko) * 2004-10-21 2006-04-26 (주)두모션 모바일 기기의 동작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동작 인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75B1 (ko) * 2009-10-01 2010-05-11 (주)올라웍스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자세에 기초하여 비주얼 서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040710A3 (ko) * 2009-10-01 2011-06-30 (주)올라웍스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자세에 기초하여 비주얼 서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178A (ko) 200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687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입력부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60256082A1 (en) Method of providing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403068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US20080263568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0612918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EP1983750A2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8307308A (zh) 无线局域网设备的定位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0743168A (zh) 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070172953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US20070042823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network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KR10072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동작 인식 방법
US101463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6054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아바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42601B2 (en) Mobile phone apparatus
KR1007249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폰 북 데이터 저장 방법
JP2006128789A (ja) 携帯端末機
US20020198652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11399797B (zh) 语音消息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790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CA2539313C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s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stand-alone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US20110158473A1 (en)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motion direc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891706B (zh) 遥控设备上遥杆的校准方法及装置
KR100605457B1 (ko) 기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13722827B (zh) Cad数据的创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507647B (zh) 多媒体数据的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