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115B1 -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 Google Patents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115B1
KR100725115B1 KR1020060064447A KR20060064447A KR100725115B1 KR 100725115 B1 KR100725115 B1 KR 100725115B1 KR 1020060064447 A KR1020060064447 A KR 1020060064447A KR 20060064447 A KR20060064447 A KR 20060064447A KR 100725115 B1 KR100725115 B1 KR 10072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support
bushing
pai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2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the panes mounted flush with the surrounding frame or with the surround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E06B3/5445Support arms engaging the holes or inden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볼 조인트 결합되어 자유 회동되는 조인트 아암; 상기 몸체의 좌, 우측 외경을 감싸도록 한 쌍이 대향 결합되고, 각각은 상기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과 내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된 부싱; 상기 부싱의 후단에 결합되어 부싱과 락너트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마찰판; 상기 마찰판의 후단에서 몸체의 좌, 우측 외경과 나선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찰판 및 부싱이 차례로 유리패널에 가압되도록 하는 락너트; 상기 조인트 아암의 자유단 측에 끼움되는 한 쌍의 와셔; 및 상기 조인트 아암의 자유단 끝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와셔를 가압하도록 된 조임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는 유리패널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 시, 좌우 양측 동시 지지가 가능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리패널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Duplex Supporting Body of Glass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와 유리패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
도 6은 도 5의 정면 상세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양방향 지지체 101: 유리패널
101a: 지지용 관통홀 103: 하드웨어 브라켓
110: 몸체 111: 중앙부
113: 외경탭 115: 볼 장착홈
120: 조인트 아암 121: 볼
123: 나사산부 125: 이동방지턱
130: 부싱 131: 경사면
140: 마찰판 150: 락너트
151: 내경탭 153: 공구 안내홈
160: 와셔 170: 조임용 너트부재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시공에 사용되는 유리패널용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소의 부품만을 이용해 유리패널을 양방향의 구조물 형식에 적용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S.P.G.(Special Point Glazing)시스템이라 함은, 강화유리패널에 특수 홀을 가공을 한 후, 상기 홀을 볼트 결합하여 로드 트러스(rod truss), 하드웨어 브라켓(wire) 및 기타 파이프 구조물 등에 지지시켜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특수한 건축공법을 의미하며, 이러한, S.P.G. 시스템은 프레임이나 구조용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탁월한 안전성을 유지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자연미를 극대화하고, 개방감과 채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S.P.G.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리패널은 12㎜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8mm, 10mm, 12mm, 15mm, 19mm 등 다양한 두께의 강화유리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강화유리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파 방지 처리를 위한 열간 유지시험(heat soak test)이 필수되어야 하고, 또한 물리적 충격으로 인하여 강화유리가 파손될 때 발생하는 파편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방지용 필름이 부착되도록 한다.
현재, 이러한 S.P.G.(Special Point Glazing)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은 식물원 등과 같이 난방을 위한 목적을 갖는 시설물 뿐 만아니라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건축물의 로비나 공공장소(전시장, 수영장, 운동장, 역사 등)의 지붕, 연결통로(walkway), 유리 커튼 월(glass curtain wall) 또는 전시물이나 예술작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패널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들은 대부분이 난방이나 채광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빛을 차단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는 각종 이음부재나 프레임 등의 구조물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유리패널의 소정 위치에 직접 관통 홀들을 가공한 다음, 상기 관통 홀에 볼트 및 너트 결합되는 지지체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의 일단에 하드웨어 브라켓을 연결시켜 천정이나 벽체 또는 기둥, 바닥 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유리패널에 결합되는 지지체가 유리패널의 일측 방향으로만 설치함에 따라, 관련 구조물의 설계 시 디자인 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의 지지체는 유리패널을 일측 방향으로만 지지하게 되는 구조로서, 양측의 건축 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유리패널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리패널의 여러 부위에 지지체 관통 홀을 형성시켜, 각각의 지지체 관통홀에 복수 개의 지지체가 양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도록 하여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매우 정교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워,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갖는 목적은 최소의 부품만을 이용해 유리패널 양측 방향의 구조물에서 구조적 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한 지지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에 전단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지지구조를 갖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자의 자유로운 설계 및 다양한 시공방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리패널의 다방향 지지가 가능한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는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서 각각 볼 조인트 결합되어 자유 회동되는 조인트 아암; 상기 몸체의 좌, 우측 외경을 감싸도록 한 쌍이 대향 결합되고, 각각은 상기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과 내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된 부싱; 상기 부싱의 후단에 결합되어 부싱과 락너트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마찰판; 상기 마찰판의 후단에서 몸체의 좌, 우측 외경과 나선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찰판 및 부싱이 차례로 유리패널에 가압되도록 하는 락너트; 상기 조인트 아암의 자유단 측에 끼움되는 한 쌍의 와셔; 및 상기 조인트 아암의 자유단 끝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와셔를 가압하도록 된 조임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100)는 크게 몸체(110), 조인트 아암(120), 부싱(130), 마찰판(140), 락너트(150), 와셔(160) 및 조임용 너트부재(17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 내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원통의 외경 중앙부(111)를 제외한 좌, 우측 끝단에 나사산이 가공된 외경탭(113)이 형성되며, 좌,우 측면에는 조인트 아암(120)의 일단을 영구 고정시키기 위한 볼 장착홈(115)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조인트 아암(120)은 일단에 몸체(110)의 볼 장착홈(115) 내에 삽입된 상태로 영구 결합되는 볼(121)이 형성되고, 타단에 조임용 너트부재(170)를 나선 결합시키는 나사산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부(123)와 볼(121) 사이에 와셔(16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동 방지턱(125)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121)이 몸체(110)의 볼 장착홈(115)에 조인트 결합되어 타단의 자유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부싱(130)은 소정 두께를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 일측이 경사면(13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면(131)이 내측을 향하도록 몸체(110)의 외경에 한 쌍이 마주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1)에는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이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지지용 관통홀(101a)은 부싱(130)의 경사면(131)과 내접되는 내접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부싱(130)은 락너트(150)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아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를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130)과 지지용 관통홀(101a) 사이에는 쐐기작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마찰판(140)은 상기 부싱(130)의 후단에 결합되어 부싱(130)과 락너트(15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락너트(150)는 도넛 형상을 갖는 소정두께의 원판 내경에 나선 결합용 내경탭(151)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원판의 일측면에는 체결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 안내홈(15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락너트(150)는 몸체(110)의 외경탭(113)에 나선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찰판(140) 및 부싱(130)이 차례로 유리패널(101)에 가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셔(160)는 한 쌍이 조인트 아암(120)의 나사산부(123)와 이동 방지턱(125)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와셔(160) 사이에는 하드웨어 브라켓(103)가 한 쌍의 와셔(160) 사이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지지체를 이용한 유리패널의 지지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100)와 유리패널(10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제작된 몸체(110)의 중앙부(111)가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용 관통홀(101a)은 몸체(110)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관통홀(101a) 주변이 내측으로 경사진 내접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 상기 몸체(110)의 좌/우측 끝단으로부터 부싱(130) 및 마찰판(140), 락너트(150)가 차례로 축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락너트(150)는 몸체(110)의 외경탭(113)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중앙부(111) 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와중에 마찰판(140) 및 부싱(130)을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 에 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락너트(150)는 체결 초기단계에서는 작업자의 손으로 회전시켜 체결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체결 마지막 단계에서는 보다 강력한 힘을 가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풀림이 방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락너트(150)의 측면에는 별도의 체결공구를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 안내홈(15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찰판(140)은 부싱(130)과 락너트(150)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락너트(150)가 자체 풀림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에 몸체(110)가 결합하게 되면, 조인트 아암(120)의 자유단에 하드웨어 브라켓(103)을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와 같은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100)는 유리패널(101)의 좌우 양측에서 장력 설치되는 하드웨어 브라켓(103)가 몸체(110)를 매개로 연결됨에 따라, 유리패널(101)에 직접적인 전단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고, 상기 유리패널(101)이 하드웨어 브라켓(103) 중앙에 얹혀지는 구조가 됨에 따라, 유리패널(101)이 쉽게 중심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전단력에 의한 파손이 예방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정면 상세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는 5층 건물의 로비를 유리패널을 이용한 구조물로 시공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로비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층의 유리패널(101)이 시공된다. 이때, 각각의 유리패널(101)은 본 발명의 양방향 지지체(100)를 이용해 양방향 지지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방향 지지체(100)을 사용하게 되면, 양측방향의 구조물에서 가운데 설치된 유리패널(101)의 응력발생을 최소화 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세도를 통해 상, 하측의 유리패널(101)과 결합된 양방향 지지체(100)가 별도의 하드웨어 브라켓(103)을 이용해 파이프 구조물에 고정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브라켓(103)은 도 6에서와 같이 4방향에 설치된 양방향 지지체(100)를 하나의 파이프 구조물에 결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를 S.P.G. 시스템에 적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게 되면, 수직, 수평 등 어떤 경사각도로도 시공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유리패널(101)에 직, 간접적인 하중이나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난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는 유리패널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 시, 좌우 양측 동시 지지가 가능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리패널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패널의 지지용 관통홀에 전단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지지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리패널의 균형유지가 쉽게 이루어지는 한편, 유리패널을 이용해 견고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은 유리패널의 다방향 지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설계자에 의한 자유로운 설계 및 다양한 시공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이는 안전성과 기능성을 갖추는 동시에 예술적 가치를 갖는 건축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좌우 양측이 각각 볼 조인트 결합되어 자유 회동되는 조인트 아암(120)으로 연결된 원통형 몸체(110)의 중앙에 유리패널(101)이 관통되고, 상기 유리패널(101)의 좌우측에서 각각 한 쌍의 락너트(150)가 원통형 몸체(11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리패널(101)의 양방향 지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2.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에 삽입되는 원통형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서 각각 볼 조인트 결합되어 자유 회동되는 조인트 아암(120);
    상기 몸체(110)의 좌, 우측 외경을 감싸도록 한 쌍이 대향 결합되고, 각각은 상기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과 내접하는 경사면(131)을 형성하도록 된 부싱(130);
    상기 부싱(130)의 후단에 결합되어 부싱(130)과 락너트(15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마찰판(140);
    상기 마찰판(140)의 후단에서 몸체(110)의 좌, 우측 외경과 나선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찰판(140) 및 부싱(130)이 차례로 유리패널(101)에 가압되도록 하는 락너트(150);
    상기 조인트 아암(120)의 자유단 측에 끼움되는 한 쌍의 와셔(160); 및
    상기 조인트 아암(120)의 자유단 끝 나산산부(123)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와셔(160)를 가압하도록 된 조임용 너트부재(170);
    를 포함하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 내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원통의 외경 중앙부(111)를 제외한 좌, 우측 끝단에 나사산이 가공된 외경탭(113)이 형성되며, 좌, 우측면에는 조인트 아암(120)의 일단을 영구 고정시키기 위한 볼 장착홈(1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아암(120)은 일단에 몸체(110)의 볼 장착홈(115) 내에 삽입된 상태로 영구 결합되는 볼(121)이 형성되고, 타단에 조임용 너트부재(170)를 나선 결합시키는 나사산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부(123)와 볼(121) 사이에 와셔(16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동 방지턱(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30)은 소정 두께를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 일면이 경사면(131)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31)이 내측을 향하도록 몸체(110)에 축 결합되어 유리패널(101)의 지지용 관통홀(101a)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KR1020060064447A 2006-07-10 2006-07-10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KR10072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447A KR100725115B1 (ko) 2006-07-10 2006-07-10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447A KR100725115B1 (ko) 2006-07-10 2006-07-10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115B1 true KR100725115B1 (ko) 2007-06-04

Family

ID=3835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447A KR100725115B1 (ko) 2006-07-10 2006-07-10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1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60B1 (ko) 2007-06-25 2008-05-13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박판유리 지지용 볼트 체결방법
KR200447055Y1 (ko) 2009-02-23 2009-12-21 노상도 난간용 지주
KR200477264Y1 (ko) * 2013-10-02 2015-05-26 이태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532A (ja) * 1995-07-31 1997-02-10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
JPH0960168A (ja) * 1995-08-16 1997-03-04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板状材の取付構造
JP2000064468A (ja) 1998-08-21 2000-02-29 Shukoh Co Ltd 簡易移動式パーティション
JP2002021223A (ja) 2000-07-03 2002-01-23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200365968Y1 (ko) 2004-08-04 2004-10-28 김영갑 유리 커튼월 고정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532A (ja) * 1995-07-31 1997-02-10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
JPH0960168A (ja) * 1995-08-16 1997-03-04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板状材の取付構造
JP2000064468A (ja) 1998-08-21 2000-02-29 Shukoh Co Ltd 簡易移動式パーティション
JP2002021223A (ja) 2000-07-03 2002-01-23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200365968Y1 (ko) 2004-08-04 2004-10-28 김영갑 유리 커튼월 고정 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60B1 (ko) 2007-06-25 2008-05-13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박판유리 지지용 볼트 체결방법
KR200447055Y1 (ko) 2009-02-23 2009-12-21 노상도 난간용 지주
KR200477264Y1 (ko) * 2013-10-02 2015-05-26 이태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027E1 (en) Wire rope termination and tensioning for cable railing
KR20180092677A (ko) 건축물 외장 마감재 고정구조
KR100725115B1 (ko) 유리패널의 양방향 지지체
JP2016205614A (ja) 配管支持金具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EA011369B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су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удержание панелей, например, из стекла, мрамора или подоб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осредством точечной анкеровки и шаровой опоры
KR10227957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US20180023316A1 (en) Post mount cable rail installation system
JP2006233495A (ja) 梁勝ちの柱梁架構構造
KR20000006220U (ko) 벽체 부착용 안전난간 클램프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JP3675700B2 (ja)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200457608Y1 (ko)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 결속구
JP3813791B2 (ja) テンショントラス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8226168A (ja) 木構造接合金物と、そのシステム工法
KR20100000864U (ko)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패널 결속구
CN219509033U (zh) 装配式圆钢柱饰面板系统
KR101041029B1 (ko)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KR102620886B1 (ko) 난간
CN212866690U (zh) 一种楼梯扶手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KR102188106B1 (ko)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20130126100A (ko) 힌지타입 외장유리 지지볼트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CN118049000A (zh) 一种预制连接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