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38B1 -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38B1
KR100724138B1 KR1020060059116A KR20060059116A KR100724138B1 KR 100724138 B1 KR100724138 B1 KR 100724138B1 KR 1020060059116 A KR1020060059116 A KR 1020060059116A KR 20060059116 A KR20060059116 A KR 20060059116A KR 100724138 B1 KR100724138 B1 KR 10072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ip
winch system
winc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와이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와이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와이조선
Priority to KR102006005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2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varying rope or cable tension, e.g. when recovering craft fro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33Fluid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을 끌어올리기 위해 해안에 레일과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주윈치시스템과 보조윈치시스템을 설치하여 3개의 수평된 방향에서 선박을 끌어올려 3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흔들림없이 끌어올려 수리할 수 있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 수리시 장소가 부족하고 건설비용이 많이 드는 도크를 사용함이 없이 고 하중 즉, 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끌어당길 수 있는 윈치 시스템이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하중의 선박을 끌어당겨도 그 선박이 흔들림이 없이 부드럽게 당겨지며, 그에 따라 레일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손쉽게 선박을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윈치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되, 그 안정감과 고 하중의 선박도 끌어당길 수 있게 하기에 유용한 발명이다.
선박, 대차, 이송롤, 움직도르레부, 고정도르레부, 주윈치, 측면윈치 등

Description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The winch system for landing a ship}
도 1은 종래의 윈치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사용되어온 움직도르레부와 고정도르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윈치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윈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대차와 움직도르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드롤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선박 10; 레일
20; 대차 21; 이송롤
30; 움직도르레부 40; 고정도르레부
50; 와이어 60; 주윈치
70; 와이어권취롤 100; 주윈치시스템
200; 측면윈치시스템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을 끌어올리기 위해 해안에 레일과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주윈치시스템과 측면윈치시스템을 설치하여 3개의 수평된 방향에서 선박을 끌어올려 30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흔들림없이 끌어올려 수리할 수 있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도크에서 건조되어 진수식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그 건조된 선박이 사용하다 고장이 나거나, 선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칠을 칠해야 할 경우에도 도크에서 작업이 행하여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실상 도크의 경우, 그 건축비용이 많이 들고, 해안에다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현재 수리를 위한 도크까지 충분히 설치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도크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의 수리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려 수리를 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견인장치에 한계가 있어서 3중형급 이하의 극히 소형 선박의 수리에 적용되어 왔고,중형급 이상의 선박은 도크에서 수리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때 사용되는 방식이 도 1과 2에 도시된 방식이다.
즉, 먼저 선박(1)이 선적된 항구에서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레일(10)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박(1)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대차(20)를 올리고, 그 대차(20)의 상부에 움직도르레부(30)를 설치한다.
물론 이 움직도르레부(30)의 상부에는 목재(9)를 올려놓은 상태로 선박(1)의 바닥이 면접되게 한다.
그리고 윈치(60)를 이용하여 선박(1)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러면 대차(20)를 탄 선박(1)은 레일(10)을 타고 육지로 끌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원리는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의 원리가 사용된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이 윈치시스템은 큰 힘을 발휘하는 윈치(60)를 사용하여 와이어(50)로 선박(1)을 끌어올린다.
그러나 선박(1)이란 그 무게가 상당하여 그리 쉽지가 않았다.
따라서 그 힘을 조율하기 위해서, 상기 움직도르레부(30)가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는 대응되는 구조이다.
모두 다층 다열의 회전롤(35)이 형성되어 있되, 수평되게 그 지름이 다른 형태의 회전롤(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롤(35)의 외주면을 와이어(50)는 교번적으로 감아 윈치(60)와 연결이 된다.
결국 윈치(60)의 회전은 많고 와이어(50)는 긴 길이 만큼 끌어당기지만, 끌 려오는 선박(1)은 조금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실상 윈치(60)에서 사용되는 힘은 적게 발생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아주 육중한 선박(1)을 육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윈치시스템의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선박(1)의 무게가 많이 나가면 많이 나갈수록,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에 장착되는 회전롤(35)의 수는 많아야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와이어(50)의 두께도 두꺼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도르레부(30, 40)에 감기는 와이어(50)도 복수여야만 하고, 이는 와이어(50) 간에 서로 꼬이게 되는 결과도 가져왔다.
더불어 감기는 와이어(50)의 숫자도 많아지고, 그 두께가 커지면 선박(1)을 장착시 안정감이 없어 흔들릴 소지가 많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선박(1)의 길이방향 하단에 설치된 하나의 레일(10)만으로 선박(1)을 끌어당기기에 약간의 흔들림이 생기게 되면 전체적으로 레일(10)을 다시 설치하고 재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했다.
나아가 종래의 이러한 선박(1) 견인을 위한 윈치시스템의 경우 중형급 이하의 경우에만 가능하였고, 그보다 더 하중이 큰 선박의 경우는 도크를 이용하여 수리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기다려야만 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 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을 끌어올리기 위해 해안에 레일과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주윈치시스템과 측면윈치시스템을 설치하여 3개의 수평된 방향에서 선박을 끌어올려 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흔들림없이 끌어올려 수리할 수 있는 수리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길을 놓은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이 장착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도르레부에 감긴 와이어를 댕기는 주윈치와,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를 감는 와이어권취롤로 구성되어 선박을 끌어당기는 주윈치시스템과; 상기 주윈치시스템의 좌우에 설치되어 선박을 와이어를 통해 끌어당기는 측면윈치시스템이; 결합하여 바다 위의 선박을 끌어당겨 육지로 올려놓고 선박의 수리를 하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면윈치시스템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주윈치시스템 레일의 좌우측에 길을 놓은 보조레일과; 상기 보조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이 장착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도르레부에 감긴 와이어를 댕기는 측면윈치와;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를 감는 측면와이어권취롤로; 구성되어 선박을 끌어당기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면윈치는, 전기모터, 유압시스템에 의한 유압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측면윈치 중 전기모터의 경우는 초기힘을 극대화하기 위해 토크컨버터를 사용하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당기는 윈치를 3개 설치하고 수평된 상태로 끌어당긴다는 점과, 그에 따라 안정되게 선박을 끌어당길 수 있다는 점 및 보다 무거운 중량의 선박도 끌어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시된 도 3 내지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길을 놓은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21)이 장착된 대차(20)와,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30)와,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40)와, 상기 도르레부(30, 40)에 감긴 와이어(50)를 당기는 주윈치(60)와,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50)를 감는 와이어권취롤(70)로 구성되어 선박을 끌어당기는 주윈치시스템(100)이 있다.
또한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의 좌우에 설치되어 선박(1)을 와이어(50)를 통해 끌어당기는 측면윈치시스템(200)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다 위의 선박(1)을 끌어당겨 육지로 올려놓고 선박의 수리를 하기 쉽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3개의 윈치가 각각 형성된다.
정 중앙에 형성된 윈치시스템은 주윈치시스템(100)이고, 그 좌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측면윈치시스템(20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개의 윈치로 3개의 와이어(50)를 통해서 고 하중의 선박을 끌어 당기는 것이다.
즉, 정 중앙의 주윈치시스템(100)에서도 주윈치(60)로 끌어당기고, 측면윈치시스템(200)의 측면윈치(260)도 선박(1)을 동시에 끌어당기는 것이다.
그럼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선박(1)이 정박된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길을 놓은 레일(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21)이 장착된 대차(20)가 비치된다.
바로 이 대차(20) 위에 선박(1)의 밑바닥을 올려놓는 것이다.
그러면 선박(1)은 상기 대차(20)를 잡아당기게 되면, 레일(10)을 타고 육지로 끌어 올려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30)와,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40)이다.
즉, 상기 선박(1)의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여 아주 큰 힘을 이용하여 끌어당겨야 하는데, 사실상 중형급 이상의 선박(1)의 경우 그 마찰력을 이기면서 끌어당기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 힘을 배가 되게 하기 위해서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설명을 했지만, 부연하자면 상기 고정도르레부(40)와 움직도르레부(30)에 형성된 다층 다열의 회전롤(35)을 와이어(50)로 감아 윈치시스템에 체결하고 끌어당기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끌어당기는 윈치가 3대이고, 이를 위해 필요한 와이어(50)도 3개이기에 종래의 윈치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와이어(50)와는 다른 와이어(50)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사용되는 와이어(50)의 두께가 작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의 회전롤(35)이 적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윈치(60)로부터 당겨지는 와이어(50)를 감는 와이어권취롤(70)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정 중앙에 하나의 주윈치시스템(100)이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 별도의 측면윈치시스템(200)이 설치되어 바다 위의 선박(1)을 육지로 끌어올려 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에서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의 사이에는 도시된 와이어가이드롤(9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와이어(50)가 서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꼬일 염려가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측면윈치시스템(200)은,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주윈치시스템 레일(10)의 좌우측에 길을 놓은 보조레일(210)이 있고, 상기 보조레일(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21)이 장착된 대차(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30)가 있고,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40)가 있다.
또한 상기 도르레부(30, 40)에 감긴 와이어(50)를 당기는 측면윈치(260)가 있고,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50)를 감는 측면와이어권취롤(270)이 있다.
따라서 선박(1)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즉, 사실상 전술된 상기 주윈치시스템(100)과 그 구성은 모두 유사하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주윈치시스템(100)의 작용을 돕는다는 것이다(그래서 주윈치시스템과 거의 동일부호를 매김).
그러나 그 효과는 현저하다.
즉, 종래 하나의 주윈치시스템(100)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사실상 중형급 이상의 선박(1)을 끌어당기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윈치시스템을 사용하면 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얼마든지 육지로 끌어당겨 수리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1)을 끌어당길 때 보다 안정되게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선박(1)의 정 중앙에만 설치된 대차(20)를 통해 끌어당기면, 선박(1)이 틀어질 소지가 많다.
이는 아주 큰 문제점으로 모든 설치된 레일(10)을 재 설치해야만 하는 결과를 가져올 때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유사한 구성을 같이 사용하지만 그 효과면에서는 현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측면윈치시스템(200)에서도,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의 사이에,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을 설치한다.
이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의 경우도 주윈치시스템(100)에서처럼 와이어(50)가 꼬이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윈치(260)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공지된 전기모터, 유압시스템에 의한 유압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지된 고출력의 전기모터를 사용하거나, 유압시스템의 유압모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압시스템은 일반적인 유압시스템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통상 동력이 되는 엔진, 유체를 모으는 유체탱크,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유압모터, 유체를 분출하고 흡입하는 펌프가 있고, 이들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의 통로가 되는 밸브와 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어떠한 물체를 끌어당길 때 운동마찰계수보다는 최대정지마찰계수가 훨씬 크기 때문에 초기의 힘이 가장 많이 필요하고, 따라서 측면윈치(260) 중 전기모 터의 경우, 초기 힘을 극대화하기 위해 토크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처음 선박을 끌어당겨 선박이 이동을 시작하려고 할 경우에는 아주 큰 힘이 필요하고, 일단 이동을 시작하여 선박이 이동을 하게 되면 그 힘은 작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모터의 경우 그 초기 동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토크컨버터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측면윈치의 경우 같음 속도로 회전하여 같은 길이 만큼의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롤(90)과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수직으로 세운 4각의 프레임(91)이 있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운 다수의 가이드롤(92)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92) 축부에 끼워지는 베어링(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92) 사이 사이로 와이어(50)를 관통시켜 와이어(50)가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그럼 여기서 본 발명의 작동 모습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바다 위의 선박(1) 밑바닥에 도시된 대차(20)와 움직도르레부(3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대차(20)와 움직도르레부(30)는 3열로 늘어 놓아 상기 주윈치시스템(100)과 측면윈치시스템(200)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윈치시스템(100)과 측면윈치시스템(200)의 윈치를 가동한다.
그러면 각자의 윈치가 작동하여 와이어(50)를 당기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50)는 당겨지며, 많은 회전수를 발생시키는데, 당겨지는 와이어(50)의 길이에 비해 상기 선박의 이동거리는 적다.
이는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의 원리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도르레부(40)와 움직도르레부(30) 사이에 많은 길이의 와이어(50)가 겹쳐서 감겨져 있다.
물론 그 와이어(50)에 마찰을 줄이기 위해 도시된 각각의 회전롤(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지면 상기 도르레부간의 회전롤(35)에 교차하며 감겨진 와이어(50)가 와이어권취롤(70)과 측면와이어권취롤(270)에 감기며 선박(1)을 육지로 올리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도르레부(40)는 육지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움직도르레부(30)는 배 밑바닥에 깔려 같이 이동한다.
그런데 사실상 상기 고정도르레부(40)와 움직도르레부(30) 사이를 교차하는 와이어(50)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모두 복수개가 늘어서 있다.
따라서 이 와이어(50)는 서로 쏠리는 경우가 발생될 소지도 있으며, 서로 꼬일 염려가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6에서처럼, 별도의 상기 와이어가이드롤(90)과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을 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으로 세운 다수의 가이드롤(92) 사이 사이를 관통하여 와이 어(50)가 빠져나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92) 축부에 끼워지는 베어링은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가이드롤이 부드럽게 회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3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3선의 와이어(50)로 정박중인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려 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살명의 시스템 사용 중 선박이 끌려올 때 선박의 바닥이 긁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중간대차(P)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측면윈치시스템(200)을 2개 가지고 주윈치시스템(100)을 1개 가진 형태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은 정 중앙에 1개 가지고 있지만, 측면윈치시스템(200)은 2개, 4개 또는 6개의 형태로 비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의 좌우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설치될 장소가 부족하고 건설비용이 많이 드는 도크를 사용함이 없이 고 하중 즉, 중형급 이상의 선박도 끌어당길 수 있는 윈치 시스템이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하중의 선박을 끌어당겨도 그 선박이 흔들림이 없이 부드럽게 당겨지며, 그에 따라 레일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손쉽게 선박을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윈치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되, 그 안정감과 고 하중의 선박도 끌어당길 수 있게 하기에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선박의 수리를 위해 선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윈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길을 놓은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21)이 장착된 대차(20)와,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30)와,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40)와, 상기 도르레부(30, 40)에 감긴 와이어(50)를 댕기는 주윈치(60)와,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50)를 감는 와이어권취롤(70)로 구성되어 선박을 끌어당기는 주윈치시스템(100)과;
    상기 주윈치시스템(100)의 좌우에 설치되어 선박(1)을 와이어(50)를 통해 끌어당기는 측면윈치시스템(200)이; 결합하여 바다 위의 선박(1)을 끌어당겨 육지로 올려놓고 선박의 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의 사이에,
    와이어가이드롤(9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윈치시스템(200)은,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바다에서 육지로 주윈치시스템 레일(10)의 좌우측에 길을 놓은 보조레일(210)과;
    상기 보조레일(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롤(21)이 장착된 대차(20)와;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층 다열 구조인 움직도르레부(30)와;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대응되어 지상에 고정되는 다층 다열구조의 고정도르레부(40)와;
    상기 도르레부(30, 40)에 감긴 와이어(50)를 댕기는 측면윈치(260)와;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50)를 감는 측면와이어권취롤(270)로; 구성되어 선박(1)을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레부(30)와 고정도르레부(40)의 사이에,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윈치는,
    전기모터, 유압시스템에 의한 유압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선박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윈치 중 전기모터의 경우,
    초기힘을 극대화하기 위해 토크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7. 제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롤(90)과 측면와이어가이드롤(290)은,
    수직으로 세운 4각의 프레임(91)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운 다수의 가이드롤(92)과;
    상기 가이드롤(92) 축부에 끼워지는 베어링(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92) 사이 사이로 와이어(50)를 관통시켜 와이어(50)가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KR1020060059116A 2006-06-29 2006-06-29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KR100724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116A KR100724138B1 (ko) 2006-06-29 2006-06-29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116A KR100724138B1 (ko) 2006-06-29 2006-06-29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138B1 true KR100724138B1 (ko) 2007-06-04

Family

ID=3835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16A KR100724138B1 (ko) 2006-06-29 2006-06-29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7Y1 (ko) 2009-02-07 2010-02-01 조병호 선대 폰툰 장치( slip-way & pontoon system)를 이용한 갑문
CN104118534A (zh) * 2014-07-21 2014-10-29 台州市东海船舶修造有限公司 轨道式拖船系统
KR20170017088A (ko) 2015-08-05 2017-02-15 연수중공업(유) 선박 이송용 대차레일의 퇴적물 제거장치
CN107042879A (zh) * 2016-11-29 2017-08-15 舟山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斜船台下水牵引装置及方法
KR102047211B1 (ko) 2019-05-29 2019-11-20 문상호 퇴적물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선박 이송용 대차
CN114093211A (zh) * 2021-11-05 2022-02-25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运输机全段货舱滚装训练台架
KR20220151247A (ko) * 2021-05-06 2022-11-15 김희자 선박 수리를 위한 선박 이송 자동화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8315A (ko) * 1984-05-02 1985-12-16 로널드 스틸링 로크 윈치시스템(winch system)
KR200317569Y1 (ko) * 2002-12-24 2003-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다목적 인양 윈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8315A (ko) * 1984-05-02 1985-12-16 로널드 스틸링 로크 윈치시스템(winch system)
KR200317569Y1 (ko) * 2002-12-24 2003-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다목적 인양 윈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850008315 A
200317569 Y1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7Y1 (ko) 2009-02-07 2010-02-01 조병호 선대 폰툰 장치( slip-way & pontoon system)를 이용한 갑문
CN104118534A (zh) * 2014-07-21 2014-10-29 台州市东海船舶修造有限公司 轨道式拖船系统
KR20170017088A (ko) 2015-08-05 2017-02-15 연수중공업(유) 선박 이송용 대차레일의 퇴적물 제거장치
CN107042879A (zh) * 2016-11-29 2017-08-15 舟山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斜船台下水牵引装置及方法
KR102047211B1 (ko) 2019-05-29 2019-11-20 문상호 퇴적물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선박 이송용 대차
KR20220151247A (ko) * 2021-05-06 2022-11-15 김희자 선박 수리를 위한 선박 이송 자동화시스템
KR102488228B1 (ko) * 2021-05-06 2023-01-13 김 희 자 선박 수리를 위한 선박 이송 자동화시스템
CN114093211A (zh) * 2021-11-05 2022-02-25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运输机全段货舱滚装训练台架
CN114093211B (zh) * 2021-11-05 2024-04-12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运输机全段货舱滚装训练台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38B1 (ko) 수리 선박 육상 견인을 위한 윈치 시스템
KR101991546B1 (ko) 에어로포일 세일
US9200727B2 (en) Ship having a deck comprising a cavity with a built-in rotary plate
US9725147B2 (en) Thruster system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CN102625776A (zh) 柔性管的搬运和安装
KR102511234B1 (ko) 해상 리프팅 크레인
US20100239371A1 (en) Boat lift
BR112014019303B1 (pt) Sistema de tração para um número de linhas de operação de uma embarcação e método para carrear linhas de operação em um sistema de tração
US5984586A (en) Mooring unit and retrofitting method
CN105041007B (zh) 闭环控制的双驱动浮筒式水中升降舞台
CN203319601U (zh) 一种张紧驱动的卷扬提升机构
US20120189448A1 (en) Easy maintenance hydraulic turbine engine
US5390616A (en) Dock mounted small boat lifting system
CN107856815A (zh) 一种用于风电平台的海上舷梯
CN208546008U (zh) 一种可指定进出车位置的升降横移机械式停车设备
CN108018778B (zh) 不通航水域的猫道索架设牵引系统及猫道索快速架设方法
US9174705B2 (en) Compensated lashing of tender assist drilling unit to a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CN104925222B (zh) 立式锚绞车
NL2011391C2 (en) Method for arranging a pile on a vessel.
CN111498032A (zh) 一种海水提升泵塔及海工平台
CN107794957B (zh) 超大直径单桩基础水平静载装置及试验方法
CN102530735A (zh) 门座起重机的整体装运工艺及设备
CN105731274A (zh) 一种可分体运输的起吊装置
JP2009242081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台車を用いた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EP3210873A1 (en) Line tens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