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778B1 -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778B1
KR100723778B1 KR1020070028999A KR20070028999A KR100723778B1 KR 100723778 B1 KR100723778 B1 KR 100723778B1 KR 1020070028999 A KR1020070028999 A KR 1020070028999A KR 20070028999 A KR20070028999 A KR 20070028999A KR 100723778 B1 KR100723778 B1 KR 10072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bed
white pap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159A (ko
Inventor
한광호
하금현
김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to KR102007002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7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38Wall beds
    • A47C17/40Wall beds having balancing members, e.g. weights,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8Folding bedsteads only legs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벽면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아파트, 오피스텔등 좁은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침대, 매트리스, 프레임, 거치대, 흰지, 노브, 슬라이드공.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height changes of method which folds bed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프레임의 개략적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프레임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4 부분확대도로, a는 A부분 확대도, b는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흰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사용상태도로
a는 최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b는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c는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격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트리스 200 : 상부판 300 : 프레임 310 : 확개수단 320 : 흰지
350 : 고정수단 600 : 거치대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벽면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아파트, 오피스텔등 좁은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사용자가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구로, 일반적으로 4각의 평상( 平床 )으로 된 틀( frame )과, 상기 틀 하부 모서리부에 틀이 일정높이로 유지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있고, 상기 틀 상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침대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되며, 침대사용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므로, 침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침대설치후 실내 잔여공간을 충분히 고려하여야만 하였다. 특히, 소형 공동주택, 저평수 아파트의 어린이방등 비교적 공간이 작은 실내에서는 침대의 설치로 비좁아져 침대사용의 제약을 받았으며, 오피스텔, 원룸과 같은 곳에서는 미 사용시에도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손님접대나 활동시에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침대설치 후 위치이동이 자유롭지 않으므로, 침대 하단에 먼지가 끼 고, 세균의 서식처가 되는 등 청결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노약자, 장애자, 어린이등과 사용자의 취향과 컨디션에 따라, 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잠버릇이 좋지 않아 침대에서 자주 낙상( 落傷 )하는 어린이가 있다던지, 높이 오르내리는데 불편함이 있는 노약자가 사용하는 경우 또는 장애자가 사용하는 경우 침대높이를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었으나, 기존의 침대는 구조적으로 불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이 손쉬운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구조는,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측부에 흰지( 320 )가 돌설되고, 하우징( 312 ) 및 이송편( 311 )과 상기 이송편( 311 )과 연결되고 내측에 스프링( 314 ), 와셔( 315 ), 이탈방지핀( 316 )을 구비하며 프레임을 관통설치되는 노브( 313, knob )를 포함한 확개수단( 310 )과, 요부에 하우징( 352, 352')과 스프링( 353, 353'), 와셔( 354 ), 이탈방지핀 ( 355 )이 삽설되고, 일측에 슬라이드공( 358, 358' )이 형성되며, 타단에 프레임( 300 ) 을 관통하고 요홈부( 356, 356' )를 갖는 멈춤핀( 357, 357' )이 형성된 좌·우측의 이송로드( 351, 351' )로 구성된 고정수단( 350, 350' )을 포함하는 프레임 ( 300 )과,
로울러( 700, 700' )를 포함하는 하부판( 400 )과,
상기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프레임( 300 )과, 하부판( 400 )이 결합나사( 500 )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벽체에 부착되는 면에 다수개의 설치공( 610 )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300 )의 멈춤핀( 357, 357' )과 대향하여 소정 세로간격으로 고정공( 620 )이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세로로 슬라이드공( 630 )이 형성되되, 상기 멈춤핀( 357 )이 고정공( 620 )에 삽입된 수평위치를 감안한 상태의 상기 프레임( 300 ) 흰지( 320 )와 대향한 위치에 흰지공( 640a, 640b )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 630 ) 하부에 상기 흰지공과 동일한 직경으로 장공( 650 )이 형성되며, 조립공( 605 )을 포함하는 거치대( 600 )와,
상기 거치대 합체시 조립공( 605 )과 대향하여 형성된 통공( 665 )을 포함하는 커버( 660 )와,
상기 거치대( 600 )와 커버( 660 )의 조립시 사용되는 조립나사( 6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사시도로 선 단부에 노브( 313 )를 포함하는 침대 양 측단에 커버( 660 )를 포함하는 거치대( 600 )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분리 사시도로,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측부에 흰지( 320 )가 돌설되고, 하우징( 312 ) 및 이송편( 311 )과 상기 이송편( 311 )과 연결되고 내측에 스프링( 314 ), 와셔( 315 ), 이탈방지핀( 316 )을 구비하며 프레임을 관통설치되는 노브( 313, knob )를 포함한 확개수단( 310 )과, 요부에 하우징( 352, 352' )과 스프링( 353, 353' ), 와셔( 354 ), 이탈방지핀 ( 355 )이 삽설되고, 일측에 슬라이드공( 358, 358')이 형성되며, 타단에 프레임( 300 )을 관통하고 요홈부( 356, 356' )를 갖는 멈춤핀( 357, 357')이 형성된 좌·우측의 이송로드( 351, 351' )로 구성된 고정수단( 350, 350' )을 포함하는 프레임( 300 )과,
로울러( 700, 700' )를 포함하는 하부판( 400 )과,
상기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프레임( 300 )과, 하부판( 400 )이 결합나사( 500 )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벽체에 부착되는 면에 다수개의 설치공( 610 )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300 )의 멈춤핀( 357, 357' )과 대향하여 소정 세로간격으로 고정공( 620 )이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세로로 슬라이드공( 630 )이 형성되되, 상기 멈춤핀( 357 )이 고 정공( 620 )에 삽입된 수평위치를 감안한 상태의 상기 프레임( 300 ) 흰지( 320 )와 대향한 위치에 흰지공( 640a, 640b )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 630 ) 하부에 상기 흰지공과 동일한 직경으로 장공( 650 )이 형성되며, 조립공( 605 )을 포함하는 거치대( 600 )와,
상기 거치대 합체시 조립공( 605 )과 대향하여 형성된 통공( 665 )을 포함하는 커버( 660 )와,
상기 거치대( 600 )와 커버( 660 )의 조립시 사용되는 조립나사( 670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매트리스( 100 ) 하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부판( 200 ), 프레임( 300 ), 하부판( 400 )의 동일위치에 매트리스( 100 )와 결합나사( 500 )로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 205, 305, 405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개략적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프레임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4 부분확대도로, a는 A부분 확대도, b는 B부분 확대도로, 상기 확개수단( 310 )의 이송편( 311 )은 상기 고정수단( 350, 350' )의 이송로드( 351, 351' )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 358, 358' )에 내설되는 구조를 갖되, 이송편 좌우측에 이송편 좌우측에 밀착되어 있다. 즉, 우측이송로드( 351' )의 슬라이드공( 358' )은 이송편의 좌측에, 좌측 이송로드( 351 )의 슬라이드공( 358 )은 이송편의 우측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 312, 352, 352' )은 고정수단( 350, 350' )과 확개수단( 310 )이 길이방향으로 쉽게 왕복 이송되는 것을 돕는 부재로 프레임( 300 )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과 확개수단 일측에 외설된다.
먼저, 프레임( 300 )에서 멈춤핀( 357, 357' )이 출몰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프레임( 300 ) 선단부로 부터 노브( 313 )를 인출하게 되면 확개수단( 310 )이 노브( 31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노브( 313 ) 타단은 하우징( 312 )에서 인출되며, 역 평행사변형 이송편( 311 )이 노브( 313 )방향으로 이동되고, 노브( 313 )의 프레임 내측에선 압축스프링( 314 )이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슬라이드공( 358, 358')을 포함하는 이송로드는 이송편( 311 )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타단의 멈춤핀( 357 )을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5 b를 참조하면, 이송로드( 351')는 하우징( 352')과 스프링( 353' )과 와셔( 354' )와 이탈방지핀( 355' )에 내설되어 있으며, 하우징( 352' )과 인접한 압축스프링( 353' )이 와셔( 354' )와 이송로드( 351' )에 관통 삽설된 이탈 방지핀( 355')으로 압축된다.
상기와 반대로 인출하였던 노브( 313 )를 원위치 시키게 되면, 노브의 프레임( 300 ) 내측 압축스프링( 314 )과 상기 이송로드( 351, 351')에 삽설된 압축 스프링( 353, 353' )의 복귀로 멈춤핀( 357, 357' )이 프레임( 300 ) 외측으로 돌출 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측면도로 하부판( 400 ) 하단부에 로울러( 700, 700' )가 장착되어 침대를 바닥면에 안착시 보다 쉽게 다룰수 있고, 실내의 바닥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흰지 정면도이다.
여기서, 흰지와 슬라이드공, 흰지공, 장공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공( 630 )은 흰지( 320 )의 세로폭이 수용되는 구조이고, 상부와 중앙부에 형성된 흰지공( 640a, 640b )과 하부의 장공( 650 )은 흰지( 320 )의 가로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정원(正圓)의 중심에서 상하 같은 거리에 평행선을 긋고 평행선 상·하부 반원모양을 제거한 형태를 취하는 흰지( 320, 320' )는, 침대를 세로로 세웠을때는 슬라이드공( 630 )을 자유롭게 상·하 슬라이딩 하지만, 흰지공( 640a, 640b )에 멈춰 가로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침대가 하부로 추락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사용상태도로, a는 최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b는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c는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의 격납상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침대가 격납되었거나, 사용상태에 있더라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침대의 선단부의 노브를 인출하게 되면, 장공( 650 ) 또는 고정공( 620 )에 삽설된 멈춤핀( 357, 357' )이 이탈되면서 프레임( 300 )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먼저, 침대를 최상부 또는 중앙부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노브( 313 )를 인출하고 흰지( 320, 320' )가 최상부 또는 중앙부에 다다랐을때 매트리스를 천정방향으로 향해 회동시키면서 인출한 노브( 313 )를 놓게 되면, 멈춤핀( 357, 357' )의 선단부가 거치대의 내벽을 타고 원호를 그리다가 거치대의 고정공( 620 )에서 밀려 나오게 되면서 고정된다.
여기서, 멈춤핀의 요홈부( 356, 356')는 침대상부에 하중이 걸렸을때 거치대의 고정공에 삽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침대를 사용하는 중에는 타인이 노브인출을 시도하더라도 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판재 두께보다 멈춤핀의 요홈부폭이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침대를 바닥면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와 같이 노브를 인출하고, 침대를 세워 하부 바닥면에 로울러( 700 )를 닿게 하고 침대 선단부를 벽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침대가 밀려 들어가면서 멈춤핀이 거치대의 내벽을 타고 원호를 그리다가 거치대의 고정공에서 밀려 나오게 되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는, 좁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환자, 장애우, 노인, 어린이등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용이 편리해지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는, 좁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환자, 장애우, 노인, 어린이등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용이 편리해진다.

Claims (1)

  1. 공동주택 실내 벽체에 설치하여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접어서 보관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구조에 있어서,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측부에 흰지( 320 )가 돌설되고, 하우징( 312 ) 및 이송편( 311 )과 상기 이송편( 311 )과 연결되고 내측에 스프링( 314 ), 와셔( 315 ), 이탈방지핀( 316 )을 구비하며 프레임을 관통설치되는 노브( 313, knob )를 포함한 확개수단( 310 )과, 요부에 하우징( 352, 352' )과 스프링( 353, 353' ), 와셔( 354 ), 이탈방지핀( 355 )이 삽설되고, 일측에 슬라이드공( 358, 358' )이 형성되며, 타단에 프레임( 300 )을 관통하고 요홈부( 356, 356' )를 갖는 멈춤핀( 357, 357' )이 형성된 좌·우측의 이송로드( 351, 351' )로 구성된 고정수단( 350, 350' )을 포함하는 프레임( 300 )과,
    로울러( 700, 700' )를 포함하는 하부판( 400 )과,
    상기 매트리트( 100 )와, 상부판( 200 )과, 프레임( 300 )과, 하부판( 400 )이 결합나사( 500 )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벽체에 부착되는 면에 다수개의 설치공( 610 )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300 )의 멈춤핀( 357, 357' )과 대향하여 소정 세로간격으로 고정공( 620 )이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세로로 슬라이드공( 630 )이 형성되되, 상기 멈춤핀( 357 )이 고 정공( 620 )에 삽입된 수평위치를 감안한 상태의 상기 프레임( 300 ) 흰지( 320 )와 대향한 위치에 흰지공( 640a, 640b )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 630 ) 하부에 상기 흰지공과 동일한 직경으로 장공( 650 )이 형성되며, 조립공( 605 )을 포함하는 거치대( 600 )와,
    상기 거치대 합체시 조립공( 605 )과 대향하여 형성된 통공( 665 )을 포함하는 커버( 660 )와,
    상기 거치대( 600 )와 커버( 660 )의 조립시 사용되는 조립나사( 6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구조.
KR1020070028999A 2007-03-22 2007-03-22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KR10072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99A KR100723778B1 (ko) 2007-03-22 2007-03-22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99A KR100723778B1 (ko) 2007-03-22 2007-03-22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59A KR20070045159A (ko) 2007-05-02
KR100723778B1 true KR100723778B1 (ko) 2007-05-30

Family

ID=3827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999A KR100723778B1 (ko) 2007-03-22 2007-03-22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7882A (zh) * 2016-12-06 2017-05-10 广东技术师范学院 可变化模块沙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41A (ja) * 1990-05-15 1992-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解析装置
KR20050094390A (ko) * 2005-08-18 2005-09-27 박실상 다기능 침대
JP2006035712A (ja) * 2004-07-29 2006-02-09 Oki Data Corp 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41A (ja) * 1990-05-15 1992-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解析装置
JP2006035712A (ja) * 2004-07-29 2006-02-09 Oki Data Corp 印刷装置
KR20050094390A (ko) * 2005-08-18 2005-09-27 박실상 다기능 침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943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3571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494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59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68B2 (en) Siderail system for a bed
KR100723778B1 (ko) 공동주택의 높이 가변형 접이식 침대 구조
US20060075557A1 (en) Bedspread holder
KR101782211B1 (ko)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US7020914B2 (en) Swing type baby bed
US6502256B1 (en) Drawer without hardware for installation under bed
KR101770280B1 (ko) 접이식 매트리스 수납장
WO2024122271A1 (ja) 机付収納ベッド
CN218738097U (zh) 带床围的床
KR102127122B1 (ko) 분리형 구조를 가져 운반성 및 설치성이 개선된 환자용 자동 침대
JP2013094592A (ja) 間仕切家具
KR102564302B1 (ko) 벽침대용 침구 고정장치
KR20100116264A (ko) 수납장을 구비한 매트리스
KR200463914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침대
JP4947038B2 (ja) 寝室構造および寝室用置き棚
JP3411258B2 (ja) 多機能ベッド
KR200384252Y1 (ko) 침대
JP6888824B2 (ja) 伸縮式ソファベッド
JP6888825B2 (ja) 伸縮式ソファベッド
JPH0438764Y2 (ko)
KR960001439Y1 (ko) 쇼파와 책상을 겸용한 수납식 침대
JP2004073644A (ja) ベッド用テーブル装置
JP5712477B2 (ja) 家具
KR101355123B1 (ko)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JPH02166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