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542B1 -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 Google Patents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542B1
KR100723542B1 KR1020050015965A KR20050015965A KR100723542B1 KR 100723542 B1 KR100723542 B1 KR 100723542B1 KR 1020050015965 A KR1020050015965 A KR 1020050015965A KR 20050015965 A KR20050015965 A KR 20050015965A KR 100723542 B1 KR100723542 B1 KR 10072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ormwork
sliding bar
slab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5076A (en
Inventor
김귀환
Original Assignee
(주)거혁건설
김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혁건설, 김귀환 filed Critical (주)거혁건설
Priority to KR102005001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542B1/en
Publication of KR2006009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 등의 자중에 의해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construction formwork supporter so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formwork etc. when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본 발명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을 서포트는, 바닥에 놓여지며 상단부에 높이조절수단(21A)이 결합된 지지대(21)와; 높이조절수단(21A)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W1)에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H)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각각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22)와; 하단부가 고정바(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바(23)와; 슬라이딩바(23)의 하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24)와; 링크(24)에 관통 결합되며, 양 단부가 고정바(22)의 두 관통공(H)을 각각 관통하는 슬라이딩 로드(25)로 구성된다.Supporting the slab construction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1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 pipe-shaped fixing bar 2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the linear zigzag through-holes H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respectively, on opposite side walls W1; A sliding bar 23 capable of reciprocating upward an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ed bar 22; A link 24 mov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23; It is coupled to the link 24, both ends are composed of a sliding rod 25 through each of the two through holes (H) of the fixing bar (22).

본 발명의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 해체가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거의 없으며, 굴곡되는 데크 지지대와 함께 시스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따른 노동부하의 감소와 함께 시공비의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mantle slab formwork, there is littl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an be systemized together with the bent deck suppo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with the reduction of labor load due to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It is expected.

거푸집, 서포트, 슬라브, 거푸집 서포트 Formwork, support, slab, formwork support

Description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Form supporter for slab construction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도 1은 종래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1 show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all and slab construction formwork,

(가)는 사시도이고,   (A) is a perspective view,

(나)는 측면도이다.   (B) is a side view.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의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를 보인 것으로,Figure 4 shows the first embodi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는 서포트의 초기 설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며,  (A) is the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나)는 서포트의 해체 단계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B) shows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dismantling stage of the support.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바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bar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바와 스토퍼의 결합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bar and the stopper constitut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topper constitut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인 것으로,8 shows a stopper constitut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는 서포터 설치시 슬라이딩 로드와의 위치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liding rod when installing the supporter,

(나)는 서포터 해체시 슬라이딩 로드와의 위치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liding rod at the time of disassembly of a supporter.

도 9는 본 발명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바와 링크의 결합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sliding bar and the link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1. 벽체 거푸집 12. 기초가름대 13. 슬라브 거푸집11. Wall formwork 12. Foundation cross section 13. Slab formwork

14. 가로바(장선) 15. 세로바(멍에) 21. 지지대14. Horizontal bar (joist) 15. Vertical bar (yoke) 21. Support

21A. 높이조절수단 22. 고정바 23. 슬라이딩바21A. Height adjustment means 22. Fixed bar 23. Sliding bar

23A. 주슬라이딩바 23B. 보조슬라이딩바 23C. 고정로드23A. Main sliding bar 23B. Auxiliary Sliding Bar 23C. Fixed rod

24. 링크 25. 슬라이딩 로드 26. 스토퍼24. Link 25. Sliding Rod 26. Stopper

A. 바닥면 B. 지지부재 C. 연결편A. Bottom B. Support member C. Connecting piece

F. 결합부재 G. 하강홈 H. 관통공F. Joining member G. Lowering groove H. Through hole

H1. 고정바관통공 h. 손잡이 HH. (관통공)수평부H1. Fixed bar through h. Handle H H. (Through-through) Horizontal Department

HI. (관통공)경사부 H'. 제1결합공 H". 제2결합공H I. (Through) Slope H '. 1st binding hole H ". 2nd binding hole

J. 단턱부 S1. 벽체수평지지대 S2. 벽체수직지지대J. Step S1. Wall level support S2. Wall Vertical Support

S3. 서포터 SI. (스토퍼)경사면 SU. (스토퍼)상면S3. Supporter S I. (Stopper) Slope S U. (Stopper) top

T. 각목 W. 벽체 W1. 측벽T. Wood W. Wall W1. Sidewall

본 발명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바닥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지지대에 직립하여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와, 고정바의 상단부에서 그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부가 슬라브 거푸집 저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지지하게 되는 슬라이딩바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그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수평 방향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타측단부에서 일측단부로 갈수록 순차 반복하여 하향 경사지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고정바 내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바의 하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를 관통한 후 양 단부가 고정바의 대향하는 상기 두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슬라이딩 로드가,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바를 포함한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관통공을 따라 고정바의 상부에서 하부로 서서히 이동되도록 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slab construction formwork, and more specifically, a support that is placed on the floor, a pipe-shaped fixing bar coupled upright to the support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nd the inside of the fixing bar at its upper end And a sliding bar having an upper end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and on both opposite sidewalls of the fixing bar, from one side to the oth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one side at the other end. By forming a linear zigzag through hole which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gradually toward the end, through the link mov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located inside the fixed bar, the opposite ends of the fixed bar Sliding rod penetrates the two through-holes, when dismantling slab formwork, formwork and support One such material and automatically sliding the through-hole in the lower moving slowly from the top of the fixed bar in accordance with by the weight, including the bar, to a formwork for slab construction supporter.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 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정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우는 상기 '틀'과 '판재'는 일반적으로 거푸집 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oncrete reinforcing structure begins with the installation of concrete wall and slab construction formwork. First, the interior space is made into a mold like a wall shape, and the ceiling slab construction board is placed on the ground. After the horizontal installation, the form of the concre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s formed by the method of curing and curing, the 'frame' and 'plates' called 'forms' are generally rectangular panels called formwork panels It is made by connecting a number.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거푸집 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and the slab starts by installing the formwork, which is a mold having an interior space and an upper surface to connect concrete with the plurality of formwork panels.

즉, 하나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That is, one wall is made of concrete that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wo wall formwork, each of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faces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by the thickness of the wall.

그리고, 천정이 되는 슬라브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 판넬들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막히지 않도록 벽체 거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 거푸집 사이와 상기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In addition, the ceiling slab formwork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formwork parallel to the floor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ormwork panels form the same plane and the gap between the two opposing wall formwork is not blocked, between the two formwork and between Concrete is poured together on top of the slab formwork.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판넬의 경우 종래에는 목재로 만들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판넬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넬들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In the case of the formwork panel constituting the formwork as described above has been used mainly in the wood, but in the case of using the wood panel, as the assembl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nel is made by nailing or tightening the wire, many formwork installation work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and also a lot of time and manpower is required to demolish the formwork after concrete curing.

따라서, 근래에는 목재와 함께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고만 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목재-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ood-metal panels using metals such as iron or aluminum allo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uminum') together with wood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the range and scale of their use are rapidly increasing. There is a trend.

상기와 같은 각종 판넬들을 조립하여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일종의 형틀인 종래 거푸집 구조를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based on the conventional formwork structure that is a type of the concrete is poured by assembling the various panels as described above.

종래의 거푸집은, 각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면(A)에 고정 설치된 목재 기초가름대(12)의 상면에 직립되며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진 두 벽체 거푸집(11)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게 슬라브 거푸집(13)이 놓여지는 구조이다.Conventional formwork is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oden foundation bar 12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 for the construction of each wall (W) and the bottom on the upper end of the two wall formwork 11 consisting of two upper and lower stages The slab formwork 13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structure.

그리고, 상기 슬라브 거푸집(13)의 저면에는 다수의 평행한 가로바(14)(장선,長線)들이 밀착되고, 이 가로바(14)들의 저면에는 이들과 직교하며 평행한 다수의 세로바(15)(멍에)들이 밀착된 후 각 세로바(15)들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서포터(S3)들이 바닥면(A)까지 직립하여 상기 슬라브 거푸집(13)을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며, 벽체 거푸집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가로바(14)와 평행한 각목(T)이 결합되어 슬라브 거푸집(13)과 벽체 거푸집(11)을 연결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allel horizontal bars 14 (long lin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13,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15 perpendicular to and parallel to these bottoms of the horizontal bars 14. After the yok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pporters S3 stand up to the bottom surface A along the bottoms of the vertical bars 15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13, and the back of the wall formwork. Along the top portion, the horizontal bar 14 and the lumber T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the slab formwork 13 and the wall formwork 11.

이때, 평탄한 전면이 벽체(W)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11)은 벽체를 두께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다수의 연결편(C)으로 결합되며, 벽체 시공 완료 후 상기 각 연결편(C)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벽체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각 연결편(C)의 중간부는 벽체 콘크리트속에 매몰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two wall formwork 11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front surface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wall (W)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connecting pieces (C) to cross the wall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fter comple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each connecting piece Both ends of (C) are cut to dismantle the wall formwork,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connecting piece C is buried in the wall concrete.

그리고, 상기 벽체 거푸집(11)의 각 배면에는, 벽체(W) 시공용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각 벽체 거푸집을 이루는 거푸집 판넬들이 처음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벽체수직지지대(S1)들과 벽체수평지지대(S2)들이 결합된다.In addition, on each rear surface of the wall formwork 11, a plurality of formwork panels forming each wall formwork ar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initial assembly position by the pressure of the load of concrete pou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W. Wall vertical support (S1) and wall horizontal support (S2) is combined.

또한, 슬라브용 거푸집(13)은, 서로 대향하는 두 측벽의 각 대향면에 각각의 전면이 밀착되며 바닥(A)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배면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두 벽체 거푸집의 각 전면측 상단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두 교각에 걸쳐진 다리의 상판과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으로 타설되는 전체 콘크리트의 하중이 슬라브 거푸집의 양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된 두 벽체 거푸집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In addition, the slab formwork 13, each front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pposite surface of the two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of the bottom (A) surface, each front surface of the two wall formwork, each back surface facing each other Since both ends are placed from the top of the side to the back side to form a top plate of the bridge spanning the two piers, the load of the entire concrete cast into the top of the slab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is combined with the upper ends at both ends of the slab formwork. It is a structure supported only by two wall formwork.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슬라브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슬라브 거푸집(13)의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수 많은 가로바(14), 세로바(15) 및 서포터(S3)들이 설치된다.Therefore,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slab formwork can not withstand the load of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a number of horizontal bars 14, vertical bars 15 and between the bottom and the bottom surface (A) of the slab formwork 13 and Supporters S3 are install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거푸집은, 첫째, 많은 수의 벽체수직지지대와 벽체수평지지대를 벽체 거푸집의 배면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시간이 길어져 시공 기간이 연장되며, 둘째, 벽체 거푸집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브 거푸집의 양 단부 이외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로바, 세로바, 각목 등의 지지부재들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가 과다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지지부재와 서포터를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formwork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first, because the large number of the wall vertical support and the wall horizontal support must be coupled to the back of the wall formwork, the installation time is extended to extend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econdly, to the wall formwork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support members and supporters because excessive support members such as horizontal bars, vertical bars, and lumber, and supporters for supporting them are necessary to support the intermediate portions other than both ends of the slab formwork supported by the slab formwork. This will be longer.

세째,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각종 부자재, 즉 슬라브 거푸집, 각종 지지부재 등은 주로 합판, 각목 내지는 파이프 등이 주로 사용될 뿐 아니라, 각 목재들은 못 등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시 상기 각종 부자재의 파손율이 높아 재활용도가 낮아져 초기 거푸집 비용은 저렴하나 결과적으로는 시공비가 증가하게 되고, 폐자재 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Third,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for installing the formwork, namely slab formwork and various supporting members, are mainly used for plywood, lumber, or pipes, and each wood is combined with nails, and thus the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formwork. Due to the high breakage rate, the recyclability is low, so the initial form cost is inexpensive, but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cost for the disposal of waste materials is generated.

상기와 같은 종래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백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시스템적으로 구성한 거푸집 구조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4-4202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특히, 상기 구조는 슬라브 거푸집(또는 "데크")을, "H"형강으로 만들어지며 굴곡 가능한 데크 지지바로 지지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를 손쉽게 한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ormwork, a formwork structure consisting of a white body and a slab formwork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42029,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s a slab formwork (or "deck") It is made of "H" section and is supported by the flexible deck support bar, which makes it easy to dismantle slab formwork.

상기 데크 지지바의 경우 종래의 거푸집 구조와 비교하여 그 수가 적기는 하 나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형 서포트로 지지되는 바,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서포트를 제거한 후 데크 지지바를 하향 굴곡시키게 되면, 슬라브 거푸집의 자중에 의한 데크 지지바의 하강 속도가 빨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The deck support bar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formwork structure, but is supported by a conventional pipe support. When the deck support bar is bent downward after removing the support when dismantling slab formwork,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is reduced. Due to the fast falling speed of the deck support bar may cause a safety accident.

즉, 데크 지지바의 굴곡부에서 굴곡이 서서히 진행되도록 스프링 등과 같은 별도의 제어 수단이 구비되는 않을 경우, 빠르게 하강하게 되는 데크 지지바에 머리가 부딪히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큰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급격한 하향 굴곡에 의해 데크 지지바의 변형이 초래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a separate control means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so that the bending progresses slowly in the bent portion of the deck support bar, there may be a big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head hitting the deck support bar that descends quickly may occur. In addition, sharp downward bending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deck support bar.

그러나, 데크 지지바는 건설 현장에서 거칠게 다루어지기 쉬울 뿐 아니라, 데크 지지바당 두 곳의 굴곡부를 갖기 때문에 데크 지지바 각각에 굴곡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However, since deck support bars are not only easily handled roughly at the construction site, but also have two bends per deck support bar, it is not easy to provide control means for slowing the bending speed in each deck support bar.

본 발명은, 특히,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을 함께 시스템화한 종래 거푸집 구조가 갖는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데크 지지바 등과 같이 슬라브 거푸집의 저면에 밀착되는 슬라브 거푸집 지지부재와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포함한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되,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시에는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슬라브 거푸집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하향 굴곡되는 지지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스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의 빠른 하강 속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급격한 하강에 의해 데크 지지바와 같은 지지부재가 변형 또는 손상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o solve the problem of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having a conventional formwork system wall and slab formwork together, the slab formwork suppor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such as deck support bar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and when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but gradually raises itself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bent downward by the weight and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By lower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er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a fast descending speed of the support member, as well as prevent the support member such as a deck support bar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due to a sudden lowering.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파이프형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까지 관통 형성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linear zigzag through hole which is formed penetrating from top to bottom along opposing side walls of the pipe-shaped fixing bar.

본 발명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는, 바닥에 놓여지며 상단부에 높이조절수단이 직립하여 구비된 지지대와; 하단부가 지지대의 높이조절수단 상단부에 직립 결합되며 축 방향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와; 하단부가 고정바의 상단부를 통하여 고정바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면이 데크 지지대와 같이 슬라브 거푸집의 저면에 설치되는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는 슬라이딩바와; 슬라이딩바의 하단부와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을 연결하는 링크 및 슬라이딩 로드로 구성된다.Slab construction formwork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placed on the bottom and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upright in the upper end; A lower end of the pipe-shaped fixing bar which is erect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and has an axial hol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suppor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sli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bar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and the upper surfac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like the deck support. Sliding bar in close contact with; It consists of a link and a sliding rod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and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xed bar.

그리고, 상기 링크는 그 하단부가 좌·우로 유동 가능토록 고정바의 내부에 단순 삽입되는 슬라이딩바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로드는 상기 링크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인 동시에 링크의 양 측을 벗어난 양 단부가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을 관통하는 구조이다.The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which is simply inserted into the fixed bar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can flow left and right, and the sliding rod is rotatabl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link. Both ends deviating from both sides of the link penetrate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xing ba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양 단부가 관통하는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는, 그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이 동일한 위치와 형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바,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고정바 의 양 측벽 각각에 형성된 상기 두 관통공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고정바의 양 측벽에 결합됨에 본 발명의 기술적 및 구조적 특징이 있다.In addition, on both opposing sidewalls of the fixed bar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pass, linear zigzag through-hole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n the same position and shape. The technical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both sidewalls of the fixing bar in such a way that they penetrate the two through holes formed on each of the sidewalls of the opposite fixing bar.

이때, 고정바의 대향하는 양 측벽 동일한 위치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은, 각 측벽의 수평 방향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고정바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후 타측단부에서 일측단부로 다시 하향 경사지는 순차적이고도 반복적인 형태로 각 측벽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부 끝부분이 되는 상단부에는 수평부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linear zigzag through-holes respectively form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position opposite the side walls of the fixing bar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ar toward the lower end from one side portion of the side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I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each side wall in a sequential and repetitive form inclin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to the one end again, the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 관통공에 각각 삽입된 슬라이딩 로드의 양 단부가 관통공 상단부의 수평부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고정바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나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되고, 관통공의 수평부를 벗어나 경사부에 위치하게 되면, 지그재그형으로 경사진 관통공을 따라 좌하향 및 우하향 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고정바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바, 본 발명 서포트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when both ends of the sliding rods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two through holes facing each other are positioned at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s, the sliding rods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xing bar, When it is impossible to move in the direction, and is positioned on the inclined portion beyo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t moves downward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alternat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zigzag-shaped inclined through hole. Looking at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bar is as follows.

우선, 슬라이딩바를 고정바로부터 필요로 되는 길이만큼 상향 인출한 후, 고정바의 외부에서 고정바의 일측 관통공 수평부를 통하여 슬라이딩 로드의 일측단부를 고정바의 내부로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일측단부가, 고정바 내부의 슬라이딩바 하단부에 결합된 링크의 하단부를 관통한 다음 타측 관통공의 수평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바 외부에 위치하였던 슬라이딩 로드의 타측단부가, 상기 일측 관통공의 수평부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본 발명의 서포터를 셋팅(setting)한다.First, the sliding bar is pulled upward by the required length from the fixed bar, and then one end of the sliding ro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bar through one horizontal through hole horizontal part of the fixed bar from the outside of the fixed bar. One side end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link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inside the fixed bar, and then penetrates the horizontal part of the other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rod located outside the fixed bar is formed of the one through hole.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o as to pass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즉, 슬라이딩 로드가 링크를 관통한 상태에서, 링크의 양 측을 벗어난 슬라이딩 로드의 양 단부가 고정바의 내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 두 관통공의 각 수평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로드는 고정바의 관통공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sliding rod penetrates the link, the sliding rod is fixed by allowing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off both sides of the link to penetrate each horizontal portion of the two through-holes of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bar. It can be mov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through hole of the bar.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바와 슬라이딩 로드가 결합된 서포트를, 슬라브 거푸집의 저면에 설치되는 데크 지지대 등의 지지부재와 바닥 사이에 직립시킨 후,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바의 높이를 높여 고정바에 결합된 슬라이딩바의 상단면을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 서포터의 설치가 완료된다.Then, the support bar coupled to the sliding bar and the sliding rod as described above, upright between the support member, such as a deck suppor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and the bottom, and then us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By raising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bar coupled to the fixed ba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서포트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면, 슬라브 거푸집과 그 저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는 슬라브로부터 분리되려고 하는 상태에서 서포터에 의해 슬라브의 저면(천정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mad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slab formwork and the suppor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thereof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ceiling surface) of the slab by the supporter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lab. Becomes

따라서, 서포터의 고정바 관통공 상단부에 형성된 수평부에 위치하였던 슬라이딩 로드의 양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딩 로드가 관통공의 수평부로부터 경사부로 이동되도록 하게 되면, 상·하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슬라브 거푸집과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바의 중량에 의해, 슬라이딩바의 하단부에 링크를 매개로 결합된 슬라이딩 로드가 관통공의 경사부를 따라 회전과 동시에 미끄러지면서 고정바의 상부에서 하부측을 향하여 지그재그형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liding rod is mov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the inclined portion by applying a force in both directions to the horizontal ends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through hole of the supporter, By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sliding bar that are in close contact, the sliding ro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via the link slid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slides simultaneous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ar. It moves slowly in a zigzag shape.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로드가 관통공의 하단부에 이르러 정지하게 되며, 충 분히 낮아진 서포터 슬라이딩바의 상단면에 놓여진 지지부재와 슬라브 거푸집 등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liding rod is stopped to reach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mantle the support member and the slab formwork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sliding bar sufficiently lowered.

상기와 같이, 슬라브 거푸집 등의 중량에 의해 슬라이딩 로드의 하향 이동과 함께 고정바의 내부에서 함께 하강하게 되는 슬라이딩바의 하강 속도는, 슬라이딩 로드가 움직이는 궤도의 역할을 하는 관통공의 경사도에 따라 1차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바, 그 경사도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면 슬라이딩바의 하강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져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sliding bar which is lowered together in the fixed bar together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liding rod by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etc., depends on the inclination of the through hole that serves as a track in which the sliding rod moves. If the slope is changed to be larger than necessary, the descending speed of the sliding bar is faster than necessary,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즉, 상기 관통공의 경사도는 3∼30도 사이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도가 3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로드의 하향 이동이 쉽지 않고, 30도를 초과하게 되면 그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질 수 있다.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through hole is most preferably between 3 and 30 degrees, and when the inclination is less than 3 degrees, the sliding rod is not easily moved downward, and when the speed exceeds 30 degrees, the speed is more than necessary. Can be faster.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하강 속도는, 관통공의 경사도 외에 슬라이딩 로드 외주면과 관통공 내면 사이의 마찰 상태나, 슬라브 거푸집과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바의 무게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변화될 수 있는 바, 관통공의 경사도는 필요에 따라 상기 경사도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sliding bar may be chang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friction stat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ro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to the inclination of the through hole,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sliding bar. The inclination of the through hole may be out of the inclination range as necessary.

또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회전에 적합하도록 그 외주면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봉 또는 원형 파이프 등의 형상을 하기 때문에, 관통공의 경사도와 슬라브 거푸집 등의 무게에 의해 경사진 관통공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게 되며, 슬라이딩 로드가 결합되는 링크의 결합부 역시 슬라이딩 로드가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 또는 링형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liding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has a shape such as a circular rod or a circular pi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uitable for rotation. The slide is rotated along the inclined through hol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nk to which the sliding rod is coupled also has a cylindrical or ring-shaped structure to rotate in a state where the sliding rod is penetrated.

이때, 슬라이딩 로드의 마모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슬라이딩 로드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링크 결합부의 내경부에, 원형 단면의 관통공을 부싱 또는 베어링을 결합시킨 후 상기 부싱 또는 베어링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로드를 관통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ear of the sliding rod is prevented or reduced, and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sliding rod, the through-hole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coupled to the inner hole of the link coupling portion, and then the sliding rod is attached to the through-hole of the bushing or the bearing. It is also preferable to penetrate through.

그러나, 베어링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로드의 회전이 극히 빨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관통공의 경사도를 충분히 낮추어 주어야만 한다.However, when the bearing is combined, the rotation of the sliding rod may be extremely fast, and in view of this, the inclination of the through hole should be sufficiently lowered.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s of the effects and the resulting effects, including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의 분리 사시도를, 도 4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서포트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first embodi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서포터를 구성하는 고정바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바에는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그 축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중공이 구비된 파이프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이프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그 형상에 제약은 없으나, 고정바의 강성과 제작상의 여건을 고려할 때 사각 파이프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ixed bar constituting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sliding bar is inserted into the fixed bar and reciproc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hollow is provided. The shape of the pipe is preferred, and the shape of the pi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 circle, a square, a polygon, etc., the square pipe shape is most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fixed bar.

즉, 고정바의 형상으로서 사각 파리프 형상이 바람직한 것은, 충분히 해결될 수는 있으나 원형 파이프 형상의 경우에는 대향하는 양 측벽에 형성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 때문에 강성이 부족하게 되고, 다각 파이프의 경우에는 제작이 까 다롭기 때문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olve the rectangular fly shape as the shape of the fixed bar, but in the case of the circular pipe shape, the rigid zigzag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pposite side walls, and the rigidity i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production is tricky.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xed bar of the rectangular pipe shape shown in the dra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는, 바닥에 놓여지며 상단부에 높이조절수단(21A)이 결합된 지지대(21)와;As shown, the slab construction formwork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1 is placed on the bottom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is coupled to the upper end;

하단부가 상기 지지대(21)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21A)의 상단부에 직립하여 결합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W1)의 동일한 위치에 각 측벽(W1)을 관통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H)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각각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22)와;A linear zigzag through hole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provided in the support 21 and penetrating the respective side walls W1 at the same position of the opposite side walls W1 ( H) is a pipe-shaped fixing bar 22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respectively;

하단부가 상기 고정바(22)의 상단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슬라브 거푸집(13) 저면에 설치된 지지부재(B)의 저면에 상단면이 밀착되는 슬라이딩바(23)와;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it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22, the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B)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13) A sliding bar 23;

상기 슬라이딩바(23)의 양 측 하단부에 상단부 양 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부가 좌·우 양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하단부 양 측에 원통형 결합부재(F)가 구비된 링크(24)와;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23, the upper end both side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end can flow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ink 24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oupling member (F)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Wow;

상기 링크(24)의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재(F)의 내경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양 단부가 상기 고정바(22)의 대향하는 두 관통공(H)을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공(H)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호상의 외주면을 갖는 슬라이딩 로드(25)로 구성된다.Rotatable in a state penetra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F)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nk 24, both ends penetrate the two through holes (H) facing the fixing bar 22 It is comprised by the sliding rod 25 which is movable along the through-hole H, and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n arc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서포터에서, 지지대(21)의 상단부에 하단부 가 결합된 높이조절수단(21A)은, 유압식, 전동식, 나사식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간편한 형태로는, 그 하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고정바(22)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손잡이(h)가 구비되어 있는 볼트부재를 그 한 예로 들 수 있는 바,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된 손잡이(h)를 이용하여 볼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턴버클과 같이 볼트부재의 상·하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된 지지대와 고정바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거나,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 고정바(22)만의 위치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고정바(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having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1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hydraulic, electric, screw, etc. The upper end is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ar 22 in the state that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or screwed, the bolt member having a handle (h)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an example For example, by rotating the bolt member using a handle (h) fixedly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fixing bar respectively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lt member, such as a turnbuckle is adjusted or The height of the fixing bar 22 is adjusted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fixing bar 22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bolt member is adjusted.

그러나, 본 발명 서포터의 강성과 높이 조절 시간을 감안할 경우, 서포트에 필요로 되는 전체 높낮이의 조절 길이를 상기 높이조절수단(21A)의 회전에 의해서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However, in view of the rigidity and the height adjustment time of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not be desirable to adjust the adjustment length of the entire height required for the support only by th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따라서, 조절이 필요로 되는 전체 길이 중 대부분을 수행한 후 서포터와 슬라브 거푸집 지지부재와의 밀착력 증대를 위하여 나머지 작은 부분, 즉, 조절 범위가 작은 최종적인 높이 조절만을 높이조절수단(21A)으로 수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23)를, 고정바(22)에 삽입되도록 고정바와 같은 파이프 형상을 하는 주슬라이딩바(23A)와, 주슬라이딩바(23A)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보조슬라이딩바(23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fter performing most of the entire length that needs to be adjusted, only the remaining small portion, that is, the final height adjustment with a small adjustment range, is perform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slab formwork supporting memb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5, the sliding bar 23, the main sliding bar 23A having a pipe shape such as a fixed bar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bar 22,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be movable in the up-down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main sliding bar 23A.

이때, 상기 주슬라이딩바(23A)의 양 측벽 상부 동일한 높이에는 각각 제1결합공(H')이 구비되고, 보조슬라이딩바(23B)의 양 측벽에는 상기 주슬라이딩바(23A) 의 제1결합공(H')과 각각 일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배열되는 다수의 제2결합공(H")을 형성시키며, 주슬라이딩바(23A)와 보조슬라이딩바(23B)는, 보조슬라이딩바(23B)의 인출 높이가 조절된 후 상기 제1결합공(H')과 이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H")을 동시에 관통하게 되는 고정로드(23C)에 의해 슬라이딩 바(23)의 길이가 조절된다.In this case, first coupling holes H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s on both sidewalls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first couplings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H ")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so as to coincide with the balls (H '), respectively,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After the withdrawal height of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is adjusted, the sliding bar 23 is formed by the fixing rod 23C which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H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H "corresponding thereto. ) Length is adjusted.

즉, 상기와 같이, 주슬라이딩바(23A)와 보조슬라이딩바(23B)의 길이를 조절한 후 최종적인 서포터의 높이 조절은 높이조절수단(21A)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after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the height of the final supporter may be adjusted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서포터가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바(23)의 상·하 방향 위치 고정은, 고정바(22) 관통공(H)의 수평부(HH)에 위치한 슬라이딩 로드(25)에 의해 이루어지고,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시에는, 슬라이딩 로드(25)가 관통공(H)을 따라 고정바(22)의 하부로 하강할 수 있도록 관통공(H)의 수평부(HH)에 위치하였던 슬라이딩 로드(25)를 관통공(H)의 경사부(HI)로 이동시켜야 한다.The up and down position fixing of the sliding bar 23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sliding rod 25 located in the horizontal portion H H of the through-hole H of the fixing bar 22. When the slab formwork is dismantled, the sliding rod 25 is positioned at the horizontal portion H H of the through hole H so that the sliding rod 25 descends along the through hole 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r 22. Sliding rod 25 has to be moved to the inclined portion (H I ) of the through hole (H).

그러나, 슬라이딩 로드(25)를 관통공(H)의 경사부(HI)로 이동시키기 위하여서는 두 관통공(H) 각각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를 관통공(H)의 경사부(HI)측으로 동시에 가격하여야 하는 바,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 두 곳을 동시에 가격하지 못하여 슬라이딩 로드(25)의 일측은 관통공의 경사부(HI)에, 타측은 수평부(HH)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포터에 부여되는 하중이 일측으로 집중됨으로써 서포터가 변형되거나 쓰러지게 될 수도 있다.However, in order to move the sliding rod 25 to the inclined portion (H I ) of the through hole (H) 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H),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H I) of the through hole of the inclined section bars, the sliding rod 25 both ends of failure to price the two places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rod 25 of the required value at the same time the side (H I) of (H) , The other side may be located in the horizontal portion (H H ), in this case,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er is concentrated to one side, the supporter may be deformed or collapsed.

따라서,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고정바(22)의 대향하는 양 측벽(W1) 상부 외면에 각각 수평한 단턱부(J)를 형성시키고, 단턱부(J)의 상면에 저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단턱부(J)의 상면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 가능토록 중앙부가 상기 고정바(22)의 상부에 의해 관통되는 판상의 스토퍼(26)를, 고정바(22)의 외면에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6 to 8, upper sides of the opposite sidewalls W1 of the fixing bar 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H, so that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can move at the same time. A horizontal stepped portion J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bottom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J so that the center portion can be reciprocally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J. It is also preferable to couple the plate-shaped stopper 26 penetra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22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ar 2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스토퍼(26)는 판상의 형상을 하며, 내부에 고정바(22)에 의해 관통되는 고정바관통공(H1)이 형성되는 바, 이 고정바관통공(H1)의 대향하는 폭 방향 두 내주면은, 스토퍼(26)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도록, 고정바(22)의 대향하는 양 측벽(W1)의 외면과 밀착되지 않으며, 스토퍼(26)의 저면은 단턱부(J)의 저면과 접촉되고, 고정바관통공(H1)의 길이는 지지바(22)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긴 구조로서, 스토퍼(26)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타격에 의해, 고정바(22)의 단턱부(J) 상면을 따라 고정바(22)를 중심으로 그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The stopper 26 has a plate shape and has a fixed bar through-hole H1 penetrated by the fixing bar 22 therein, and the two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xed bar through-hole H1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lver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opposite sidewalls W1 of the fixing bar 2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6 is not disturbed, and the bottom of the stopper 26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tep J.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through-hole H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2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topper 26 is a stepped portion of the fixing bar 22 by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J) It is a structure which can reciproc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bout the fixed bar 22 along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고정바관통공(H1)의 대향하는 폭 방향 두 내주면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내주면을 가로지르는 하강홈(G)이 각각 형성되며, 각 하강홈(G)의 대향하는 양 측 단부의 각 상단부와 스토퍼(26)의 상면(SU) 사이에는 하강홈(G)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SI)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wo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width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ing bar through-hole H1 are provided with a falling groove G cross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and opposit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falling grooves G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end of each and the upper surface (S U ) of the stopper 26 is inclined surface (S I )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alling groove (G) side, respectively.

이때, 고정바(22) 관통공(H)의 상단부에는 수평부가 없으며, 상기 스토퍼(26)를 고정바(22)의 좌·우 어느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시켰을 때 스토퍼(26)의 하강홈(G)은 고정바(22) 관통공(H)의 상단부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re is no horizontal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22 through-hole (H), the lower groove (G) of the stopper 26 when the stopper 26 is completely mov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xing bar 22. )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22 through-hole (H).

즉, 본 발명의 서포터가 설치되었을 때, 링크(24)에 관통 결합된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는, 고정바(22)의 양 측벽(W1) 관통공(H) 상단부를 각각 관통한 후 스토퍼(26)의 경사면(SI)에 인접한 상면(SU)에 놓여진 상태가 되며, 슬라브 거푸집(13) 해체시 스토퍼(26)의 일측에 타격을 가하여 고정바(22)에 대하여 스토퍼(26)만을 일측으로 다소 이동시키게 되면, 스토퍼(26)의 하강홈(G)과 관통공(H)의 상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게 되는 동시에, 스토퍼의 상면(SU)에 위치하였던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가 스토퍼(26)의 경사면(SI)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link 24 pass through the upper ends of both sidewalls W1 of the fixing holes 22, respectively. After that, the stat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S U ) adjacent to the inclined surface (S I ) of the stopper (26), and when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13), a striker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26) to the stopper (22) against the fixing bar (22). When only 26 is slightly moved to one side, the lower groove G of the stopper 26 and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H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rod tha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S U of the stopper ( the both end portions 25) is in a state to move to the inclined surface (S I) of the stopper (26).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는 스토퍼(26)의 경사면(SI)을 따라 회전하면서 미끄러져 스토퍼의 하강홈(G) 상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강홈(G) 상단부로 이동한 슬라이딩 로드(25)는 하강홈(G)을 따라 하강하여 그 하단부를 벗어난 후 고정바(22) 관통공(H)의 상단부에 이른 후 그 경사부(HI)를 따라 계속적으로 하강하게 된다.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sl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I of the stopper 26 to move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ing groove G of the stopper, and move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ing groove G. The sliding rod 25 descends along the descending groove G, leaves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n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through-hole H of the fixing bar 22, and then continuously descends along the inclined portion H I.

이때, 상기 경사면(SI)은, 스토퍼(26)에 의한 슬라이딩 로드(25) 양 단부의 움직임에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 슬라이딩 로드(25)의 최초 이동 속도를 늦춤으로 써 슬라이딩 로드(25) 양 단부 움직임의 편차를 작업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S I ), when the deviation occurs in the movement of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by the stopper 26, the sliding rod 25 by slowing the initial moving speed of the sliding rod 25 It is formed so that an operator can correct the deviation of movement of both ends, and it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그러나, 상기 경사면(SI)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강홈(G)의 형상을 깔대기형 즉, 하강홈(G)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발생될 수도 있는 슬라이딩 로드(25) 양 단부 움직임의 편차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when not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S I ),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hape of the lower groove (G) in a funnel shape, that is,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groove (G) toward the lower en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movement of both ends of the sliding rod 25 which may be generated.

그리고, 판상의 스토퍼(26)를, 관통공(H)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고정바(22)의 측벽(W1) 외면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로드(25)의 양 단부 두 곳이 아닌, 스토퍼(26)의 일측단부 한 곳만을 가격하여 슬라브 거푸집(13)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plate-shaped stopper 26 is flui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W1 of the fixing bar 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H, so that the two ends of the sliding rod 25 are not positioned at both ends. , The slab formwork 13 can be dismantled by hitting only one side end of the stopper 26.

상기와 같이 자중과 외부에서 부여된 하중에 의해 높이가 감소되는 본 발명의 서포터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링크(24)의 자유로운 좌·우 왕복 이동이 가능하여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링크(24)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도 3과 도 5에는, 가장 간단한 형태인 직선 로드형 링크가 예로서 도시된 바, 링크 상단부가 슬라이딩바(23)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링크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고정바(22)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기만 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도 가능하며, 그 구조가 특정한 형태로 제약되지는 않는다.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ose height is reduced by the weight and externally applied loads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s of the link 24 should be possible, and the link ( The structure of 24 may take various forms, but in FIG. 3 and FIG. 5, the straight rod-shaped link, which is the simplest form,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and the upper end of the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23. As long as the lower end of the link can freely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fixing bar 22 around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9, a plate-shaped shape is possible,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a specific shape. It is not constrain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포터는 그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슬라브 거푸집 및 지지부재 등의 중량에 의해 서서히 그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슬라브 거푸집 해체가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굴곡되는 데크 지지대와 함께 사용될 경우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가 간편하도록 시스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부하의 감소는 물론 시공비의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adual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slab formwork and the supporting member which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lab formwork is easily dismantled and the risk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s almost eliminated. In addition,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urved deck support can be easily systemized to dismantle the wall and slab formwork is expected to reduce the labor load as well as construction costs.

Claims (9)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건축 시공용 서포터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supporters whose height is adjusted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바닥에 놓여지며 상단부에 높이조절수단(21A)이 결합된 지지대(21)와;A support 21 placed on the floor and having a height adjusting means 21A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높이조절수단(21A)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W1)의 동일한 위치에 각 측벽(W1)을 관통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H)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각각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22)와;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and linear zigzag through holes H penetrating each side wall W1 at the same positions of opposing side walls W1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respectively. A formed pipe-shaped fixing bar 22; 상기 고정바(22)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하향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바(23)와;A sliding bar 23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is inserted downward through an upper end of the fixing bar 22; 상기 슬라이딩바(23)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원통형 결합부재(F)가 구비된 링크(24)와;A link 24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23 and having a cylindrical coupling member F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결합부재(F)의 내경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양 단부가 고정바(22)의 대향하는 두 관통공(H)을 각각 관통하는 슬라이딩 로드(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Slab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rod 25 through which both ends penetrate the two through holes (H) of the fixing bar 22 in the state penetrating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F) Dragon form suppor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23)는, 하단부가 고정바(22)에 삽입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 상부의 동일한 높이에 각각 제1결합공(H')이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주슬라이딩바(23A)와;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bar 23,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ed bar 22, the pipe-shaped main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H ') at the sam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opposite side walls respectively A sliding bar 23A; 상기 주슬라이딩바(23A)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대향하는 양 측벽에 상기 제1결합공(H')과 각각 일치되는 제2결합공(H") 다수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배열된 사각단면 형상의 보조슬라이딩바(23B)와;Lower end portions are inserted throug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may flow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second coupling holes H ″ respectively coinciding with the first coupling holes H 'on opposite sides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 plurality of auxiliary sliding bars 23B each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주슬라이딩바(23A)와 보조슬라이딩바(23B)의 일치된 제1결합공(H')과 제2결합공(H")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로드(23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rod 23C that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matching first coupling hole (H ') and second coupling hole (H ")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Formwork supporter for slab construction.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건축 시공용 서포터에 있어서, In the construction supporters whose height is adjusted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바닥에 놓여지며 상단부에 높이조절수단(21A)이 결합된 지지대(21)와;A support 21 placed on the floor and having a height adjusting means 21A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높이조절수단(21A)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W1)의 동일한 위치에 각 측벽(W1)을 관통하는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H)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양 측벽(W1)의 외면에 수평한 단턱부(J)가 돌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22)와;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1A, and linear zigzag through holes H penetrating each side wall W1 at the same positions of opposing side walls W1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respectively. A pipe-shaped fixing bar 2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walls W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hole H, and having a pipe-shaped fixing bar 22 protruding therefrom; 폭 방향 두 내주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내주면을 가로지르는 하강홈(G)이 각각 형성된 중앙부의 고정바관통공(H1)에 상기 고정바(22)가 관통되며, 저면이 단턱부(J)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 가능한 판상의 스토퍼(26)와;The fixing bar 22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bar through-hole H1 of the central portion, each of which has a lower groove G transversely exte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t the two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J. A plate-shaped stopper 26 which is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고정바(22)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하향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바(23)와;A sliding bar 23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is inserted downward through an upper end of the fixing bar 22; 상기 슬라이딩바(23)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원통형 결합부재(F)가 구비된 링크(24)와;A link 24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23 and having a cylindrical coupling member F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결합부재(F)의 내경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양 단부가 고정바(22)의 대향하는 두 관통공(H)의 상단부를 관통한 후 상기 스토퍼(26)의 양 측 상면(SU)에 유동 가능하게 놓여지는 슬라이딩 로드(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S U ) of the stopper 26 after both ends penetrate the upper end of the two through holes (H) facing the fixing bar 22 in the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F). Slab construction formwork suppo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rod (25) which is placed on the flow.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홈(G)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The slab construction form support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wering groove (G) is narrow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23)는, 하단부가 고정바(22)에 삽입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 상부의 동일한 높이에 각각 제1결합공(H')이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주슬라이딩바(23A)와;In claim 5, The sliding bar 23,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ed bar 22, the main sliding of the pipe shape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H ') at the sam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opposite side walls respectively; Bar 23A; 상기 주슬라이딩바(23A)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대향하는 양 측벽에 상기 제1결합공(H')과 각각 일치되는 제2결합공(H") 다수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배열된 사각단면 형상의 보조슬라이딩바(23B)와;Lower end portions are inserted throug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may flow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second coupling holes H ″ respectively coinciding with the first coupling holes H 'on opposite sides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 plurality of auxiliary sliding bars 23B each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주슬라이딩바(23A)와 보조슬라이딩바(23B)의 일치된 제1결합공(H')과 제2결합공(H")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로드(23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rod 23C that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matching first coupling hole (H ') and second coupling hole (H ") of the main sliding bar (23A) and the auxiliary sliding bar (23B) Formwork supporter for slab construction.
KR1020050015965A 2005-02-25 2005-02-25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KR100723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65A KR100723542B1 (en) 2005-02-25 2005-02-25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65A KR100723542B1 (en) 2005-02-25 2005-02-25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162U Division KR200384389Y1 (en) 2005-02-25 2005-02-25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76A KR20060095076A (en) 2006-08-30
KR100723542B1 true KR100723542B1 (en) 2007-06-04

Family

ID=3760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965A KR100723542B1 (en) 2005-02-25 2005-02-25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5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59B1 (en) * 2007-01-10 2007-06-21 이강섭 Height Controlling Member For Multipurpose
KR200484211Y1 (en) * 2017-02-02 2017-08-14 (주)세실 Wastebasket
CN115233974B (en) * 2022-08-17 2024-05-1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Stable-support adjustable formwork support for building constru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5-29967호(2005.03.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76A (en)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56Y1 (en) The automatic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CA2358747C (en) Ring beam/lintel system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200384389Y1 (en)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KR20170097731A (en) Reinforced load bearing structure
KR100694493B1 (en)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using bracket support type temporary structure as working table
KR100665340B1 (e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deck being dismantled easily
KR100723542B1 (en)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KR20120085641A (en) Assembling structure for 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sstructure using it
KR100484513B1 (en) The structure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KR100484512B1 (en) The constructing and dismantling method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KR100818609B1 (e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m being dismantled easily
KR100945426B1 (en) System for elevating forms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plurality of walls of building simultaneously using the same
KR102314546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KR102102214B1 (en) Safety handrail for beam table form
JP5532468B1 (en) Formwork support member in the slab
JP5840914B2 (en) New and old building thatched roof method
JP200852447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ructural frame and the frame
JP5886996B1 (en) Concrete lampway building with friction connection structure
RU73891U1 (en) PLATE REINFORCED CONCRETE DESIGN
WO2019230028A1 (en) Intermediate falsework
KR200303949Y1 (en) The supporting bar for deck panels
KR100731951B1 (en) The material for dismantling slab deck
KR102330671B1 (en) Construction support structure with yoke with magn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