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871B1 -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871B1
KR100722871B1 KR1020060025260A KR20060025260A KR100722871B1 KR 100722871 B1 KR100722871 B1 KR 100722871B1 KR 1020060025260 A KR1020060025260 A KR 1020060025260A KR 20060025260 A KR20060025260 A KR 20060025260A KR 100722871 B1 KR100722871 B1 KR 10072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unication standard
resource
contro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권도
김형진
조성철
김진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통신규격 별로 배정되는 자원을 변경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채널카드,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복수의 채널카드에 정보를 제어국으로 전송하며, 제어국으로부터 자원 재배정 신호를 수신하여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및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채널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카드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을 변경시키는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웨어의 활용도를 높여 보다 경제적으로 다중모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다.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국, SDR, 동작모드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Reconfigurable Base Station in Wireles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중모드 기지국이 보유하는 채널카드 및 채널카드가 동작하는 전체 통신규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국이 다중모드 기지국이 추가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규격은 유럽의 GSM, 북미의 D-AMPS, 일본의 PDC, PHS, 그리고 우리나라의 IS-95 CDMA와 같은 다양한 2세대 통신규격들은 물론, 북미의 CDMA2000과 유럽, 일본의 W-CDMA와 같은 3세대 광대역 IMT-2000과 같이 다양하 게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 통신규격들은 지역별로 각각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비 호환적인 접속 프로토콜로 인하여 각기 별도의 독립적인 송수신 시스템이 요구되므로 국제적인 상호접속(Global Roaming)이 불가능하였다. 즉, 통상의 무선통신 기기들은 미리 정의된 하나의 통신 시스템만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국지적인 서비스들을 하나의 무선통신기기에 통합적인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기기의 업그레이드와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가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멀티모드나 멀티밴드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기기들이 출시되었으나 지원되는 모드나 기능들이 미리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새롭게 출현되는 통신 시스템이나 타 지역의 새로운 통신방식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무선통신기기의 하드웨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비유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1990년대에 접어들어 고주파 대역 또는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SDR: Software-Defined Radio)기술이 출현하였다.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기술은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단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여 재구성하는 기술로 새로운 하드웨어의 변경이나 추가 없이 동작특성들, 즉 동작주파수(Operation Frequency), 변조타입(Modulation Type), 밴드폭(Bandwidth),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등의 모든 통신기능들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SDR: Software-Defined Radio)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기기를 제작하면 기존의 하드웨 어 지향적인 기기와는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기능과 모드를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만을 교체함으로써 현존하거나, 혹은 새롭게 출시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규격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특허출원 2000-0061006 '재구성 가능 무선 시스템 기지국'(2000.10.17)이 있다. 한국특허출원 2001-0061006은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모드 기지국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나 제어국의 요청에 따라 다중모드 기지국의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는 거리가 있다.
종래 다중모드 기지국이 보유하는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에 적용되는 무선통신규격은 다중모드 기지국이 설치될 때 고정적으로 설정된다. 만약, 기지국이 다른 통신규격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거나, 혹은 동일한 환경 내에서 특정한 통신규격에 더 많은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는 경우, 기지국 관리자에 의해 채널카드 별로 적용되는 통신규격이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다중모드 기지국의 채널카드 별 동작기반 통신규격의 변경은 다중모드 기지국의 실시간 운용상황을 반영하지 못하여 하드웨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본래 다중모드 기지국 개발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서, 하드웨어의 활용도가 높은, 보다 경제적인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통신규격 별로 배정되는 자원을 변경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을 제공한다. 이 다중모드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카드, 정보 수집 모듈,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카드는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따라 동작하고, 정보 수집 모듈은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정보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자원 재배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을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은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카드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을 변경시킨다.
또한,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의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국을 제공한다. 이 제어국은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와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는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의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통신규격에 대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하고,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복수의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재배정할 자원여유가 있는지 판단하고,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하드웨어 정보 보고를 요청 하고, 상기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자원 재배정을 요청한다.
또한, 제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의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은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으로부터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배정할 자원여유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자원여유가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추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모드 기지국(100)과 제어국(200)을 포함한다. 다중모드 기지국(100)은 복수의 채널카드(110), 라우터(120),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 정보 수집 모듈(140),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150), 및 인터페이스 모듈(160)을 포함한다.
채널카드(110)는 미 도시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간의 통화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채널카드(110)는 한번에 하나의 통신규격에 따라 동작한다.
라우터(120)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제어국(200)으로부터 전송되어 인터페이스 모듈(16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수의 채널카드(110)에 각각 할당하는 한편, 복수의 채널카드(110)로부터 제어국(200)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터페이스 모듈(160)로 전송한다.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150)은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에 서로 다른 통신규격을 할당하여 기지국(100)의 다중모드 동작을 지원한다.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채널카드(110), 라우터(120), 소프트웨 어 재구성 모듈(150) 및 인터페이스 모듈(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보 수집 모듈(140)은 채널카드들(11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동작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정보 수집 모듈(140)은 제어국(200)의 하드웨어 정보 보고 요청이 있으면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채널카드들(11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제어국(200)에 보고하는 한편, 제어국(200)의 기지국(100) 자원 재배정 요청시, 이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채널카드(110)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을 변경시킨다. 여기에서, 채널카드(110)의 하드웨어 정보는 채널카드(110)의 전체 수량,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용량,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동작가능 통신규격,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하드웨어 버전정보 및 복수의 채널카드(110)의 실시간 운용정보를 포함한다.
제어국(20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220),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 타이머(240), 카운터(250), 스위치(260) 및 트래픽 처리 시스템(270)을 포함한다.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는 다중모드 기지국(100)이 보유하는 채널카드(110)의 하드웨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하드웨어 정보에 따라 다중모드 기지국(100)에서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자원 배정치란 채널카드(110)의 개수를 나타내며,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란 각각의 통신규격으로 동작 가능한 채널카드(110)의 개수를 의미한다.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는 상기 채널카드의 실시간 운용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만약, 특정 통신규격에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하다면, 수집된 채널카드(110)의 하드웨어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모드 기지국(100)에 상기 특정 통신규격을 지원할 자원여유가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220)는 다중모드 기지국(100)과 송, 수신되는 데이터가 음성 호인지 패킷 데이터 호인지를 판단하여 스위치(260)를 가변 동작시키고 인터페이스 모듈(210), 타이머(240), 카운터(250) 및 트래픽 처리 시스템(207)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220)는 다중모드 기지국(100)에 하드웨어 정보 보고를 요청하고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의 판단결과에 따라 다중모드 기지국(100)에 자원 재배정을 요청하고 추가자원을 할당한다.
트래픽 처리시스템(270)은 복수의 기지국들(100)간의 무선 트래픽 채널의 소프트 핸드오버 처리기능을 수행한다.
타이머(240)는 다중모드 기지국(100)에 대한 하드웨어 정보 보고 요청 및 자원 재배정 요청에 따른 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220)에 의해 작동된다.
카운터(250)는 다중모드 기지국(100) 하드웨어의 자원여유 여부의 판단이 지속적인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카운터(250)는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202)에 의해 작동되며, 매 카운트 시마다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의 다중모드 기지국(100) 하드웨어 자원여유 체크가 1회씩 실시된다.
도 2는 도 1의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는 기지국 자원 정보 저장부(232), 실시간 자원 운용 감시부(234) 및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를 포함한다.
기지국 자원 정보 저장부(232)는 제어국(200)이 제어하는 다중모드 기지국(100)이 보유하는 채널카드(110)의 하드웨어 정보 중 채널카드(110)의 전체 수량,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용량,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동작가능 통신규격 및 복수의 채널카드(110) 각각의 하드웨어 버전정보를 수집한다.
실시간 자원 운용 감시부(234)는 다중모드 기지국(100)이 보유하는 복수의 채널카드(110)의 실시간 운용정보를 수집한다.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는 기지국 자원 정보 저장부(232)와 실시간 자원 운용 감시부(234)에 수집되는 정보를 읽어들여 다중모드 기지국(100)에서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한다. 이때,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는 기지국 자원 정보 저장부(232)에 저장되는 채널카드(110)의 전체 수량과 실시간 자원 운용 감시부(234)의 현재 복수의 채널카드(110)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의 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이하, 다중모드 기지국(100)의 복수의 채널카드(110)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다중모드 기지국이 보유하는 채널카드 및 채널카드가 동작하는 전체 통신규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중모드 기지국(100)이 10개의 채널카드를 보유하고, 각각의 채널카드가 동작 가능한 통신규격은 5개로 가정하였다.
도 3은 채널카드 #1 내지 채널카드 #10(310a ~ 310j)의 10개의 채널카드가 제1 통신규격 내지 제5 통신규격(410 ~450) 중 제1 통신규격 (410)과 제4 통신규격 (440)의 두 가지 통신규격로만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230)의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에서 계산되는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S)는 채널카드의 전체 수량과 복수의 채널카드가 동작중인 통신규격의 수로 나누어 계산되므로,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 배정치(S)는 S = 10/2 = 5 가 되고, 통신 규격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에는 제1 통신규격(410)과 제4 통신규격(440)의 두가지 통신규격 각각에 대하여 5개의 채널카드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채널카드 #1 내지 채널카드 #10(310a ~ 310j)의 10개의 채널카드가 도시한 제1 통신규격 내지 제5 통신규격(410 ~450) 중 제1 통신규격과 제2 통신규격 및 제3 통신규격의 세 가지 통신규격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에서 계산되는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S)는 S= 10/3 = 3.333 … 이 된다. 통신규격의 배정은 채널카드 별로 이루어지고,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S)는 동일한 통신규격으로 동작하는 채널카드의 개수를 나타내므로 상기 계산된 수치에서 소수점 이하는 무시한다. 즉,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236)에는 제1 통신규격과 제2 통신규격 및 제3 통신규격의 세 가지 통신규격 각각에 대해 3개의 채널카드가 매칭되어 저장되고, 나머지 하나의 채널카드는 기지국 하드웨어의 자원 여유로 남겨두어 추후 추가자원이 필요한 경우 이용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채널카드 #1 내지 채널카드 #5(310a ~ 310e)의 5개의 채널카드가 제1 통신규격(410)으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채널카드가 하나의 통신규격으로 동작할 때 채널카드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트래픽은 복수의 채널카드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1개의 채널카드가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데이터 트래픽이 1개 채널카드의 용량을 초과할 때 2개의 채널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채널카드 운용 방식에 따라 실제 동작하고 있지 않는 채널카드가 기지국 하드웨어의 자원여유로 남는다. 자원여유로 남는 채널카드는 추후 채널카드에 배정된 통신규격의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하거나, 혹은 제어국(200)의 제어에 의해 채널카드가 동작 가능한 다른 통신규격, 즉 제2 통신규격 내지 제5 통신규격(420 ~450)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국이 다중모드 기지국이 추가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도 1의 200)은 기지국(도 1의 100)의 하드웨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기지국(도 1의 100)에 하드웨어 정보 보고를 요청하고 타이머를 시작한다.(S502) 기지국의 하드웨어 정보는 기지국이 보유하는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로, 채널카드의 전체 수량,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용량,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동작가능 통신규격 ,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하드웨어 버전정보 및 복수의 채널카드의 실시간 운용정보가 포함된다.
타이머(도 1의 240)는 제어국(도 1의 200)의 하드웨어 정보 보고 요청에 대 한 기지국(100)의 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국(200)은 타이머 종료 전에 기지국(도 1의 100)으로부터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504) 이때, 타이머 종료 전에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S502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고, 수신하였다면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타이머를 종료시킨다.(S506)
이때, 수신한 하드웨어 정보는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도1의 230)에 저장되며,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의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도 2의 236)은 이를 바탕으로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서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한다.
제어국(200)은 수신한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의 하드웨어 정보를 바탕으로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 추가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특정 통신규격이 발생하는지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다중모드 기지국의 특정 통신규격에 추가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S508), 통신규격 별 최대 자원량 저장부(도 2의 236)에서 지정한 통신규격 별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와 특정 통신규격에 기배정된 자원량의 크기를 비교한다.(S510)
비교 결과,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보다 특정 통신규격에 기배정된 자원량의 크기가 적으면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 특정 통신규격에 추가로 배정 가능한 자원여유가 있는지 판단한다.(S512) 만약, S510의 비교 결과,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보다 특정 통신규격에 기배정된 자원량의 크기가 작지 않거나, S512의 판단 결과, 자원여유가 없다면, S508 이후의 단계를 반복한다.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 특정 통신규격에 추가로 배정 가능한 자원여유가 존재하면,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도 1의 220)는 카운터(도 1의 250)를 동작시킨다.(S514) 카운터(도 1의 250)를 구동시키는 것은 S512의 판단 결과가 판단하는 순간의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도 1의 230)는 카운터가 카운트될 때마다 S512의 판단을 반복한다. 이때, 카운터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S510의 판단 결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S516) S512의 판단 결과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 자원 재배정을 요청하고 타이머(도 1의 240)를 구동시킨다.(S518) 만약, S512의 판단 결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S508 이후의 단계를 반복한다.
타이머(도 1의 240)는 제어국(도 1의 200)의 자원 재배정 요청에 대한 기지국(100)의 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국(200)은 타이머 종료 전에 기지국(도 1의 100)으로부터 자원 재배정 결과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520) 이때, 타이머 종료 전에 자원 재배정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고,(S522) 수신하였다면 다중모드 기지국(도 1의 100)에 추가자원을 할당한 후,(S524) 다중모드 기지국에 추가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통신규격이 추가로 존재하는지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S508 이후의 단계를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국이 다중모드 기지국 하드웨어의 자원 활용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필요에 따라 통신규격 별로 자원을 융통성 있게 할당하게 되므로 채널카드의 활용도를 높여 보다 경제적으로 다중모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통신규격 별로 배정되는 자원을 변경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채널카드;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중 하나 이상의 채널카드가 동작하는 통신규격을 변경시키는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 및
    상기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자원 재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재구성 모듈은,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SDR : Software-Defined Radio)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중 하나 이상의 채널카드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변경시켜 상기 통신규격을 변경시키는 다중모드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하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의 전체 수량,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용량,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동작가능 통신규격 및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의 실시간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기지국.
  4. 복수의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의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의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통신규격에 대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하고,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복수의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재배정할 자원여유가 있는지 판단하는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 및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하드웨어 정보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자원 재배정을 요청하는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제어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기배정된 자원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대한 상기 최대 자원 배정치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자원여유 판단을 실시하는 제어국.
  6. 제4항에 있어서,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 자원 모니터링부는 상기 카운터가 임계 시간까지 카운트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재배정할 자원 여유에 대한 판단 결과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국 제어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어국.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의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이 보유하는 복수의 채널카드의 전체 수량,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용량,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 각각의 동작가능 통신규격 및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의 실시간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제어국.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은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서 상기 각 통신규격으로 동작하는 상기 채널카드의 개수에 대응하며,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국.
  9. 복수의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다중모드 기지국의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으로부터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배정할 자원여유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자원여유가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규격에 추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하드웨어 정보 보고를 요청하고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 종료 전에 상기 요청한 하드웨어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수신한 하드웨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서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를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통신규격에 대한 자원은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서 상기 각 통신 규격으로 동작하는 상기 채널카드의 개수에 대응하며,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여유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통신규격에 기배정된 자원량과 상기 통신규격 별로 배정 가능한 최대 자원 배정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배정된 자원량이 상기 최대 자원 배정치보다 적다면 상기 다중모드 기지국에 상기 추가 자원의 배정이 필요한 통신규격에 추가로 배정할 자원여유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여유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자원여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여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는,
    카운터를 이용하며, 카운터가 카운트될 때마다 1회씩 상기 자원 여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을 반복하여 상기 자원여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국의 다중모드 기지국 제어방법.
KR1020060025260A 2005-12-08 2006-03-20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KR100722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912 2005-12-08
KR20050119912 2005-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871B1 true KR100722871B1 (ko) 2007-05-30

Family

ID=382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260A KR100722871B1 (ko) 2005-12-08 2006-03-20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11B1 (ko) 2008-12-16 2013-04-22 인텔라 주식회사 멀티 스탠다드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타워탑 무선 송수신기
WO2015089736A1 (zh) * 2013-12-17 2015-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模接入点、控制面实体设备及资源分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073A (ko) * 1999-10-18 2001-06-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재구성 가능 무선 시스템 기지국
US20040029575A1 (en) 2000-05-26 2004-02-12 Mehul Mehta Management module for software defined radio
KR20050066566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구성 가능한 디지털 중간주파수 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송신 장치
KR20060005599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Sdr 기술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용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프 방법
KR20060065817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모드 기지국 시스템 및 그의 에스시에이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모드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073A (ko) * 1999-10-18 2001-06-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재구성 가능 무선 시스템 기지국
US20040029575A1 (en) 2000-05-26 2004-02-12 Mehul Mehta Management module for software defined radio
KR20050066566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구성 가능한 디지털 중간주파수 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송신 장치
KR20060005599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Sdr 기술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용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프 방법
KR20060065817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모드 기지국 시스템 및 그의 에스시에이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모드 전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11B1 (ko) 2008-12-16 2013-04-22 인텔라 주식회사 멀티 스탠다드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타워탑 무선 송수신기
WO2015089736A1 (zh) * 2013-12-17 2015-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模接入点、控制面实体设备及资源分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6860A1 (en)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control and use of network slices
RU2388181C2 (ru) Процедура смены соты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0967224B1 (ko) 다중 캐리어 hsdpa에 대해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49772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KR20030084957A (ko) 무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782352B2 (ja) 広帯域符号分割多元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設定
RU2392755C2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ресурсов, система связи, сетевой элемент, модуль и дистрибутивный носитель компьютерной программы
TW200527929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resource allocation between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ency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609400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周波数帯割当装置ならびに周波数帯割当方法
KR20090039895A (ko) 휴대단말기의 논리적 연결 설정 방법
JP4363663B2 (ja) パケットブロードキャスト制御チャネルが利用可能でない場合にgprs近傍セル測定レポートのパフォーマンス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001235B1 (ko) 사용자 장치 측정값 정보를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교환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JP5601967B2 (ja) Cdma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チップレートのサポート
KR101234391B1 (ko) 액세스 선택을 위한 일반 액세스 성능 추출
KR10072287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모드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KR10056857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및 통신방법
US20150223238A1 (en) Method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of wireless terminal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O2002003738A1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767421B1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00069077A1 (en) Allocation of spreading codes for telecommunications channels
KR20150045165A (ko) 밴드 스티어링 방법 및 무선 액세스 장치
KR20130064388A (ko) 디지털 장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5507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별 시스템 선택 방법
WO202309534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JP2010239502A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