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815B1 -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815B1
KR100722815B1 KR1020060080899A KR20060080899A KR100722815B1 KR 100722815 B1 KR100722815 B1 KR 100722815B1 KR 1020060080899 A KR1020060080899 A KR 1020060080899A KR 20060080899 A KR20060080899 A KR 20060080899A KR 100722815 B1 KR100722815 B1 KR 10072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core drill
bearing
gear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환
Original Assignee
(주)캐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벨 filed Critical (주)캐벨
Priority to KR10200600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for cooling only
    • B23Q11/127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for cooling only for cooling motor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3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for lubricating spindle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Gears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가 내장되는 기어 하우징과; 베어링 및 베어링 지지대가 내장되는 베어링 하우징; 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가 내장되는 워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코아드릴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지지대와 워터 하우징의 실링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공간부와 기어박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공이 워터 하우징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corrosion of core dril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코아드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아드릴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기어박스 40; 기어 하우징
50; 베어링 하우징 52; 베어링
54; 베어링 지지대 60; 워터 하우징
62, 64; 실링부 66; 하우징 주입구
68; 배기공 70; 물 공급부
72; 결합 프레임 74; 프레임 주입구
76; 튜브 B; 공간부
본 발명은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나 콘크리트 등에 코아(Core)를 형성시키는 코아드릴에 있어서, 기어 박스에 내장되는 각종 기어와 베어링 등의 부식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기어박스에 주입되는 구리스(윤활유)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코아드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코아드릴(Core Drilling Machine)은 건축물의 배관 시공시 벽체나 천장 등에 구멍을 천공시키기 위한 기계 장치로서, 구멍을 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부(3)와; 베이스부(3)에 직각을 이루고, 일 측면에 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스탠드부(5)와; 스탠드부(5)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내장되고, 손잡이(6)의 회전 작동으로 스탠드부(5)를 따라 승하강하는 구동바디(7)와; 상기 구동바디(7)에 장착되는 모터(8) 및 기어박스(10), 그리고 구조물의 특정 부위를 천공시키는 비트(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코아드릴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수의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베이스부(3)를 벽체에 고정시킨 후, 구동바디(7)에 설치된 손잡이(6)를 돌리게 되면, 구동바디(7)의 피니언 기어와 스탠드부(5)의 레크 기어가 치합되면서, 구동바디(7)가 스탠드부(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8)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8)의 회전력이 기어박스(10)를 통해 비트(20)에 전달되고, 고속 회전하는 비트(20)가 전진 이동하면서 벽체에 구멍을 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는 종래 코아드릴의 기어박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10)는 모터(8)의 회전력을 변속하여 비트(2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는 기어 하우징(11)과 베어링(13)이 내장되는 베어링 하우징(12), 그리고 물이 주입되는 워터 하우징(16)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워터 하우징(16)에는 주입되는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17, 18)가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내장된다. 즉, 벽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비트(2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비트(2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비트(20)에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워터 하우징(16)에는 물 주입을 위한 물 공급부(19)가 연결되고, 상기 물 공급부(19)를 통해 기어박스(10)에 주입된 물은 각 실링부(17, 18)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따라 비트(2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0)의 베어링 하우징(12)과 워터 하우징(16)은 상호 분리되어 연통되지 않으므로, 베어링 하우징(12)에 주입된 구리스가 워터 하우징(16)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또한 워터 하우징(16)에 주입된 물도 베어링 하우징(12)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12)에는 베어링(13)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대(14)가 내장되고, 워터 하우징(16)의 상단부에는 실링부(17)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지지대(14)와 실링부(17)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A)가 형성된다.
한편, 코아드릴이 운전되는 동안, 기어박스(10)에 내장된 다수의 기어 및 베어링은 계속해서 맞물려가면서 회전을 하므로, 베어링 하우징(12)은 높은 온도가 유지되고, 반면에 워터 하우징(16)에는 물이 계속 주입됨으로써 낮은 온도를 유지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도 차이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12)과 워터 하우징(16) 사이, 즉 베어링 지지대(14)와 실링부(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A)에는 이슬이 맺히고, 또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증기는 베어링 하우징(12) 및 기어 하우징(11)으로 침투하여 기어 및 베어링을 부식시키고, 구리스를 부패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어박스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수증기를 제거하여, 수증기로 인한 기어와 베어링의 부식 및 구리스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는, 기어가 내장되는 기어 하우징과; 베어링 및 베어링 지지대가 내장되는 베어링 하우징; 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가 내장되는 워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코아드릴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지지대와 워터 하우징의 실링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공간부와 기어박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공이 워터 하우징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결합 프레임과, 결합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물이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물 공급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공을 통해 빠져나온 수증기가 결합 프레임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코아드릴의 구성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 및 기어박스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 기어박스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기어박스(30)는 크게 기어가 내장되는 기어 하우징(40), 기어 하우징(4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어링(52)이 내장되는 베어링 하우징(50),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5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워터 하우징(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베어링(52)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대(54)가 내장되고, 워터 하우징(60)의 내부에는 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62, 64)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워터 하우징(60)의 외측면에는 물이 주입되는 하우징 주입구(66)와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68)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워터 하우징(6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70)는, 워터 하우징(6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결합 프레임(72)과, 상기 결합 프레임(72)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물이 주입되는 튜브(76)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튜브(76)와 결합 프레임(72)의 연결 부위에는 물이 주입되는 프레임 주입구(7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주입구(74)는 워터 하우징(60)에 형성된 하우징 주입 구(66)와 연통된다. 따라서 튜브(76)를 통해 코아드릴에 공급되는 물은 프레임 주입구(74)와 하우징 주입구(66)를 통해 워터 하우징(60)에 주입된 후, 비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베어링 하우징(50)과 워터 하우징(60) 사이, 즉 베어링 지지대(54)와 실링부(6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B)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B)에는 온도 차이에 의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공간부(B)에 발생되는 수증기를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간부(B)를 기어박스 외부에 연통시키는 배기공(68)이 워터 하우징(60)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다.
한편, 워터 하우징(6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물 공급부(70)의 결합 프레임(72)은 베어링 하우징(5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 프레임(72)과 베어링 하우징(50) 사이에 미세한 틈새(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간부(B)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배기공(68)을 통해 공간부(B)에 빠져나온 후, 결합 프레임(72)과 베어링 하우징(50) 사이의 틈새(C)를 통해 코아드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공(68)의 대부분을 결합 프레임(72)이 막고 있어서, 외부의 불순물 또는 수증기 등이 배기공(68)을 통해 기어박스(30) 내부로 들어올 염려가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의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벽체 또는 구조물을 천공시키기 위해 코아드릴을 운전하게 되면, 모터의 회전력을 비트에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30) 내부에 내장된 기어 및 베어링이 회전 하면서 열을 발생시켜서 기어박스의 기어 하우징(40) 및 베어링 하우징(50)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고, 또한 비트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물 공급부(70)를 통해 워터 하우징(60)에 물을 공급하면, 워터 하우징(60)의 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기어박스(30)를 이루는 베어링 하우징(50)과 워터 하우징(60) 사이의 온도차로 인해, 베어링 하우징(50)과 워터 하우징(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에는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공간부(B)에 연통되는 배기공(68)을 통해 빠져나온 후, 결합 프레임(72)과 베어링 하우징(50) 사이의 틈새(C)를 통해 기어박스(3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에 의하면, 기어박스 내부에서 온도 차이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기공을 통해 기어박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증기가 기어 및 베어링을 부식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구리스를 부패시킬 수 없도록 하여, 코아드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어가 내장되는 기어 하우징과; 베어링 및 베어링 지지대가 내장되는 베어링 하우징; 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가 내장되는 워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코아드릴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지지대와 워터 하우징의 실링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공간부와 기어박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공이 워터 하우징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워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결합 프레임과, 결합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물이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공을 통해 빠져나온 수증기가 결합 프레임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코아드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KR1020060080899A 2006-08-25 2006-08-25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KR10072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899A KR100722815B1 (ko) 2006-08-25 2006-08-25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899A KR100722815B1 (ko) 2006-08-25 2006-08-25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815B1 true KR100722815B1 (ko) 2007-05-29

Family

ID=3827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899A KR100722815B1 (ko) 2006-08-25 2006-08-25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961B1 (ko) * 1989-06-30 1992-09-19 유우겐가이샤 요시노 세이끼 분무방식 드릴장치
JPH0746497Y2 (ja) * 1988-04-02 1995-10-25 有限会社吉野精機 コアドリル装置
US20050105977A1 (en) 2003-10-23 2005-05-19 Ishihara Kikai Kogyo Co., Ltd. Non-core type bit, non-core drill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cooling water theret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497Y2 (ja) * 1988-04-02 1995-10-25 有限会社吉野精機 コアドリル装置
KR920007961B1 (ko) * 1989-06-30 1992-09-19 유우겐가이샤 요시노 세이끼 분무방식 드릴장치
US20050105977A1 (en) 2003-10-23 2005-05-19 Ishihara Kikai Kogyo Co., Ltd. Non-core type bit, non-core drill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cooling water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118B2 (en) Modular rotary drill head
JP4271182B2 (ja) 地中壁掘削機
KR20110137695A (ko) 시추기의 오거 구동장치
NO20130633A1 (no) Bormotordrivenhet for hoy temperatur med sykloidalt reduksjonsgir
JP2006226499A (ja) 減速装置及び減速装置の潤滑方法
KR100722815B1 (ko) 코아드릴의 부식 방지 구조
EP2334890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 wellbore
US20100116554A1 (en) Turbo-gear for speedy drilling wells
CN207080174U (zh) 一种用于岩石取芯的液压旋转动力头
KR101350179B1 (ko) 지반 다짐용 콤팩터
CN1234958C (zh) 一种潜油螺杆泵采油系统
KR200345574Y1 (ko) 오거머신용 케이싱 회전장치
KR100659393B1 (ko) 케이싱 현장 내경 가공장치
JP2009114976A (ja) 真空ポンプ
KR101271628B1 (ko) 베어링 구조체
RU2377381C1 (ru) Забойный двигатель
KR100940279B1 (ko) 오거의 구동장치
JP4919429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動力取出し装置
CN219864874U (zh) 一种钻箱及钻机
CN203961776U (zh) 一种钻机的多驱动动力回旋装置
CN213670917U (zh) 回转窑拖轮循环水管清污装置
CN106869778A (zh) 一种用于岩石取芯的液压旋转动力头
CN102061900A (zh) 旋转自封封井器
KR200404495Y1 (ko) 케이싱 현장 내경 가공장치
CN206769797U (zh) 一种高效液压旋转动力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