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303B1 -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 Google Patents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303B1
KR100722303B1 KR1020060092910A KR20060092910A KR100722303B1 KR 100722303 B1 KR100722303 B1 KR 100722303B1 KR 1020060092910 A KR1020060092910 A KR 1020060092910A KR 20060092910 A KR20060092910 A KR 20060092910A KR 100722303 B1 KR100722303 B1 KR 10072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ii
luteinizing hormone
methanol
extract
thymosap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806A (ko
Inventor
김정숙
최환수
하혜경
이호영
강삼식
손건호
정다영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3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30/00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1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13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related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모사포닌 에이-III,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III 및 지모 추출물은 뇌하수체 세포에 작용하여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불임, 유방암, 전립선암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황체형성 호르몬

Description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Promotor of release of Luteinizing hormone comprising Anemarrhena asphodeloides extract or Timosaponin A-III}
도 1은 티모사포닌 에이-III의 농도에 따른 랫트 황체형성호르몬 분비 유발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티모사포닌 에이-III,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황체형성 호르몬(luteinizing hormone)은 척추동물의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당단백질호르몬으로서, 생식선자극호르몬 중 하나이며 간세포자극 호르몬(ICSH)라고도 한다. 황체형성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호염기성 세포에서 분비되며, 뇌하수체의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에서 합성되는 황체형성호르몬 방출인자에 의해 촉진된다.
분자량은 3만 정도이고, 용액중에서는 분자량 약 1만 5천의 서로 다른 2개의 단위체로 해리되며, 단위체의 하나는 여포자극호르몬(FSH) 및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의 단위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황체형성호르몬은 고환의 남성성호르몬, 난소의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 생산 분비의 촉진작용을 갖고 있는 호르몬이다. 구체적으로, 여성에서는 성숙한 난소의 여포에 작용하여 배란을 일으키고 황체화시키고, 남성에서는 정소의 간세포에 작용하여, 웅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데, 촉진된 웅성호르몬에 의해 2차 성징이 발달함과 동시에 정자형성이 완료된다. 따라서, 황체형성호르몬은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의 불임 치료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와 다양한 질병과의 관계가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 촉진이 불임(Ma X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 Dec 7;101(49):17294-17299. Epub 2004 Nov 29, McGovern PG et al, Fertil Steril. 2004 Nov;82(5):1273), 전립선암(Bencini S et al, Ann N Y Acad Sci. 2003 Dec;1010:789-92, Mulligan T et al, Drugs Today (Barc). 1998 May;34(5):455-61, Letsch M et al, Clin Cancer Res. 2003 Oct 1;9(12):4505-13, Sugimura Y et al, Rinsho Byori. 2004 Jul;52(7):604-10), 유방암(Jones KL et al, Endocr Relat Cancer. 2004 Sep;11(3):391-4, Miyoshi Y et al, Breast Cancer. 2003;10(2):105-11)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Aruna J et al, Int J Gynaecol Obstet. 2004 Dec;87(3):237-41), 만성 신부전증(Holly JL et al, Adv Chronic Kidney Dis. 2004 Oct;11(4):337-41) 및 클라인펠트 증후군(Zitzmann M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Dec;89(12):6208-17)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지모(知母,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지모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지모과의 뿌리줄기를 사용하며,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지방에 고루 분포한다. 뿌리에서 잎들이 소복히 모여 자라나고 잎의 바깥 부분부터 외생엽, 정상엽, 내생엽으로 구분되어지며 가운데 부분의 정상엽이 가장 크기가 크며, 잎의 모양은 장협 피침형으로써 끝부분이 상당히 뾰족하다. 또한 잎은 단단한 편이며 겉 부분이 반짝 반짝 광택이 난다. 이러한 뿌리와 줄기에는 티모사포닌(Timosaponin), 치모닌(Chimonin), 프로코카테시산 (Prococathechi acid), 판토데니카시드(Pantothenicac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해열 작용, 강심 작용, 이뇨 작용, 양허증, 항균 작용, 거담 작용, 진정 작용, 혈당강하 작용, 항암 작용이 있으며, 해열제로 사용된다.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들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34716호에서는 땅두릅 , 천화분 , 홍삼 , 지황 , 지모 , 황련 , 옥수수 수염 및 이에 추가하여 당귀, 오미자, 황기 또는 비타민 E, C, B 등을 첨가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30941호에서는 지모추출물이 장기이식시 발생하는 거부반응 제어작용 및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14591 호에서는 지모 추출물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호르몬과 유사한 성장호르몬 분비 자극 활성을 나타내어서 왜소증 등의 성장호르몬 결핍 질환의 치료제, 노화방지제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지모 추출물 및 지모 추출물에 포함된 티모사포닌 에이-III가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촉진효과가 있음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모 추출물의 약리활성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지모 추출물 및 이에 포함된 티모사포닌 에이-III가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효과가 있어서 불임, 전립선암, 유방암 등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모사포닌 에이-III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티모사포닌 에이-II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을 에테르 및 n-부탄올로 단계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모사포닌 에이-II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촉진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9303225-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는 지모로부터 추출·분리·정제하여 사용하였으며, 통상적인 모든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티모사포닌 에이-Ⅲ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모사포닌 에이-III를 포함하고, 지모를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용해시켜 추출한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 및 얻어진 지모 메탄올 추출물을 에테르, n-부탄올 순으로 단계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지모의 n-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모로부터 티모사포닌 에이-Ⅲ의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모를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세절한다. 세절한 지모 근경을 뜨거운 메탄올로 6시간씩 3회 추출하고 농축해서 메탄올 농축액을 얻는다. 상기 메탄올 농축액을 에테르, n-부탄올의 순으로 단계적으로 분획하여 에테르 분획 및 n-부탄올 분획을 얻는다.
상기에서 얻은 부탄올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5개의 소분획을 얻는다. 이때,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 100:0 ~ 92:8 (v/v)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5개의 소분획 중 두번째 소분획을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분리한다. 이때, 클로로포름:메탄올:물 = 7:3:1 (v/v)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티모사포닌 에이-III, 이를 포함하는 지모 메탄올 추출물 및 그의 n-부탄올 분획물은 황체형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III, 이를 포함하는 지모 메탄올 추출물 및 그의 n-부탄올 분획물을 랫트의 뇌하수체 세포에 주입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3배 이상의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체형성호르몬 분비 촉진효과가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티모사포닌 에이-III, 이를 포함하는 지모 메탄올 추출물 및 그의 n-부탄올 분획물은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이로 인해 촉진된 황체형성호르몬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황체형성 호르몬의 다양한 용도들은 하기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불임, 전립선암, 유방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 신부전증 및 클라인펠트 증후군의 치료
상기 티모사포닌 에이-Ⅲ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는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티모사포닌 에이-Ⅲ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 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티모사포닌 에이-Ⅲ의 유효용량은 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 m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랫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0㎎/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 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는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지모로부터 티모사포닌 에이-Ⅲ의 추출, 분리 및 정제
1. 지모로부터 추출
지모를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세절하였다. 세절한 지모 근경 1㎏을 뜨거운 메탄올로 6시간씩 3회 추출하고 농축해서 260g의 메탄올 농축액 을 얻었다.
상기 메탄올 농축액을 에테르, n-부탄올의 순으로 단계적으로 분획하여 에테르 분획(11g) 및 n-부탄올 분획(50g)을 얻었다.
2.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 및 정제
상기 1에서 얻은 부탄올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용매(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 100:0 ~ 92:8 (v/v))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5개의 소분획을 얻었다.
상기 5개의 소분획 중 두번째 소분획을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물의 혼합용매(클로로포름:메탄올:물 = 7:3:1 (v/v), 하층부)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2g의 티모사포닌 에이-Ⅲ(timosaponin A-Ⅲ)를 분리하였다.
1) 무색 바늘모양
2) 녹는점 : >300℃
3) 선광도 : [α]D25: 42.5°(c=0.7, 피리딘)
4) Liebermann-Burchard test : positive
5) Molish test : positive
6) 1H-NMR(300㎒, 피리딘-d5) δ: 0.80(3H, s, 18-CH3), 0.96(3H, s, 19-CH3), 1.06(3H, d, J=7.0㎐, 21-CH3), 1.14(3H, d, J=6.8㎐, 27-CH3), 3.35(1H, d, J=10.9㎐, 26β-H), 4.90(1H, d, J=7.6㎐, 갈락토스 H-1), 5.26(1H, d, J=7.6㎐, 글루코스 H-1)
7) 13C-NMR(75.5㎒, 피리딘-d5) δ: 30.96(C-1), 27.01(C-2), 75.22(C-3), 30.96(C-4), 36.96(C-5), 26.80(C-6), 26.44(C-7), 35.56(C-8), 40.29(C-9), 35.26 (C-10), 21.17(C-11), 40.34(C-12), 40.90(C-13), 56.50(C-14), 32.16(C-15), 81.35(C-16), 63.00(C-17), 16.58(C-18), 24.01(C-19), 42.50(C-20), 14.89(C-21), 109.69(C-22), 26.21(C-23), 26.21(C-24), 27.55(C-25), 65.12(C-26), 16.29(C-27), 102.53(gal C-1), 81.87(gal C-2), 76.89(gal C-3), 69.86(gal C-4), 76.59 (gal C-5), 62.20(gal C-6), 106.10(glc C-1), 75.49(glc C-2), 78.03(glc C-3), 71.80(glc C-4), 78.34(glc C-5), 62.86(glc C-6)
실험예 1 :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실험
(단계 1) 뇌하수체 세포 배양
생후 4∼5 주령의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 rat) 랫트로부터 무균 조작하에 뇌하수체를 꺼낸 뒤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 Gibco co., Grand Island, NY)과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Sigma co., St. Louis, MO)로 처리하여 뇌하수체 세포(rat pituitary cell)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뇌하수체 세포를 10 % 말 혈청(horse serum), 2.5 % 태아 혈소 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부유시킨 후 37 ℃ 및 5 % CO2의 항습 조건(humidified condition)에서 배양하였다.
(단계 2) 황체형성호르몬 분비 촉진 활성 실험
상기 단계 1에서 분리한 뇌하수체 세포를 배양한 후에 시험액에 부유시켰다. 티모사포닌 에이-III(10㎍/ml),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1mg/ml), 에테르 및 부탄올 분획물(1mg/ml)을 각각 1ml씩 뇌하수체 세포에 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배지(1% DMSO)에 뇌하수체 세포를 가하여 사용하였다. 37℃에서 15분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분리하였으며, 황체형성호르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70℃에 보관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 측정은 쥐 황체형성호르몬 RIA 키트(rat LH RIA kit, Amersham, Buckinghamshire, England)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일정한 양의 125I-표지 황체형성호르몬과 상기에서 보관한 시험물질에 함유된 황체형성호르몬은 항 황체형성호르몬 항체(anti-LH antibody)에 대한 경쟁적인 반응에 의해서 각기 다른 양의 황체형성호르몬-항체 복합체(LH-Ab complex)를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2차 항체(second antibody)를 가하여 침전시킨 후 침전으로부터 125I의 방사활성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해당 농도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군에서는 황체형성호르몬 농도가 1.94ng/ml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티모사포닌 에이-III,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황체형성호르몬 농도가 각각 표 1과 같이 나타나서 티모사포닌 에이-III, 지모의 추출물 및 분획물 처리에 의하여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대조군 티모사포닌 에이-III 처리군(10㎍/ml) 지모 메탄올 추출물 처리군( 1 mg/ml) 지모 부탄올 분획물 처리군( 1 mg/ml)
랫트 황체형성호르몬 농도(ng/ml) 1.94 5.94 21.63 4.17
또한, 티모사포닌 에이-III의 농도에 따라 분비된 황체형성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티모사포닌 에이-III의 농도가 0.1㎍/ml이상일 때부터 분비되는 황체형성호르몬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2㎍/ml일 때 최대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 참조).
실험예 2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지모 추출물과 티모사포닌 에이-III를 각각 0.5 %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각각 1000 ㎎/㎏/㎖ 및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핼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지모 추출물 및 티모사포닌 에이-III는 모두 랫트에서 각각 1000 ㎎/㎏,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모두 최소치사량이 0.1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제제예 1 :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1 g
염화나트륨 0.6 g
아스코르브산 0.1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2: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유효성분 2% (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 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사카린, 당을 온수 80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2 g
사카린 0.8 g
당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3 :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250g,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제조하였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티모사포닌 에이-Ⅲ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g
제제예 4 :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III 및 이를 포함하는 지모 메탄올 추출물 및 그의 에테르, 부탄올 분획물은 뇌하수체 세포에 작용하여 황체형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며 독성실험 결과 독성이 적어서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티모사포닌 에이-III 및 이 를 포함하는 지모 메탄올 추출물 및 그의 부탄올 분획물은 황체형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불임, 전립선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불임, 전립선암, 유방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신부전증 또는 클라인펠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은 지모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추출물에 증류수 및 에테르를 가한 후 얻은 수층을 n-부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지모의 n-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불임, 전립선암, 유방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신부전증 또는 클라인펠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n-부탄올 분획물은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 및 에테르를 가한 후 얻은 수층을 n-부탄올로 추출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n-부탄올 분획물은 지모의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 및 에테르를 가한 후 얻은 수층을 n-부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체형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092910A 2006-09-25 2006-09-25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072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910A KR100722303B1 (ko) 2006-09-25 2006-09-25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910A KR100722303B1 (ko) 2006-09-25 2006-09-25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389A Division KR100702184B1 (ko) 2004-12-30 2004-12-30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806A KR20060106806A (ko) 2006-10-12
KR100722303B1 true KR100722303B1 (ko) 2007-05-29

Family

ID=3762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910A KR100722303B1 (ko) 2006-09-25 2006-09-25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88B1 (ko) * 2015-06-08 2016-11-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피부암의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0776A (ja) * 2008-04-11 2012-01-12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ナスゲanemarrhenaasphodeloidesbungeの抽出物を使用する抗癌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Gastroenterol. 36(2), 79-90 (2001)
Zhongguo Zhong Yao Za Zhi 27(11), 858-61 (20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88B1 (ko) * 2015-06-08 2016-11-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피부암의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WO2016200002A1 (ko) * 2015-06-08 2016-12-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피부암의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806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4394A (ko) 한약재를 이용한 불임증 치료용 조성물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22303B1 (ko)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0702184B1 (ko) 티모사포닌 에이, 지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31226B1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6784B1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0525786B1 (ko) 감초 추출물 또는 이솔리퀴리틴을 포함하는파이토에스트로젠 조성물
KR101084942B1 (ko) 천우슬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KR100702183B1 (ko) 오피오포고닌, 맥문동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체형성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420270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61397B1 (ko)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KR20190126657A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46758B1 (ko)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KR100497948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20150111097A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0793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4436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
KR102092151B1 (ko) 두충 추출물 및 산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76129B1 (ko)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KR20170084688A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744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