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833B1 - 압축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833B1
KR100721833B1 KR1020060016231A KR20060016231A KR100721833B1 KR 100721833 B1 KR100721833 B1 KR 100721833B1 KR 1020060016231 A KR1020060016231 A KR 1020060016231A KR 20060016231 A KR20060016231 A KR 20060016231A KR 100721833 B1 KR100721833 B1 KR 10072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flow preventing
preventing member
base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문제명
김도연
김록희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5/00Preparing the edges or backs of leaves or signatures for binding
    • B42C5/02Preparing the edges or backs of leaves or signatures for binding by rounding or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한 압축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며,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압축기의 하단이 고정되는 받침대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하면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베이스플레이트와 탄성부재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어 받침대가 탄성부재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게 하는 너트와,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한 것으로, 탄성부재가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운송 중 외부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탄성부재는 거의 변형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유동은 대폭 저감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OF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축기가 압축기 지지장치를 통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자장치에 유동방지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자장치에 유동방지유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축기 11, 12: 냉매관
13; 어큐뮬레이터 20: 베이스플레이트
30: 압축기 지지장치 31: 받침대
32: 탄성부재 33: 볼트
34: 너트 35: 유동방지부재
35a: 개방부 35b: 리브
35c: 절단용 홈 36: 고정케이블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에 장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작동소음을 저감하는 압축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를 매개로 하여 압축, 응축, 팽창, 증발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는 냉동사이클 등에 적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써,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또는 냉장고 등의 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를 내장한 것으로, 저압의 냉매를 전달받는 흡입관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관 등이 설치되어 다른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과 냉매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압축기는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한 진동과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냉매의 압력맥동에 의한 진동 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진동이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등에 전달될 경우 소음을 유발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압축기의 하단에는 한국특허공개 1998-0991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가 간접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게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압축기 지지장치는 소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중앙측에 압축기의 하단이 고정되는 받침대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모서리부 하면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그 선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탄성부재와 받침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 볼트의 선단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한 것으로, 탄성부재가 탄성변형하며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의 일부를 흡수하게 되므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적은 진폭의 진동이 전달될 경우에는 압축기의 유동은 크게 발생하지 않는데 반해, 운송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진폭의 외부 진동이 전달될 경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하며 압축기가 좌우로 크게 유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압축기가 크게 좌우로 유동하게 되면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과 토출관 등의 냉매관에 외부 진동에 의한 힘이 작용하여 냉매관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압축기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며,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단이 고정되는 받침대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대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게 하는 너트와,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 진동에 의한 상기 압축기가 유동을 저감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하면과 상기 받침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개방되어 있는 일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상기 볼트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게 있게 하는 고정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케이블이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도구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절단용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3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압축기(10)는 내부에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와,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저압의 냉매를 전달받아 고압으로 압축하는 장치로써, 공기조화기나 냉장고 등에 내장된다.
이러한 압축기(10)에는 냉매가 유입 및 토출될 수 있도록 냉매관(11, 12)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냉매관(11, 12)에는 압축기(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가 압축기(10) 내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관(11)과, 압축기(10)의 상부 중앙측에 설치되어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게 하는 토출관(12)이 포함된다. 또한, 압축기(10)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구성요소인 증발기(미도시)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전달된 냉매가 기화된 후 흡입관(11)을 통해 압축기(1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어큐뮬레이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10)를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지지장치(30)는 압축기(10)에서 발생한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압축기(10)의 하단이 고정되는 받침대(31)와, 고무 등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받침대(31)의 각 모서리부 하면과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기(10)로부터 받침대(31)를 통해 전달된 진동의 일부를 흡수하는 다수의 탄성부재(32)와, 그 선단이 베이스플레이트(20)와 탄성부재(32)와 받침대(31)를 차례로 관통하여 받침대(31)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33)와, 돌출된 볼트(33)의 선단에 체결되어 받침대(31)가 탄성부재(32)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20)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너트(34)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0)와 탄성부재(32)와 받침대(31)에는 볼트(33)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공(20a, 32a, 31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10)의 동작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탄성부재(32)가 탄성변형되며 이러한 진동의 일부를 흡수하므로, 베이스플레이트(20)에 전달되는 진동 은 대폭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30)에는 운송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압축기(1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부재(32)가 압축된 상태로 받침대(31)와 베이스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게 하는 유동방지부재(35)가 포함되어 있다.
유동방지부재(35)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너트(34)의 하면과 받침대(3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너트(34)와 받침대(31) 사이에 유동방지부재(35)를 설치하면 유동방지부재(35)의 두께 만큼 탄성부재(32)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게 되므로, 외부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탄성부재(32)가 거의 탄성변형하지 않아 압축기(10)의 유동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부재(35)와 너트(34) 사이에는 소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유동방지부재(3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볼트(33)와 너트(34)에 의해 발생하는 체결력이 유동방지부재(35)에 분산되어 작용될 수 있게 하는 와셔(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등 압축기(10)가 내장된 장치가 사용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된 후에는 탄성부재(32)가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쇄시켜야만 하므로, 유동방지부재(35)는 압축기(10)를 내장한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압축기 지지장치(30)로부터 제거되어 탄성부재(32)가 원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유동방지부재(35)는 압축기 지지장치(3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개방부(35a)의 내측에 볼트(33)가 관통하 여 설치된다. 따라서, 유동방지부재(35)는 개방부(35a) 통해 볼트(33)로부터 이탈하여 압축기 지지장치(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운송 중에는 유동방지부재(35)가 압축기 지지장치(3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동방지부재(35)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케이블(3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리 형상의 고정케이블(36)를 유동방지부재(35)의 외주면에 설치하면 고정케이블(36)에 의해 유동방지부재(35)의 개방부(35a) 입구측이 폐쇄되므로 고정케이블(36)를 제거하기 이전까지는 유동방지부재(35)가 볼트(33)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동방지부재(35)의 상단 및 하단에는 고정케이블(36)가 그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케이블(36)의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리브(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동방지부재(35)의 외주면에는 고정케이블(36)가 용이하게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칼이나 가위 등의 절단용 도구가 삽입되는 절단용 홈(35c)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송 중에는 유동방지부재(35)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너트(34)와 받침대(31)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부재(32)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한 압축기(10)의 유동을 방지하다가, 압축기(10)가 내장된 장치가 사용될 위치에 설치된 후에는 고정케이블(36)를 절단하고 유동방지부재(35)를 제거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가 탄성변형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탄성부재(32)가 압축기(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소정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유동방지부재의 두께 만큼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운송 중 외부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탄성부재는 거의 변형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유동은 대폭 저감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압축기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며,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단이 고정되는 받침대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대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게 하는 너트와,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 진동에 의한 상기 압축기가 유동을 저감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하면과 상기 받침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개방되어 있는 일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상기 볼트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게 있게 하는 고정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케이블이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도구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절단용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KR1020060016231A 2006-02-20 2006-02-20 압축기 지지장치 KR10072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231A KR100721833B1 (ko) 2006-02-20 2006-02-20 압축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231A KR100721833B1 (ko) 2006-02-20 2006-02-20 압축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833B1 true KR100721833B1 (ko) 2007-05-28

Family

ID=382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231A KR100721833B1 (ko) 2006-02-20 2006-02-20 압축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5327A (zh) * 2017-11-15 2018-0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脚垫、压缩机固定结构和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85U (ko) 1986-08-05 1988-02-22
JPH02139378U (ko) * 1989-04-26 1990-11-21
JPH05263761A (ja) * 1992-03-23 1993-10-12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支持装置
KR20050114113A (ko) * 2004-05-31 2005-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85U (ko) 1986-08-05 1988-02-22
JPH02139378U (ko) * 1989-04-26 1990-11-21
JPH05263761A (ja) * 1992-03-23 1993-10-12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支持装置
KR20050114113A (ko) * 2004-05-31 2005-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5327A (zh) * 2017-11-15 2018-0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脚垫、压缩机固定结构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653B1 (ko) 회전압축기 조립체
KR100548308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070069773A (ko) 압축기의 요동방지장치
KR20070104239A (ko) 냉각 장치
KR100721833B1 (ko) 압축기 지지장치
US7155929B2 (en) Pip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JP5873991B2 (ja) 圧縮機の固定構造
CN100458165C (zh) 回转压缩机
KR100741802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461509Y1 (ko) 압축기 지지장치
KR101210398B1 (ko) 냉동공조 기기용 압축기의 진동 저감 구조
KR100716000B1 (ko) 압축기 고정장치
KR100512240B1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포밍구조
KR200169216Y1 (ko) 밀폐형 압축기용 어큐물레이터 고정장치
KR20060038165A (ko) 압축기의 방진장치
CN111219315A (zh) 具有向上振动约束结构的减振组件及空调器
CN216975162U (zh) 一种压缩机的平衡装置及压缩机
KR10060867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CN210718269U (zh) 一种冰箱
KR20170108494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5055106A (ja) アキュムレータを備えた圧縮機
KR100493686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소음 방지구조
KR19990005910U (ko) 압축기의 방진부재
KR100622256B1 (ko) 압축기의 모터 스테이터 지지장치
KR0117775Y1 (ko) 압축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