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408B1 -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408B1
KR100721408B1 KR1020050100557A KR20050100557A KR100721408B1 KR 100721408 B1 KR100721408 B1 KR 100721408B1 KR 1020050100557 A KR1020050100557 A KR 1020050100557A KR 20050100557 A KR20050100557 A KR 20050100557A KR 100721408 B1 KR100721408 B1 KR 10072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ging
list
search
local data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535A (ko
Inventor
장준기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5010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4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데이터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에, 태깅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태깅 리스트를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검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작업을 위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으로 유연한 검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 검색, 키워드 검색 방식, 태깅 검색 방식, 태깅 처리

Description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AGGING LOCAL-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깅 처리 및 태깅리스트의 작성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은 로컬검색엔진에 의한 색인 테이블의 작성 과정을, 도 4는 리스트 작성 수단에 의한 태깅 테이블의 작성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210 : 리스트 작성 수단
220 : 리스트 추출 수단 230 : 리스트 제어 수단
240 : 검색 제어 수단 140 : 로컬 데이터베이스
150 :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로컬 데이터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에, 태깅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태깅 리스트를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검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대해지는 사용자 단말기에 보유되는 로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로컬 데이터에 대한 편리한 검색 작업을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기설치된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기능으로, 로컬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검색을 부가시키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식은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정보검색프로그램에 입력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특정의 로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추출된 로컬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 방식의 일종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방식은 검색 요청을 하는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키워드를 미리 인지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그 검색 결과가 비교적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 방식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컬 데이터)를 사전에 미리 등록해두는 것으로, 검색 결과의 생성시 검색 요청을 하는 사용자의 개입이 불필요하며 등록되는 모든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키워드 검색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앞서, 검색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특정의 키워드를 기억해내야 하며, 또한 검색 요청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제공 받는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것은 사전에 미리 등록해 둔 검색 결과에 한정됨으로써 검색 결과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술한 키워드 검색 방식 이외에, 일반 웹 검색에서는 태깅(tagging)에 의한 검색 방식이 지원되고 있다. 이러한 태깅에 의한 검색 방식은 사용자가 각 웹 검색 대상(예, 웹 데이터)마다 직접 태그(TAG)를 대응시키고, 사용자가 대응한 태그들의 전체 빈도수에 따라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즉, 태깅 검색 방식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등록한 태그를 이용하여 결과 리스트를 작성하고, 태그를 나열하여 작성한 결과 리스트를 검색 요청을 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 방식이다. 이러한 태깅에 의한 검색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과 리스트는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태그들의 표현 방식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 결과의 전체 내용 파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태깅 검색 방식은 이제까지 로컬 데이터의 검색에 적용된 바가 없으며, 더욱이 웹 데이터의 생성, 갱신, 삭제 때마다 사용자가 태그의 등록을 직접적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더욱이 태그가 대응되는 웹 데이터에 대해서만 검색 결과가 도출될 뿐, 사용자가 태그를 등록하지 않는 웹 데이터는 검색 작업에서 배제되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만약, 상술한 두 검색 방식을 결합한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방식이 있다면, 방대한 전체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 작업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키워드를 미리 기억해야 하는 전제가 없으며, 검색 결과에 대한 내역 파악이 보다 용이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 작업을 편이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에서 키워드 검색 방식 및 태깅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검색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검색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로컬 데이터 검색 방식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검색 작업을 위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으로 유연한 검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 및 태깅 검색 방식을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적인 태깅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된 로컬 데이터들의 전체 정보 내역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검색 작업을 지원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컬 데이터에 대한 태깅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에서와 달리, 사용자에게 검색 대상이 되는 키워드의 정확한 기억을 요구하지 않아도 정확한 검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란으로 키워드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태깅리스트에 대해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키워드 입력 또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로컬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서, 로컬 데이터를 태깅하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와,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키는 리스트 제어 수단과, 및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란으로의 키워드 입력 또는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태깅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워드 입력 또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로컬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검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태깅(TAGGING)"은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데이터 각각으로 하나 이상의 색인명을 대응시키고,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대응된 색인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시함으로써 로컬 데이터의 전체 내역을 간략하게 파악되도록 하여 검색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검색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컬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보유되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색인명은 해당 색인명을 포함하는 로컬 데이터를 대표하는 것으로, 예컨대 의미를 갖는 문자의 조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태깅에 의한 검색 작업은 각 로컬 데이터마다 색인명을 미리 대응시키고 상기 대응된 색인명들을 태깅리스트로 목록화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색인명과 연관된 로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다. 이에 따라, 태깅 검색 작업에 의해서는 키워드 입력에 의한 검색 작업과 달리, 태깅리스트를 제시 받은 사용자에게 로컬 데이터의 대략적인 정보 내역을 색인명을 통해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 작업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구동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한 검색 방식으로 검색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은 데이터에 대한 검색 작업을 지원하는 모든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예컨대 웹브라우저, 네비게이션 등의 검색 프로그램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로컬 데이터를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기(1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로컬검색엔진(130)에서 작성한 색인 테이블을 고려하여 태깅리스트를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색인 테이블에는 검색 대상이 되는 복수의 로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색인명 및, 상기 색인명이 포함되는 로컬 데이터의 파일 개수 또는 로컬 데이터에 포함되는 총 빈도수가 기록될 수 있다.
즉,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상기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특정 색인명의 표기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표기 방식에 따라 표기되는 색인 명을 태깅리스트로서 목록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을, 다수의 로컬 데이터에 포함될수록, 또는 전체 로컬 데이터에서 빈도 높게 포함될수록 두드러지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 결과에 대한 전체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체 내용의 파악이란, 예를 들어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키워드들은 어떠한 것인가, 검색 결과 중에서 대표적인 키워드는 어떠한 것인가 등 검색 결과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사용자(120)가 이해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하나의 정보검색프로그램 상에서, 사용자(120)의 키워드 입력에 따라 로컬 데이터를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 방식 및 상기 태깅 검색 방식을 병행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20)는 자신이 선호하는 검색 방식에 따라, 예컨대 태깅 검색 방식에 의해 색인명 선택 입력으로 로컬 데이터의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고, 키워드 검색 방식에 의한 키워드 입력으로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로컬검색엔진(130)은 로컬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색인명을 추출하여 색인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한 색인명 각각에 대해, 색인명을 추출한 로컬 데이터의 파일 개수 및 각 로컬 데이터에서의 상기 색인명의 빈도수를 합산한 총 빈도수를 산출하여 색인 테이블을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로컬검색엔진(130)은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보검색프로그램 상으로 입력된 키워드 입력 또는 태깅 리스트의 색인명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를 로컬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태깅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태깅리스트를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켜 사용자(120)에게 노출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는 자신이 보유하는 로컬 데이터에 대한 검색 작업이 가능하도록,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입력을 허용하며,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입력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로컬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컬 데이터를 정보검색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120)에게 노출시킨다.
사용자(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보유하며,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보검색프로그램 상으로 키워드(또는 카테고리)를 입력하거나 태깅리스트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키워드 검색 방식 또는 태깅 검색 방식에 의한 자유로운 로컬 데이터의 검색 작업을 수행하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키워드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정보검색프로그램 상으로 태깅 검색 방식에 의한 태깅리스트를 포함시키고, 사용자(120)의 선택에 따라 키워드 검색 방식이나 태깅 검색 방식을 자유롭게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10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될 색인명에 대해, 다수의 로컬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로컬 데이터 내에서의 빈도수가 높거나 하는 색인명을 두드러지게 표기한 태깅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자(120)에게 제공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내용 파악이 상기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에 의해 대략적으로 사용자(120)에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리스트 작성 수단(210), 리스트 추출 수단(220), 리스트 제어 수단(230) 및 검색 제어 수단(2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보유하는 로컬 데이터를 저장, 유지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140) 및 로컬 데이터를 대상으로 작성된 리스트를 저장, 유지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보유되는 로컬 데이터를 소정의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입력에 따른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로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며,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검색 작업을 위해 정보검색프로그램이 구동하는 경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해 검색된 소정의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는 태깅리스트 각각에 대해 소정의 카테고리 정보에 연관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된 정보검색프로그램에 검색 카테고 리 위치에 따라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 위치에 대응하는 태깅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 카테고리 위치(또는 검색하는 디렉토리의 위치)가 '신문'일 경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상기 '신문'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의 태깅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에 포함시킬 수 있다.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의 태깅리스트는 리스트 작성 수단(210)에 의해 작성될 수 있으며,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로컬검색엔진(130)에 의해 기 작성된 색인 테이블, 보다 구체적으로 색인 테이블에 기록된 색인명과 연관된 '파일 개수' 또는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색인명의 표기 방식을 결정하여 태깅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색인 테이블을 작성하는 로컬검색엔진(130)은 수집된 각 로컬 데이터로부터 색인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인명 및 개별 로컬 데이터에서 색인명이 포함된 빈도수를 산출하여 색인 테이블에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인명은 로컬 데이터에 포함되며 의미를 갖는 문자 조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로컬검색엔진(130)은 소정 조건에 맞게 수집된 로컬 데이터 중에서 의미 식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문자 조합을 색인명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로컬검색엔진(130)은 추출된 색인명을 기준하여, 색인명을 추출한 로컬 데이터의 수, 각 로컬 데이터에서 개별 색인명이 포함된 빈도수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색인 테이블 상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색인 테이블 에는 색인명, 추출된 로컬 데이터의 명칭(파일명) 및 해당 로컬 데이터에서 상기 색인명이 포함되는 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로컬검색엔진(130)은 색인명에 연관하여 색인명을 추출한 로컬 데이터의 파일 개수, 및 각 로컬 데이터에서의 빈도수를 합산하여 총 빈도수를 산출한다. 즉, 로컬검색엔진(210)은 색인명을 기준으로 상기 색인 테이블의 정보를 재정렬한 후 하나의 색인명과 연관된 로컬 데이터의 총수를 카운팅하며, 또한 하나의 색인명이 로컬 데이터에 포함되는 총수를 카운팅한다.
이후,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상기 색인 테이블의 상기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색인명에 소정의 등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등위에 따라 색인명을 배열한 태깅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즉,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상기 태깅 테이블의 등위(배열 순서)에 따라 태깅리스트에서의 색인명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등위 부여에 있어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파일 개수가 많은 색인명일수록 상대적으로 상위(先位)의 등위를 부여하며, 또한 동일한 파일 개수를 갖는 복수의 색인명에 대해서 총 빈도수가 높은 색인명일수록 상대적으로 상위의 등위를 부여하는 내림차순의 등위 부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태깅 테이블에서의 각 로컬 데이터의 등위를 참조하여 태깅리스트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색인명을 선정한다. 즉,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예컨대, 태깅리스트를 사용자(120)에게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화면 크기(View Size)에 따라 설정된 n 등위 이내의 색인명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본 시스템의 운영자는 사용자(120)에게 노출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색인명이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n 등위의 설정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색인명별 표기 방식을 결정하고, 색인명이 상기 결정된 표기 방식에 따라 표기되도록 태깅리스트를 작성한다. 즉,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산출된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 즉 태깅 테이블에서의 배열 순서를 고려하여 색인명별 표기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표기 방식에 따라 색인명이 표기되도록 태깅리스트를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표기 방식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 각각에 대한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에 관한 것이고,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부여된 등위가 높을수록 해당 색인명의 표기 크기가 비례하여 태깅리스트에서 크게 표기되도록 하고, 부여된 등위가 높을수록 해당 색인명의 표기 농도가 비례하여 태깅리스트에서 진하게 표기되도록 하여 표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가 큰 색인명일수록, 태깅리스트에서 두드러지게(크고 진하게)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태깅리스트가 사용자(120)에게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120)로 하여금 상기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가 큰 색인명이 확연하게 식별되도록 한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 각각을 사용자(120)에게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하기 위해, 색인명을 소정의 문자배열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태깅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선정되는 색인명의 문자 체계가 '한글'일 경우에는 상기 색인명을 문자배열순서 'ㄱ,ㄴ,ㄷ,…'에 준하여 배열하고, 또는 문자 체계가 '알파벳'일 경우에는 상기 색인명을 문자배열순서 'a, b, c, …'에 준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등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색인명을 태깅리스트의 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작성된 태깅리스트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의 소정 저장 영역에 기록, 유지된다.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 태깅리스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하에서, 사용자(120)로부터 검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리스트 추출 수단(220)은 검색 작업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110)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에 연동하여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추출 수단(220)은 상기 구동된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 카테고리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 위치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의 태깅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검색 카테고리 위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이 검색하는 디렉토리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리스트 제어 수단(230)은 추출된 특정의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리스트 제어 수단(230)은 특정 태깅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보검색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검색 요청을 생성한 사용자(120)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된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의 색인명이 사용자(120)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세부적인 로컬 데이터를 사용자 (120)에게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제어 수단(230)에 의해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으로 포함되는 태깅리스트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을 구동한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120)에게 노출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보검색프로그램은 키워드 검색 방식의 지원을 위한 검색란 및 태깅 검색 방식의 지원을 위한 태깅리스트가 포함되는 상태가 된다(도 3 참조).
검색 제어 수단(240)은 로컬검색엔진(130)이 검색한 검색 결과를 정보검색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120)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로컬검색엔진(130)은 키워드 입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120)가 검색란에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태깅리스트에 포함된 일부 색인명에 대한 사용자(120)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소정의 로컬 데이터를 로컬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120)가 태깅리스트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한 경우, 'A보고서.doc', 'B보고서.doc', 'C보고서.doc'를 태깅리스트에 먼저 보여준 후에, 사용자(120)의 선택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작업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동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상기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한 검색 방식으로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검색 작업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구동되는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태깅리스 트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키워드 입력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식은 물론, 태깅 검색 방식도 함께 지원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키워드 검색 방식의 장점인 신속한 검색 작업의 처리 뿐만 아니라 태깅 검색 방식의 장점인 검색 대상으로서의 키워드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않아도 비교적 정확도 높은 검색 작업의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깅 처리 및 태깅리스트의 작성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은 로컬검색엔진(130)에 의한 색인 테이블의 작성 과정을, 도 4는 리스트 작성 수단(210)에 의한 태깅 테이블의 작성 과정을 예시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보유하는 로컬 데이터를 검색 처리하는 것으로서, 로컬검색엔진(130)에서 임의의 색인명 '보고서'에 상관하여 색인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로컬검색엔진(130)은, 검색 대상(태깅할 대상)이 되는 로컬 데이터로서 로컬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보고서'와 대응되는 로컬 데이터 'A 보고서.DOC, B 보고서.DOC, C 보고서.DOC'를 선별적으로 검색한다.
로컬검색엔진(130)은 검색된 로컬 데이터 'A 보고서.DOC, B 보고서.DOC, C 보고서.DOC' 각각으로부터 색인명 및 상기 색인명이 해당 로컬 데이터에서 포함되는 빈도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인 테이블을 작성한다. 도 3에서의 색인 테이블에서는 예컨대, 로컬 데이터 'A 보고서.DOC'로부터 색인명 '네트워크' 등을 추출하고, 상기 색인명 '네트워크'가 로컬 데이터 'A 보고서.DOC'에 '10'의 빈도수 를 갖고 포함되고 있음을 기록한다.
이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추출된 색인명을 기준으로 색인명이 포함된 로컬 데이터의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합산하며, 합산된 정보를 이용하여 태깅 테이블을 작성한다. 예컨대, 도 3의 색인 테이블에서, 색인명 '네트워크'는 로컬 데이터 'A 보고서.DOC'에 10회, 로컬 데이터 'B 보고서.DOC'에 50회, 로컬 데이터 'C 보고서.DOC'에 100회가 포함되는 것을 기록되며, 이에 따라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색인명 '네트워크'에 대한 파일 개수를 3, 총 빈도수를 160(10+50+100)으로 하여 도 4의 태깅 테이블에 기록한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태깅 테이블을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색인명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 순서대로 색인명을 위치시킨 태깅리스트를 작성하여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태깅 테이블에 포함될 색인명의 수를 View Size를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으며, 도 4의 ⅰ)에서는 View Size가 5로서 태깅 테이블에서 최대 상위 5번째까지 정렬되는 색인명을 선별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4의 ⅱ)에서는 View Size가 10으로서 태깅 테이블에서 최대 상위 10번째까지 정렬되는 색인명을 선별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선별한 색인명을 상기 태깅 테이블에서의 정렬 순서, 즉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태깅리스트에서 정렬 순서가 상대적으로 높은 색인명을 크고 진하게 표기되도록 한다. 도 4의 ⅰ) 및 ⅱ)에서는 정렬 순서가 가장 높은 색인명 '네트워크'가 다른 색인명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진 하게 표기되도록 하는 태깅리스트를 예시한다.
또한, 리스트 작성 수단(21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을 문자배열순서에 따라 배열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4의 ⅰ)에서와 같이 한글자음 순서를 적용하여 색인명들을 '네트워크, 메신저, 매니저, 허브, 홍길동' 순으로 배열한 태깅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후,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작성된 태깅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보검색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120)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태깅리스트를 제공 받은 사용자(120)는 태깅리스트를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데이터의 내역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데이터에 광범위하게 포함되거나 포함되는 빈도수 가장 높은 색인명에 대한 태깅리스트에서의 표기가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사용자(120)에 의해 해당 색인명이 자연스럽게 선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은 상술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를 유지한다(S510). 본 단계(S510)는 로컬검색엔진(130)에서 색인 테이블의 작성을 위해 수집한 로컬 데이터로부터 각각 추출한 색인명, 및 개별 로컬 데이터에서 상기 색인명이 포함된 빈도수를 이용하여, 리스트 작성 수단(210)에서 태깅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태깅리스트를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하는 과정이다.
특히, 본 단계(S510)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산출된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를 고려하여 색인명별 표기 방식, 즉 색인명 각각에 대한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색인명 각각을 표기하여 배열하는 태깅리스트를 작성한다. 이때,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에 대해 파일 개수가 많을수록 또한, 색인명의 총 빈도수가 클수록 해당 색인명의 표기 크기가 비례하여 크게 표기되도록 하고 표기 농도가 비례하여 진하게 표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추후 태깅리스트가 사용자(120)에게 노출되는 경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해서는 파일 개수가 많고 총 빈도수가 높은 색인명이 다른 색인명보다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해당 색인명에 대한 사용자(120)의 선택을 유도하고 사용자(120)에게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단계(S510)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태깅 화면(사용자 단말기(110)의 화면) 크기에 따른 View Size를 고려하여 태깅리스트에 포함된 색인명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ⅰ)에서와 같이 View Size가 5인 경우, 상기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색인명을 순차적으로 5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S510)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을 소정의 문자배열순서에 따라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20)로 하여금 찾고자 하는 색인명을 상기 태깅리스트의 다수 색인명 중에서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110)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한다(S520). 본 단계(S520)는 구동된 정보검색프로그램, 예컨대 웹브라우저의 검색 카테고리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 위치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의 태깅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태깅리스트 각각은 소정의 카테고리 정보에 연관하여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 상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킨다(S530). 본 단계(S530)는 정보검색프로그램을 구동한 사용자 단말기(110)로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120)에게 노출시키는 과정으로, 작성된 태깅리스트를 종래의 키워드 검색 방식의 정보검색프로그램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식은 물론 태깅 검색 방식에 의한 검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란으로의 키워드 입력 또는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태깅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확인한 다(S540). 본 단계(S540)는 사용자(120)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에 따라 유연하게 키워드 검색 방식 또는 태깅 검색 방식을 지원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태깅 검색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120)에 의해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상기 노출된 태깅리스트의 색인명 중에서 임의의 색인명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 검색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120)에 의해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정보검색프로그램에 구비되는 검색란에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확인된 키워드 입력 또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를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S550). 본 단계(S550)는 입력된 키워드나 태깅리스트에서 사용자(120)가 선택한 색인명을 식별하고, 상기 키워드 또는 식별된 색인명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를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추출하여 사용자(12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로컬 데이터베이스(140)는 색인명(또는 키워드) 및 상기 색인명(키워드)과 연관된 로컬 데이터를 대응시켜 기록하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상기 입력된 키워드 또는 선택된 색인명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를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직접 검색하거나, 또는 로컬 데이터의 파일 위치를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파일 위치에 접속하여 관련된 로컬 데이터를 사용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 작업을 위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으로 유연한 검색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데이터에 대한 태깅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 함으로써 종래의 사용자(120)가 직접 로컬 데이터 별로 태깅 처리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120)의 노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해서는, 자동 태깅 처리를 의해 작성된 태깅리스트를 통해 사용자(120)에게 검색될 로컬 데이터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 내역 파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로컬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저장 환경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기 작성된 로컬 데이터를 자동으로 갱신 처리할 수 있다.
즉,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은 사용자(120)와 연관하여 보유되는 로컬 데이터의 저장 환경이 변화하는, 예컨대 로컬 데이터에 대한 생성, 변경, 삭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 기 작성된 태깅리스트에 대한 갱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200)에 의하면, 사용자(120)가 수시로 보유하고 있는 로컬 데이터에 대한 변경 작업을 하는 경우라도, 변경된 저장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태깅리스트를 갱신 처리함으로써 사용자(120)에게 최적한 검색 환경 및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6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620)과 롬(ROM: Read Only Memory)(6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30)은 로컬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620)은 통상적으로 로컬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620) 및 롬(6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로컬 데 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로컬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작업을 위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검색프로그램에서, 태깅 검색 방식 및 키워드 검 색 방식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 방식으로 유연한 검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 및 태깅 검색 방식을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적인 태깅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된 로컬 데이터들의 전체 정보 내역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검색 작업을 지원하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데이터에 대한 태깅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에서와 달리, 사용자에게 검색 대상이 되는 키워드의 정확한 기억을 요구하지 않아도 정확한 검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보유하고 있는 로컬 데이터로부터 색인명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인명을 이용하여 태깅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의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에 관한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표기 방식에 따라 상기 색인명을 표기한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란으로 키워드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태깅리스트에 대해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키워드 입력 또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로컬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리스트 각각은 카테고리 정보에 연관되어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구동된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 카테고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 위치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의 태깅리스트를,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색인명, 및 상기 색인명을 추출한 로컬 데이터를 대응시켜 기록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로컬검색엔진에서 상기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상기 태깅리스트의 색인명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를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로컬 데이터를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방식은 상기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 각각에 대한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에 관한 것이고,
    색인명별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색인명과 관련된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에 따라 색인명 각각으로 등위를 내림차순으로 부여하는 단계; 및
    설정된 등위 이내의 색인명을 선별하고, 선별된 각 색인명의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등위를 내림차순으로 부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일 개수가 많은 색인명일수록 상대적으로 상위의 등위를 부여하는 단계; 및
    동일한 파일 개수를 갖는 복수의 색인명에 대해서, 상기 총 빈도수가 많은 색인명에 상대적으로 상위의 등위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색인명별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여된 등위가 높을수록 해당 색인명의 표기 크기를 비례하여 크게 표기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부여된 등위가 높을수록 해당 색인명의 표기 농도를 비례하여 진하게 표기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리스트는 상기 색인명을 소정의 문자배열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10.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로컬 데이터를 태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1) 사용자 단말기에서 보유하고 있는 로컬 데이터로부터 색인명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인명을 이용하여 태깅리스트를 작성하며, (2) 상기 작성된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의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에 관한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리스트 작성 수단;
    상기 결정된 표기 방식에 따라 상기 색인명을 표기한 태깅리스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정보검색프로그램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깅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 수단;
    상기 추출된 태깅리스트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일부 영역에 포함시키는 리스트 제어 수단; 및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의 검색란으로 키워드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태깅리스트에 대해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워드 입력 또는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로컬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정보검색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검색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방식은 상기 태깅리스트에 포함되는 색인명 각각에 대한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에 관한 것이고,
    상기 리스트 작성 수단은,
    상기 색인명과 관련된 파일 개수 및 총 빈도수에 따라 색인명 각각으로 등위를 내림차순으로 부여하고, 설정된 등위 이내의 색인명을 선별하고, 선별된 각 색인명의 표기 크기 또는 표기 농도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표기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작성 수단은,
    상기 파일 개수가 많은 색인명일수록 상대적으로 상위의 등위를 부여하고, 동일한 파일 개수를 갖는 복수의 색인명에 대해서, 상기 총 빈도수가 많은 색인명에 상대적으로 상위의 등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검색에서의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KR1020050100557A 2005-10-25 2005-10-25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KR10072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557A KR100721408B1 (ko) 2005-10-25 2005-10-25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557A KR100721408B1 (ko) 2005-10-25 2005-10-25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535A KR20070044535A (ko) 2007-04-30
KR100721408B1 true KR100721408B1 (ko) 2007-05-23

Family

ID=3817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557A KR100721408B1 (ko) 2005-10-25 2005-10-25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56B1 (ko) * 2011-11-15 2013-06-10 조성수 태그 기반 파일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219A (ko) * 1997-12-27 1999-07-15 윤덕용 에이치티엠엘(html) 문서 저장 및 검색 시스템
KR20010067973A (ko) * 2001-04-12 2001-07-13 이홍규 지정된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398623B1 (ko) 2002-02-22 2003-09-19 주식회사 소프트미디어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멀티미디어 재생 및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219A (ko) * 1997-12-27 1999-07-15 윤덕용 에이치티엠엘(html) 문서 저장 및 검색 시스템
KR20010067973A (ko) * 2001-04-12 2001-07-13 이홍규 지정된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398623B1 (ko) 2002-02-22 2003-09-19 주식회사 소프트미디어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멀티미디어 재생 및 검색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535A (ko)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8051B (zh) 搜索引擎优化助理
KR101448325B1 (ko) 향상된 질의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시스템, 정황을 갖는 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US5787421A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by using keywords associated with a given set of data elements and the frequency of each keyword a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data elements attached to each keyword
US20020055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organiz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from data searches
KR10046366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22298A1 (en) Data Mining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Organizational Charts
JP4084647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101153534B1 (ko) 웹 데이터 및 로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자동 태깅 방법및 데이터 자동 태깅 시스템
JPS6037945B2 (ja) 階層木構造のテキストを順序構造で表示する方法
US20160203178A1 (en) Image search result navigation with ontology tree
US20100211562A1 (en) Multi-part record searches
KR100721408B1 (ko) 로컬 데이터 태깅 방법 및 로컬 데이터 태깅 시스템
JP520159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34588A (ja) 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プログラム
KR100716113B1 (ko) 웹 검색에서의 웹 데이터 태깅 방법 및 웹 데이터 태깅시스템
JP4356980B2 (ja) 電子帳票システム、電子帳票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31772B1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98890A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3955069B2 (ja) 特許出願データ分析支援システム
KR100774547B1 (ko) 검색결과캐싱을 이용한 검색정보 제공 방법 및 검색정보제공 시스템
JP2002259173A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20102184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2583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0097296A (ja) 電子文書ファイル検索装置、電子文書ファイル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80205A (ja) 検索装置及び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